스팀슨 독트린

Stimson Doctrine

스팀슨 독트린은 [1][2][3]침략의 결과로 만들어진 국가를 인정하지 않는 정책이다.이 정책은 1932년 1월 7일 미국 연방 정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실행된 국제 영토 변경에 대해 일본 제국중화민국에 명시되었다. 교리는 무뇨증의 원칙을 적용한 것이었다.[4]일부 분석가들은 혁명에 의해 수립된 정부에 반대하여 이 원칙을 적용했지만, 이러한 사용은 널리 퍼지지 않았고, 그것의 발동은 대개 조약 [4]위반을 수반한다.

개요

후버 행정부의 미국 국무장관 헨리 L. 스팀슨의 이름을 딴 이 정책은 1931년 [5]9월 18일 묵든(현재의 선양)에서 일본군에 의해 행해진 이후 일본이 중국 북동부 만주를 일방적으로 점령한 데 따른 것이다.이 독트린은 1940년 7월 23일 웰스 선언에서 미국 국무부 차관 섬너 웰스에 의해 발트 3개국합병과 합병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6]이는 1991년 발트 3국이 독립을 되찾을 때까지 미국의 공식 입장으로 남아 있었다.

미국이 인정하지 않는 것을 정치적 수단이나 상징적인 발언으로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1913년 멕시코 혁명정부와 [7]1915년 일본의 중국에 대한 21가지 요구를 인정하지 않았다.

1931년 말 일본의 만주 침공으로 스팀슨은 곤경에 처했다.켈로그-브리앙 조약의 정신에 대한 호소는 중국이나 일본 어느 쪽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스팀슨은 극동[8]평화를 가져오는 수단으로서 경제 제재를 지지하지 않을 이라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분명한 암시에 의해 더욱 방해를 받았다.

1932년 1월 7일, 스팀슨은 극동의 위기에 직면한 초기 비서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외교적 접근법을 채택한 유사한 공문을 중국과 일본에 보냈다.나중에 Stimson 독트린 또는 때로는 Hoover-Stimson 독트린으로 알려진 메모의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정부는 일본 제국 정부와 중화 공화국 정부 모두에 대해 사실상의 어떠한 상황의 합법성을 인정할 수 없으며, 이들 정부 또는 그 대리인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나 합의를 인정할 의도가 없음을 통지하는 것을 의무로 간주한다.(중국의 주권, 독립, 영토 및 행정적 통합 또는 일반적으로 개방정책으로 [9]알려진 중국에 관한 국제정책과 관련된 것을 포함)

스팀슨은 미국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조약 권리를 축소하는 중국의 어떠한 변화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며 "개방된 문"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이 선언은 대공황으로 부담을 느낀 서구 세계에 물질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했고, 일본은 만주에 괴뢰 국가를 세우고 나중에 [8]상하이를 폭격했다.

그 교리는 일본인을 [10]소외시키는 효과밖에 없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레퍼런스

  1.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의해 국제법에 명시된 주.
  2. ^ O’Mahoney, Joseph (2018). Denying the Spoils of War: The Politics of Invasion and Non-recogni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doi:10.3366/j.ctt1tqx9nb. ISBN 978-1-4744-3443-0.
  3. ^ O’Mahoney, Joseph (2014-09-01). "Rule tensions and the dynamics of institutional change: From 'to the victor go the spoils' to the Stimson Doctrine".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 (3): 834–857. doi:10.1177/1354066113483781. ISSN 1354-0661.
  4. ^ a b Bin Cheng, Georg (FRW) Schwarzenberger (2006). General principles of law as applied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3000-7.
  5. ^ "Stimson Doctrine, 193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Retrieved 2009-05-02.
  6. ^ John Hiden; Vahur Made; David J. Smith (2008). The Baltic question during the Cold War. Routledge. ISBN 978-0-415-37100-1.
  7. ^ 일본의 보호:도쿄의 그랜드 스트래티지와 동아시아의 미래, 저자=사무엘스[full citation needed]
  8. ^ a b George C. Herring (2008).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Oxford University Press US. ISBN 978-0-19-507822-0.
  9. ^ Reginald G. Bassett (1968). Democracy and Foreign Policy. Routledge. ISBN 978-0-7146-2209-5.
  10. ^ Marc S. Gallicchio (1988). The Cold War Begins in Asia.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6502-3.

참고 문헌

  • 클라우스, 에롤 맥그리거"루즈벨트 행정부와 만주국, 1933-1941", 역사학자 제32권, 제4호, 595-611쪽 온라인
  • 현재, 리처드 N. "스팀슨 독트린과 후버 독트린", 미국 역사 리뷰 제59권, 제3호(JSTOR, 1954년 4월), 페이지 513-542
  • 핀들링, J.E. (1980년)미국 외교사 사전, 웨스트포트: 그린우드 프레스, 페이지 457-458.
  • Meertöns, Heiko (2010):미국 안보정책의 원칙 - 국제법상 평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ISBN 978-0-521-76648-7.
  • 라이트, 퀸시"스팀슨 독트린의 법적 기반", 태평양 문제 제8권, 제4호(1935년 12월), JSTOR 439-44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