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파어

Hupa language
후파
나우티닉스웨 믹시네휠레
네이티브:미국
지역캘리포니아 (후파 밸리)
민족성2000후파(2007)[1]
원어민
1 (2015)[1]
리바이벌L2 사용자: 30(2007)[1]
언어 코드
ISO 639-2hup
ISO 639-3hup
글로톨로지hupa1239
ELP후파
후파족과 다른 캘리포니아 아타바스크어족.

후파(원래 이름: Natintinixwe Mixine꞉wheelfright, light. "language of the Hoopa Valley people") is an Athabaskan language (of Na-Dené stock) spoken along the lower course of the Trinity River in Northwestern California by the Hoopa Valley Hupa (Na꞉tinixwe) and Tsnungwe/South Fork Hupa (Tse:ningxwe) and, before European contact, by the Chilula and Whilkut peoples, to the west.

스피커

2000년 미국 인구조사국은 이 언어를 단일 언어 사용자 4명을 포함하여 5세에서 17세 사이의 64명이 사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2012년 현재 후파를 유창하게 부를 수 있는 개인은 10명도 채 되지 않았으며, 그 중 적어도 한 명(베르데나 파커)은 유창하게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었다.[citation needed] 아마도 모든 연령대의 또 다른 50명의 개인은 전통적인 후파 음운론, 문법, 어휘에 대한 통제를 제한했을 것이다. 이를 넘어 많은 부족 구성원들이 후파 출신 단어와 구절의 작은 어휘를 공유한다.

음운론

표준 맞춤법에서 후파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슬래시 IPA 표기법 포함).

후파 자음[2]
라비알 치조류 구개체 벨라르 구개체 글로탈
중심부의 측면의 평이한 미제의 평이한 미제의 평이한 미제의
콧물 m /m/ n /n/ ng /ŋ/
멈추다 평이한 b /p/ d /t/ g, gy1 /kʲ/ (G /k/)2 q /q/ ʼ /ʔ/
흡인된 t /tʰ/ k, ky1 /kʲʰ/ (K /kʰ/)2
분출성의 t // kʼ, kyʼ1 /kʲʼ/ ( //)2 //
애프랙레이트 평이한 dz /ts/ j //
흡인된 ts /tsʰ/ chw /tw./
분출성의 tsʼ /tsʼ/ 트와프 /tɬʼ/ 꽹과 /tʃʼ/ (chwʼ /tʃʷʼ/)3
프리커티브 s /s/ ł /ɬ/ (sh /shift/)4 x /x/ xw /xʷ/ h /h/ wh /huh/
근사치 w /w/ l /l/ y /j/

자음 시스템 및 자음 작성 방법에 대한 참고 사항:[3]

  1. 구개정류소 g, k, k u는 a, o, u 문자 gy, ky, kyʼ로 표기된다.
  2. 벨라 스톱 G, K, KR는 분포가 제한적이다; GK는 단지 작은 단어로만 나타난다.
  3. 어떤 단어에서는 주로 chw의 변형된 발음으로 들린다.
  4. sound shh는 드물며 주로 감탄사나 외래어에서 발생한다.
후파모음 음소[4]
앞면 중앙 뒤로
클로즈미드 ɪ ~e o
개방하다 a

모음은 길어질 수 있다.

맞춤법

후파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후파 문자[5]
철자법 a a ꞉ b ch 꽹과 꽹과리 치다 츄우우우 d dz e e꞉ g gy h i j k ky Kyʼ l ł m n ng o oh q s t t tw 트와프 ts tsʼ u w wh x xw y ʼ
음핵 a a ː p t t t t t ts e k h ɪ t kʲʰ kʲʼ l ɬ m n ŋ o oh q s ʃ t t t t tsʰ tsʼ u w x j ʔ

형태학

동사 테마 및 클래스

다른 데네어와 마찬가지로 후파 동사는 테마를 중심으로 한다. 멜리사 액슬로드는 주제를 "언어를 만들 때 접두사 또는 접미사 요소의 문자열이나 접미사 요소가 추가되는 동사의 기본 골격"으로 정의했다. 주제 자체는 의미가 있고 아타바스크어 언어 어휘의 기본 단위라고 말했다. [6] 전형적인 테마는 동사 줄기에 덧붙여 분류자, 하나 이상의 결막 접두사, 하나 이상의 불연속 접두사로 구성된다.[7]

빅터 골라(1970년, 2001년 등)에 따르면, 각 후파 테마는 능동중성, 전이자동, 개인 비인격의 세 가지 매개변수를 따라 변곡 가능성에 따라 8개의 구조 등급 중 하나로 분류된다. 골라(2001: 817)

1. 능동적 테마는 가로-모드 범주에 대해 선택되는 반면, 중성적 테마는 그렇지 않다. 2. 타동적 테마는 직접적 오브젝트에 대해 선택되는 반면, 자동적 테마는 선택되지 않는다. 3. 개인적인 테마는 과목에 대해 선택되는 반면, 비인격적 테마는 선택되지 않는다.

골라(2001: 818)는 8개의 구조 등급 각각에서 테마의 예를 제시한다. 맞춤법이 현재 승인된 부족 맞춤법에 적합하도록 변경되었다.

활성 테마:

  • 타동사
Personal O-me-me 'n 'fill O'
비인격 no꞉=O-d-(n)-tan' 'O가 무언가에 익숙해 진다'
  • 비타협적
개인용 tsi-(w)-la꞉n/lan' '놀이(어려운 스포츠에서)'
비인격적(s)-'멜트 어웨이 사라지다'

중성 테마:

  • 타동사
개인 O-si-si-si-svaʼn 'have (원형 물체) live'
비인격 O-wi-l-chween 'O가 만들어졌다, 만들어졌다'
  • 비타협적
개인 di-n-chaat '아프다, 아프다'
비인격 k ki-qots' '딱딱딱딱딱딱딱딱딱딱딱 소리가 난다'

동사 템플릿

다른 데네어와 마찬가지로 후파 동사는 동사 줄기와 접두사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접두사는 결막 접두사 세트와 분리 접두사 세트로 나눌 수 있다. 구분 접두사는 동사의 왼쪽 바깥쪽 가장자리에 발생한다. 결막 접두사는 동사 줄기에 더 가까운 분리 접두사 뒤에 발생한다. 두 종류의 접두사는 서로 다른 음운학적 행동으로 구별할 수 있다. 접두사 콤플렉스는 다음과 같이 아타바스카니스트 문헌에서 템플릿으로 모델링한 10개의 위치로 세분할 수 있다.

11 10 9 8 7 6 5 4 3 2 1 0
충고를 하다 주제 소재 8월 8시에
주제의
3 subj 오비지 주제 소재 충고를 하다 분배의
주제의
모드-
양면
1/2 서브j 분류자(음성/밸런스 마커) 동사 줄임말

[8]

대명사, 대칭 변곡

후파 동사에는 주어사물을 모두 표시하는 대명사(, 대명사) 접두사가 있다. 접두사는 특정 모드, 특히 퍼펙터블 모드(예: 관련 Dene 언어인 Navajo 모드에 대한 모드에 대한 논의는 모드측면 참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두사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기본 주제 접두사는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개인/번호 제목 접두사 개체 접두사
단수형 복수형 단수형 복수형
첫 번째(1) -wh- -di- -wh- -210-
두 번째(2) 니- -oh- 니-
세 번째 애니메이트 -chʼi- xo-
세 번째 예방법 (3) 이- -Ø-
세 번째 비한정(3) 키이- -Ø-
세 번째 비인격(타사적 상황) -xo- -Ø-
반사적 ʼdidi-
역수 엔-위

주제 접두사는 두 가지 다른 위치에서 발생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주제 접두사(-wh-(또는 alomorph -e꞉), -di-, -ni-, -oh-)는 분류기(음성/밸런시) 접두사 바로 앞 위치 2에서 발생한다. 애니메이트, 미연방, 무기한 및 "지역적 상황" 주제 접두사(chʼi-, yi-, kʼi-, xo-)는 "독단적 주체 대명사"로 알려져 있으며 8위 위치에서 발생한다.

직접 객체 접두사는 위치 7에서 발생한다.

후파 자유주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Person+숫자 형체를 이루다
1인치 휘파람
2인치
3인치 xong, min (낮은 애니메이션)
1플레 네헤
2플 노니
삼플 쩡쩡 울리다

골라(2001:865-6)는 3인칭 자유대명사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그 대신 표현대명사가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시대명사

-hay(i)  <  hay-i  'the one (who)' -hay-de꞉  <  hay-de꞉-i  'the one here' (de꞉ 'here') -hay-de꞉d  <  hay-de꞉-d-i  'this one here' (de꞉-di 'this here') -hay-yo꞉w  <  hay-yo꞉w-i  'the one there (close)' (yo꞉wi 'there') -hay-ye꞉w  <  hay-ye꞉w-i  'the one in the distance' (ye꞉wi 'yonder') 

참조

  1. ^ a b c 인용 오류: 명명된 참조 e21 호출되었지만 정의되지 않음(도움말 페이지 참조).
  2. ^ 골라(1960:25–34)
  3. ^ 골라, 1996년 http://humboldt-dspace.calstate.edu/bitstream/handle/2148/48/HupaLanguageDictionary.pdf?sequence=1
  4. ^ 골라(1960:25)
  5. ^ 골라 (1996년
  6. ^ 액슬로드, M. 1993 _시간의 의미론: 코유콘 아타바스칸의 양상 분류_, 페이지 17. 링컨: 네브라스카 대학 출판부.
  7. ^ 사피르, 에드워드 & 빅터 골라(2001년). 후파 텍스처, 노트와 렉시콘이 함께. The Collected Works of Edward Sapir, Victor Golla & Sean O'Neill (eds.)에서 XIV 권, 19-1011. 무톤 드 그루터
  8. ^ 캠벨, 에이미로부터 각색되었다. (2007) 후파 디트랜스펙틱스와 디트랜스티브 건축에 관한 R. 컨퍼런스의 통사적 상태. 라이프치히, MPI-EVA.

참고 문헌 목록

  • Campbell, Amy (2007). "Hupa ditransitives and the syntactic status of R" (PDF).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Dixon, Roland Burrage; Samuel Alfred Barrett; Washington Matthews; Bill Ray (1910). The phonology of the Hupa language. The University Press. Retrieved 24 August 2012.
  • Goddard, Pliny Earle (1904). "Hupa Texts".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Goddard, Pliny Earle (1905). "The Morphology of the Hupa Language".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