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확장
IPA ExtensionsIPA 확장 | |
---|---|
범위 | U+0250..U+02AF (96개의 코드 포인트) |
평면 | BMP |
스크립트 | 라틴어 |
주요 문자 | IPA |
맡겨진 | 96 코드 포인트 |
사용되지 않음 | 예약된 코드 포인트 0개 |
유니코드 버전 기록 | |
1.0.0 (1991) | 89 (+89) |
3.0 (1999) | 94 (+5) |
4.0 (2003) | 96 (+2) |
참고: |
IPA Extension은 블록(0250-02국제 음성 알파벳(IPA)에 사용되는 전체 크기의 문자를 포함하는 유니코드 표준의 AF). 현대 및 역사 문자뿐만 아니라 이전 및 제안된 IPA 기호 및 비 IPA 음성 문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구문 분석 기호와 같이 음운학에 사용되는 추가 문자는 음운 확장(1D00–1D7F)과 음운 확장 보완(1D80–1DBF) 블록으로 인코딩된다. Iacritics는 Space Modifier 문자(02B0–02)에서 찾을 수 있다.FF) 및 분음 부호(0300–036F) 블록 조합. 유니코드 1.0의 블록 이름은 표준 음성이었다.[3]
IPA 기호 표시에 유니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X-SAMPA와 같은 ASCII 기반 시스템이 대체되고 있다.[4] 유니코드 블록 내에는 더 이상 언어학자들이 국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전의 IPA 문자도 몇 개 있다.
문자표
코드 | 글리프 | HTML | 유니코드명 | IPA 음성 설명/현황 | IPA 번호 |
---|---|---|---|---|---|
IPA 문자 | |||||
U+0250 | ɐ | A가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중설 근간모음 | 324 | |
U+0251 | ɑ | 라틴 작은 글자 알파 | 후설 비원순 개방모음 | 305 | |
U+0252 | ɒ | 알파벳으로 바뀐 라틴어 작은 글자 | 후설 원순모음 | 313 | |
U+0253 | ɓ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B | 유성 양변성 내성 | 160 | |
U+0254 | ɔ | 라틴 소문자 열기 O | 후설 원순 중저모음 | 306 | |
U+0255 | ɕ | 컬이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C | 무성 치경 마찰음 | 182 | |
U+0256 | ɖ | 꼬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D | 유성 역광 광학 | 106 | |
U+0257 | ɗ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D | 유성 치경 내분음 | 162 | |
U+0258 | ɘ | 라틴어 작은 글자 반전 E | 중설 비원순 중고모음 | 397 | |
U+0259 | ə | 라틴 스몰 레터 슈와 | 중설 중설모음 | 322 | |
U+025A | ɚ | 라틴 스몰 레터 슈와 후크 | 로타시티드 중설 중설모음 | 327 | |
U+025B | ɛ | 라틴어 작은 글자 열기 E | 중저모음 비원순모음 | 303 | |
U+025C | ɜ | 영문 소문자 반전 열림 E | 중설 비원순 중설모음 | 326 | |
U+025D | ɝ | 라틴어 작은 글자가 후크를 사용하여 열림 E로 반전됨 | 로타시티드 중설 비원순 중설모음 | ||
U+025E | ɞ | 라틴 소문자 닫힘 반전 열림 E | 중설 원순 중설모음 | 395 | |
U+025F | ɟ | 스트로크가 있는 라틴 작은 글자 도트리스 J | 유성 구개광체 | 108 | |
U+0260 | ɠ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문자 G | 유성 벨라 임포시브 | 166 | |
U+0261 | ɡ | 라틴어 작은 글자 스크립트 G | 유성 벨라 플로시브 | 110 | |
U+0262 | ɢ | 라틴 문자 소자본 G | 유성 경구형 광택 | 112 | |
U+0263 | ɣ | 라틴어 작은 글자 감마 | 유성 벨라 마찰음 | 141 | |
U+0264 | ɤ | 라틴 작은 글자 램스 혼 | 후설 비원순 중고모음 | 315 | |
U+0265 | ɥ | H로 변환된 라틴어 작은 글자 | 근치-팔상 근사치 | 171 | |
U+0266 | ɦ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H | 유성 글로탈 마찰음 | 147 | |
U+0267 | ɧ | 라틴어 작은 편지 헝 with Hook | 스웨덴의 sj-sound. 유사: 무성 후극 마찰음, 무성 벨라 마찰음 | 175 | |
U+0268 | ɨ | 스트로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I | 중원형 비원순 폐쇄모음 | 317 | |
U+0269 | ɩ | 라틴 스몰 레터 이오타 | "ɪ"의 사전 형식(obsolete) | 399 | |
U+026A | ɪ | 라틴 문자 소자본 I | 근전근 비원순 근고모음 | 319 | |
U+026B | ɫ | 라틴 문자 L(중간 문자 포함) | 벨라르/심장 측측 근사치 | 209 | |
U+026C | ɬ | 벨트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L | 무성 치경 측면 마찰음 | 148 | |
U+026D | ɭ | 레트로플렉스 후크가 있는 라틴 작은 글자 L | 레트로플렉스 횡방향 근사치 | 156 | |
U+026E | ɮ | 라틴 스몰 레터 레즈 | 유성 치경측 마찰음 | 149 | |
U+026F | ɯ | 라틴어 작은 글자가 M으로 | 후설 비원순 닫기 모음 | 316 | |
U+0270 | ɰ | 긴 다리로 M으로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벨라 근사치 | 154 | |
U+0271 | ɱ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M | 미간비강 | 115 | |
U+0272 | ɲ | 왼쪽 훅이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N | 구개비강 | 118 | |
U+0273 | ɳ | Retroflex Hook이 있는 Latin Small Letter N | 레트로플렉스 비강 | 117 | |
U+0274 | ɴ | 라틴 문자 소자본 N | 구개비강 | 120 | |
U+0275 | ɵ | 라틴어 작은 글자 표지가 있는 O | 중설 원순 중고모음 | 323 | |
U+0276 | ɶ | 라틴 문자 소자본 OE | 전면 원순모음 | 312 | |
U+0277 | ɷ | 라틴 스몰 레터 클로즈드 오메가 | "ʊ"의 사전 형식(obsolete) | 398 | |
U+0278 | ɸ | 라틴 작은 글자 파이 | 무성 양변 마찰음 | 126 | |
U+0279 | ɹ | R자로 변환된 라틴어 작은 글자 | 치경 근사치 | 151 | |
U+027A | ɺ | 긴 다리로 R자로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치경 측측 플랩 | 181 | |
U+027B | ɻ | 후크가 있는 R자로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레트로플렉스 근사치 | 152 | |
U+027C | ɼ | 긴 다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R | 치경조 | 206 | |
U+027D | ɽ | Tail이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R | 레트로플렉스 플랩 | 125 | |
U+027E | ɾ | 피시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문자 R | 치경수프 | 124 | |
U+027F | ɿ | 피시 후크를 사용하여 R을 반대로 쓴 라틴어 작은 글자 | 음절 음성 치경 마찰음(신음학자의 사용) | ||
U+0280 | ʀ | 라틴 문자 소자본 R | 구개수조 | 123 | |
U+0281 | ʁ | 라틴 문자 소자본 반전 R | 유성 경구 마찰음 | 143 | |
U+0282 | ʂ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문자 S | 무성 역회전 마찰음 | 136 | |
U+0283 | ʃ | 라틴 스몰 레터 에스 | 무성 우체국 마찰음 | 134 | |
U+0284 | ʄ | 스트로크와 후크가 있는 라틴 작은 글자 도트리스 J | 유성구개성충격기 | 164 | |
U+0285 | ʅ | 라틴어 작은 글자 스쿼트 반전 esh | 음절 음성 역순 마찰음(신음학자의 사용) | ||
U+0286 | ʆ | 라틴 작은 글자 esh(컬 포함) | 무성 치경 마찰음(오솔자) | 204 | |
U+0287 | ʇ | 라틴 작은 글자 T자 | 치과용 클릭(솔창) | 201 | |
U+0288 | ʈ | Retroflex Hook이 있는 Latin Small | 무성 레트로플렉스 플로지브 | 105 | |
U+0289 | ʉ | 라틴 스몰 레터 U 바 | 중원순모음 닫기 | 318 | |
U+028A | ʊ | 라틴어 작은 글자 업실론 | 근후 원순 근저모음 | 321 | |
U+028B | ʋ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 근사치 | 150 | |
U+028C | ʌ | 라틴어 작은 글자 V자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 314 | |
U+028D | ʍ | W로 변환된 라틴어 작은 글자 | 무성 연구실 근사치 | 169 | |
U+028E | ʎ | Y자로 변환된 라틴어 작은 글자 | 구개측근접근사 | 157 | |
U+028F | ʏ | 라틴 문자 소자본 Y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 320 | |
U+0290 | ʐ | Retroflex Hook이 있는 Latin Small Letter Z | 유성 역추적 마찰음 | 137 | |
U+0291 | ʑ | 컬이 있는 라틴어 작은 문자 Z | 유성 치경 마찰음 | 183 | |
U+0292 | ʒ | 라틴 스몰 레터 에즈 | 유성 우편 마찰음 | 135 | |
U+0293 | ʓ | 라틴 스몰 레터 에즈(컬어 포함) | 유성 치경 마찰음(오솔자) | 205 | |
U+0294 | ʔ | 라틴 문자 글로탈 중지 | 글로탈 스톱 | 113 | |
U+0295 | ʕ | 라틴 문자 발성 마찰음 | 유성 인두 마찰음 | 145 | |
U+0296 | ʖ | 라틴 문자 반전 글로드탈 중지 | 치경 측방향 클릭(오브솔트) | 203 | |
U+0297 | ʗ | 라틴 문자 확장 C | 우체국 클릭(솔리드) | 202 | |
U+0298 | ʘ | 라틴 문자 양방향 클릭 | 양방향 클릭 | 176 | |
U+0299 | ʙ | 라틴 문자 소자본 B | 빌라비알 수조 | 121 | |
U+029A | ʚ | 라틴 소문자 닫힘 E | [오류]에 대한 실수. | 396 | |
U+029B | ʛ | 라틴 문자 소자본 G(Hook 포함 | 유성 경구 내연성 | 168 | |
U+029C | ʜ | 라틴 문자 소자본 H | 무성 후두 마찰음 | 172 | |
U+029D | ʝ | 꼬리가 교차된 라틴 문자 J | 유성 구개 마찰음 | 139 | |
U+029E | ʞ | K가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벨라클릭(솔리드) | 291 | |
U+029F | ʟ | 라틴 문자 소자본 L | 벨라 횡방향 근사치 | 158 | |
U+02A0 | ʠ | 후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Q | "Voiceless" 경구 내포성(Obsolete) | 167 | |
U+02A1 | ʡ | 스트로크가 있는 라틴 문자 글로탈 중지 | 후두구체 플라스ive | 173 | |
U+02A2 | ʢ | 스트로크로 라틴 문자 반전 글로드탈 중지 | 유성 후두 마찰음 | 174 | |
U+02A3 | ʣ | 라틴 작은 글자 DZ 디그그래프 | 유성 치경 결막(오솔자) | 212 | |
U+02A4 | ʤ | 라틴 작은 글자 데즈 디그그래프 | 유성 우편극 단면체(솔창) | 214 | |
U+02A5 | ʥ | Curl이 있는 라틴어 작은 문자 DZ 디그래프 | 유성 치경구개 부착물(오솔자) | 216 | |
U+02A6 | ʦ | 라틴 작은 글자 TS 디그그래프 | 무성 치경 결막(오솔자) | 211 | |
U+02A7 | ʧ | 라틴 작은 글자 테쉬 디그그래프 | 무성 우체국 압착체(솔창) | 213 | |
U+02A8 | ʨ | Curl이 있는 라틴 소문자 TC 디그라프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오솔자) | 215 | |
IPA 등장인물들의 어순 어순 | |||||
U+02A9 | ʩ | 라틴어 작은 글자 펑 디그라프 | 공동 마찰음 | 602 | |
U+02AA | ʪ | 라틴 작은 글자 LS 디그그래프 | 무성 그루브 횡격막 마찰음 | 603 | |
U+02AB | ʫ | 라틴 작은 글자 LZ 디그그래프 | 유성 그루브 횡격막 마찰음 | 604 | |
U+02AC | ʬ | 라틴 문자 빌라비알 퍼커티브 | 양순 퍼커시브 | ||
U+02AD | ʭ | 라틴 문자 바이덴탈 퍼커시브 | 바이덴탈 퍼커시브 | 601 | |
Sinology 추가사항 | |||||
U+02AE | ʮ | 피시훅으로 H로 된 라틴어 작은 글자 | 음절 미립자 음성 치경 마찰음(신학자의 사용) | ||
U+02AF | ʯ | 피시 후크와 꼬리가 있는 라틴어 작은 글자 H로 된 작은 글자 | 음절 미립자 음성 역순 마찰음(신음학자의 사용) |
부제목
IPA Extensions 블록은 각각 다른 버전의 유니코드로 인코딩된 문자 집합, IPA 확장자, 순서 없는 스피치를 위한 IPA 문자, 그리고 Sinology를 위한 Additions와 연관된 세 개의 하위 제목만 포함한다.[5]
IPA 확장
IPA 확장은 IPA Extensions 블록의 첫 89자로, IPA 컨텍스트에서만 정기적으로 사용되는 라틴 문자 변형과 그리스어 차입을 포함한다.[5] IPA 확장자 하위 표제의 문자는 원래 유니코드 1.0의 일부였다.
순서 없는 언어에 대한 IPA 문자
잡음표현을 위한 extIPA 문자는 자연언어로 발생하지 않지만, 아기에 의한 언어전발언, 다른 언어인 개인의 횡설수설, 그리고 기타 비언어적이지만 음성발언을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음성 IPA에 추가된다.[5] 유니코드 버전 3.0의 IPA Extensions 블록에 순서 없는 음성을 위한 IPA 문자가 추가되었다.
Sinology 추가사항
신학 추가는 중국 언어의 음소 전사를 위한 두 개의 추가 기호다.[5] Additions for Sinology는 유니코드 버전 4.0의 IPA Extensions 블록에 추가되었다.
콤팩트 테이블
IPA 확장[1]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025x | ɐ | ɑ | ɒ | ɓ | ɔ | ɕ | ɖ | ɗ | ɘ | ə | ɚ | ɛ | ɜ | ɝ | ɞ | ɟ |
U+026x | ɠ | ɡ | ɢ | ɣ | ɤ | ɥ | ɦ | ɧ | ɨ | ɩ | ɪ | ɫ | ɬ | ɭ | ɮ | ɯ |
U+027x | ɰ | ɱ | ɲ | ɳ | ɴ | ɵ | ɶ | ɷ | ɸ | ɹ | ɺ | ɻ | ɼ | ɽ | ɾ | ɿ |
U+028x | ʀ | ʁ | ʂ | ʃ | ʄ | ʅ | ʆ | ʇ | ʈ | ʉ | ʊ | ʋ | ʌ | ʍ | ʎ | ʏ |
U+029x | ʐ | ʑ | ʒ | ʓ | ʔ | ʕ | ʖ | ʗ | ʘ | ʙ | ʚ | ʛ | ʜ | ʝ | ʞ | ʟ |
U+02Ax | ʠ | ʡ | ʢ | ʣ | ʤ | ʥ | ʦ | ʧ | ʨ | ʩ | ʪ | ʫ | ʬ | ʭ | ʮ | ʯ |
메모들
|
역사
IPA Extensions 블록은 버전 1.0 이후 유니코드로 존재했으며, ISO 10646과의 통합을 통해 변경되지 않았다. 블록에는 버전 3.0에서는 음란한 언어를, 버전 4.0에서는 신학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확장자가 작성되었다.[6]
다음의 유니코드 관련 문서는 IPA Extensions 블록에서 특정 문자를 정의하기 위한 목적과 과정을 기록한다.
버전 | 최종코드 포인트[a] | 카운트 | UTC ID | L2 ID | WG2 ID | 문서 |
---|---|---|---|---|---|---|
1.0.0 | U+0250..0296 | 71 | (확정) | |||
X3L2/95-090 | N1253(doc, txt) | Umamaheswaran, V. S.; Ksar, Mike (1995-09-09), "4.2", Unconfirmed Minutes of WG 2 Meeting # 28 in Helsinki, Finland; 1995-06-26--27 | ||||
L2/05-212 | Davis, Mark (2005-08-05), Background Information on IPA | |||||
L2/07-022 | N3219 | Priest, Lorna; Aumann, Greg (2007-01-12), Glyph corrections for U+027F and U+0285 in TUS | ||||
L2/07-015 | Moore, Lisa (2007-02-08), "Glyph corrections for U+027F and U+0285 (C.7)", UTC #110 Minutes | |||||
L2/07-268 | N3253(pdf, doc) | Umamaheswaran, V. S. (2007-07-26), "M50.5 (Phonetic characters glyph correction) [U+027F, U+0285]", Unconfirmed minutes of WG 2 meeting 50, Frankfurt-am-Main, Germany; 2007-04-24/27 | ||||
L2/10-268 | Priest, Lorna (2010-07-29), Annotation additions resulting from encoding LATIN CAPITAL LETTER H WITH HOOK | |||||
U+0297..02A8 | 18 | UTC/1991-047 | Becker, Joe, Extended Latin, Standard Phonetic, Modifier Letters, General Diacritical Marks, Greek, Cyrillic | |||
UTC/1991-048B | Whistler, Ken (1991-03-27), "IPA additions", Draft Minutes from the UTC meeting #46 day 2, 3/27 at Apple | |||||
3.0 | U+02A9..02AD | 5 | L2/98-209 | N1742년 | Everson, Michael (1998-05-25), Additional IPA characters for the UCS | |
L2/98-293 | N1885년 | "2.2", Comments on proposals to add various characters to ISO/IEC 10646, 1998-08-25 | ||||
L2/98-299 | N1845년 | Everson, Michael (1998-09-08), Additional IPA "disturbed speech" characters for the UCS | ||||
L2/98-301 | N1847년 | Everson, Michael (1998-09-12), Responses to NCITS/L2 and Unicode Consortium comments on numerous proposals | ||||
L2/98-372 | N1884R2(pdf, doc) | Whistler, Ken; et al. (1998-09-22), Additional Characters for the UCS | ||||
L2/98-329 | N1920년 | Combined PDAM registration and consideration ballot on WD for ISO/IEC 10646-1/Amd. 30, AMENDMENT 30: Additional Latin and other characters, 1998-10-28 | ||||
L2/99-010 | N1903(pdf, html, doc) | Umamaheswaran, V. S. (1998-12-30), "8.2.10", Minutes of WG 2 meeting 35, London, U.K.; 1998-09-21--25 | ||||
4.0 | U+02AE..02AF | 2 | L2/01-272 | N2366 | Cook, Richard; Everson, Michael (2001-07-02), Proposal to add five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 |
L2/01-295R | Moore, Lisa (2001-11-06), Minutes from the UTC/L2 meeting #88 | |||||
L2/01-347 | N2366R | Cook, Richard; Everson, Michael (2001-09-20), Proposal to add six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 ||||
L2/02-154 | N2403 | Umamaheswaran, V. S. (2002-04-22), Draft minutes of WG 2 meeting 41, Hotel Phoenix, Singapore, 2001-10-15/19 | ||||
|
참고 항목
참조
- ^ "Unicode character database". The Unicode Standard. Retrieved 2016-07-09.
- ^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The Unicode Standard. Retrieved 2016-07-09.
- ^ "3.8: Block-by-Block Charts" (PDF).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0. Unicode Consortium.
- ^ Wells, John C. (2003). "Phonetic symbols in word processing and on the web" (PDF). In Solé, Maria-Josep; Recasens, Daniel; Romero, Joaquín (eds.).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Barcelona.
- ^ a b c d "Unicode 6.2 code charts" (PDF). The Unicode Standard. Retrieved 1 April 2013.
- ^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0, Volume 1.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1991 [1990]. ISBN 0-201-567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