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후두 마찰음
Voiced postalveolar fricative유성 후두 마찰음은 일부 구어권에서 사용되는 자음의 일종이다.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uses term voiced postalveolar fricative only for the sound [ʒ],[1] but it also describes the voiced postalveolar non-sibilant fricative [ɹ̠˔], for which there are significant perceptual differences.
유성 구개 치경 마찰음
유성 후두 마찰음 | |||
---|---|---|---|
ʒ | |||
IPA 번호 | 135 | ||
부호화 | |||
엔티티(10진수) | ʒ | ||
유니코드(16진수) | U+0292 | ||
X-SAMPA | Z | ||
점자 | |||
| |||
오디오 샘플 | |||
유성 구개 마찰음 또는 유성 돔형 후두 마찰음은 일부 구어권에서 사용되는 자음의 일종이다.
문자 변환
이 소리를 나타내는 국제음성문자의 기호는 Ezh ⟨////(/ ʒ),/)의 소문자 형태이며, 이에 상응하는 X-SAMPA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Z
일부 오래된 미국 언어 문헌에서 사용되는 대체 기호는 카론이 있는 z인 ž⟩이다.키릴 문자 등의 알파벳 문자 변환에서는 음성이 디그래프 ⟩zh로 나타난다.
영어에는 존재하지만 소리는 특정 문자나 이중 글자로 표현되지 않고 측정과 같은 단어에서 [z]와 [j]의 요드 결합으로 형성된다.일부 차용어에서는 주로 프랑스어(그래서 'g'와 'j'로 표기)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소리는 많은 언어에서 발생하며, 영어와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동시에 입술 반올림([ʒ]])이 있을 수 있지만, 문자 변환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특징들
유성 구개 마찰음의 특징:
- 그것의 관절 방식은 마찰음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혀 뒤쪽의 홈을 따라 거의 악물린 이빨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집중되어 고주파 난류를 일으키는 관절의 위치까지 공기 흐름을 흐르게 함으로써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그것의 관절의 위치는 치경-치경이다. 즉, 치경 융기 뒤에 혀의 날이 있고 혀의 앞부분이 입천장에 뭉쳐 있는 것을 의미한다.
- 그것의 발성은 발음 중에 성대가 진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그것은 입을 통해서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구강 자음이다.
- 그것은 중심 자음인데, 이것은 옆구리가 아니라 혀의 중심을 따라 공기를 보내면서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류 메커니즘은 펄스 방식이며, 이는 대부분의 소리와 같이 폐와 횡격막만으로 공기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생.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메모들 | |
---|---|---|---|---|---|
아디게 | жакӀэ | [아쉽다] (도움말·정보) | '실패' | ||
알바니아어 | 주르메 | [아쉽다] | '이음' | ||
아랍어 | 마그레비[2] | زوج | [zuzu] | '남편' | '아랍어 음운론' 참조 |
아르메니아어 | 동부[3] | ժամ | [아쉽다] (도움말·정보) | '시간 | |
아시리아어 | 우르미나야 | [우르르르르] | '우르미아에서 온 아시리아인' | ||
아바 | жакъа | [아까까까까까까까] | '오늘' | ||
아제르바이잔어 | 잘루즈 | [알리제] | '실패' | ||
베르타 | [ŋʒʒʒʒ [ [] | '여보' | |||
불가리아어 | мъжът | [m★★★★★★★★★★★★★★★★★] | '그 남자' | '불가리아의 음운론' 참조 | |
카탈로니아어 | 동부 카탈루냐어 | 겔 | [나꼼수] | '얼음 | |
체첸 | ★★★★★★★★★★★★★★* | [나꼼수] | '실패' | ||
중국인 | 취저우어 | 床 | [아쉬움] | '침대' | |
푸저우 방언 | 只隻 | [tsi] | '이거' | ||
코르시카인 | 가스기아 | [나꼼수] | '교회' | 갈루르세에서도 | |
체코어 | 무지 | [(무엇보다) | '남자'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
네덜란드어 | 차고 | [ɣä래äː] | '실패' | '네덜란드 음운론' 참조 | |
에밀리안 | 볼로네세 | è | 【ɛ̠̠ 】 | '케이스 | 정점, 라비얼라이즈 되어 있지 않습니다.대신 [zʲ]]또는 []]로 할 수 있습니다. |
영어 | 비전 | [아쉬운 일색] | '비전' | '영어 음운론' 참조 | |
에스페란토 | 마니아 | [mén'd͡ʒ̞̞̞̞̞̞̞̞] | '음식' | '에스페란토 음운론' 참조 | |
프랑스어[4] | 여행 | [아쉬움] | '날' | '프랑스어의 음운론' | |
독일의 | 표준.[5] | 차고 | [ɡˈːːːː [ [] | '실패' | 라미날 또는 아피코-라미날이며 강하게 [5]순음화되었습니다.스피커에 따라서는 /http/와 Marge 할 수 있습니다.'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그루지야어[6] | ჟურნალი | [나리] | '실패' | ||
괴마이 | zhiem | [일단] | '실패' | ||
그리스어 | 키프로스인 | α-α-α-α-α-α-α-α-ο | [ɣɐɐɐɐɐ̞̞̞̞̞ ] | '하늘색' | |
귀친 | 할 수 없다 | [아이고] | '늑대 | ||
한 | zh450r | [나꼼수] | '늑대 | ||
히브리어 | ז׳אנר | [아쉬움] | '실패' | 외래어에만 음소가 있습니다.'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 |
힌디어 | अझ़दहा | [ə̪̪ ːː ] | '드래곤' | '힌디어-우르두어 음운론' 참조 | |
헝가리어 | 로자 | [r̪oː [] | '로즈' | '헝가리 음운론' 참조 | |
잉구시 | iiž | [나꼼수] | '실패' | ||
이탈리아의 | 토스카나어 | 피지어 | [piʒäː]]] | '누르다 | '이탈리아 음운론' 참조 |
유대어-스페인어 | 뮤저 | [muˈɛr] | '여자' | ||
주호안 | 츄 | [나꼼수] | '사람' | ||
카바르디안 | жыг | [아쉽다] | '트리' | ||
카빌 | 제다이 | [나꼼수] | '할아버지' | ||
카슈비안[7] | ò디로즈 | [끄덕끄덕] | '항상' | ||
카자흐스탄어 | ★★★★★★★★★★ | [세부티] | '세븐' | ||
라트비아어 | 자벳 | [ˈʒäːveːt̪] | '마르다' | '라트비아 음운론' 참조 | |
리구리아어 | luxe | ['ly:flashe'] | '라이트' | ||
림부르크어 | 마스트리히트어[8] | zuleer | [베타 β β le le ] | 보석상 | 경구개화량이 [9]불분명한 폐포 후막입니다 |
리투아니아어 | 즈모나 | [(모앤)] | '아내' | '리투아니아 음운론 | |
리보니아어 | 쿠즈 | [kuː] | '6' | ||
롬바르드 | 서양의 | 자원 | [reˈu(레)라] | '마티어리' | |
마케도니아어 | aбa | [나꼼수] | '실패' | 마케도니아 음운론 참조 | |
메가리아어 | ჟირი | [나꼼수] | '둘' | ||
나바호 | 위즈 | [나꼼수] | '실패' | ||
나폴리인의 | 잠시 후에 | [bαttr] | '슬램' | ||
엔가스 | 자암 | [아...] | '친' | ||
응웨 | 모켄기 방언 | [나꼼수] | '분할 것 | ||
옥시탄 | 오베르나트 | 아젠트 |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 '돈' | 남부 방언 |
가스콘 |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 ||||
파슈토어족 | ژوول | [당황] | '실패' | ||
페르시아어 | مژه | [모르쇠] | '플래시' | 페르시아 음운론 참조 | |
폴란드의 | 지미나 이스테브나 | 지엘로니 | [아쉽다] | '녹색 | /contains/ 및 /contains/는 이러한 방언에서 [contains]에 결합됩니다.표준 폴란드어에서는 ///가 실제로 라미날 유성 역굴절 시빌런트를 전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루바와어[10] | |||||
말보크어[10] | |||||
오스트로다어[10] | |||||
워미아 방언[10] | |||||
포르투갈어[11][12] | 로하 | [웃음] | '쇼핑' | 폐경구개 [ʑ][13][14][15]라고도 합니다.'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
루마니아어 | 항아리 | [이러다] | '불타오르다 | '루마니아 음운론' 참조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ут / žž | [ʒ̪̪̪ ] | '노란색' | 사투리에 따라 라미날 복고풍일 수 있습니다.'세르보-크로아티아 음운론' 참조 | |
실레지안 | 지미나 이스테브나[16] | [필요한 건] | 이러한 사투리는 / and/와 / into/를 [ʒ]에 결합합니다. | ||
야블룬코프[16] | [필요한 건] | ||||
수족 | 라코타 | 와이지 | [와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 '하나 | |
슬로베니아어 | 지토 | [ˈìɔɔ] | '실패' | '슬로베니아 음운론' 참조 | |
스페인어 | 리오플라텐스[17] | 요 | [나꼼수] | '나' | 사투리도 [17]있고스페인어 음운론과 예스모 참조 |
에콰도르 안데스[18] 스페인어 | 엘로 | [eosos] | '그들' | 스페인어 음운론과 예스모 참조 | |
타닥사학 | [ˈɐ wɐ b ] | '답변' | |||
태기시 | [아쉬움] | '뭐야' | |||
터키어 | 질질 끌다 | [ʒːɛɛɛ] | '실패' | '터키어 음운론' 참조 | |
투르크멘어 | 지라프 | [미라프] | '실패' | ||
투초네 | 북부. | zhi | [나꼼수] | '뭐야' | |
남부 | zh450r | [나꼼수] | '베리' | ||
우크라이나어 | aбa | [나꼼수] | '실패' | '우크라이나 음운론' 참조 | |
우르두어 | اژدہا | [əhaːː [] | '드래곤' | '힌디어-우르두어 음운론' 참조 | |
렙스 | 하지 않다 | [vi] | '다섯' | ||
웰레이타 | [a]a] | '부시' | |||
서부 프리지안 | 바가아제 | [bɑɡa [ ] | '실패' | '서프리지아 음운론' 참조 | |
이디시어 | אָראַנזש | [아쉽다] | '실패' | '이디시어 음운론' 참조 | |
자포텍 | 틸키아판[19] | lan | [아싸] | '분노' |
러시아어로 치경 마찰음으로 표기되는 소리는 일반적으로 구강 치경 마찰음이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라미날 역굴곡 마찰음이다.
유성 후두엽 마찰음
유성 후두엽 마찰음 | |
---|---|
ɹ̠˔ | |
ɹ̝˗ | |
IPA 번호 | 151 414 429 |
부호화 | |
X-SAMPA | r\_-_r |
오디오 샘플 | |
유성 후두 마찰음은 자음음음이다.국제 음성 문자에는 치경 후 자음에 대한 기호가 따로 없기 때문에(구개음화되지 않은 모든 관음 위치에 동일한 기호가 사용됨), 이 소리는 보통 음으로 표기된다.동등한 X-SAMPA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r\_-_r
.
특징들
- 조음 방식은 마찰형입니다. 즉, 조음 위치에서 좁은 채널을 통해 공기 흐름을 제한하여 난류를 발생시킵니다.그러나, 그것은 자매의 홈이 있는 혀와 유도 기류, 또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지 않다.
- 그것의 관절의 위치는 치조 융기 뒤에 있는 혀의 끝이나 날과 함께 관절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그것의 발성은 발음 중에 성대가 진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그것은 입을 통해서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구강 자음이다.
- 그것은 중심 자음인데, 이것은 옆구리가 아니라 혀의 중심을 따라 공기를 보내면서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류 메커니즘은 펄스 방식이며, 이는 대부분의 소리와 같이 폐와 횡격막만으로 공기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생.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메모들 |
---|---|---|---|---|
네덜란드어[20] | 미어 | [나꼼수] | '호수' | /r/[21]의 희귀한 보컬 후 알로폰입니다./r/의 인식은 방언마다 상당히 다릅니다.'네덜란드 음운론' 참조 |
맨스 | 무어 | [muː̠]] | '호수' | /r/[22]의 다른 코다 알로폰과 자유 변동. |
이디시어(북동부) | אַרויס | [aɹ˔ejs] | 아웃 | 일부 방언에서는 /r/의 공통 동음이의어입니다. |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IPA i-charts (2018)".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Retrieved 5 June 2020.
- ^ Watson (2002:16)
- ^ Dum-Tragut (2009:18)
- ^ Fougeron & Smith (1993:73)
- ^ a b 망골드(2005:51)
- ^ Shosted & Chikovani (2006:255)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1-02. Retrieved 2013-11-18.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구센호벤 & 아트(1999), 페이지 156.
- ^ Gussenhoven & Aarts(1999:156)저자들은 ///가 "경구개전, 치경후 관절부위에 대해 혀날과 관절"이라고 말한다.따라서 이 소리가 치경(일부 구개음 후 치경)인지 치경(강하게 구개음 후 치경)인지 불분명하다.
- ^ a b c d 두비스, 카라, 콜리스 (1995:62)
- ^ Cruz-Ferreira (1995:91)
- ^ Medina (2010)
- ^ 마테우스 & 단드라데 (2000)
- ^ 실바 (2003:32)
- ^ 기마랑이스 (2004)
- ^ a b 도브로스카 (2004년:?)
- ^ a b 마르티네스 셀드란 페르난데스 플라나스 카레라 사바테 (2003:258)
- ^ Argüello, Fanny M. (1980-03-10). "El rehilamiento en el español hablado en la región andina del Ecuador". Lexis (in Spanish). 4 (2): 151–155. ISSN 0254-9239.
- ^ 메릴(2008:108)
- ^ Goeman & van de Velde (2001:94~98 및 101~102)
- ^ Goeman & van de Velde (2001:95~97 및 102)
- ^ 브로데릭(1986:17–8)
레퍼런스
- Broderick, George (1986), A Handbook of Late Spoken Manx, vol. 3, Tübingen: Niemeyer, ISBN 3-484-42903-8
- Canepari, Luciano (1992), Il MªPi – Manuale di pronuncia italiana [Handbook of Italian Pronunciation] (in Italian), Bologna: Zanichelli, ISBN 88-08-24624-8
- Cruz-Ferreira, Madalena (1995), "European Portugue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5 (2): 90–94, doi:10.1017/S0025100300005223
- Dąbrowska, Anna (2004), Język polski, Wrocław: wydawnictwo Dolnośląskie, ISBN 83-7384-063-X
- Dubisz, Stanisław; Karaś, Halina; Kolis, Nijola (1995), Dialekty i gwary polskie, Warsaw: Wiedza Powszechna, ISBN 83-2140989-X
- Dum-Tragut, Jasmine (2009), Armenian: Modern Eastern Armenian,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Fougeron, Cecile; Smith, Caroline L (1993), "Frenc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3 (2): 73–76, doi:10.1017/S0025100300004874
- Goeman, Ton; van de Velde, Hans (2001). "Co-occurrence constraints on /r/ and /ɣ/ in Dutch dialects". In van de Velde, Hans; van Hout, Roeland (eds.). 'r-atics. Rapport d'Activités de l'Institut des Langues Vivantes et de Phonétique. Brussels: Etudes & Travaux. pp. 91–112. ISSN 0777-3692.
- Guimarães, Daniela (2004), Seqüências de (Sibilante + Africada Alveopalatal) no Português Falado em Belo Horizonte (PDF), Belo Horizonte: Universidade Federal de Minas Gerais
- Gussenhoven, Carlos; Aarts, Flor (1999), "The dialect of Maastricht" (PDF),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University of Nijmegen, Centre for Language Studies, 29 (2): 155–166, doi:10.1017/S0025100300006526
- Mangold, Max (2005) [First published 1962], Das Aussprachewörterbuch (6th ed.), Mannheim: Dudenverlag, ISBN 978-3-411-04066-7
- Martínez-Celdrán, Eugenio; Fernández-Planas, Ana Ma.; Carrera-Sabaté, Josefina (2003), "Castilian Span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3 (2): 255–259, doi:10.1017/S0025100303001373
- Mateus, Maria Helena; d'Andrade, Ernesto (2000), The Phonology of Portugues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23581-X
- Medina, Flávio (2010), Análise Acústica de Sequências de Fricativas Seguidas de [i] Produzidas por Japoneses Aprendizes de Português Brasileiro (PDF), Anais do IX Encontro do CELSUL Palhoça, SC, Palhoça: Universidade do Sul de Santa Catarina
- Merrill, Elizabeth (2008), "Tilquiapan Zapotec" (PDF),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8 (1): 107–114, doi:10.1017/S0025100308003344
- Shosted, Ryan K.; Chikovani, Vakhtang (2006), "Standard Georgia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6 (2): 255–264, doi:10.1017/S0025100306002659
- Silva, Thaïs Cristófaro (2003), Fonética e Fonologia do Português: Roteiro de Estudos e Guia de Exercícios (7th ed.), São Paulo: Contexto, ISBN 85-7244-102-6
- Watson, Janet (2002),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Arabic,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