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코발라민
Hydroxocobalamin![]() | |
임상자료 | |
---|---|
기타 이름 | 비타민B12, 비타민B12a, 히드록시코발라민 |
AHFS/Drugs.com | 모노그래프 |
메드라인플러스 | a605007 |
라이센스 데이터 | |
경로: 행정 | IM, IV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단백질 결합 | 매우 높음(90%) |
신진대사 | 주로 간, 코발라틴은 이음류에 흡수되어 간 속에 저장된다. |
제거 반감기 | ~6일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ECHA InfoCard | 100.033.198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62H89Co.N13O15P |
어금질량 | 1346.377 g·1987−1 |
3D 모델(JSmol) | |
| |
| |
![]() ![]() |
비타민B와12a 히드록시코발라민으로도 알려진 히드록소코발라민은 식품에서 발견되는 비타민으로, 식이 보조제로 사용된다.[2]비타민 B12 결핍증 치료에는 치명적인 빈혈을 포함한 보충제로서 사용된다.[2][3]다른 용도로는 시안화 중독 치료, 레버의 시신 위축 치료, 독성 양면시 치료 등이 있다.[4][5]근육이나 정맥에 주사하여 준다.[3]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거의 없다.[3]설사, 저혈중 칼륨, 알레르기 반응, 고혈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3]정상 복용량은 임신 중에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1]하이드로코발라민은 비타민 B의12 자연적인 형태로서 코발라민 화합물 계열의 일원이다.[6][7]신체가 DNA를 만들려면 비타민 B의12 또 다른 형태인 하이드로코발라민이 필요하다.[7]
하이드로코발라민은 1949년에 처음 격리되었다.[8]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올라 있다.[9]하이드로코발라민은 일반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하다.[3]상업적으로 그것은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 중 하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0]
의학적 용법
비타민12 B 결핍증
비타민 B12 결핍 치료를 위한 표준 치료법은 수산화소코발라민(OHCbl)의 근육내(IM) 또는 정맥내(IV) 주사로, 대부분의 경우는 장내 경로(굿)의 흡수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11]내인성 코발라민 대사질환이 있는 소아환자와 청산가리 중독에 따른 담배 양피시즘이 있는 비타민B 결핍증12 환자, 시신경성 빈혈증 환자가 사용된다.[12]
일반적으로 혈청 수치가 200 pg/ml 미만일 때 정의되는 새로 진단된 비타민 B-결핍12 환자의 경우, 하루 최대 1,000μg(1mg)의 수산화코발라민을 매일 IM 주사로 투여하여 신체의 고갈된 코발라민 저장소를 보충한다.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 매일 치료 후 6개월 동안 주간 또는 격주까지 주사를 놓은 후 월간 IM 주사를 시작한다.임상적 개선이 확인되면 일반적으로 B에12 대한 유지보수가 평생 필요하다.[citation needed]
시안 중독
히드록소코발라민은 청산가리에 중독된 사람들을 위한 1차 치료법이다.[3]수산화소코발라민은 청산가리를 훨씬 덜 독성이 있는 시아노코발라민으로 전환시킨다.시아노코발라민은 신적으로 제거된다.히드록소코발라민의 사용은 낮은 위험 프로필, 빠른 행동 개시, 병원 전 환경에서의 사용 편의성 때문에 첫 번째 라인이 되었다.[13]
주입식 하이드로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주사는 비타민 B 결핍의12 다음과 같은 원인을 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발행한 의약품 처방 라벨에서 추출한 목록).
- 엄격한 채식주의자와 모유를 먹은 유아에게서 발생하는 비타민 B의12 식이 결핍(단열 비타민 B 결핍은12 매우 드물다)
- 내장 인자가 분비되는 위 손상이나, 내장 인자가12 비타민12 B 흡수를 촉진하는 결석 손상에서 오는 비타민 B의 과몰입.이러한 조건에는 열대 스프루와 비열대 스프루(셀리악병)가 포함된다.
- 위 점막을 파괴하는 병변(다발성 경화증, 특정 내분비 장애, 철분 결핍, 소계 위 절제술 등 위 점막의 섭취, 광범위한 종양, 위 위축과 관련된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인한 내인성 인자의 부적절한 분비
- 비타민 B 결핍으로12 이어지는 구조적 병변(지역적 장염, 장골 반응, 악성종양 포함)
- 장내 기생충이나 박테리아에 의한 비타민 B의12 경쟁.덜 익힌 생선(디필로보튬 격자)에서 나온 촌충은 비타민B를12 다량 흡수하며, 감염된 환자는 위 위축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맹인루프 증후군은 비타민 B나12 엽산의 결핍을 일으킬 수 있다.
- 비타민 B의12 불충분한 사용, 비타민에 대한 항미메타볼라이트를 신소화 치료에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치명적인 빈혈은12 비타민 B 결핍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14]기술적으로는 내인성 인자의 자가면역결핍에 의해 생기는 빈혈을 가리키지만, 일반적으로 원인 불문하고 B-결핍12 빈혈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부작용
하이드로코발라민의 급성 독성 프로필에 대한 문헌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국소 및 전신 노출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보여준다.수산화소코발라민의 킬레이트화에 의한 시안화물의 급속한 검사와 해독능력은 시안화 피폭에 대한 정맥내(IV) 치료제로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140mg/kg에 달하는 수산화수산화발라민 전신 투여를 이용한 몇몇 급성 동물 및 인간 연구 결과를 가져왔다.[15][16]미국 FDA는 2006년 말 청산가리 중독 치료를 위한 주사로 하이드로코발라민 사용을 승인했다.
이 약은 소변(색소화증)의 적갈색을 유발하는데, 소변 속의 피처럼 보일 수 있다.[17]
특성.
하이드로코발라민 아세테이트는 무취의 짙은 적색의 정형외과 결정체로 발생한다.주사제 제형은 선명한 암적색 용액으로 나타난다.분포계수는 1.133 × 10-5이고 pKa는 7.65이다.
작용기전
비타민 B는12 코발라민이라고 불리는 화합물들의 그룹을 말하며, 인체에 다양한 종류의 상호교환성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엽산과 함께, 공동 비타민은 염색체 복제와 분열이 일어나는 세포, 특히 골수와 골수 세포의 DNA 합성에 필요한 필수 공작용제다.공동작용제로서, 코발라비타민은 두 가지 세포 반응에 필수적이다.
- 미토콘드리아 메틸말로닐-CoA 무타아제 변환(Methylmalonyl-CoA mutatase conversion)을 숙성시켜 지질 및 탄수화물 신진대사를 연계하는 MMA(Methylmalonic acid, MMA)와 탄수화물 대사
- 호모시스테인과 5-메틸트라하이드로폴리스의 메티오닌 합성에 있어 비율 추적 단계인 [18]메티오닌 신타아제의 활성화
코발라틴은 포피린처럼 생긴 코린핵으로 벤지미다졸릴 뉴클레오티드(benzimidazolyl nucleotide)에 묶인 단일 코발트 원자와 가변 잔류물(R)군이 들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변수 R 그룹은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네 가지 공동 비타민인 CNCbl, 메틸코발라민, 5-deoxyadenosylc발라민, 그리고 OHCbl을 발생시킨다.혈청에서는 히드록소코발라민과 시아노코발라민이 분자의 저장 또는 이동형태로 기능한다고 믿으며, 메틸코발라민과 5데옥시야데노실코발라민은 세포 성장과 복제에 필요한 코엔자임(coenzyme)의 활성 형태다.[18]시아노코발라민은 보통 혈청 내 하이드로코발라민으로 전환되는 반면, 하이드로코발라민은 메틸코발라민 또는 5데옥시아데노실 코발라민으로 전환된다.코발라비타민제는 트랜스발라비타민(TC)과 햅토코르린이라는 혈청 단백질에 묶여 유통된다.하이드로코발라민은 시아노코발라민, 즉 5데옥시야데노실코발라민보다 TC II 수송단백질에 친화력이 더 높다.생화학적 관점에서 보면 두 가지 필수 효소 반응에는 비타민 B12(코발라민)가 필요하다.[18][19]
세포내 비타민 B는12 메틸코발라민과 5데옥시야데노실코발라민이라는 두 가지 활성 코엔자임에서 유지된다.비타민 B가12 결핍된 상황에서 메틸말로닐-CoA를 숙시닐-CoA로 변환할 수 없어 메틸말로닐-CoA와 이상 지방산 합성이 누적된다.다른 효소 반응에서 메틸코발라민은 엽산의 정상적인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메티오닌 신타아제 반응을 지지한다.엽산-코발라민 상호작용은 청주와 피리미딘의 정상적인 합성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메틸군을 코발라민으로 이전하는 것은 엽산이 필요한 대사 단계의 기질인 테트라하이드로폴리스의 적절한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비타민 B가12 결핍된 상태에서, 세포는 증가하는 메틸트라하이드로폴의 양을 공급하기 위해 엽산 대사 경로를 리디렉션함으로써 반응한다.그로 인한 호모시스테인과 MMA의 농도 상승은 혈청 비타민 B가12 낮은 환자들에게서 종종 발견되며, 대개 성공적인 비타민 B 대체 요법으로12 낮출 수 있다.단, 코발라민 농도가 200 - 350 pg/mL인 환자에서는 MMA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20]결핍 상태에서의 비타민 B로12 보충하면 코발라민의 세포 내 수준을 회복시키고 메틸코발라민과 데옥시야데노실코발라민이라는 두 활성 코엔자임 수준을 충분히 유지한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Hydroxocobalamin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www.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17. Retrieved 30 December 2016.
- ^ a b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eds.).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p. 251.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 ^ a b c d e f "Vitamin B12".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6. Retrieved 8 December 2016.
- ^ MacLennan L, Moiemen N (February 2015). "Management of cyanide toxicity in patients with burns". Burns. 41 (1): 18–24. doi:10.1016/j.burns.2014.06.001. PMID 24994676.
- ^ "Hydroxocobalamin 1mg in 1ml solution for injection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PC) - (eMC)". www.medicines.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6. Retrieved 30 December 2016.
- ^ Bullock S, Manias E (2013). Fundamentals of Pharmacology. Pearson Higher Education AU. p. 862. ISBN 97814425644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2-31.
- ^ a b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 Dietary Supplement Fact Sheet: Vitamin B12". ods.od.nih.gov. 11 Febr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6. Retrieved 30 December 2016.
- ^ Eitenmiller RR, Landen WO (2010). Vitamin Analysis for the Health and Food Sciences. CRC Press. p. 467. ISBN 978142005016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2-31.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Vitamins, 6. B Vitamins".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2011. ISBN 9783527303854.
- ^ Thakkar K, Billa G (January 2015). "Treatment of vitamin B12 deficiency-methylcobalamine? Cyancobalamine? Hydroxocobalamin?-clearing the confusio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9 (1): 1–2. doi:10.1038/ejcn.2014.165. PMID 25117994.
- ^ Carethers M (March 1988). "Diagnosing vitamin B12 deficiency, a common geriatric disorder". Geriatrics. 43 (3): 89–94, 105–7, 111–2. PMID 3277892.
- ^ Shepherd G, Velez LI (May 2008). "Role of hydroxocobalamin in acute cyanide poisoning" (PDF).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42 (5): 661–9. doi:10.1345/aph.1K559. PMID 18397973. S2CID 24097516.
- ^ Qudsiya, Zainab; De Jesus, Orlando (2022).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of the Spinal Cord".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 ^ Forsyth JC, Mueller PD, Becker CE, Osterloh J, Benowitz NL, Rumack BH, Hall AH (1993). "Hydroxocobalamin as a cyanide antidote: safety, efficacy and pharmacokinetics in heavily smoking normal volunteers".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31 (2): 277–94. doi:10.3109/15563659309000395. PMID 8492341.
- ^ Riou B, Berdeaux A, Pussard E, Giudicelli JF (1993). "Comparison of the hemodynamic effects of hydroxocobalamin and cobalt edetate at equipotent cyanide antidotal doses in conscious dogs". Intensive Care Medicine. 19 (1): 26–32. doi:10.1007/BF01709274. PMID 8440794. S2CID 19462753.
- ^ Koratala A, Chamarthi G, Segal MS (June 2018). "Not all that is red is blood: a curious case of chromaturia". Clinical Case Reports. 6 (6): 1179–1180. doi:10.1002/ccr3.1514. PMC 5986001. PMID 29881591.
- ^ a b c 캣중, 1989년[full citation needed]
- ^ 하르드만[full citation needed], 2001년
- ^ 린덴바움 외 1994년[full citation needed]
외부 링크
- ChEBI 데이터베이스의 히드록소코발라민
- "Hydroxocobalamin".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