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튼 복음서

Hatton Gospels

해튼 복음서는 현재 12세기 말이나 13세기 초에 제작된 원고에 붙여진 이름이다. 4개의 복음구영어의 웨스트 색슨 사투리로 번역한 내용을 담고 있다. 루크 복음서의 극히 일부만 누락된 거의 완전한 복음서다. 그것은 현재 옥스포드 보들리언 도서관에 MS 해튼 38으로 있다.[1]

일루미네이션스

그 원고에는 이니셜이 장식되어 있다. 그것들은 크고,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번갈아 나타나며, 다른 색의 펜 장식이 있다. 큰 이니셜은 여백에 20퍼센트 들어가 있다. 텍스트는 큰 이니셜 주위에 들여쓰여져 있다. 각각의 복음의 시작에서 큰 초점은 녹색이다.

역사

기원

그 원고는 아마 캔터베리에서 제작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그러한 기원에 대한 고생물적 증거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필사본(이것은[2] 현존하는 것)에서 서양의 기독교의 표준 성서였던 라틴 성서벌게이트를 번역한 것이라는 원고의[3] 사본 그 자체로 낙서자들이 작업한 것이다.

그 원고는 세 명의 낙서에 의해 동시대에 제작되었다. 매튜 25:24를 공급하는 폴리오 119 직장과 폴리오 13 베르소와 70 베르소에 대한 한계 텍스트 등 3개의 폴리오를 제외한 모든 텍스트는 한 손으로 작성된다.

프로방스

그 원고가 처음 400년 동안 입증된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입증에 대한 첫 번째 확실한 지식은 폴리오 i의 베르소 위에 있는 존 파커 (d. 1618)의 서명이다. 파커는 매튜 파커 대주교의 아들이었다. 다음으로 폴리오 2의 직장에 크리스토퍼 해튼 1대 남작 해튼(d. 1670년)의 서명이 있다. 이 원고는 1671년 보들리언 도서관이 런던의 서점가 로버트 스코트로부터 구입한 것으로, 그가 죽은 직후 해튼 남작 도서관의 일부를 구입하였다.

누락된 텍스트

원고에는 루크 16장 12절부터 17장 1절까지가 빠져 있다. 폴리오 62는 누락된 텍스트의 대체품으로, 아마도 그것을 생산하기 위해 서기를 지불한 파커에 의해 공급된 명확한 증거를 보여준다.

팩시밀리

  1. R. M. 류자와 A가 쓴 마이크로피체 팩시밀리의 앵글로색슨 원고. N. Doane (NY, Binghamton: 아리조나 중세 및 르네상스 연구 센터, 1995), 제3권: 앵글로색슨 복음서
  2. 로버츠, 제인, 대본 안내서 1500까지 영어 글에 사용됨(런던: 영국 도서관, 2005), fol. 80r(Colour pl)의 사진 복제. C4 및 플레이트 29)

참고 및 참조

추가 읽기

  • Daniell, David (2003), The Bible in English, Yale, ISBN 0-300-09930-4.

참고 문헌 목록

  • Craster, Herbert; Madan, Falconer (1922). A summary catalogue of Western manuscripts in the Bodleian Library at Oxford, which have not hitherto been catalogued in the quarto series: with references to the Oriental and other manuscripts. Part 1. Vol. 2 (First ed.). Oxford: Clarendon Press.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가 있음.
  • 그룬버그, M, 웨스트 삭슨 복음서:복음서에 관한 연구 마태복음 4복음서(암스테르담: 셸테마 및 홀케마 NV, 1967)
  • 하드윅, 찰스 에드, 복음서 앵글로 색슨과 노섬브리아 버전에서 성 마태오에 따르면, 시놉시즘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최고의 원고를 수집한다(Cambridge: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858년)
  • 주니우스, 프란시스와 마샬, 토마스 에드, 콰투오르 D. N. Jesu Christi Evangeliorumversiones perantiquae duae, Gothica scil. et 앵글로색소니카: Charum Illam ex celleberrimo Codice Argenteo nunces premimum dempromsit Franciscus Junius F. F. Hanc autem ex Codicibus MSS. colaratis emendatius recudi curavitt Thomas Marreschallus, Anglus: utramque Versionem 하위 연결점에서 cujus etam Observiewers. Accessit + Glosarium Gothicum Cui praemittur Gylphotum Gylphatum, Runicum +c. 오페라 ejusdem francisi Juniii, 2권(Dordrecht: 헤니쿠스와 에새우스, 1665년)
  • Lenker, Ursula, Die Westsächsische Evangelienversion und die Perikopenordnungen im angelsächsischen England, Münchener Universitäts-Schriften, Philosophische Fakultät, Texte und Untersuchungen zur Englischen Philologie, 20 (Munich: Wilhelm Fink Verlag, 1997)
  • 류자, R. M. 378. 옥스포드, 보들리언 도서관, Ms. Hatton 38 (4090): R. M. 류자와 A가 쓴 마이크로피체 팩시밀리의 앵글로색슨 원고지에 실린 "웨스트 색슨 복음서" N. Doane(NY, Binghamton: 아리조나 중세 및 르네상스 연구 센터, 1995), 제3권: 앵글로색슨 복음서, 페이지 32 – 33
  • Skat, Walter W, Ed, The Copscription As Saint John: 앵글로색슨과 노섬브리아 버전에서 시놉시픽 배열, 모든 MSS의 모든 판독을 보여주는 콜레이션(Cambridge: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878년)
  • Madan, Falconer (1895–1953). A Summary Catalogue of Western Manuscripts in the Bodleian Library at Oxford. Oxford: Clarendon Press. p. 83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