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트의 술탄 국가

Sultanate of Ifat
이파트의 술탄 국가
سلطنة عفت
1185–1403
The Ifat Sultanate in the 14th century.
14세기 이파트 술탄국.
자본와, 하라르 고원, 그리고 제일라는 현재 소말릴란드
공용어소말리아, 하라리, 아랍어, 아파르, 아르고바
언어들
종교
이슬람교
정부군주제
술안
역사
• 확립됨
1185
• 설정되지 않음
1403
통화디나르디르함[1]
선행자
성공자
쇼와 술탄국
아달 술탄국
오늘의 일부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릴란드

이파트의 술탄국, 즉 아와트는 13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 사이에 아프리카 혼의 동쪽 지역에 있는 중세 수니파 이슬람 국가였다.[2][3][4] 그것은 오늘날의 에티오피아에서 셰와[5][6][7] 질라 동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8][9] 왈라슈마 왕조가 이끄는 이 정치는 지칼라에서 항구도시 자이라까지 뻗어 있었다.[10] 이 왕국은 현재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릴랜드의 일부를 통치했다.

위치

알오마리에 따르면 [clarification needed]이파트는 홍해 연안에 가까운 주(州)로, 20일까지 15일 동안 "정상적인 이동 시간"이라고 한다. 주에는 강(아워시 강)이 있었고, 인구가 풍부했으며, 2만 명의 군사와 1만 5천 명의 기병을 거느렸다. 알-오마리는 이파트 7개 도시를 언급했다: 벨쿨자르, 쿨주라, 시미, 와, 아달, 잠메, 라부.[11] While reporting that its center was "a place called Walalah, probably the modern Wäläle south of Šäno in the Ěnkwoy valley, about 50 miles ENE of Addis Ababa", G.W.B. Huntingford "provisionally" estimated its southern and eastern boundaries were along the Awash River, the western frontier a line drawn between Medra Kabd towards the Jamma river eas데브레 리바노스(다못과 공유)와 아다바이 강과 모파르 강가의 북쪽 경계선이다.[12] 이파트 술탄국가의 알-오마리 영토 설명은 300km, 400km의 크기를 암시하고 있는데, 이는 과장일 수도 있다고 리차드 판커허스트는 전했다.[13]

타데세 탐라트에 따르면, 이파트의 국경에는 파타게르, 다와로, 베일이 있었다. 자이라 항은 교역의 진입점을 제공했고 이슬람이 에티오피아 영토로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진입점 역할을 했다. Ifat 통치자들은 Zaila를 지배했고, 그것은 그들에게 중요한 상업적이고 종교적인 근거지였다.[14]

아프리카 뿔의 여러 이슬람 국가들 중 최북단으로, 기독교 왕국과 해안 지역을 따라 있는 이슬람 국가들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했다.[2] 와 동부의 5개의 이파트 도시; 아스베리, 노라, 메살, 라사 구바, 베리이파트가 현재 대부분 14세기까지 폐허가 되어 있다.[15][16] 이 지역 아르고바 사람들은 아랍인들이 이 도시들을 건설했다고 믿었다.[17]

이파트 설립

이슬람히즈라 직후 아라비아 반도에서 일찍부터 혼 지역에 소개되었다. 자일라의 2시간짜리 마스지드 알-키블라테인은 약 7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사원이다.[18] 9세기 후반 알야쿠비는 이슬람교도들이 북부 소말리아 해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썼다.[19][20]

아르고바족은 이파트 술탄국(Ifat Suntanate)이 건국되면서 일부 학자들에게 평가받고 있다.[21][22][23] 그리고 일부 학자들은 소말리아와 아랍인들이 이파트 술탄국가의 창시자라고 믿고 있다.[8][9]

유수프 아마드카우네인은 아달 왕국 시대에 자이라에서 태어났다. 알 카우니엔은 소말리아 무슬림 성인이다.[24] 그는 중세 이파트 술탄 왕조와 아달 술탄 왕조를 모두 통치한 왈라슈마 왕조라고 알려진 왕가의 시조이자 조상이라고 여겨진다.[24][25]

이파트는 나중에 술탄 우마르 왈라슈마로 알려진 우마르 이븐 두냐후즈가 자신의 왕국을 개척하고 쇼와 술탄국(테굴라트의 동부 와 지방 고원에 위치)을 정복하면서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26][2][27] 1288년AD 술탄 왈리 아스마가 이 지역의 후바트, 아달, 그리고 다른 이슬람 국가들을 침공했다.[28] 타데세 탐라트는 술탄 왈라슈마의 군사행동은 같은 기간 예쿠노 암락 황제가 고지대의 기독교 영토를 통합하려 했던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아프리카 뿔의 이슬람 영토를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한다.[29]

역사

1435년경에 쓴 친이슬람 역사서로 유명한 아랍 역사학자 마크리지에 따르면 술탄 우마르 이븐 두냐후즈는 이파트의 초대 통치자로 1185년 자이라에서 이파트를 건국했다. 그는 또한 유명한 유수프 아마드카우네[30] 우마르의 손자로 1275년경에 사망했으며, 마크리지에 의하면, 짧은 기간마다 "4명 또는 5명의 아들"의 뒤를 이어 사망했다고 한다.[31] 마침내 Sabr ad-Din 1세가 권력을 잡았고 그는 세기말까지 Ifat를 통치했다. 마크리지에 따르면 그는 아비시니아에 대항한 첫 번째 통치자였던 술탄 알리에게 계승되었다.[32]

독립국

에티오피아 동부 이파트가 설립되기 전에는 기다야, 다와로, 사완, 발리, 파타가르에 의해 통치되었다.[33] 이 주들은 Ifat 술탄국가에 편입되었지만 Ifat가 붕괴한 후에도 독립의 원천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파트가 에티오피아 제국에 의해 폐지되었을 때 이들 주들도 침략을 당했지만, 파타고르는 여전히 이파트의 지배하에 머물 수 있었다.[34]

아비시니아와의 분쟁

1320년 기독교 군주와 이슬람교도 이파트 지도자들 사이의 갈등이 시작되었다.갈등이집트의 알 나시르 무함마드에 의해 촉발되었다.[35] 맘루크의 지배자 알 나시르 무함마드는 기독교 콥트를 박해하고 콥트교회를 파괴하고 있었다. 에티오피아 황제 암다 세연 1세는 마름루크 통치자에게 이집트의 기독교인 박해를 막지 않으면 자신의 통치하에 있는 이슬람교도에게 보복하고 나일강을 일탈하여 이집트 민족을 굶길 것이라는 경고와 함께 사절을 보냈다.[31][36] 판커허스트에 따르면, 두 가지 위협 중 나일강의 회항은 게으른 위협이었고 이집트 술탄은 이것이 그렇게 되는 것을 깨달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일축했다. 에티오피아인들이 나일강을 조작할 수 있다는 두려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 세기 동안 이집트인들에게 남아 있었다.[31]

암다 세연과 이파트의 술탄 알 나스르 사이의 위협과 분쟁의 결과, 하크 ad-Din 1세는 확실한 침략 전쟁을 일으키며 [31]응수했다.[36] 그는 암하라 왕국의 기독교 아비시니아 영토를 침공하여 교회를 불태우고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강제로 배교하였다.[36] 그는 또한 카이로에서 돌아오는 길에 황제가 보낸 사절을 붙잡아 감금했다. 하크 앗딘은 사절을 개종시키려 했고, 이것이 실패했을 때 그를 죽였다.[36] 이에 격노한 황제는 쉐와 모든 땅의 주민들, 그 중 상당 부분을 당시 이슬람교도들이 거주했던 이파트 술탄국의 다른 지역들을 급습했다.[37] 그 당시의 역사적 기록은 어느 쪽이 역사를 썼느냐에 따라 반대편 읍의 연이은 패배와 파괴, 불타기를 나타내고 있다.[31]

기독교 연대기에 따르면 당시 이슬람교도였던 미드라 제가와 멘즈 족의 지도자였던 술탄 하크 ad-Dinder 하크 ad-Din의 아들이 현대 북쉐마르라 비에테 남쪽 어딘가에서 벌어진 마르라 비에테 전투에서 황제와 싸웠다. 다데더 군대는 황제 암다 세연 1세를 포위할 수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격파하는 데 성공하여 전투에서 다데더 사령관을 죽였다.[37][31][36]

이파트 반란

사브르 앗딘의 반란은 독립을 이루려는 시도가 아니라 이슬람 에티오피아의 황제가 되려는 시도였다. 암다 세연의 왕실 연대기에는 사브르 앗딘이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나는 에티오피아의 왕이 되고 싶다. 나는 기독교인들을 그들의 율법에 따라 다스리고, 그들의 교회를 파괴할 것이다.시온 왕이 그러하듯이 에티오피아의 모든 지방에 총독을 지명할 것이다...나는 교회를 모스크로 바꿀 것이다. 나는 기독교의 왕을 나의 종교로 예속시키고 개종시킬 것이며, 그를 지방 총독으로 삼을 것이며, 개종하기를 거부하면 그를 목자 중 한 사람에게 넘겨주겠다. 베르지는 낙타 사육사가 될 것이다. 그의 아내인 얀 망게샤 여왕에 대해서는, 옥수수를 갈기 위해 그녀를 고용할 것이다. 나는 마라데에 거주할 것이다. 그의 왕국의 수도인 Tegolet.[38]

실제로 사브르 ad-din은 첫 침입 파타고르, 알라말레(즉, '구라게 국가'의 일부인 아이멜렐)와 다모트, 암하라, 앙고트, 인데라, 베젬더, 고즈잠 등 북쪽 먼 지방의 주지사를 임명했다. 그는 또한 수도에 카트를 심겠다고 위협했는데, 이 수도는 이슬람교도들이 사용하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회에게는 금지된 흥분제였다.[39]

따라서 1332년 초 사브르 앗딘의 반란은 종교적 지지와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독립 시도라기보다는 지하드로 비쳐졌고, 그 결과 인근 무슬림 지방인 데와로(이 지방에 대한 최초의 언급), 총독 하이드라(Haydera), 서부 지방인 하디야(Hadya)가 즉시 합류하였다.지방 통치자 아메노의 신하 아메노. 사브르 앗딘은 군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북서쪽으로 사단을 파견하여 암하라를 공격하고, 한 곳은 북쪽으로 앤고트를 공격하며, 또 다른 한 곳은 그의 개인적인 지휘 아래 서쪽으로 쉐와를 점령한다.[40]

암다 세연은 그 후 병사들을 동원하여 위협에 대처하여 금, 은, 사치스러운 옷을 선물로 주었다. 그래서 그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금과 은이 돌처럼 쌓이고 좋은 옷이 들판의 풀잎이나 풀처럼 흔했다"[41]고 설명했다. 그가 부하들에게 바친 사치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이파트의 살기 힘든 산악 지대와 건조한 지형과 완전한 도로의 부재 때문에 싸우지 않기로 선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24 야카띠로 진격했고, 애착은 반항하는 총독을 찾아 그를 도망치게 할 수 있었다. 일단 암다 세연의 남은 군대가 도착하자, 그들은 이파트 자이라의 수도를 파괴하고 자이라 전투에서 많은 군사를 죽였다. 그러나 Sabr ad-Din은 다시 한번 탈출했다. 그 후 암다 세연의 군대는 마지막 공격을 위해 한 조가 되어 그의 진영 중 하나를 파괴하고, 많은 남녀와 아이들을 죽이고, 나머지를 포로로 잡고, 금과 은을 약탈하고, '숫자가 없는 고운 옷과 보석'을 약탈했다.[40]

Sabr ad-Din은 이후 자신의 평화 제의를 거절하고 Sabr ad-Din을 수색하기 전에는 그의 수도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암다 세연의 결의를 표명하면서 평화를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 말을 들은 사브르 앗딘은 자신의 반란이 헛된 것임을 깨닫고 암다 세연의 진영에 투항했다.[40] 암다 세연의 궁정들은 사브르 앗딘을 처형할 것을 요구했지만, 그는 대신 그에게 상대적인 관용을 베풀고 반항적인 총독을 수감시켰다. 이어 암다 세연은 이파트에서 주지사의 동생 자말 ad-Din 1세를 후계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파트 반란이 진압되었듯이, 이파트 바로 북쪽에 있는 아달과 모라의 인근 지방은 황제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암다 세연도 곧 이 반란을 진압했다.[42]

암다세연 1세 시대 이후

Ifat의 무슬림 통치자들은 기독교 황제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계속했다. 그의 아들인 사야 아랏 황제는 하브 아라드 이븐 알리로도 알려진 아흐마드를 이파트의 술탄으로 임명하고, 알리의 아버지와 친척들을 감옥에 가두었다.[43] Sayfa Arad는 Ahmad와 가까웠고 그의 통치를 지지했지만, Ahmad는 Ifat 봉기로 죽었다. 그 후 아흐마드의 아들 하크 ad-Din II세가 이파트에서 정권을 잡았다. Ifat에서 내부 지배자 집안 싸움은 알리의 아들 몰라 아스파를 추방했고, 알리의 아들은 군대를 모아 아흐마드의 아들을 공격했다. 일련의 전투로 술탄 하크 ad-Din II의 권력 지위가 확인되었다.[43] 14세기에 하크 ad-Din 2세는 이파트의 수도를 하라 고원으로 이전하였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그를 아달 술탄국의 진정한 창시자로 여긴다.[44] 새로운 술탄은 이전의 수도인 이파트에서 새로운 도시인 와할로 옮겨갔다. 1435년에 쓰여진 마크리지의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거기서부터 1370년까지 20번 이상의 전투에서 황제와 끊임없이 싸웠다. Ifat 술탄 하크 ad-Din II는 1376년 전투에서 사망했다.[43]

역사학자 모르드차이 아비르에 따르면, 이파트 술탄국과 에티오피아 황제의 계속되는 전쟁은 이집트가 1352년 콥트교회의 총대주교 마르코스를 체포했던 더 큰 지정학적 갈등의 일부였다. 이 체포로 에티오피아에 있는 이집트 상인들은 모두 보복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1361년 이집트 술탄 알 말리크 알 살리흐는 총대주교를 석방한 뒤 에티오피아 황제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모색했다. 아프리카 혼의 국가인 아비르 주(州)의 이파트 술탄국가와 이슬람 왕국의 행동은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사이의 이슬람-기독교 분쟁과 연계되었다.[45]

이파트 술탄국의 종말

1376년 사아드 ad-Din-Din II라고도 불리는 술탄 사아드 ad-Din 압둘 무함마드가 동생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게 되었는데, 아비시니아 기독교군을 계속 공격하였다. 그는 황제를 지지하는 잘란과 하데야 등 지역 추장들을 공격했다.[46] 모르드차이 아비르에 의하면, 에티오피아 제국에 대한 사아드 앗딘 2세의 습격은 대체로 뺑소니 타입으로, 기독교 통치자의 동부의 무슬림 통치를 종식시키려는 결의를 굳혔다.[45] 15세기 초, 도이트일 것 같은 에티오피아 황제는 대군을 모아 대응했다.[46] 그는 주변 지역의 이슬람교도들을 '주의 적'이라고 낙인찍고 이파트를 침공했다. 많은 전쟁 끝에 이파트의 부대는 1403년 하라 고원에서 패배하였다.[47]

술탄 사아드 ad-Din은 이후 자일라로 도망쳤다.[46][48] 에티오피아 황제의 군인들은 그곳에서 그를 추격했고, 그곳에서 그들은 세일라 전투에서 그를 살해했다. 정보원은 황제가 이 캠페인을 실시한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중세 역사학자 알 마크리지에 따르면 1403년 도이트 1세아달의 술탄 사아드 앗딘 2세를 추격하여 그 곳에서 술탄을 죽이고 자일라 성을 축출했다고 한다. 그러나, 또 다른 현대의 출처는 사아드 ad-Din II의 사망 날짜를 1415년으로 정하고, 예샤크 황제를 살인으로 인정한다.[49]

이파트의 술탄국가는 파타가르의 침공을 받았고, 바그는 간즈와 함께 침공을 받았다.[50] 수도 하라르를 거느린 아달 술탄국은 14세기 후반에 동남부 지역에서 대표적인 이슬람 공국으로 부상했다.[51] 18세기까지 여러 작은 영토들이 서로 다른 왈라스마 그룹에 의해 지배되었다.[52] 18세기에 이르러 이파트 술탄국의 지방 이름이었던 이파트와 멘츠라는 기독교 왕조가 여러 개 세워졌다.[53] 현재, 그것의 이름은 쉐와에 위치한 현대 에티오피아 지방의 이파트에 보존되어 있다.

술탄스 오브 이파트

14세기 역사학자 알 우마리에 따르면, 이파트의 통치자는 비단으로 만든 머리띠를 착용했다.[54]

눈금자 이름 군림하다 참고
1 술잔 ʿ우마르 던야후즈 1185–1228 왈라슈마 왕조의 창시자, 별명은 ū아두녀(Adunyo) 또는 윌린위즐리(Wilinwīli)이다.
2 술안 ʿ알리 "바지위" ʿ우마르 1228–12?? 우마르 던야후스의 아들
3 Sulṭān ḤaqqudDīn ʿUmar 12??–12?? 우마르 던야후스의 아들
4 술안 주세인 우마르 12??–12?? 우마르 던야후스의 아들
5 술안 나스라드딘 ʿ우마르 12??–12?? 우마르 던야후스의 아들
6 술안 만수르 ʿ알리 12??–12?? ʿAli "Baziwi"의 아들 ʿUmar
7 술안 자말라드딘 ʿ알리 12??–12?? ʿAli "Baziwi"의 아들 ʿUmar
8 술안아부드 자말아드 12??–12?? 자말아드딘 son알리의 아들
9 술안 주브르 아부드 12??–13?? 아부드 자말라드딘의 아들
10 마티 라일라 아부드 13??–13?? 아부드 자말라드딘의 딸
11 술안 ḥqqun 나wi위 13??–1328 나우위 만수르의 아들, 만수르 ʿ우마르의 손자
12 술안 사비라드딘 마아메드 "와코이" 나오위 1328–1332 나우위 만수르의 아들 아비시니아의 암데 세연황제에게 패하여 아우 자말드딘을 대신하여 신하로 삼았다.
13 술안 자말아드딘 나위 1332–13?? 나위 만수르의 아들, 암데 세연 휘하의 신하 왕
14 술안 나스라드딘 나스위 13??–13?? 나위 만수르의 아들, 암데 세연 휘하의 신하 왕
15 술안 "카트" ʿ알리 사비라드딘 마하메드 13??–13?? 사비라드딘 마아메드 나위(Naḥid Na ofwi)의 아들, 암데 세연이 죽은 후 뉴야 크레스토스 황제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반란은 실패하여 아우 아메드로 교체되었다.
16 술안 아흐메드 "하비 아르 ar드" ʿ알리 13??–13?? ʿAli SabiradDn Maḥamed의 아들이며, 신하의 역할을 받아들이고, 뉴야 크레스토스에 대한 반항을 계속하지 않았으며, 이후 이슬람 역사학자들에게는 매우 형편없는 평가를 받고 있다.
17 술안 ḥqqn 아메드 13??–1374 아메드 med알리의 아들
18 술안 사이다드딘 아메드 1374–1403 아흐메드 ʿ알리의 아들, 예샤크 1세 휘하의 이파트의 아비시니아 침공 때 살해되었다.

군대

Mohammed Hassan Ifat의 보병에 따르면 Argobba족으로 구성되었다.[55] Ifat 군대는 또한 소말리아로 구성되었고 이웃 에티오피아와 전투에 적극적이었다.[56]

사람

니헤미아 레비시온 랜달 푸웰스와 울리히 브라쿰퍼에 따르면 이파트의 주민은 13세기까지 이미 이슬람교도였던 소말리스, 아프리카, 베르지족 등 유목민 집단과 하라리스족, 아르고바족, 멸종한 할라족 등이다.[57][27][58][59]

소말리아 이론

예멘 이민자들이 이끄는 소말리아인들은 자이라에 있는 이파트라는 이파트라고 부르는 주를 세웠다.[8] 아이엠에 따르면 루이스, 질라폴리티는 소말리아화된 아랍인 또는 아랍화된 소말리스로 구성된 지역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그들은 또한 남쪽으로 베나디르 지역에 유사하게 세워진 모가디슈의 술탄국을 통치했다.[19][20] 아라비아와의 수세기 동안의 무역 관계는 히미라티 왕국에 의해 해안을 따라 상업적 식민지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고, 이들은 결국 북쪽의 자이라 또는 아달과 남쪽의 모가디슈의 두 개의 작은 주로 발전하여 점차 소말리아화된 아랍이나 아랍화된 소말리아 왕조의 지방 왕조가 통치했다." 적절한 시기에 [소말리-아랍] 변환자들은 이파트, 다와로, 아달, 달락 등의 이슬람 술탄국까지 세우고 수아킨, 아이다브, 제이라, 베르베라의 주요 항구를 통해 무역을 통제함으로써 고지대 에티오피아 기독교인들에게 압력을 가했다.[9] 이파트의 왈라쉬마 왕조는 소말리아인으로 묘사되는 셰이크 유수프아마드카우네인과 더 흔히 연관되어 있다.[60]

아비시니아 왕 (네거스) 예샤크 (1414년 ~ 1429년)는 제일라를 중심으로 소말리아 이파트 왕국의 무역 경로와 영역으로 왕국의 정치적, 상업적 이익을 확장했다. 예샤크는 무슬림들을 '영주의 적'이라고 선언하고 1415년 이파트를 침공했다. 지역 이슬람의 유력자인 사아드 아드딘 왕은 패배했고, 아비시니아 해안까지 추격당했지만, 그들을 타도하는 데 1세기가 넘게 걸렸다.[61][62]

에디오-세미티즘 이론

학자들은 이파트의 거주자들이 주로 에티오피아 셈어법을 사용한다는 알 우마리의 설명을 근거로 제시했다.[63][64]

한때 쉐와 술탄국가의 최동단 지역이었던 이파트나 이파트는 중앙 고지와 바다 사이의 전략적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구를 포함한다.[27][65] 그것의 전신주 쉐와 술탄국은 최초의 내륙 이슬람 국가로 여겨지고 있으며, 셰와 땅의 많은 주민들이 이파트에 편입될 무렵에는 이슬람교도였다.[65][31] 셰와 술탄국(Shewa Suntanate)의 연대기에 따르면 1108년에 시작된 이 지역의 주민들을 개종시킨 최초의 개종자는 트리밍엄이 아르고바스의 조상이라고 제안한 그브바족이었다.[64] 그바족이 개종한 지 몇 년이 지난 후 셰와 술탄국 연대기는 1128년 암하라가 베르지족의 땅에서 도망쳤다고 언급하고 있다. 베르지족은 목회자였고, 14세기에는 세완고원 동쪽의 아와시 계곡을 점령하였다.[66]

14세기 중반까지, 이슬람은 이 지역에 확장되었고 아와시 강 북쪽의 주민들은 자베르와 미드라 제가의 이슬람인, 가발족(또는 오늘날 티그리 워지라고 불리는 워제족), 그리고 안코베르의 많은 주민들이 이파트의 술탄국 아래에 있었다.[67][68][69] 이전에 쉐와 술탄국의 수도였던 테굴라트는 데브레 베르한에서 북쪽으로 24km 떨어진 산에 위치해 있으며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마레이드로 알려져 있다.[70][71][26] 암다 치온의 연대기는 심지어 카트가 마라데 시에서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널리 소비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72] 테굴라트는 후에 암데 치온 황제의 자리가 되어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자 황제는 왈라스마스의 후손을 모든 무슬림 땅의 왕으로 추대했다.[73]

언어

19세기 에티오피아 역사학자 아스마 기요르기스는 왈라슈마 자신이 아랍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74]

참고 항목

참조

  1. ^ Zakeria, Ahmed. Harari Coins: A Preliminary Survey. Institute of Ethiopian Studies. p. 23.
  2. ^ Jump up to: a b c The Editors of Encyclopædia Britannica (1998). Ifat: historical stat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01-16.
  3. ^ J. 고든 멜튼과 마틴 바우만, 세계의 종교, 제2판: 포괄적인 믿음과 실천의 백과사전, 2663페이지
  4. ^ Asafa Jalata, 북아프리카의 국가 위기, 세계화, 그리고 국가 운동 3-4페이지
  5. ^ Ullendorff, Edward. The Glorious Victories of 'Amda Ṣeyon, King of Ethiop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01.
  6. ^ Østebø, Terje. Localising Salafism Religious Change Among Oromo Muslims in Bale, Ethiopia. BRILL. pp. 56–57.
  7. ^ Pankhurst, Richard.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Red Sea Press. p. 39.
  8. ^ Jump up to: a b c 이슬람교의 간결한 역사 164페이지
  9. ^ Jump up to: a b c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백과사전 62페이지
  10. ^ Huntingford, G.W.B. "Arabic Inscriptions in Southern Ethiopia". Cambridg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 G.W.B. 헌팅포드, 아메다 세연의 영광스러운 승리, 에티오피아의 왕 (옥스포드: University Press, 1965), 페이지 20.
  12. ^ G.W.B. 헌팅포드, AD 1세기부터 1704년까지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지리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페이지 76
  13.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6.
  14. ^ 에티오피아의 교회와 주(Church and State, 1270–1527) (Oxford: Clarendon Press, 1972), 페이지 83-84.
  15. ^ Chekroun, Amélie. The Sultanates of Medieval Ethiopia. Brill. p. 77.
  16. ^ Hirsch, Bertrand. Muslim Historical Spaces in Ethiopia and the Horn of Africa: A Reassessment. Northeast African Studies. p. 34.
  17. ^ Fauvelle, François-Xavier. The Awfāt Sultanate, its capital and the Walasmaʿ necropolis. French Institute of Oriental Archeology.
  18. ^ Briggs, Phillip (2012). Somaliland. Bradt Travel Guides. p. 7. ISBN 978-1841623719.
  19. ^ Jump up to: a b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25. Americana Corporation. 1965. p. 255.
  20. ^ Jump up to: a b Lewis, I.M. (1955).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p. 140.
  21. ^ Endris, Mohammed. SELF-RULE AND REPRESENTATION IN AMHARA NATIONAL REGIONAL STATE: A CASE STUDY ON ARGOBA NATIONALITY (PDF). ADDIS ABABA UNIVERSITY. p. 48.
  22. ^ Tesfaye, Frehiwot. FOOD SECURITY AND PEASANTS' SURVIVAL STRATEGY: A STUDY OF A VILLAGE IN NORTHERN SHEWA, ETHIOPIA. University of Toronto. p. 143.
  23. ^ History of Harar (PDF). p. 47.
  24. ^ Jump up to: a b "세인트와 소말리스: 클랜에 본부를 둔 사회에서 인기 있는 이슬람교"; 루이스, 아이엠; 홍해 출판; (1998); 2015년 9월 22일 회수했다.
  25. ^ Nehemia Levtzion; Randall Pouwels (Mar 31, 2000).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Ohio University Press. p. 242.
  26. ^ Jump up to: a b 나이올 피네란 에티오피아의 고고학 - 구글 북스" 루트리지, 2013. 페이지 254.
  27. ^ Jump up to: a b c 데이비드 H. 신, 토마스 P. 에티오피아의 Ofcansky 역사 사전 - Google Books" 허수아비 출판부, 2013. 225 페이지.
  28. ^ Trimingham, John. Islam in Ethiopia. Oxford University Press. p. 58.
  29. ^ 타데세 탐랏, 교회와 국가, 페이지 125
  30.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사, 1997 페이지 48
  31. ^ Jump up to: a b c d e f g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0-45.
  32. ^ Riraash, Mohamed Abdullahi. Effects of 16th Century Upheavals on the Horn. Djibouti: Service D'Information Djibouti. p. 251. We can attribute its success (The Walashma dynasty), longevity and influence, to the fact that the founders of the dynasty of Walasma were native of the area.
  33. ^ Mukhtar Haji.
  34. ^ Muslim society’s in Africa.
  35.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0.
  36. ^ Jump up to: a b c d e J. 스펜서 트리밍엄, 에티오피아의 이슬람교 - 구글 북스" (Oxford: Geoffrey Cumberlege for the University Press, 1952), 페이지 70-71.
  37. ^ Jump up to: a b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1
  38. ^ 팡허스트, 리처드 K.P. 에티오피아 왕실 연대기. 아디스 아바바: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67년, 페이지 15.
  39. ^ 판커허스트, 보더랜드, 42페이지
  40. ^ Jump up to: a b c 판커허스트, 보더랜드, 43페이지
  41. ^ 에티오피아 로얄 크로니클스의 팡허스트, 16페이지.
  42. ^ 팡허스트, 보더랜드, 44페이지
  43. ^ Jump up to: a b c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9–50
  44. ^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50.
  45. ^ Jump up to: a b Mordechai Abir (2013).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Routledge. pp. 25–27. ISBN 978-1-136-28090-0.
  46. ^ Jump up to: a b c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50-52
  47. ^ Fage, J.D.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c. 500 B.C. to A.D. 10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54.
  48. ^ 에발트 바그너(1991), 아달과 하라르의 후기 왈라슈마의 술탄 족보, 독일인 모겐드라이센 게셀샤프트, 141호, 제2호(1991) 페이지 376–386.
  49. ^ J. 스펜서 트리밍엄, 에티오피아의 이슬람 (옥스포드: 제프리 컴버리지 for the University Press, 1952) 페이지 74와 노트에서 출처의 불일치를 설명한다.
  50. ^ Fatagar. p. 551.
  51. ^ Terje Østebø (2011). Localising Salafism: Religious Change Among Oromo Muslims in Bale, Ethiopia. BRILL Academic. p. 57. ISBN 978-90-04-18478-7.
  52. ^ 제1회 미국 에티오피아 연구 회의의 존 T. 히넌트 과정 - 구글 북스" 미시간 주립 대학교, 1975. 페이지 191.
  53. ^ 제1회 미국 에티오피아 연구 회의의 존 T. 히넌트 과정 - 구글 북스" 미시간 주립 대학교, 1975. 페이지 191.
  54. ^ Problemi attuali di scienza e di cultura quaderno.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p. 242.
  55. ^ Hassan, Mohammed. THE OROMO OF ETHIOPIA, 1500-1850 (PDF). University of London. p. 21.
  56. ^ 소말리아 인 픽처스 - 66페이지
  57. ^ 네헤미아 레비온, 랜달 푸월스 아프리카 이슬람의 역사 - 구글북스' 오하이오 대학 출판부, 2000. 228페이지.
  58. ^ A river of blessing essays Paul Baxter.
  59. ^ Ulrich Brakumper.
  60. ^ 매크로컬쳐, 이주와 소말리아 쇼핑몰: 소말리아 복장과 미학의 사회사 53페이지
  61. ^ 소말리아: 국가를 찾는 국가 - 11페이지
  62. ^ 아프리카의 정치 연대기 - 377페이지
  63.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5–46.
  64. ^ Jump up to: a b J. D. 페이지, 롤랜드 올리버 더 케임브리지 히스토리 오브 아프리카, 제3권 - 구글 북스"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75. 107페이지.
  65. ^ Jump up to: a b 네헤미아 레비온, 랜달 푸월스 아프리카 이슬람의 역사 - 구글북스' 오하이오 대학 출판부, 2000. 228페이지.
  66. ^ J. D. 페이지, 롤랜드 올리버 더 케임브리지 히스토리 오브 아프리카, 제3권 - 구글 북스"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75. 107페이지.
  67. ^ 도이체 유네스코-코미션 관점 아프리카 동시대인: 공감대 최종 단언 심포지엄 - 구글 북스" 1974. 페이지 269.
  68.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홍해 출판, 1997 페이지 41-42.
  69. ^ S. L. 시튼, 헨리 J. 클라센 정치 인류학: The State of the Art - Google Books" Walter de Gruyter, 1979. 페이지 157.
  70. ^ 조지 윈 브레튼 헌팅포드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지리: 1세기 광고에서 1704 - 구글 북스" 영국 아카데미, 1989. 페이지 78.
  71. ^ 조지 윈 브레튼 헌팅포드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지리: 1세기 광고에서 1704 - 구글 북스" 영국 아카데미, 1989. 페이지 80.
  72. ^ 모리스 랜드리아네임, B Shahandeh, Kalman Szendrei, Archer Talk, International Council on Alcohol and Atlusions - Khat 사용의 건강과 사회 경제적 측면 - Google Books" Council, 1983. 페이지 26.
  73. ^ 리처드 판크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고대부터 18세기 말까지 지역사 에세이 - 구글 북스", 1997. 페이지 44.
  74. ^ Giyorgis, Asma (1999). Aṣma Giyorgis and his work: history of the Gāllā and the kingdom of Šawā. Medical verlag. p. 257. ISBN 9783515037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