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모로코의 역사

History of Morocco

모로코사람 거주한 역사는 후기 구석기 시대부터이며, 가장 오래된 것은 제벨 이르후드이다.훨씬 후에 모로코는 타포랄트를 포함한 이베로마우루스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그것은 모레타니아와 다른 고대 베르베르 왕국들의 설립에서 이드리시드[1] 왕조에 이어 다른 이슬람 왕조에 의해 모로코 국가가 설립되고 식민지 시대와 독립 시대에 이르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적 증거는 이 지역에 적어도 40만 [2]년 전에 호미니드가 살았다는 것을 보여준다.모로코의 기록된 역사는 기원전 [3]8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페니키아인들이 모로코 해안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시작되지만, 그 이전까지 약 2,000년 동안 원주민 베르베르인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기원전 5세기에 도시국가 카르타고는 해안지역[4]대한 패권을 확장했다.그들은 기원전 [5]3세기 후반까지 그곳에 머물렀고, 반면 내륙은 [4]토착 군주들에 의해 통치되었다.베르베르의 토착 군주들은 기원전 3세기부터 로마 제국합병된 서기 40년까지 그 영토를 통치했다.기원후 5세기 중반, 반달에 의해 침략당했고, 6세기에 비잔틴 제국에 의해 복구되었다.

이 지역은 서기 8세기 초에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정복되었지만, 740년의 베르베르 반란 이후 우마이야드 칼리프 국가로부터 분리되었다.반세기 후, 모로코 국가는 이드리시드 [6][7]왕조에 의해 세워졌다.알모라비드알모하드 왕조 하에서 모로코는 마그레브와 무슬림 스페인지배했다.1549년부터 1659년까지 사디 왕조가 나라를 통치했고, 1667년부터 모로코의 [8][9][10]지배 왕조가 된 알라우 왕조가 그 뒤를 이었다.

선사 모로코

고고학적 발굴은 모로코에 호모 사피엔스의 조상인 사람들의 존재와 초기 인류의 존재를 증명했다.40만 년 된 [2]초기 인류 조상의 화석화된 뼈가 1971년 살레에서 발견되었다.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뼈는 1991년 제벨 이르후드에서 발굴되었는데, 이 뼈들은 2017년에 현대 기술을 사용하여 연대를 측정했고 최소 30만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으며,[11] 이는 전 세계에서 발견된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오래된 예가 되었다.2007년, 타포랄트에서 8만 2천 년 된 작은 구멍이 뚫린 조개구슬이 발견되었는데,[12] 이는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개인 장식의 가장 오래된 증거이다.

중석기 시대, 20,000년에서 5,000년 전 사이에 모로코의 지리는 현재의 건조한 [13]풍경보다 더 사바나 같았다.그 기간 동안 모로코의 정착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마그레브 지역의 다른 곳에서 발굴한 결과,[14] 중석기 시대의 사냥꾼과 채집인들이 즐길 수 있는 사냥감과 숲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중석기 시대 이후 신석기 시대에는 사냥꾼과 목동들이 사바나 지역을 점령했다.이 신석기 시대의 사냥꾼들과 목동들의 문화는 기후 변화의 결과로 기원전 5000년 이후 그 지역이 건조해지기 시작할 때까지 번성했다.신석기 초기의 모로코 해안 지역은 지중해 지역 전체에 공통적인 카르디움 도자기 문화를 공유했다.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15]지역에서 소의 가축화와 작물의 재배가 동시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칼콜리스 시대, 즉 구리 시대에 비커 문화[16]모로코의 북쪽 해안에 도달했다.

초기 역사

카르타고 (기원전 800년 ~ 기원전 300년)

에사우이라 모가도르 섬에서 출토된 기원전 7세기 붉은 슬립 페니키아 판.시디 모하메드 압달라 박물관.

모로코 해안에 페니키아인들의 도착은 모로코 [17]북부에서 수 세기 동안 외세에 의한 통치를 예고했다.페니키아 상인들은 기원전 8세기 이전에 지중해 서부를 관통했고, 곧이어[when?] 해안과 현재의 모로코 [3]영토의 강 상류로 소금과 광석을 위한 광고를 설치했다.페니키아인들의 주요 초기 정착지로는 첼라, 렉서스, 모가도르 [18]등이 있었다.모가도르는 기원전 [19]6세기 초 페니키아 식민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5세기에 카르타고 주는 북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으로 패권을 확장했다.카르타고는 내륙의 베르베르 부족들과 상업적 관계를 발전시켰고, 원자재 [20]개발에서 그들의 협력을 보장하기 위해 그들에게 매년 공물을 바쳤다.

마우레타니아 (기원전 300년경~기원전 430년경)

3세기 에사우이라에서 출토된 로마 동전.

마우레타니아는 기원전 [21]3세기 무렵부터 현재의 북부 모로코에 해당하는 북아프리카 지중해 연안에 있었던 독립 부족 베르베르 왕국이었다.모레타니아의 가장 이른 왕은 보쿠스 1세로 기원전 110년부터 기원전 81년까지[dubious ] 통치했다.초기 기록된 역사 중 일부는 리수스와 [21]첼라와 같은 페니키아와 카르타고의 정착촌과 관련이 있다.베르베르 왕들은 카르타고와 로마의 해안 전초기지를 무색하게 하는 내륙 영토를 지배했고, 종종 위성으로써, 로마의 통치가 [22]존재하도록 허락했다.그것은 기원전 33년에 로마 제국의 고객이 되었고, 그 후 칼리굴라 황제가 마지막 왕인 마우레타니아의 프톨레마이오스를 처형한 후 완전한 속주가 되었다.[23]

로마는 군사 점령보다는 부족과의 동맹을 통해 광활하고 불명확한 영토를 지배했고, 경제적으로 유용하거나 추가 인력 없이 방어할 수 있는 지역으로만 그 권한을 확장했다.따라서, 로마의 행정은 북쪽 해안 평야와 계곡의 제한 구역 밖으로 결코 확장되지 않았다.이 전략적 지역은 볼루빌리스 시를 [24]수도로 하여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로 통치하는 로마 제국의 일부를 형성하였다.

볼루빌리스의 로마 유적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시대에, 마우레타니아는 속국이었고, 주바 2세와 같은 통치자들은 볼루빌리스 남쪽의 모든 지역을 지배했다.그러나 로마 군단의 효과적인 통제는 살라 콜로니아 지역까지 도달했다(살라 남쪽의 카스트라 "익스플로라시오 아드 메르쿠리오스"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최남단이다).일부 역사학자들은 로마의 국경이 당시 로마인들이 [25]항구로서 정착했던 안파로 알려진 오늘날의 카사블랑카에 도달했다고 믿는다.

주바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우구스투스는 대서양 연안에 가까운 마우레타니아에 로마 시민들과 함께 세 의 식민지를 세웠다.Iulia Constantia Zilil, Iulia Valentia Banasa, Iulia Campestris Babba.아우구스투스는 결국 그 [26]지역에 12개의 식민지를 세웠다.그 기간 동안, 로마가 지배하는 지역은 로마의 도로 건설에 힘입어 상당한 경제 발전을 경험했다.이 지역은 처음에는 로마의 완전한 지배 아래 있지 않았고, 2세기 중반에야 살라 남쪽에 볼루빌리스까지 [27]뻗어나가는 라임들이 건설되었다.서기 278년경 로마인들은 그들의 지역 수도를 탕헤르로 옮겼고 볼루빌리스는 중요성을 [citation needed]잃기 시작했다.

기독교는 기원후 2세기에 이 지역에 도입되어 마을과 노예들, 베르베르 농부들 사이에서 개종자를 얻었다.4세기 말, 로마화 지역은 [clarification needed]기독교화되었고, 때때로 집단으로 개종한 베르베르 부족들 사이에 침입이 이루어졌습니다.분열적이고 이단적인 운동도 발달했는데, 이는 대개 정치적 항의의 한 형태였다.그 지역에는 상당한 유대인 인구도 있었다.[28]

초기 이슬람 모로코 (700년경~743)

베르베르[29] 반란 이후의 마그레브

이슬람 정복 (700년경)

7세기 중반에 시작된 이슬람의 마그레브 정복은 8세기 초에 이루어졌다.그것은 아랍어와 이슬람을 모두 그 지역에 가져왔다.더 큰 이슬람 제국의 일부이긴 하지만, 모로코는 처음에는 [30]카이루안의 이슬람 총독이 지명하는 이프리키야의 부속 지방으로 조직되었다.

베르베르 원주민 부족들은 이슬람을 채택했지만, 그들의 관습법은 유지했다.그들은 또한 새로운 이슬람 [31]정부에 세금과 공물을 지불했다.

베르베르 반란 (740-743년)

서기 740년, 청교도적인 칼리파 선동가들에 의해 자극된 베르베르 원주민들은 집권 우마이야드 칼리파트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반란은 모로코 서부의 베르베르 부족들 사이에서 시작되었고, 그 지역 전체로 빠르게 확산되었다.비록 반란이 카이루안 성문에 도달하기 전에 742년에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통치자들과 그들의 압바스 후계자들 모두 이프리키야 서쪽 지역에 그들의 통치를 재집권하는데 성공했다.모로코는 우마이야드와 압바스 왕조의 지배에서 벗어나 현재 [29]알제리 서부틀렘센타헤르트 외에 베르그와타, 시질마사, 네코르와 같은 작고 독립적인 베르베르 국가 집단으로 분열되었다.베르베르 가족은 그들만의 이슬람을 형성하기 위해 나아갔다.Banu Ifran과 같은 일부는 급진적인 청교도 이슬람 종파와의 관계를 유지했고, Berghwata와 같은 다른 일부는 새로운 혼합 [32][33]신앙을 구축했다.

바르가와타 (744년~1058년)

바르가와타족은 모로코 대서양 연안에 거주하는 베르베르족의 연합체로 마스무다 베르베르 [29]부족에 속해 있었다.모로코에서 우마이야드족에 대항하는 수프리 카리자이트 반군과 동맹을 맺은 후, 그들은 타리프 알 마차리의 지도 아래 사피와 살레 사이의 대서양 연안 타메스나 지역에 독립 국가 (CE 744–1058)를 세웠다.

시질마사 토후국 (757년~976년)

미드라리드 왕조 또는 바누 미드라 왕조는 타필랄트 지역을 지배하고 757년에 [34]시질마사를 세운 베르베르 왕조이다.

서사하라 교역로를 따라 있는 베르베르 엔트레포트 시질마사, 약 1000~1500년.금빛 들판은 밝은 갈색 음영으로 나타난다.

시질마사는 사하라 사막의 북쪽 끝에 위치한 중세 모로코의 도시이자 무역 중심지였다.마을의 폐허는 리사니 마을 근처의 타필랄트 오아시스에 있는 지즈 강을 따라 8킬로미터(5마일)에 걸쳐 있습니다.그 마을의 역사는 베르베르 왕조에 의한 몇 번의 연속적인 침략으로 특징지어졌다.14세기까지 서부 사하라 횡단 무역로의 북쪽 종착역으로서 [35]중세에는 마그레브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 중심지 중 하나였다.

네코르 왕국 (710년 ~ 1019년)

네코르 왕국은 모로코의 리프 지역에 집중된 토후국이었다.수도는 처음에는 덴사만(Temsaman)에 있었고, 그 후 네코르(Necor)로 옮겼다.그 정치는 칼리파이트의 보조금을 통해 710년 살리흐 1세 이븐 만수르에 의해 설립되었다.그의 지도 아래, 지역 베르베르 부족들은 이슬람교를 채택했지만, 나중에 나프자 부족의 한 아즈 자이디를 위해 그를 축출했다.그 후 그들은 마음을 바꿔 이븐 만수르를 재임용했다.그 후 그의 왕조인 바누 살리가 1019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859년, 왕국은 62척의 선박으로 구성된 바이킹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들은 네코르의 무어인 군대를 물리쳤고, 그들은 그 지역에서 그들의 약탈을 방해하려 했습니다.모로코에 8일간 머문 후, 바이킹들은 스페인으로 돌아가 동해안을 [36]따라 계속 올라갔다.

이드리시스 왕조(789년~974년)

이드리시드 왕조는 [37]788년부터 974년까지 모로코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 정치였다.하산 이븐 알리의 증손자인 설립자 이드리스 1세의 이름을 딴 이드리시드는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 최초의 모로코 [38]국가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Idrisid 상태의 창시자:이드리스 1세와 이드리스 2세

8세기 후반까지 [39][40]현재의 모로코를 포함한 마그레브 서쪽 지역은 739-740년에 시작된 하지 주도베르베르 반란 이후 우마이야드 칼리프 국가로부터 사실상 독립되었다.750년 이후 아바스 칼리프 왕국은 [39]: 41 모로코에 대한 지배력을 회복하는데 더 이상의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동부의 권위의 전복은 모로코가 대서양 연안의 바르그와타 연합과 시질마사[39][41]미드라리드 에미리트와 같은 다양한 베르베르 부족과 이 시기에 생겨난 공국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드리시드 왕조의 창시자는 이드리스 이븐 압달라 (788–791)[42]로, 그는 그의 조상을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661년 [42]사망)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인 그의 아내 파티마로 거슬러 올라간다.그는 하산 이븐 [43][41]: 81 알리의 증손자였다.메카 인근 파흐흐 전투 이후 아바스 왕조와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예 지지자들 사이에서 이드리스 이븐 압달라는 마그레브로 도망쳤다.그는 그 당시 모로코의 가장 중요한 도시인 탕헤르에 처음 도착했고, 788년까지 그는 볼루빌리스에 정착했다.[39]: 51

볼루빌리스의 강력한 아우라바 베르베르스는 이드리스(이맘)를 받아들였고 그를 그들의 '이맘'(종교 지도자)[39]: 51 [41]: 81 으로 만들었다.Awraba 부족은 670년대와 680년대에 KusaylaUmmayad 군대와 싸우는 것을 지지했다.8세기 후반까지 그들은 모로코 북부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그들의 지도자 이스하크는 로마 마을 볼루빌리스에 근거지를 두었다.이때까지 아와라바는 이미 무슬림이었지만 대부분의 부족이 기독교, 유대교, 칼리지 또는 이교도인 지역에 살았다.Awraba는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샤리피 이맘을 환영한 것으로 보인다.이드리스 1세는 아워라바의 정치조직에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그의 권위를 주장하며 기독교와 유대 부족의 정복을 위해 노력했다.789년 그는 볼루빌리스 남동쪽에 메디나트 파스라고 불리는 정착촌을 세웠다.791년 이드리스 1세는 아바스 공작원에 의해 독살되고 죽었다.그가 남자 후계자를 남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죽은 직후 그의 아내 랄라 칸자 빈트 우크바 알-아우라비는 그에게 유일한 아들이자 후계자인 이드리스 2세를 낳았다.이드리스의 충실한 아랍의 전 노예이자 동반자인 라시드는 그 소년을 키웠고, 아워라바를 대신하여 국가의 섭정을 맡았다.801년 라시드는 아바스 왕조에 의해 살해되었다.이듬해 11세의 나이로 이드리스 2세는 아워라바에 [39]: 51 의해 이맘으로 선포되었다.

비록 그가 그의 권위를 북부 모로코의 대부분에 퍼트렸음에도 불구하고, 이드리스 1세는 완전히 Awraba 지도부에 의존했었다.이드리스 2세는 발릴리의 아랍 정착민들을 환영하고 두 명의 아랍인을 그의 집정관카디로 임명함으로써 아우라바 권력의 약화로 그의 통치를 시작했다.그래서 그는 아워라바의 제자에서 그들의 통치자로 변신했다.아워라바 지도자 이스하크는 튀니지의 아그라비드족과 함께 살겠다는 음모를 꾸몄다.이드리스는 그의 전 보호자였던 이스하크를 살해함으로써 대응했고, 809년 그의 정부 거점을 아워라바에서 페스로 옮겼고, 그는 그곳에서 알-알리야라는 새로운 정착지를 설립했습니다.이드리스 2세 (791–828)는 일찍이 그의 아버지가 베르베르 시장 도시로 세운 페즈 를 개발했습니다.여기서 그는 818명 중 1명, 824명 중 1명은 코르도바에서, 다른 824명은 아그라비 튀니지에서, 페스는 다른 마그레비 도시들보다 더 아랍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828년 이드리스 2세가 사망했을 때, 이드리스 주는 알제리 서부에서 모로코 남부의 수스 까지 걸쳐 모로코를 이끌었으며,[39]: 51–52 [41]: 86 시질마사, 바르가와타, 네코르 공국보다 앞서 있었다.

이드리스 2세의 후계자

이드리시드 디르함, 840년 모로코 알리아(페스)에서 주조.이 동전에는 무함마드의 사위이자 네 번째 칼리프이자 이드리시드의 [44]조상인 알리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9세기에 파티마 피흐리에 의해 세워진 페스의 알 카라위인 모스크의 현재 안마당

이드리스 2세의 죽음 이후 왕조의 권력은 서서히 쇠퇴할 것이다.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무함마드 (828–836)의 통치하에 왕국은 7명의 형제들에게 분할되었고, 모로코와 알제리 [45]서부에 8개의 이드리시드 주가 형성되었다.무함마드는 형제들에 대한 명목상의 권력만을 가지고 페스를 통치하게 되었다.그의 동생 이사(Isa)는 첼라에 있는 그의 기지에서 부레그 강 근처의 해안 타메스나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고, 곧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무함마드는 리프 강 주변의 영토를 넘겨받은 그의 형제 우마르에게 이사에게 처벌을 맡겼다.우마르는 첼라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던 이사들을 권좌에서 몰아냈고, 그 후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탕헤르에 있는 그의 다른 형제 알 카심을 처벌했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 그와 무함마드와 함께 이사에게 대항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알 카심은 아시라로 도망쳐 근처에 정착했고, 무함마드는 그 대가로 우마르에게 탕헤르의 통치권을 주었다.우마르가 835년 9월 또는 10월에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 알리 이븐 우마르는 차례로 그의 아버지의 모든 영토를 물려받았다.무함마드 자신은 7개월 후인 836년 3월이나 4월에 사망했다.그의 아들 알리 이븐 무함마드는 그의 지위를 물려받았고 13년 동안 국가의 안정을 보장하며 유능한 방식으로 통치했습니다.849년 그가 죽은 후 그의 동생 야히아 이븐 무하마드 (또는 야히아 1세)[46]가 그의 뒤를 이었다.

기간 동안 이슬람과 아랍 문화는 마을에서 거점을 얻었고 모로코는 이슬람(대부분 베르베르) 무역업자들이 지배하게 된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페스의 도시 또한 번영했고 중요한 종교적 [39]: 52 중심이 되었다.야히아의 통치 기간 동안 더 많은 아랍 이민자들이 왔고 알 카라위인과 알 안달루시인의 유명한 모스크가 세워졌다.[46]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로코 인구의 대부분이 여전히 베르베르어를 사용하고 종종 이슬람의 이단적이고 이단적인 교리를 고수하면서, 이슬람과 아랍 문화는 마을에서만 그 영향력을 느꼈다.이드리시드는 주로 그 마을의 통치자였고 그 나라 인구의 [39]: 52 대다수에 대한 권력은 거의 없었다.

이드리시드의 쇠퇴와 제나타의 지배력 상승

863년 야히야 1세가 죽은 후, 그의 덜 유능한 아들 야히야 2세가 뒤를 이었고, 야히야 2세는 다시 이드리시드 왕국을 대가족들 사이에서 분할했다.야히야 2세는 866년 궁전을 탈출한 후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망했다.Fes에서 무질서가 일어난 후 그의 사촌 Ali ibn Umar가 [46]권력을 장악했다.868년 압드 알 라자크의 지도 아래, 마디우나, 가야타, 페스 지역의 미크나사의 베르베르 칼리지 수프리 부족들이 이드리시드에 맞서 공동 전선을 형성했다.그들은 세프루 기지에서 알리 이븐 우마르를 물리치고 페스를 점령할 수 있었다.그러나 페스는 항복하기를 거부했고, 알카심의 아들인 또 다른 야히아는 도시를 탈환하고 새로운 통치자 야히아 3세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이렇게 해서 통치권은 무함마드의 아들로부터 우마르의 아들, 그리고 지금은 알 카심의 [39]: 52 [46]아들들에게 넘어갔다.

야히아 3세는 이드리시드 왕국 전체를 지배하고 수프리스 왕국을 계속 공격했다.그러나 905년 그는 야히야 [46]4세로 권력을 잡은 다른 가족인 야히야 이드리스 이븐 우마르(우마르의 손자)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그러나 이 시점에서 동부의 파티미드족이 모로코에 개입하기 시작했다.917년 미크나사와 그 지도자 마살라 이븐 하부스는 파티미드 동맹국을 대표하여 페스를 공격하고 야히아 4세에게 파티미드 종주권을 인정하도록 강요한 후 919년[46][47] 또는 [39]: 63 921년에 그를 폐위시켰다.그의 뒤를 이어 그의 사촌인 무사 이븐 아불 아피야가 이 나라의 나머지 지역을 이미 관리하게 되었다.알-카심의 손자인 이드리시드 하산 1세 알-하잠은 925년부터 페스의 지배권을 탈환하는데 성공했지만, 927년 무사가 돌아와 하산을 생포하고 그를 죽였고, 이드리시드가 [46]페스에서 권력을 잡은 것은 마지막이었다.

Fes에서 Miknasa는 모로코를 가로질러 이드리시드 가문을 추적하기 시작했다.가족들은 모로코 북부의 하지르 안 나스르 요새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미크나사가 그들을 [46]포위했다.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무사가 독립을 더 얻기 위해 931년 코르도바의 우마야드에게 충성을 바꿈으로써 미크나사 사이에서 내전이 일어났다.파티미드는 933년 마살라 이븐 하부스의 조카인 후마이드 이븐 야살[39](또는 하미드)을 무사에 대항하기 위해 보냈고, 무사는 그를 물리치고 다시 [46][39]: 63 전열을 갖추도록 강요했다.이드리시드는 이 상황을 이용해 요새의 포위망을 뚫고 미카나사 제나타군을 물리쳤다.하지만 파티미드가 사라지자, 무사는 다시 한번 그들의 권위를 버리고 우마이야드 칼리프를 인정했다.파티미드들은 그들의 장군 메이수르를 다시 보내 대항하게 했고, 그는 이번에 도망쳤다.그는 이드리시드에게 [46]쫓기고 죽임을 당했다.

이 이드리시드가 모로코 북서부 리프 지역에 있는 즈발라 부족에 정착한 후, 그들은 코르도바의 우마야드족(압드 아르 라흐만 3세 치하)과 파티미드족을 번갈아 지배자로 인정하면서,[46] 하지르 안 나스르로부터 부분적으로 그들의 권력 기반을 재건했다. 카심 알 간눈 이븐 무함마드는 파티미드족의 [46][47]이름으로 938년부터 948년까지 이곳을 통치했다.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Abul-Aysh는 대신 Umayads를 인정했지만 그가 Tangier를 점령하는 것을 거부하자 그들과 충돌했다.그는 우마야드족이 [46]모로코 북부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하는 동안 알 바스라와 아실라 주변 지역만 유지한 채 포위되어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그는 결국 [46][47]954년 그의 형 하산 이븐카심 알 간눈을 새로운 지도자로 남기고 알 안달루스로 떠났다.958년 파티미드족은 모로코를 침공하기 위해 새로운 장군 자와르를 보냈다.그의 성공은 이드리시드들로 하여금 파티미드의 지배권을 [46][39]: 75 다시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다.하지만 곧이어 자하르와 파티미드가 이집트를 장악하느라 바빴을 때, 우마야드족은 다시 돌아왔다.973년 그들의 장군 갈리브가 모로코를 [39]침공했다.이드리시드는 그들의 영토에서 추방되었고 알 하산은 974년 [46]다른 많은 이드리시드나 그들의 아들들과 함께 코르도바로 인질로 잡혔다.모로코의 나머지 이드리시드는 우마이야드 [39]통치를 인정했다.알-하산은 나중에 코르도바에서 추방되어 현재 파티미드 통치하에 있는 이집트로 도망쳤다.979년 (파티미드 칼리프족이 카이로에 그들의 수도를 둔 후) 이프리키야의 파티미드 주지사인 불루긴 이븐 지리는 우마이야드를 물리치고 다시 서부 마그레브에 파티미드 지배권을 부여하기 위해 돌아왔다.985년[47] 파티미드의 지원을 받아 모로코로 돌아왔지만 같은 해 알 만수르가 보낸 또 다른 우마이야드 장군에게 패배하고 코르도바로 [46]가는 길에 암살당했다.이것은 이드리시드 왕조에 마지막 종말을 가져왔다.우마야드족은 11세기 초 칼리프 왕국이 붕괴될 때까지 모로코 북부를 지배했다.그 후 모로코는 다양한 제나타 베르베르 [41]: 91 [39]: 82 부족에 의해 지배되었다.21세기 후반 산하자 알모라비드가 등장할 때까지 마그라와족페스, 시질마사, 아그마트를 지배했고 바누 이프란은 틀렘센, 살레(첼라), 타들라 [41]: 91 지역을 지배했다.

권좌에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드리시드 가문은 많은 샤리프족 가문을 낳았고, 이는 앞으로도 수세기 동안 계속 존재했다.오늘날 일부 모로코인들은 여전히 그들의 [46]후손이라고 주장한다.11세기에 이드리시드 가문은 우마르(이드리시 2세의 아들)의 후손으로 모로코 북부와 스페인 [46][48]남부 여러 도시에서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다.페스와 물레이 이드리스 마을(볼루빌리스 [49][50]인근)에서는 각각 이드리스 2세와 이드리스 1세의 무덤이 결국 중요한 종교 단지와 순례지로 발전했다.페즈의 몇몇 유명한 샤리프 가문들은 그들의 혈통을 이드리스 [51]: 488 1세로 추적했고, 이들 중 일부는 [52]이드리스 2세의 자위야를 유지하거나 재건하는 역할을 했다.

알모라비드 왕조 (1060년경–1147년)

12세기에 알모라비드가 건설한 알모라비드 쿠바입니다.[53]

알모라비드 왕조 (c.1060–1147)는 싼하족에 속하는 람투나 유목민 베르베르 부족에서 유래했습니다.그들은 10세기 후반에 모로코가 여러 제나타 공국으로 분할된 후 모로코를 통일하는 데 성공했고, 시질마사 토후국과 바르가와타(타메스나)를 그들의 왕국에 합병했다.

Yusuf ibn Tashfin 치하에서, 알모라비드는 기독교 왕국들로부터 그들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알-안달루스의 무슬림 타이파 왕자들에 의해 초대되었다.그들의 개입은 알-안달루스의 몰락을 막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086년 기독교 세력을 격퇴하는 데 성공한 후, 유수프는 1090년 이베리아로 돌아와 대부분의 주요 타이파[54]합병했다.

알모라비드의 권력은 12세기 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왕조가 아우리크 전투에서 패배한 후 알모하드의 동요로 쇠약해졌기 때문이다.1147년 알모하드에 의한 마라케흐의 정복은 왕조의 몰락을 의미했다.그러나 알모라비드(바누 가니야)의 파편들은 발레아레스 제도와 튀니지에서 계속 투쟁하고 있었다.

중세 초기의 타마즈가의 베르베르족은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북쪽의 제나타족, 모로코 중부에 집중된 마스무다족, 그리고 사하라의 서쪽 지역과 동쪽 마그레브의 [55][56]언덕으로 집결된 산하자족이다.동부 싼하자에는 10세기 초 파티미드 봉기의 근거지였던 쿠타마 베르베르와 972년 이집트로 이주한 파티미드 가신으로서 이프리키야를 통치한 지리드 왕조가 있었다.서부 산하자족은 여러 부족들로 나뉘었다: 라아 계곡의 가줄라와 람타 그리고 안티 아틀라스 산맥의 기슭; 더 남쪽에는 서부 사하라에 진을 치고 있는 마수파, 람투나, 바누 와리스; 그리고 남동쪽에는 구달라 모리타니 하류의 모리타니까지.

서부 싼샤는 9세기에 이슬람으로 개종되었다.그들은 이후 10세기에 통합되었고, 새로운 개종자들의 열정으로 "수다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57]파간족)에 대한 몇 가지 캠페인을 시작했다.그들의 왕 Tinbarutan ibn Usfayshar의 통치하에, Sanhaja Lamtuna는 사하라 횡단 무역로의 중요한 기착지인 Awdaghust의 요새를 건설(또는 점령)했다.산하자 연합이 붕괴된 후, Awdagust는 가나 제국에 넘어갔고, 사하라 횡단 경로는 시질마사의 제나타 마그라에 의해 점령되었다.마그라와족은 또한 이러한 불화를 이용하여 Sous와 Draa 계곡의 목초지에서 Sanhaja Gazzula와 Lamta를 쫓아냈다.1035년경에 람투나 족장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이븐 티파트는 산하자 사막 부족들을 재결합시키려고 노력했지만 그의 통치는 3년도 채 되지 않았다.

알모라비드 제국은 알안달루스의 아우다그호스트에서 사라고사까지 뻗어 있었다.

1040년경, 구달라의 족장 야히아 이븐 이브라힘은 메카로 순례 여행을 떠났다.돌아오는 길에 그는 이프리키야카이루안에 들러 페스 출신으로 수니파 말리키 학파의 법학자이자 학자인 아부 임란파시를 만났다.이 시기에 이프리키야는 발효 중이었다.지리드 통치자무이즈 이븐 바디스는 카이로에서 그의 시아파 파티미드 지도자들과의 결별을 공개적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카이루안의 법학자들은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선동하고 있었다.이런 분위기 속에서 야히야와 아부 임란은 서부 고향의 신앙 상태에 대해 대화에 들어갔고, 야히야는 남부 산하자 사람들의 종교 교육 부족과 이슬람 율법의 태만에 실망감을 표시했다.아부 임란의 추천으로 야히아 이븐 이브라힘은 그의 사람들을 위한 말리키 선생님을 찾기 위해 모로코 남부 수스 계곡에 있는 와가그 이븐 젤루의 리바트로 갔다.바그가는 그에게 거주자 중 한 명인 압달라 이븐 야신을 배정했다.

압달라 이븐 야신은 가줄라 베르베르인이었고, 아마도 이슬람교도가 아니라 개종자였을 것이다.그의 이름은 "야신의 아들"(코란 36번째 수라의 제목)로 읽힐 수 있는데, 이는 그가 그의 과거를 말살하고 성경의 "[58]재탄생"임을 암시한다.이븐 야신은 분명히 청교도 광신도의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신조는 주로 엄격한 형식주의와 코란의 명령정교 [59]전통에 대한 엄격한 준수를 특징으로 했다.(알 바크리 알레게 이븐 야신의 학습은 피상적이었다.)이븐 야신의 구달라족과의 첫 만남은 잘 진행되지 않았다.그가 깊이보다는 열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븐 야신의 주장은 그의 청중들에 의해 논쟁되었다.그는 변절 혐의로 심문에 응했고 사소한 일탈에도 엄벌에 처했다.구달라는 1040년대 그의 보호자 야히아 이븐 이브라힘이 죽은 직후에 곧 그를 추방했다.

그러나 이븐 야신은 이웃 람투나 [59]사람들 사이에서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이븐 야신의 경건한 열정의 유용한 조직력을 감지한 람투나 족장 야히아 이븐 우마르 알 람투니는 그의 사람들에게 설교하기 위해 그를 초대했다.그러나 람투나 지도자들은 이븐 야신을 조심스러운 끈으로 묶어 더욱 생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했다.이븐 야신은 무함마드의 초기 생애에 대한 이야기를 떠올리며 정복은 이슬람화의 필수 부가물이며, 단순히 신의 율법을 지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그에 대한 반대도 파괴할 필요가 있다고 설교했다.이븐 야신의 이념에서는 이슬람 율법 외의 모든 것은 '반대'로 규정될 수 있다.그는 특히 부족주의를 장애물로 지목했다.그는 청중들에게 혈맹과 민족적 차이를 제쳐두고 성법 하의 모든 무슬림의 평등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믿었다.람투나 지도부에 있어서, 이 새로운 이념은 사나하 연합을 재탄생시키고 그들의 잃어버린 지배권을 되찾으려는 그들의 오랜 열망에 들어맞았다.1050년대 초 야히야 이븐 우마르와 압달라 이븐 야신의 공동 지도 하에 람투나는 곧 자신들을 알-무라비딘(Al-Murabitin, 알모라비드)이라고 부르며 이웃들을 그들의 대의를 위해 끌어들이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알모하드 (1121년 경-1269년)


auazu Ma Yu'lab은 알모하드 교리의 기본이었던 이븐 투마트의 가르침을 정리했다.

알모하드 운동은 모로코 남부 아틀라스 산맥의 베르베르 부족 연합인 마스무다의 일원인 이븐 투마트에 의해 시작되었다.그 당시 모로코, 알제리 서부와 스페인 (알안달루스)은 산하자 베르베르 왕조인 알모라비드의 통치하에 있었다.그의 인생 초기에, 이븐 투마트는 공부를 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갔고, 그 후에 공부를 더 깊게 하기 위해 바그다드로 갔다.바그다드에서 이븐 투마트는 신학교인 알-아쉬아리에 소속되어 알-가잘리의 영향을 받았다.그는 곧 여러 거장들의 교리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체계를 개발했다.이븐 투마트의 주요 원칙은 엄격한 유니테리언스(tawhid)였는데, 이것은 신의 속성의 독립적 존재를 그의 통합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부정했고, 따라서 다신교적 사상이었다.이븐 투마트는 이슬람 정통주의에서 의인화에 대한 반란을 대표했다.그의 추종자들은 알 무와시둔 (Al-Muwaḥidun, 알모하즈)로 알려지게 되는데, 이는 신의 단결을 확인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1124년 경, 이븐 투마트는 알모하드 운동의 정신적 중심이자 군사 사령부 역할을 하는 난공불락의 요새화된 복합 건물인 하이 아틀라스의 니피스 계곡에 틴멜리바트를 세웠다.처음 8년간 알모하드의 반란은 하이 아틀라스의 산봉우리와 협곡을 따라 벌어진 게릴라전으로 제한되었다.1130년 초, 알모하드는 마침내 저지대에서의 첫 번째 대규모 공격을 위해 산에서 내려왔다.재난이었다.알모하드는 아그마트 앞에 마중나온 알모라비드 대열을 쓸어버리고 마라케시까지 그들의 잔재를 쫓았다.그들은 마라케시를 40일 동안 포위하고 있다가 1130년 4월(또는 5월) 알모라비드족이 도시에서 출격하여 알부하이라 전투(도시 동쪽의 큰 정원에서 이름 붙여짐)에서 알모하드족을 격파했다.알모하드는 큰 손실을 입고 완전히 패주했다.그들의 지도력의 절반은 전사했고 생존자들은 간신히 [60]산으로 돌아갔다.

이븐 투마트는 그 직후인 1130년 8월에 사망했다.알모하드 운동이 이처럼 참담한 패배와 카리스마 넘치는 마흐디의 죽음 이후 바로 무너지지 않은 것은 그의 후계자인 압드 알 [61]: 70 무민의 능력 때문일 것이다.이븐 투마트의 죽음은 알모하드의 연대기 작가들이 "가이바" 또는 "교란"으로 묘사한 3년 동안 비밀에 부쳐졌다.이 기간 동안 압드 알-무민은 이 [61]: 70 운동의 정치적 지도자의 후계자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을 것이다.타그라(알제리아)[62] 출신의 제나타 베르베르인, 그래서 모로코 남부의 마스무다족에 속하는 외계인이었지만, 압드 알 무민은 그의 주요 경쟁자들을 배웅하고 흔들리는 부족들을 다시 그 집단으로 돌려보냈다.이븐 투마트가 죽은 지 3년 후 그는 공식적으로 "칼리프"[63]로 선포되었다.

정복

그 후 압드 알 무민은 마흐디 이븐 투마트의 부관으로 나섰다.1130년과 1163년 사이에 압드 알-무민은 무라빗족을 뿌리뽑았을 뿐만 아니라 이집트까지 그의 권력을 확장하여 1149년 마라케시의 아미가 되었다.

안달루스는 아프리카의 운명을 따랐다.1146년과 1173년 사이에 알모하드는 점차 이베리아의 무어 공국을 무라빗족으로부터 지배권을 빼앗았다.알모하드는 무슬림 이베리아의 수도를 코르도바에서 세비야로 옮겼다.그들은 그곳에 거대한 모스크를 세웠다; 그것의 탑인 기랄다는 1184년에 Ya'qub I의 등극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알모하드는 또한 현재의 세비야의 알카자르가 있던 자리에 알-무와락이라고 불리는 궁전을 그곳에 지었다.

알모하드는 알안달루스의 수도를 세비야로 옮겼다.

알모하드 왕자들은 무라빗보다 더 길고 뛰어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압드 알 무민의 후계자 아부 야쿠브 유수프 (유수프 1세, 1163년–1184년)와 아부 유수프 야쿠브 알 만수르 (야쿠브 1세, 1184년–1199년)는 둘 다 유능한 사람들이었다.처음에 그들의 정부는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 신자들을 포르투갈, 카스티야, 아라곤의 성장하는 기독교 국가로 피신시켰다.궁극적으로 그들은 무라빗족보다 덜 광신적이 되었고, Ya'quib al-Mansur는 훌륭한 아랍 문체를 쓰고 철학자 Averroes를 보호한 매우 뛰어난 사람이었다.알-마뉴르(Al-Manūur)라는 칭호는 알라코스 전투에서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에게 승리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그러나 유수프 2세 시대부터 알모하드는 이베리아와 북아프리카 중부에 있는 그들의 공동 종교인들을 부관들을 통해 통치했고 모로코 외곽의 그들의 지배는 주로 취급되었다.알모하드 에미르가 해협을 건넜을 때 기독교에 대한 지하드를 이끌고 [64]모로코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보유년수

아부 야쿱 유수프 시대에 주조된 동전

1212년, 알 만수르의 후계자인 알모하드 칼리프 무함마드 나시르 (1199–1214)는 시에라나의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카스티야, 아라곤, 나바라, 포르투갈의 네 의 기독교 왕 연합군에 의해 패배했다.이 전투는 알모하드의 전진을 깨뜨렸지만 기독교 세력은 너무 무질서해서 당장 이익을 얻을 수 없었다.

1213년 그가 죽기 전, 알-나시르는 그의 어린 10살 아들을 차기 칼리프 유수프 2세 "알-무스탄시르"로 임명했다.알모하드는 젊은 칼리프에 대한 효과적인 섭정 기간을 거쳤으며, 원로 가족, 궁정 관료 및 주요 귀족들로 구성된 과두정치에 의해 권력을 행사했다.알모하드 장관들은 기독교 왕국과 일련의 진실한 관계를 협상하는 데 신중했고, 이후 15년 동안 어느 정도 자리를 유지했다 (1217년 포르투갈 왕국알카세르살의 실각은 예외였다).

1224년 초, 젊은 칼리프는 상속인 없이 사고로 죽었다.와지르 우트만 이븐 자미가 이끄는 마라케시의 궁정 관료들은 그의 늙은 외삼촌 압드 알-와히드 1세 '알-마클루'를 새로운 알모하드 칼리프로 선출하는 데 신속히 힘을 보탰다.그러나 빠른 임명으로 다른 가문, 특히 안달루스를 통치했던 고(故) 알 나시르의 형제들이 화가 났다.그 도전은 무르시아 주지사인 그들 중 한 명이 즉시 제기했고, 무르시아 주지사는 자신을 칼리프 압달라 알 아딜이라고 선언했다.형제들의 도움으로, 그는 재빨리 알-안달루스를 장악했다.그의 수석 고문인 그늘진 아부 자이드 이븐 유잔은 마라케시에 있는 그의 연락책과 접촉하여 압드 알-와히드 1세의 퇴위와 암살, 그리고 알-자미 일족의 축출을 확보했다.

쿠데타는 마침내 알-안달루스를 무너뜨린 조약돌로 특징지어진다.그것은 알모하드의 첫 내부 쿠데타였다.알모하드 가문은 가끔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항상 굳게 결속되어 있었고 왕실의 우선순위에 충성을 다했다.칼리프 알 아딜의 왕조와 헌법적 정당성에 대한 살인적인 위반은 그가 다른 알모하드 셰이크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을 망쳤다.거절당한 사람 중 한 명은 그의 사촌인 알 알라 알-바야시 ("배잔")로, 그는 소수의 추종자들을 데리고 배자 주변의 언덕으로 도망쳤다.그는 반란군 진영을 세우고 지금까지 조용했던 카스티야의 페르디난드 3세와 동맹을 맺었다.그의 더 큰 우선 순위를 감지한 것은 마라케시였다. 마라케시는 알-나시르의 또 다른 아들인 야히아에 반대했던 알-아딜이 이 작은 부적응자 무리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레콘키스타

1225년, 압드 알라 알-바이야시의 반란군은 거대한 카스티야 군대와 함께 언덕에서 내려와 하엔안두하르와 같은 도시를 포위했다.그들하엔, 코르도바, 베가그라나다 지역을 급습했고, 그 해 말까지 알-바이야시는 코르도바 시에 자리를 잡았다.권력의 공백을 감지한 레온의 알폰소 9세와 포르투갈의 산초 2세 모두 같은 해에 기회적으로 안달루시아 영토에 대한 급습을 명령했다.칼리프 알 아딜이 마라케쉬에서 자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모로코에 알모하드의 무기, 병사, 그리고 현금을 파견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었다.1225년 말, 포르투갈의 침입자들은 놀랄 만큼 쉽게 세비야 근교에 도착했다.그들이 수적으로 열세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도시의 알모하드 주지사들은 포르투갈의 침략자들과 맞서기를 거부했고, 혐오스러운 세비야 주민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민병대를 조직하고, 직접 들판으로 나갔다.그 결과는 진정한 대학살이었다. 포르투갈 무장 병사들은 가난한 무장을 한 마을 주민들을 쉽게 진압했다.수천 명, 많게는 2만 명이 세비야 성벽 앞에서 살해되었다고 한다.같은 해 아스페에서 무르시아인들에 의해 비슷한 재난이 발생했다.하지만 기독교 침입자들은 카세레스레퀴나에서 저지되었다.알모하드 지도부에 대한 신뢰는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심각하게 흔들렸다. 이 재앙은 즉시 칼리프 알 아딜의 주의 산만과 그의 부관들의 무능력과 비겁함, 그리고 그 성공은 방어력을 결집한 비 알모하드 지역 지도자들의 공로를 돌렸다.

그러나 알 아딜의 운명은 잠시 상승하였다.카스티야의 원조에 대한 보답으로, 알-바이야시는 페르디난드 3세에게 세 개의 전략적 국경 요새를 주었다.바뇨스 데 라 엔치나, 살바티에라(시우다드 레알 근처의 칼라트라바 요새)와 카피야.그러나 카피야는 그들을 넘겨주기를 거부했고, 카스티야군은 길고 어려운 포위망을 구축해야만 했다.작은 카피야의 용감한 반항과 카스티야 포위군에 대한 알-바이야시의 수송 식량 광경은 안달루시아인들을 충격으로 몰아넣고 알모하드 칼리프에게 다시 마음을 돌렸다.코르도바에서 민중 봉기가 일어났는데, 알-바이야시가 살해되고 마라케쉬의 전리품으로 그의 머리가 보내졌습니다.그러나 칼리프 알 아딜은 이 승리를 오랫동안 기뻐하지 않았고, 1227년 10월 마라케시에서 야히아의 빨치산들에 의해 암살당했고, 야히야는 즉시 새로운 알모하드 칼리프 야히야 "알 무타심"으로 칭송받았다.

알모하드의 안달루시아 지부는 이런 상황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당시 세비야에 있던 알 아딜의 형은 자신을 새로운 알모하드 칼리프 압드 알라 이드리스 1세 '알마문'이라고 선언했다.그는 즉시 페르디난드 3세로부터 30만 마라베디의 대가로 휴전을 구입했고, 1228년 스페인 알모하드 군대의 대부분을 해협을 건너 야히아에 대항하기 위해 파견할 수 있었다.

같은 해 포르투갈과 레오네즈는 기본적으로 억제되지 않은 채 무슬림 영토 깊숙이 공격을 재개했다.알모하드가 그들을 보호하는데 실패했다고 느낀 민중 봉기는 알-안달로스 전역에서 일어났다.도시마다 불운한 알모하드 주지사를 물러나게 하고 대신 지역 실력자들을 배치했다.한때 사라고사의 옛 타이파를 지배했던 바누후드 왕조의 후예라고 주장한 무함마드 이븐 유수프 이븐 후드 알-주다미는 스페인 중부를 통해 알모하드 수비대를 조직적으로 몰아내면서 반란의 중심 인물로 떠올랐다.1228년 10월 스페인이 사실상 전패한 가운데, 알마문은 세비야를 떠나 알모하드 군대와 함께 모로코로 떠났다.이븐 후드는 아바스 칼리프를 인정하기 위해 바그다드 먼 에 사절단을 파견했지만, 비록 스스로 '알 무타와킬'이라는 준칼리팔 칭호를 얻었다.

1212년 이후의 알모하즈

1228년 알-마문의 출국은 스페인의 알모하드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이븐 후드와 다른 지역 안달루시아의 강자들은 거의 매년 포르투갈의 산초 2세, 레온의 알폰소 9세, 카스티야의 페르디난드 3세, 아라곤의 야고보 1세에 의해 시작된 증가하는 기독교 공격의 홍수를 막을 수 없었다.그 후 20년 동안 기독교의 재키스타가 크게 발전했는데, 옛 안달루시아의 위대한 시타델은 일거에 몰락했다.1230년 메리다바다호스, 1230년 마요르카, 1234년 베하, 1236년 코르도바, 1238년 발렌시아, 1238년 니에블라후엘바, 1242년 카스티야 1243년 무르시아알모하드의 수도였던 세비야의 은달루시아 도시들은 1248년에 기독교의 에 넘어갔다.카스티야의 페르디난도 3세는 1248년 12월 22일 정복자로 세비야에 입성했다.

안달루시아인들은 이 맹습 전에 속수무책이었다.Ibn Hudd는 일찍부터 Leonese의 진격을 막으려고 시도했지만, 그의 안달루시아 군대의 대부분은 1230년 Alange 전투에서 파괴되었다.이븐 후드는 위협받거나 포위된 안달루시아의 시타델을 구하기 위해 남은 무기와 병사들을 앞다퉈 이동시켰지만, 한꺼번에 너무 많은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그것은 가망 없는 시도였다.1238년 이븐 후드가 죽은 후, 안달루시아의 몇몇 도시들은 자신들을 구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다시 한번 알모하드에 몸을 바쳤지만 소용이 없었다.알모하드는 돌아오지 않았다.

알모하드가 떠나면서 나스리드 왕조그라나다에서 권력을 잡았다.1228–1248년 기독교의 대약진 이후 그라나다 토후국은 사실상알-안달루스의 전부였다.붙잡힌 몇몇 시타델들(예: 무르시아, 얀, 니에블라)은 몇 년 더 지류 가신으로 재편되었지만, 대부분은 1260년대에 합병되었다.그라나다만 해도 250년 더 독립하여 알안달루스의 새로운 중심지로 번영할 것이다.

마그레브 붕괴

아프리카 영토에서 알모하드는 페즈에서도 기독교 신자의 설립을 장려했고,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이후 카스티야의 왕들과 가끔 동맹을 맺었다.그들은 시칠리아의 노르만 왕들에 의해 해안 도시들 중 일부에 배치된 수비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그들의 쇠퇴의 역사는 그들이 대체했던 알모라비드족과는 다르다.그들은 큰 종교 운동에 의해 공격을 받은 것이 아니라 부족과 지역의 반란으로 인해 조금씩 영토를 잃었습니다.그들의 가장 효과적인 적은 다음 왕조를 세운 바누 마린이었다.이 계통의 마지막 대표자인 이드리스 2세 '알 와티크'는 마라케쉬의 소유로 전락하였고, 1269년 노예에 의해 살해되었다.

마린 왕조 (1244년–1465년)

마린족은 북아랍 [66]부족을 통해 아랍계[65] 조상을 주장했지만 베르베르 출신이었다.11세기 중반 북아프리카에 아랍인 베두인이 도착한 이후 마리니드는 현재의 [67][68]알제리 비스크라에 있는 그들의 땅을 떠나야 했다.그들은 처음에 오늘날[69][70]모로코인 시질마사와 피귀그 사이의 지역에 자주 들렀고, 때로는 현재[71]알제리인 자브[fr]까지 도달했다.그들은 계절적으로 피귀그 오아시스에서 물루야 강 [72]유역으로 이동한다.11-12세기에 아랍 부족이 지역에 도착한 후, 마리니드족은 13세기 [73]초에 모로코로 진입하기 전에 현재[69]알제리의 북서쪽으로 이주했다.

Marinids는 그들의 조상인 Marin ibn Wartajan [74]al-Zenati에서 이름을 따왔다.

증가

현재의 모로코에 도착한 후, 그들은 처음에는 당시 지배층이었던 알모하드 왕조에 항복했다.스페인 중부의 알라코스 전투에 성공적으로 공헌한 후, 그 부족은 스스로를 정치적 [41]세력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213년부터, 그들은 오늘날의 모로코 북동부(나도르와 베르카네 사이의 지역)의 농업 공동체에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그들과 알모하드의 관계는 경색되었고 1215년부터 두 당 사이에 정기적으로 싸움이 일어났다.1217년, 그들은 현재의 모로코 동부를 점령하려 했지만, 쫓겨나고 철수하여 거의 30년 동안 그들이 머물렀던 동부 리프 산맥에 정착했다.그들이 리프 왕국에 머무는 동안 알모하드 주는 스페인의 기독교인들에게 큰 영토를 빼앗기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반면 이프리키아의 합스 왕조는 1229년에 분리되었고, 1235년 틀렘센자이얀 왕조가 뒤를 이었다.

1244년에서 1248년 사이에 마리니드는 약해진 알모하드에서 [75]타자, 라바트, 살레, 메크네스, 페즈빼앗을 수 있었다.페스에 설치된 마리니드 지도부는 기독교 용병들의 도움으로 알모하드에 전쟁을 선포했다.아부 유수프 야쿠브 (1259–1286)는 1269년에 [76]마라케크를 점령했다.

아포기

그라나다의 나스리드알헤시라스 마을을 마리니드에게 양도한 후, 아부 유수프는 카스티야 왕국에 대한 계속되는 투쟁을 지원하기 위해 알-안달루스로 갔다.마린 왕조는 그 후 지브롤터 해협에 대한 상업적인 무역을 포함시키기 위해 지배력을 확장하려고 시도했다.

스페인 기독교인들이 오늘날 모로코 본토에 처음으로 전투를 벌일 수 있었던 것은 이 시기였다: 1260년과 1267년에 그들은 침략을 시도했지만, 두 번의 시도 모두 패배했다.스페인에서 발판을 마련한 후, 마리니드는 이베리아의 이슬람교도들과 기독교인들 사이의 분쟁에 적극적이게 되었다.지브롤터 해협에서 무역을 절대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그들은 알헤시라스 기지에서 몇몇 스페인 마을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1294년까지 그들은 로타, 타리파, 지브롤터를 점령했다.

1276년에 그들은 Fes Jdid를 설립하여 행정 및 군사 중심지로 삼았다.페스는 알모하드 기간 내내 번영한 도시였고, 심지어 그 [77]기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지만, 페스가 그 도시의 [78][79]공식적이고 역사적인 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인 황금기에 도달한 것은 마리니드 시대였다.중요한 지적 중심지로서의 페스의 평판이 주로 유래한 것은 마린드 시대부터이며, 그들은 도시와 [80][81][82]나라에 최초의 마드라사를 설립했습니다.메디나의 주요 기념물인 주거지와 공공건물은 마리니드 [83]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내부의 내분에도 불구하고 아부 사이드 우트만 2세 (재위: 1310–1331)는 전국에 걸쳐 거대한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여러 개의 마드라사가 지어졌는데, 알-아타린 마드라사가 가장 유명하다.이러한 마드라사의 건축은 종속적인 관료계급을 만들기 위해 필요했고, 마드라사와 샤리프의 요소를 약화시키기 위해 필요했습니다.

마린족은 또한 그라나다 토후국의 정책에 강한 영향을 미쳤고, 1275년에 그들의 군대를 확대했다.13세기에 카스티야 왕국은 그들의 영토에 여러 번 침입했다.1260년, 카스티야 군대는 살레를 급습했고 1267년 전면적인 침략을 시작했지만, 마리니드는 그들을 격퇴했다.

아부 알-하산 알리(재위: 1331–1348)의 통치 기간 동안, 마리니드 군대는 규모가 크고 규율적이었다.그것은 40,000명의 제나타 기병으로 구성되었고, 아랍 유목민들은 기병대에 기여했고 안달루시아인들은 궁수로 포함되었습니다.술탄의 개인 경호원은 기독교, 쿠르드족, 흑인 아프리카인 [84]등 7000명으로 구성됐다.아부 알-하산 치하에서 마그레브를 재통합하려는 또 다른 시도가 있었다.1337년 압달와디드 왕국 Tlemcen이 정복되었고, 1347년 Ifriqiya에서 Hafsid 제국이 패배하면서, 그는 오늘날의 모로코 남부에서 트리폴리에 이르는 거대한 영토를 지배하게 되었다.하지만, 다음 해 안에 튀니지 남부 아랍 부족들의 반란이 그들을 동쪽 영토를 잃게 만들었다.마리니드는 이미 1340년 리오 살라도 전투에서 포르투갈-카스티야 연합군의 손에 대패했고, 마침내 안달루시아에서 철수해야 했고, 1344년까지 알헤시라스를 고수해야만 했다.

1348년 아부 알 하산은 알제리와 튀니지를 재탈환하려 했던 그의 아들 아부 이난 파리스에 의해 폐위되었다.몇 번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는 1358년 자신의 비저에 의해 목이 졸렸고, 그 후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사양

1358년 아부 이난 파리스가 죽은 후, 마린드 술탄들이 행진하여 빠른 연속적으로 서로를 계승하도록 강요받는 동안, 실질적인 권력은 바이저들에게 있었다.카운티는 분열되었고 정치적 무정부 상태가 시작되었고, 다른 세력들과 다른 파벌들을 지지하는 외세들이 있었다.1359년 하이 아틀라스에서 온 힌타타 부족 사람들이 내려와 1526년까지 독립적으로 통치했던 알모하드 조상들의 수도 마라케쉬를 점령했다.마라케시 남쪽에서는 수피 신비주의자들이 자치권을 주장했고, 1370년대에 아젬무르는 바누 사비흐의 상인들과 아랍 부족 지도자들의 연합 하에 해체되었다.동쪽에서는 지아니드족과 하프시드족이 다시 등장했고, 북쪽에서는 유럽인들이 해안을 공격함으로써 이 불안정을 이용하고 있었다.한편, 제멋대로 떠도는 아랍 베두인 부족은 무정부 상태를 확산시켰고, 이는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모로코의 포르투갈령(1415년-1769년)

15세기에는 재정위기가 닥쳤고, 그 후 국가는 다른 부족들을 통제하는 데 유용한 도구였던 다른 행적과 샤리프 가문에 자금을 대는 것을 중단해야 했다.이들 행방불명자들과 샤리프교도들의 정치적 지지는 중단되었고, 그것은 다른 단체로 분열되었다.1399년에 테투안은 함락되었고 그 인구는 대량 학살당했고 1415년에는 포르투갈이 세우타를 점령했다.술탄 압달하크 2세 (1421–1465)가 와타시드의 권력을 무너뜨리려 한 후, 그는 처형되었다.

1420년 이후의 마린 왕들은 태어난 지 1년 만에 압드 알 하크 2세가 술탄이 되면서 섭정을 행사한 와타시드의 지배 아래 놓였다.그러나 와타시드는 압드 알 하크가 [85]성년이 된 후 섭정을 포기하기를 거부했다.

1459년 압드 알 하크 2세는 와타시드 가문을 학살하고 그들의 권력을 무너뜨렸다.그러나 1465년 [86]반란 때 살해되면서 그의 통치는 잔인하게 끝났다.이 사건으로 샤리프족지도자인 무함마드 이븐 알리 라니 주티가 페스에서 술탄으로 선포되면서 마리니 왕조가 막을 내렸습니다.그는 1471년 1459년 학살에서 살아남은 두 명의 와타시드 중 한 명인 아부 압드 알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히야에 의해 차례로 타도되었고, 그는 와타시드 왕조를 선동했다.

와타스 왕조(1472년-1554년)

모로코는 베르베르 와타시드가 권력을 잡았을 때 쇠퇴하고 있었다.와타시드 가문은 13세기 후반부터 동부 리프 지방의 자치 통치자였으며, 그들의 근거지인 타주타(현재의 나도르 근처)에서 통치했다.그들은 마리니드 술탄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많은 관료 엘리트들을 제공했다.마린 왕조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침략을 격퇴하고 그라나다 왕국이 레콘키스타보다 오래 살도록 도우려 한 반면 와타시드는 정치적 공작을 통해 절대 권력을 축적했다.Marinids가 음모의 정도를 알았을 때, 그들은 Wattasids를 학살했고, 오직 Abu Abd Alah Alah-Shheik Muhammad Ibn Yahya만 살아남았다.그는 계속해서 페즈 왕국을 세우고 1504년 그의 아들 모하메드 알-부르투칼리가 계승할 왕조를 세웠다.

와타스의 통치자들은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모로코를 보호하겠다는 약속에 실패했고 포르투갈인들은 모로코 해안에 주둔을 늘렸다.모하마드 알-차이크의 아들은 1508년, 1511년, 1515년에 아시라와 탕헤르를 점령하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남쪽에서, 1524년 마라케시를 점령하고 그들의 수도로 삼은 새로운 왕조인 사디안 왕조가 일어났다.1537년까지 사디족은 아가디르에서 포르투갈 제국을 물리쳤을 때 승승장구했다.그들의 군사적 성공은 북쪽의 가톨릭 왕들에 대한 와타시드의 화해 정책과 대조된다.

그 결과 모로코 사람들은 사하라 사람들을 영웅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고, 이로 인해 그들은 탕헤르, 세우타, 마지엔을 포함한 해안에 있는 포르투갈의 거점을 쉽게 탈환할 수 있었다.Saadians는 또한 새로운 권력에 굴복할 수 밖에 없었던 와타시드를 공격했다.1554년 와타시드의 마을이 항복하자 와타시드의 술탄 알리 아부 하순은 페즈를 잠시 탈환했다.사디인들은 그를 죽임으로써 문제를 신속히 해결했고, 마지막 와타시드들도 배를 타고 모로코를 탈출하면서 해적들에게 살해당했다.

와타시드는 레콘키스타 이후 모로코의 전반적인 상황을 개선하는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이베리아 반도 왕국의 팽창주의적 야망이 억제되고 다시 세워지기 위해서는 사디안인들이 기다릴 필요가 있었다.

사디 왕조 (1549년-1659년)

저녁에 찍은 아츠벤하두의 도시

1549년부터 이 지역은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샤리프 왕조로 알려진 연속된 아랍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이러한 정치들 중 첫 번째는 1549년부터 1659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한 사디 왕조였다.1509년부터 1549년까지, 사디의 통치자들은 남쪽 지역만을 지배했다.1528년까지 와타시드를 술탄으로 인정했지만, 사디안인들의 커져가는 힘은 와타시드를 공격하게 만들었고, 결정적이지 않은 전투 끝에 타들라 [87]조약을 통해 모로코 남부에 대한 그들의 통치를 인정하게 만들었다.

1659년, 사디 [89]왕조가 몰락한 후, 딜라[88]자우아의 수장인 모하메드 알 하지 이븐 아부 바크르 알-딜라이가 모로코의 술탄으로 선포되었다.

살레 공화국 (1624년-1668년

라바트에 면한 살레에서 가져온 부레그레그에 있는 고대 항구

공화국의 기원은 17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며, 스페인 서부의 호나초스에서 약 3,000명의 부유한 모리스코가 도착했는데,[90] 그들은 스페인의 필립 3세가 명령1609개의 추방 명령을 예상했습니다.1609년 이후,[91] 약 10,000명의 추방당한 Morisco들이 스페인에서 도착했다.원주민 살레탱족과 모리스코 난민 사이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새로 온 사람들은 부레그 [92][93]건너편에 있는 라바트의 오래된 메디나에 정착하게 되었다.

서안에 기반을 둔 해적들은 지중해와 대서양을 [94]통해 그들의 활동을 확장하고 번창했다.1624년, 네덜란드인얀순은 "대제독"이자 살레 [95]코르세어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살레의 공화주의 시대의 대포

1627년 얀순이 살레를 떠난 후, 모리스코 가문은 술탄 지단나시르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고,[96] 그들의 수입에 대한 그의 십일조를 지불하기를 거부했다.그들은 의회나 디완에 의해 통치되는 공화국을 선포했다. 디완은 12명에서 14명의 저명한 사람들로 구성된 일종의 정부 내각으로, 그 구성원들은 매년 5월 한 달 동안 포탈레사 주지사와 선장을 선출했다.공화국 초기 (1627년과 1630년 사이)[97] 디완은 안달루시아인이라 불리는 비호나체로 모리스코스의 증가하는 인구에 의해 권력에 대한 지배가 분개된 호나체로스에 의해서만 지배되었다.1630년 유혈 충돌 후, 합의에 도달했다: 안달루시아인과 16명의 새로운 디완을 선출했고, 그 중 8명은 안달루시아인과 8명의 호르나체로스인이었다.[98]

1641년 모로코의 대부분을 지배했던 딜라의 자우아는 살레와 그 [99]모국에 종교적 패권을 행사했다.1660년대 초까지 공화국은 자위야와 내전에 휘말렸고, 결국 21세기까지 모로코를 지배하고 있는 알라우 왕조 모로코의 술탄 알-라시드가 라바트와 살레를 점령하며 독립을 종식시켰다.그것은 1668년 물레이 알 라시드가 마침내 딜라파를 [100]정복한 후에 모로코 술탄의 지배하에 놓였다.

알라위 왕조(166년 이후)

압델카데르 페레즈 제독은 1723년 이스마일 이븐 샤리프에 의해 영국 대사로 파견되었다.

알라위트 왕조는 현재의 모로코 왕족이다.알라위트라는 이름은 1631년 타필랄트의 왕자가 된 샤리프 이븐 알리의 후손인 '알리브'에서 유래했다.그의 아들 뮬레이 알 라시드 (1664–1672)는 단결하여 나라를 평정할 수 있었다.알라위트 가문은 무함마드의 딸 파시마 아즈자흐라와 남편 '알리 이븐 아브' 샤립을 통해 무함마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왕국은 이스마일 이븐 샤리프에 의해 통합되었고, 그는 지역 부족들의 반대에 부딪혀 통일 국가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이전 왕조들과는 달리 알라우족은 베르베르족이나 베두인족의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스마엘은 노예 군대를 통해 모로코를 지배했다.이 군인들과 함께 그는 1684년 영국인들이 탕헤르를 버리고 1689년 라라체로부터 스페인인들을 몰아낸 후 탕헤르를 다시 점령했다.그가 세운 왕국은 그의 죽음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 이어진 권력 투쟁에서 부족들은 다시 한 번 정치와 군사 세력이 되었고, 왕국이 다시 통일된 것은 무함마드 3세 (1757–1790)와 함께였다.중앙집권화라는 개념은 버려졌고 부족들은 그들의 [citation needed]자치권을 보존하도록 허락받았다.1777년 [101]12월 20일, 모로코는 새롭게 독립한 미국의 [102]주권을 인정한 첫 번째 주 중 하나가 되었다.

무함마드 4세(1859–1873–1894)와 하산 1세(1873–1894)의 통치 기간 동안, 알라우파들은 특히 유럽 국가들과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강화하려고 노력했다.군대와 행정도 베르베르 부족과 베두인 부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현대화 되었다.1859년 모로코는 스페인과 전쟁을 했다.모로코의 독립은 [103]1880년 마드리드 회의에서 보장되었고 프랑스도 모로코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독일은 프랑스의 영향력 확대에 맞서려고 시도했고, 1905-1906년의 제1차 모로코 위기와 1911년의 제2차 모로코 위기로 이어졌다.모로코는 1912년 페즈조약을 통해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유럽의 영향 (1830년경 ~ 1956년)

19세기 후반의 마그레브
모로코 플라이 마스크 자수

15세기에 대서양 연안을 지배하려는 포르투갈의 성공적인 노력은 모로코 내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나폴레옹 전쟁 이후, 북아프리카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이스탄불에서 점점 더 통치할 수 없게 되었다.그 결과, 이곳은 지역 베이의 해적들의 휴양지가 되었다.마그레브는 또한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더 많은 부를 가지고 있었고 지중해 입구에 위치한 마그레브는 전략적 중요성을 부여했다.프랑스는 1830년부터 모로코에 강한 관심을 보였다.[104] 알라우 왕조는 오스만과 유럽의 [105]침략에 직면하여 18세기와 19세기에 모로코의 독립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1844년, 프랑스가 알제리를 정복한 후, 탕헤르의 폭격, 이슬리 전투, 모가도르 폭격과 함께 프랑코-모로칸 전쟁이 일어났다.

1856년, 술탄 압드 알 라흐만의 막젠은 영국 외교관헤이 드러몬드 헤이와 협상한 영-모로칸 조약에 서명했다.이 조약은 모로코에서 영국인들에게 몇 가지 권리를 부여했고 모로코 관세는 10%[106]로 낮췄다.이 조약은 모로코 경제[107]대한 막젠의 지배력을 감소시키면서 모로코의 독립을 연장하면서 외국 무역에 개방했다.

히스파노-모로칸 전쟁은 1859년부터 1860년까지 일어났고, 뒤이은 와드 라스 조약은 모로코 정부가 [107]스페인에 대한 전쟁 채무를 갚기 위해 국가 비축량보다 더 많은 돈을 빌리게 만들었다.

19세기 중반 모로코계 유대인들은 경제적 기회를 위해 내륙에서 에사우이라, 마자간, 아스피, 그리고 나중에는 카사블랑카 같은 해안 도시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유럽인과의 무역과 그 [108]도시들의 개발에 참여하였다.얼라이언스 이스라엘라이트 유니버셀레는 1862년 [109]테투안에 첫 학교를 열었다.

19세기 후반에 모로코의 불안정은 유럽 국가들이 투자를 보호하고 경제적 양보를 요구하기 위해 개입하는 결과를 초래했다.술탄 하산 1세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원생 제도 남용에 대한 대응으로 1880년 마드리드 회의를 소집했지만, 그 결과 모로코에 고문, 의사, 사업가, 모험가, 그리고 심지어 [107]선교사의 형태로 유럽인들의 주둔이 증가하였다.

막젠족의 지출의 절반 이상이 전쟁 배상금을 지불하고 무기, 군사 장비, 공산품을 [107]사기 위해 해외로 갔다.1902년부터 1909년까지 모로코의 무역 적자는 매년 1400만 프랑 증가했고 1896년부터 [107]1906년까지 모로코 리알화 가치는 25% 하락했다.1904년 6월, 균일세를 부과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프랑스는 이미 부채가 있는 막젠을 [107]관세 수입의 일부에 의해 보장된 6250만 프랑으로 구제했다.

1890년대에 알제리의 프랑스 행정부와 군부는 프랑스가 [111]알제리에 도착하기 전 수 세기 동안 모로코 제국의 일부였던 투아트,[110] 구라라, 티디켈트의 합병을 요구했다.[112] 20세기의 첫 해는 유럽 강대국들, 특히 프랑스가 [113]이 지역에서 자국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1901년 술탄 압드-엘-아지즈가 자전거를 가지고 왔다.젊은 술탄은 변덕스러운 소비 습관으로 유명했고, 이는 대규모 무역 [107]적자를 악화시켰다.

모로코는 명목상 술탄인 젊은 압드 아지즈가 섭정아흐메드를 통해 통치했다.1900년까지 모로코는 술탄국가에 대한 위장, 재무부 파산, 그리고 여러 부족의 반란에 의해 시작된 여러 국지전의 현장이었다.프랑스 외무장관 테오필 델카세는 상황을 안정시키고 프랑스 해외 제국을 확장할 기회를 보았다.

휴버트 리아우티 장군은 알제리에 기반을 둔 프랑스 군대를 사용하는 보다 공격적인 군사 정책을 원했다.프랑스는 외교력과 군사력을 모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프랑스 식민지 당국은 술탄의 이름으로 통치하고 프랑스의 영향력을 확장하면서 술탄에 대한 통제를 확립할 것이다.영국은 1904년 협정의 모로코에서 프랑스 디자인을 채택했다.그러나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지 않은 독일군은 프랑스의 계획에 강력히 항의했다.1905년 3월 모로코 독립을 지지하는 카이저의 극적인 모로코 개입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에 전환점이 되었다.1906년 국제 알헤시라스 회의는 프랑스의 "특별한 입장"을 공식화하고 프랑스와 스페인에 모로코의 치안 유지를 공동으로 위임했다.독일은 외교적으로 우세했고 프랑스는 [114][115]모로코를 완전히 장악했다.

모로코는 1903년부터 1907년까지 기근과 엘로귀(부흐마라)와 물라이 아흐메드 에르 라이수니가 [107]이끈 폭동을 겪었다.

초기 모로코 신문인 리산 울 마그레브.

프랑스와 스페인의 보호국(1912년-1956년)

페스 조약은 1912년 3월 30일 모로코에 프랑스 보호국을 세웠다.

하피디야

1907년, 프랑스는 동쪽의 오우즈다를 침략하기 위한 구실로 마라케시에서 에밀 모샹을 살해했고,[116] 카사블랑카에서 그들의 세관 수입의 유용에 반대하는 반란을 서쪽의 도시를 폭격하고 침략할 기회로 삼았다.몇 달 후, 하프디야라고 불리는 짧은 동족상잔 내전이 있었는데, 압드 알-하피드는 처음에는 [117][118]글라와 같은 마라케시에 기반을 둔 남부 귀족들의 지지를 받았고 나중에는 조건부로 페스의 울라마에 의해 지지를 받은 그의 형제 압드 알-아지즈로부터 왕위를 빼앗았다.

아가디르 위기는 유럽 강대국들 사이의 긴장을 증가시켰고, 모로코가 프랑스의 보호국이 된 페즈 조약(1912년 3월 30일 체결)을 낳았다.1912년 11월 27일 프랑스와 스페인 국가 원수에 의해 체결된 두 번째 조약으로, 스페인은 모로코 북부와 남부에 영향 구역을 부여받았다.북쪽은 모로코의 스페인 보호령이 되었고, 남쪽스페인령 사구아함라와 모로코 사이의 완충지대로서 엘 아은에서 통치되었다.페즈 조약은 1912년 페즈 폭동을 촉발시켰다.1923년 12월에 체결된 탕헤르 의정서에 의해 탕헤르는 특별한 지위를 얻었고 비록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프랑수아주의 스페인에 의해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점령당했지만 국제적[119]지역이 되었다.

이 조약은 명목상 술탄과 함께 모로코의 [107][121]주권국가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장했다.실제로 술탄은 실권이 없었고 그 나라는 식민지 행정에 의해 통치되었다.프랑스 공무원들은 모로코 자치로 향하는 어떠한 움직임도 막기 위해 프랑스 정착민 및 프랑스에 있는 그들의 지지자들과 동맹을 맺었다.자이안 전쟁리프 전쟁이 진행되면서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의 광물 자원, 특히 인산염의 개발, 기차와 버스있는 현대적인 교통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프랑스 시장에 맞춘 현대 농업 부문의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수만 명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모로코로 들어와 풍부한 [122]농경지를 손에 넣었다.

모로코에는 50만 [123]명의 유럽인들이 살고 있었고, 그들 대부분은 카사블랑카에 정착했으며,[124] 그곳에서 인구의 거의 절반을 형성했다.1956년 왕국의 독립 이후, 특히 하산 2세의 1973년 모로코화 정책 이후, 유럽 요소는 크게 이탈했다.[47]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는 스페인 내전으로 이어졌고,[125] 스페인에제리토아프리카모로코를 점령하면서 시작되었다.

유럽의 지배에 대한 반대

1934년까지 모로코의 프랑스 평정을 그린 지도

압드 크림이 이끄는 독립 리프 공화국은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존재했으며, 리프 중부(스페인 보호령)에 근거지를 두고 몇 달 동안 고마라, 동부 리프, 즈발라, 우에르하 계곡, 타자 [126]북부 일부 지역까지 확장되었다.1921년 9월 18일 독립을 선언한 후, 정치권은 세금 징수, 법 집행, [127]군대 조직과 같은 국가와 통치 기관을 발전시켰다.그러나 1925년부터 스페인과 프랑스군은 저항을 진압했고 압드 엘 크림은 1926년 [127]5월에 항복했다.

1934년 12월, 새롭게 형성된 코미테 행동 마로카인(Comité d'Action Marocaine) 또는 모로코 행동 위원회(CAM)의 멤버인 소수 민족주의자들은 페즈 조약에 의해 구상된 간접 통치로의 복귀, 모로코인들의 정부직 수락, 그리고 대표 위원회 설립을 요구하는 개혁 계획을 제안했다.CAM은 청원서, 신문 사설, 프랑스 관리들에 대한 개인적인 호소를 통해 그 명분을 더욱 발전시켰지만, 이는 불충분하다는 것이 판명되었고, 이 계획의 실패로 인해 CAM은 분열되었다.CAM은 보다 급진적인 요구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민족주의 정당으로 재건되었지만,[128] 프랑스는 1937년 당을 탄압했다.

1944년 1월 11일 이스티클랄당이 발표독립선언문술탄 무함마드 5세를 민족주의 투쟁의 상징으로 규정했다.

이후 프랑스 보호령 하에서 생겨난 민족주의 정당들은 [129]모로코 독립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무엇보다도 그들이 살고 있는 정부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국민의 권리를 명시한 미국과 영국의 공동 성명인 대서양 헌장과 같은 선언에 근거했다.프랑스 정권은 또한 부족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 1930년 베르베르족이 프랑스 법원의 관할 하에 있어야 했을 때, 그것은 독립운동에 [130]대한 지지를 증가시켰다.

많은 모로코 구미에, 즉 프랑스 군대의 원주민 병사들제1차 세계대전[131]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을 도왔다.제2차 세계대전 동안 심하게 분열된 민족주의 운동은 더욱 결속력이 강해졌다.하지만, 민족주의자들은 연합군의 승리가 독립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라는 믿음에 [citation needed]실망했다.1944년 1월, 민족주의 운동에 대부분의 지도력을 제공한 독립당은 완전한 독립, 민족 통일, 민주 헌법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술탄 무함마드 5세(1927-1961)는 프랑스 통수권자에게 제출하기 전에 선언문을 승인했고, 통수권자의 지위에 대한 기본적인 변화는 [citation needed]고려되지 않는다고 답했다.민족주의자들에 대한 술탄의 일반적인 동정은 전쟁이 끝날 무렵에 분명해졌지만, 그는 여전히 완전한 독립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했다.1947년 4월 10일, 카사블랑카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선동된 학살에도 불구하고, 술탄 무함마드 5세는 탕헤르에서 프랑스 모로코에서 스페인 모로코거쳐 탕헤르 국제지구[132]도달하기 위해 모로코의 독립과 영토 통합을 호소하는 중요한 연설을 했다.프랑스의 경제적 이익에 의해 지지를 받고 대부분의 반군의 강력한 지지를 받은 그 신뢰[citation needed]독립성이 결여된 개혁조차도 고려하는 것을 완강히 거부했다.

모로코 폭동은 프랑스 통치에 대한 불만 때문에 카사블랑카를 휩쓸었다.유니버설 뉴스릴, 1955년 7월 21일

1952년 12월, 카사블랑카에서 튀니지 노동 지도자 파르하트 헤치의 암살에 대한 폭동이 일어났다.이 사건은 모로코 정당과 프랑스 당국 사이의 관계에 분수령이 되었다.폭동의 여파로 이 레지던트는 모로코 [133]공산당이스티클랄당을 불법화했다.

프랑스가 1953년 매우 존경받는 술탄 모하메드 5세를 마다가스카르로 추방하고 인기 없는 모하메드아아라파로 교체한 것은 민족주의자들과 술탄을 종교 지도자로 본 사람들로부터 프랑스 보호국에 대한 적극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이에 대한 보복으로 무함마드 자르크투니[134]그해 크리스마스에 유럽 누벨에 있는 카사블랑카의 마르체 센트럴을 폭격했다.2년 후, 술탄의 귀환과 모로코에서의 폭력 증가에 대한 모로코인들의 단합된 요구와 알제리에서의 악화되는 상황에 직면하자, 프랑스 정부는 모하메드 5세를 모로코로 다시 데려왔고, [citation needed]이듬해 모로코 독립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독립 모로코(1956년 이후)

1955년 후반, [135]인민의 혁명으로 알려지게 된 중간에, 술탄 모하메드 5세는 프랑스와 모로카의 상호의존의 틀 안에서 모로코 독립의 점진적인 회복을 성공적으로 협상했다.술탄은 모로코를 민주적인 형태의 입헌군주제로 바꾸는 개혁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1956년 2월 모로코는 제한된 자치권을 획득했습니다.완전한 독립을 위한 추가 협상은 1956년 [133]3월 2일 파리에서 체결된 프랑스-모로칸 협정으로 끝이 났다.

1956년 4월 7일 프랑스는 모로코에 있는 보호국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국제화된 도시 탕헤르는 1956년 10월 29일 탕헤르 의정서에 서명하면서 다시 통합되었다.스페인 보호국의 폐지와 스페인의 모로코 독립 인정은 별도로 협상되어 1956년 [133]4월 공동 선언에서 최종 결정되었다.1956년 및 1958년 스페인과의 협정을 통해, 특정 스페인 통치 지역에 대한 모로코의 통제가 복원되었다.군사 행동을 통해 다른 스페인의 영토를 차지하려는 시도는 덜 [citation needed]성공적이었다.

독립 후 몇 달 동안, 모하메드 5세는 술탄이 적극적인 정치적 역할을 할 입헌 군주제 하에서 현대적인 정부 구조를 건설하기 시작했다.그는 이스티클랄의 지배력 강화와 일당제 국가 수립을 막기 위해 조심스럽게 행동했다.그는 1957년 8월 11일 왕정에 올랐고, 그 날부터 공식적으로 '모로코 왕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36][137]

하산 2세 통치(1961년 ~ 1999년)

1967년 마라케시에서 금요 기도하러 가는 하산 2세

모하메드 5세의 아들 하산 2세는 1961년 3월 3일 모로코의 왕이 되었다.그의 통치는 상당한 정치적 불안을 보았고, 무자비한 정부의 대응으로 그 기간은 "납의 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하산은 총리로서 정부를 직접 장악했고, 새로운 내각을 임명했다.그는 자문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1962년 12월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으로 통과된 새 헌법을 만들었다.그 조항에 따르면, 왕은 정부 행정부의 중심 인물이었지만 입법권은 양원제 의회에 귀속되었고 독립적인 사법부가 [138]보장되었다.

1963년 5월, 처음으로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왕당파 연합은 소수 의석을 확보했다.하지만 1965년 6월 정치적 격변의 시기 이후, 하산 2세는 1970년까지 유효했던 "예외 상태" 하에서 입법권과 행정권을 장악했다.그 후 개혁헌법이 승인되어 제한된 의회정부를 복원하고 새 선거가 실시되었다.그러나 정부의 만연한 부패와 부정행위에 대한 불만을 중심으로 반대 의견도 여전했다.1971년 7월과 1972년 8월, 그 정권은 두 의 군사 쿠데타[139]도전을 받았다.

1962년 알제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알제리 남서부의 틴두프 지역에서 벌어진 국경 분쟁은 1963년 모래 전쟁이라고 알려진 것으로 확대되었다.분쟁은 아프리카 통일기구의 조정으로 영토 [140]변경 없이 끝났다.

1973년 3월 3일, 하산 2세모로코화 정책을 발표했는데, 모로코화 정책은 50% 이상의 외국 소유 자산, 농경지, 기업(특히 프랑스 소유)을 정치적 충성파 및 고위 [141][142]군 장교에게 이전하는 것이었다.경제의 모로코화는 수천 개의 기업에 영향을 미쳤고 모로코 소유의 산업 기업 비율은 18%에서 55%[141]로 즉시 증가했습니다.모로코 경제 재산의 3분의 2가 모로코 [141]36가구에 집중됐다.

모로코의 중동 분쟁 참여와 서사하라에서의 사건으로 생겨난 애국심이 하산의 인기에 기여했다.국왕은 1973년 [143]10월 아랍-이스라엘 전쟁 발발 후 시나이 전선에 모로코군을 파견했다.비록 그들이 교전하기에는 너무 늦게 도착했지만, 그 행동은 다른 아랍 [citation needed]국가들 사이에서 모로코의 호의를 얻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정부의 관심은 스페인으로부터 서사하라를 인수하는 것으로 돌아섰고, 이 문제는 모든 주요 국내 당사자들이 동의했다.[133]

1980년대 수년간의 불만과 불평등을 겪은 후, 1990년 12월 14일 두 개의 주요 노동조합에 의해 최저임금 인상과 다른 조치를 요구하는 총파업이 소집되었다.페즈에서는 대학생과 청소년이 주도하는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다.학생 중 한 명의 죽음은 시위를 더욱 자극하여 건물, 특히 부의 상징을 불태우고 약탈하는 결과를 낳았다.공식 사망자 수는 5명이지만, 뉴욕타임스는 33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으며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실제 사망자 수는 더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정부는 보안군과 장갑차의 개입에 의한 사망이라는 보도를 부인했다.체포된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은 나중에 풀려났고 정부는 조사를 하고 임금을 올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러한 조치들 중 일부는 회의적인 [144]: 377 [145][146][147]야당에 의해 기각되었다.

서사하라 분쟁(1974년-1991년)

1991년 정전 이후 서사하라의 현상 유지: 대부분은 모로코 지배 하에 있으며(남부 주), 내부 폴리사리오 통제 지역은 사하라 아랍 공화국을 형성하고 있다.

스페인 남부의 이프니 지역은 1969년 모로코의 새로운 주에 속하게 되었지만, 체우타, 멜리야, 그리고 플라자수르케아니아를 포함한 북부의 다른 스페인 영토들은 여전히 스페인의 지배 하에 있었고,[148] 모로코는 그들을 점령지로 간주했다.

1974년 8월, 스페인은 서사하라의 장래 지위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하는 1966년 유엔 결의안을 공식 인정하고, 유엔의 감독하에 국민투표를 실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1975년 10월 유엔 방문단은 압도적으로 많은 사하라 사람들이 독립을 원한다고 보고했다.모로코는 제안된 국민투표에 항의하고 헤이그 국제사법재판소에 이 사건을 제소했다. 헤이그는 모로코와 서사하라 부족들 사이의 역사적 "충성의 유대"에도 불구하고, 자결권에 대한 유엔의 입장을 벗어날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한편 스페인은 국민투표가 실시되지 않더라도 서사하라에 대한 정치적 지배권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했고 스페인 모로코 모리타니는 영토의 미래를 해결하기 위해 3자 회의를 소집했다.스페인은 또한 알제리의 지원을 받는 폴리사리오 [133]전선으로 알려진 사하라 독립 운동과 독립 회담을 열 것이라고 발표했다.

1976년 초, 스페인은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서사하라의 행정권을 양도했다.모로코는 북부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하고 남쪽의 나머지 부분을 모리타니에게 양보했다.사하라 부족 지도자들의 모임은 모로코 주권을 정당하게 인정했다.그러나 부족장들의 이탈이 늘어나자 폴리사리오가 헌법을 제정하고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의 창설을 발표해 [133]망명 정부를 구성했다.

모로코 정부는 결국 서사하라에 전투부대의 상당 부분을 투입해 비교적 규모가 작지만 장비가 잘 갖춰져 있고 기동성이 뛰어나며 지략이 풍부한 폴리사리오 부대와 맞섰다.폴리사리오군은 알제리 기지를 이용해 모로코와 모리타니 깊숙이 있는 목표물에 대한 신속한 공격과 서사하라에서의 작전을 수행했다.1979년 8월, 군사적 손실을 입은 모리타니는 서사하라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폴리사리오와 평화협정을 맺었다.모로코는 그 후 영토 전체를 합병했고 1985년 [133]서사하라의 4분의 3 주위에 2,500km의 모래 소맥을 건설했다.

1988년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전선은 유엔 평화계획에 합의했고 1991년 휴전 및 정착계획이 발효됐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서사하라에 대한 자결 국민투표를 실시하기 위해 평화유지군을 창설했지만 아직 실시되지 않았고, 정기적인 협상은 실패해 영토의 위상은 여전히 해결되지 [133]않고 있다.

폴리사리오 게릴라와의 전쟁은 경제에 심각한 압박을 가했고 모로코는 외교적으로 점점 고립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1990년대의 점진적인 정치 개혁은 1996년의 헌법 개혁으로 절정에 달했고, 이 개혁은 여전히 제한적이긴 하지만 확대된 권력을 가진 새로운 양원제 입법부를 만들었다.1997년 중의원 선거는 [133]부정행위로 얼룩진 것으로 알려졌다.

모하메드 6세 통치(1999년 이후)

1999년 모로코의 하산 2세사망하면서 보다 진보적인 시디 모하메드 왕세자가 모하메드 6세라는 칭호를 쓰며 왕좌에 올랐다.그는 모로코의 근대화를 위해 연속적인 개혁을 실시했고, 모로코의 인권 기록은 [149]눈에 띄게 향상되었다.새 왕의 첫 번째 행동 중 하나는 약 8,000명의 정치범을 석방하고 또 다른 30,000명의 형량을 감형하는 것이었다.그는 또한 정치 활동가 실종자 가족 및 임의 [133]구금 대상자들에게 보상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모로코는 국제적으로 서구와 강한 유대를 유지해 왔다.[150]나라는 미국에 대한 9/11 테러 공격을 규탄한 최초의 아랍과 이슬람 국가 중 하나였다.

2002년 9월, 새로운 입법 선거가 실시되어, 사회주의 인민군 연합(USFP)이 복수 승리를 거두었다.국제 관측통들은 1997년 선거를 괴롭혔던 부정행위의 부재에 주목하면서 이번 선거를 자유롭고 공정하게 보았다.2003년 5월, 아들의 탄생을 기념하여, 왕은 9,000명의 죄수를 석방하고 38,000개의 형량을 감형하라고 명령했다.또한 2003년에는 모든 교육 [133]수준에서 도입되기 전에 초등학교에 베르베르어 교육이 도입되었습니다.2000년 3월, 라바트에서 여성 단체들이 여성의 법적 지위에 대한 개혁을 제안하는 시위를 조직했다.일부다처제 금지민사 이혼법 [151]도입을 요구하며 20만~30만 명의 여성이 참석했다.20만40만 명의 시위 참가자가 몰렸지만 모하메드 국왕에게 큰 영향을 미쳐 2004년 초 여성 인권 [152]운동가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무다와나를 제정했다.

2002년 7월 모로코 해안에서 불과 200미터도 안 되는 곳에 위치한 작은 무인도에 대한 위기가 발생했는데, 모로코인들은 투라 또는 레일라, 스페인은 페레질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미국의 중재를 거쳐 모로코와 스페인은 현 상태로 돌아가기로 합의했으며, 이 상태에서는 이 섬이 [153][154]황폐한 상태로 남아 있다.

아프리카 [155]대륙 최초의 고속철도 서비스인 알보라크.

2003년 5월 이슬람 자살 폭탄 테러범들은 카사블랑카에서 동시에 일련의 장소를 공격하여 45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했다.모로코 정부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탄압으로 대응했고, 결국 수천 명을 체포하고, 1,200명을 기소하고, 약 900명을 선고했다.2004년 6월에 추가 체포가 이어졌다.같은 달, 미국은 모로코가 국제 테러리즘을 저지하려는 노력을 인정받아 모로코를 북대서양조약기구가 아닌 주요 동맹국으로 지정했다.2006년 1월 1일, 미국과 모로코 사이의 포괄적인 양자 자유 무역 협정이 [133]발효되었다.이 협정은 2004년 모로코의 주요 [156]무역 상대국인 유럽연합과 비슷한 협정과 함께 체결되었다.

2011년 2월, 수천 명의 사람들이 라바트와 다른 도시들에서 정치 개혁과 [157]왕의 권력을 제한하는 새로운 헌법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두 달 후 마라케시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해 17명이 사망했는데, 주로 외국인이었다.그것은 모로코에서 8년 만에 가장 치명적인 공격이었다. 카에다의 마그레비 조직은 관련성을 [158][159]부인했다.2011년 7월 모하메드 국왕은 "아랍의 봄"[160] 시위를 진정시키기 위해 제안된 헌법상 국민투표를 도입했다.

2016년 10월 알호세이마의 생선 판매상이 경찰에 압수된 물고기를 회수하려다 쓰레기차에 깔려 숨지는 사건이 발생해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그 시위는 히락 리프 [161][162]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019년 6월 모로코는 베르베르를 공식 [163][164][165]언어로 인정하는 법을 채택하고 있다.2020년 1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이스라엘-모로코 정상화 [166][167]협정의 일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장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Moroccan dynasticshurfa'‐hood in two historical contexts: Idrisid cult and 'Alawid power".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6 (2): 81–94. 2001. doi:10.1080/13629380108718436. S2CID 219626270.
  2. ^ a b Hublin, Jean Jacques (2010). "Northwestern African middle Pleistocene hominids and their bearing on the emergence of Homo Sapiens" (PDF). In Barham, Lawrence; Robson-Brown, Kate (eds.). Human Roots: Africa and Asia in the middle Pleistocene. Bristol, England: Western Academic and Specialist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14 January 2014.
  3. ^ a b Pennell 2003, 페이지 5
  4. ^ a b Pennell 2003, 7~9페이지
  5. ^ Pennell 2003, 9~11페이지
  6. ^ 전통(...)은 9세기 이드리시드 왕조의 모로코 근대 국가의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이 왕조는 고귀한 도시를 세웠습니다.Fes", G Joffe, 모로코: 군주제, 합법성후계, 1988년 제3차 세계 분기
  7. ^ "Fas의 창시자, 그리고 적어도 현대 모로코 국가의 이상적 왕조인 Idrisids," 두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의 모로코 왕조의 슈르파,"아이드리시드 컬트와 알라위드 파워: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제6권, 제2, 2001년 [1]
  8. ^ CBS 뉴스 연감, 1976년, 하몬드 연감, 페이지 783: "알라우 왕조(필라리)는 17세기부터 모로코를 지배해 왔다."
  9. ^ Hans Groth & Alfonso Sousa-Poza, "이슬람 국가의 인구 역학:직소 조립, 2012(ISBN 9783642278815).p.229: "알라우 왕조는 물라이 아르 라시드(1664-1672) 시대부터 모로코를 지배해 왔다."
  10. ^ Joseph L. Derdzinski, "자유화 국가의 내부 보안 서비스:Transitions, Conversion, and (In)Security, 2013년, Ashgate Publishing Ltd.(ISBN 9781409499015).p.47: "아버지 모하메드 5세 사후 1961년 하산은 17세기 이후 모로코에서 알라우파의 통치를 계속했다."
  11. ^ Ghosh, Pallab (7 June 2017). "'First of our kind' found in Morocco". BBC News.
  12. ^ "World's Oldest Manufactured Beads Are Older Than Previously Thought". Sciencedaily.com. 7 May 2009. Retrieved 22 November 2013.
  13. ^ 1984년 D. 루벨마그레브의 구석기 시대 환경과 에피 구석기 경제(기원전 20,000~5000년 경).J.D. Clark & S.A. Brandt (ed.)의 <사냥꾼>에서 <농부>까지: 아프리카 식량 생산의 원인과 결과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페이지 41-56.
  14. ^ J.D. Clark & S.A. Brandt(Ed.)의 마그레브(기원전 20,000~5000년 경)의 루벨라, 환경주의 파이 구석기 경제: 사냥꾼에서 농부까지: 아프리카 버클리 식량 생산의 원인과 결과: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41-56페이지
  15. ^ Nelson, Harold D. (1985). Morocco, a Country Study.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16. ^ Davies, O. (30 October 2014). West Africa Before the Europeans: Archaeology & Prehistory. Routledge. ISBN 978-1-317-60532-4.
  17. ^ "North Africa - Ancient North Africa".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18 July 2020.
  18. ^ "C. Michael Hogan, Mogador: Promontory Fort, The Megalithic Portal, ed. Andy Burnham". Megalithic.co.uk. Retrieved 31 January 2010.
  19. ^ 사바티노 모스카티, 페니키아인, 타우리스, ISBN 1-85043-533-2
  20. ^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 2, From c.500 B.C. to A.D. 1050. Fage, J. 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p. 121. ISBN 9781139054560. OCLC 316278357.{{cite book}}: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21. ^ a b C. Michael Hogan, Chella, The Megalithic Portal, ed.앤디 번햄
  22. ^ Josephy, Alvin M. (6 September 2016). Africa: A History. New Word City. ISBN 978-1-61230-978-1.
  23. ^ Dmitriev, Sviatoslav (May 2003). "Claudius' Grant of Cilicia to Polemo". The Classical Quarterly. 53 (1): 289. doi:10.1093/cq/53.1.286. ISSN 1471-6844.
  24. ^ Fage, J. D.; Clark, John Desmond; Oliver, Roland Anthony (1975).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1592-3.
  25. ^ Hamilton, Richard (27 June 2019). Tangier: From the Romans to The Rolling Stones.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78672-647-6.
  26. ^ 로마 바나사의 자료와 지도
  27. ^ War and Warfare in Late Antiquity (2 vols.): Current Perspectives. BRILL. 19 August 2013. ISBN 978-90-04-25258-5.
  28. ^ Gottreich, Emily (2020). Jewish Morocco : a history from pre-Islamic to postcolonial times. London. ISBN 978-1-83860-361-8. OCLC 1139892409.
  29. ^ a b c Georges Duby, Atlas Historique Mondial, Larouse Ed. (2000), 페이지 220 & 224 (ISBN 27028655)
  30. ^ Abun-Nasr 1987, 페이지 33
  31. ^ Abun-Nasr 1987, 33-34페이지
  32. ^ Abun-Nasr 1987, 페이지 42
  33. ^ G. Deverdun, "Bargawawaaa", Encyclopédie berbér, 9권, Edisud, 1991, 페이지 1360–1361
  34. ^ Pellat, Charles (1991). "Midrār". In Bosworth, C. E.; van Donzel, E. & Pellat, Ch.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VI: Mahk–Mid. Leiden: E. J. Brill. p. 1038. ISBN 978-90-04-08112-3.
  35. ^ Lightfoot, Dale R.; Miller, James A. (1996), "Sijilmassa: The rise and fall of a walled oasis in medieval Morocco" (PDF),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6: 78–101, doi:10.1111/j.1467-8306.1996.tb01746.x,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July 2012, retrieved 10 October 2016
  36. ^ "Northvegr – A History of the Viking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09. Retrieved 10 October 2016.
  37. ^ Hodgson, Marshall (1961), Venture of Isla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262
  38. ^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의 모로코 왕조 슈르파'-idrisid cult와 'Alawid power in: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제6권, 제2호, 2001년 [2]
  39.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Abun-Nasr, Jamil (1987).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37674.
  40. ^ Blankinship, Khalid Yahya (1994). The End of the Jihad State: The Reign of Hisham Ibn 'Abd Al-Malik and the Collapse of the Umayyad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207. ISBN 9780791418277. At this point, the rebels had control of all modern Morocco, most of which was not to see rule by the universal caliphate again.
  41. ^ a b c d e f g Rivet, Daniel (2012). Histoire du Maroc: de Moulay Idrîs à Mohammed VI. Fayard.
  42. ^ a b 이드리스 I, D유스타슈, 이슬람 백과사전 제1권III, E.B.Lewis, V. L. Menage, C. Pellat and J. Schact, (Brill, 1986), 1031.
  43. ^ Eustache, D. (1971). "Idrīsids". In Lewis, B.; Ménage, V. L.; Pellat, Ch. & Schacht, J.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III: H–Iram. Leiden: E. J. Brill. p. 1031. OCLC 495469525.
  44. ^ "Discover Islamic Art - Virtual Museum - object_ISL_ma_Mus01_F_2_en". islamicart.museumwnf.org. Retrieved 25 July 2020.
  45. ^ 이드리시드, D유스타슈, 이슬람 백과사전 제1권III, 1035년
  46.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Eustache, D. (2012). "Idrīsids". In Bearman, P.; Bianquis, Th.; Bosworth, C.E.; van Donzel, E.; Heinrichs, W.P. (eds.).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47. ^ a b c d e Bosworth, Clifford Edmund (2004).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21378.
  48. ^ Huici Miranda, A. (2012). "Ḥammūdids". In Bearman, P.; Bianquis, Th.; Bosworth, C.E.; van Donzel, E.; Heinrichs, W.P. (eds.).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49. ^ Achouar, Amina (2005). Fès, Meknès. Flammarion.
  50. ^ Gaudio, Attilio (1982). Fès: Joyau de la civilisation islamique. Paris: Les Presse de l'UNESCO: Nouvelles Éditions Latines. pp. 123–131. ISBN 2723301591.
  51. ^ Le Tourneau, Roger (1949). Fès avant le protectorat: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Casablanca: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52. ^ Mezzine, Mohamed. "Mulay Idris Mausoleum". Discover Islamic Art, Museum With No Frontiers. Retrieved 6 January 2018.
  53. ^ Empires of Gold Hour Three Season 1 Episode 3 Africa's Great Civilizations, retrieved 22 November 2019
  54. ^ Maxime Rodinson, © AMORAVIDES ©, Encyclopédia Universalis [en ligne], 컨설팅 le 23 octobre 2014.URL : http://www.universalis.fr/encyclopedie/almoravides/
  55. ^ ʻAbd al-Wāḥid Dhannūn Ṭāhā (1998). The Muslim conquest and settlement of North Africa and Spain. Routledge. ISBN 0-415-00474-8. (Google Books 온라인)
  56. ^ Mones(1988), 페이지 119;(1992), 페이지 228.
  57. ^ 르위키(1988), 페이지 160–61;(1992), 페이지 308–09.
  58. ^ M. 브렛과 E.펜트레스(1996), 더 버버스, 옥스퍼드: 블랙웰, 페이지 100. 명백히, 36번째 수라는 "당신은 메신저 중 한 명"이라는 인사와 사람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야 하는 의무감을 시작한다.이븐 야신의 이름 선택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59. ^ a b Shillington, Kevin (2005). History of Afric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88. ISBN 978-0-333-59957-0.
  60. ^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ume 6, Fascicules 107–108. The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1989. p. 592. ISBN 978-90-04-09082-8. Retrieved 1 February 2019.
  61. ^ a b Bennison, Amira K. (2016). The Almoravid and Almohad Empir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62. ^ 세계 전기 사전:중세 - 4페이지
  63. ^ Fleet, Kate; Krämer, Gudrun; Matringe, Denis; Nawas, John; Rowson, Everett (eds.). "Almohads".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ISSN 1873-9830.
  64. ^ Barton, Simon (2009). A History of Spain. London: Palgrave Macmillan. pp. 63–66. ISBN 978-0-230-20012-8.
  65. ^ Gerli, E. Michael (4 December 2013). Medieval Iberia: An Encyclopedia. Routledge. ISBN 978-1-136-77161-3. North African dynasty probably of Berber origin, although they claimed Arab ancestry
  66. ^ Egger, Vernon O. (16 September 2016). A History of the Muslim World since 1260: The Making of a Global Community. Routledge. ISBN 978-1-315-51107-8. and even contrived a family tree to establish their "descent" from a North Arabian tribe
  67. ^ Roger Le Tourneau (8 December 2015). Almohad Movement in North Africa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490–491. ISBN 978-1-4008-7669-3.
  68. ^ Ahmed Khaneboubi (2008). Les institutions gouvernementales sous les Mérinides: 1258-1465. L'Harmattan. ISBN 978-2-296-06644-1.
  69. ^ a b Shatzmiller, M. (1991). "Marīnids". In Bearman, P.; Bianquis, Th.; Bosworth, C.E.; van Donzel, E.; Heinrichs, W.P. (eds.). Encyclopaedia of Islam. Vol. VI (2nd ed.). Leiden, Netherlands: E. J. BRILL. p. 571. ISBN 9004081127.
  70. ^ Powers, David S. (2002). Law, Society and Culture in the Maghrib, 1300-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01. ISBN 978-0-521-81691-5.
  71. ^ Torremocha Silva, Antonio (2006). "The Nasrids of Granada and the Marinids of the Maghrib". In Viguera, Maria Jesús (ed.). Ibn Khaldun: The Mediterranean in the 14th Century : Rise and Fall of Empires. Fundación El legado andalusì. p. 78. ISBN 978-84-96556-34-8.
  72. ^ Fromherz, Allen James (2011). Ibn Khaldun. Edinburgh University Press. p. 16. ISBN 978-0-7486-5418-5.
  73. ^ Abun-Nasr, Jamil M. (1987).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03. ISBN 978-0-521-33767-0.
  74. ^ Idris El Hareir (2011). The Spread of Islam Throughout the World. UNESCO. p. 420. ISBN 9789231041532.
  75. ^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 Marinides ou Mérinides". Larousse.fr. Retrieved 24 February 2014.
  76. ^ C.E. 보스워스, 신 이슬람 왕조, 42세
  77. ^ The Report: Morocco 2009 - Oxford Business Group - Google Boeken. ISBN 9781907065071. Retrieved 24 February 2014.
  78. ^ "An Architectural Investigation of Marrind and Wattasid Fes Medina (674-961/1276-1554), In Terms of Gender, Legend, and Law" (PDF). Etheses.whiterose.ac.uk. Retrieved 24 February 2014.
  79. ^ "An architectural Investigation of Marinid and Watasid Fes" (PDF). Etheses.whiterose.ac.uk. p. 23. Retrieved 24 February 2014.
  80. ^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 Google Boeken. 1987. ISBN 9004082654. Retrieved 24 February 2014.
  81. ^ Shatzmiller, Maya (2000). The Berbers and the Islamic State - Maya Shatzmiller - Google Boeken. ISBN 9781558762244. Retrieved 24 February 2014.
  82. ^ Fairchild Ruggles, D. (25 April 2011). Islamic Art and Visual Culture: An Anthology of Sources - Google Boeken. ISBN 9781405154017. Retrieved 24 February 2014.
  83. ^ "Al- Hakawati". Al-hakawati.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13. Retrieved 24 February 2014.
  84. ^ Bosworth, Clifford Edmund (January 1989).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ume 6, Fascicules 107-108 - Clifford Edmund Bosworth - Google Boeken. ISBN 9004090827. Retrieved 24 February 2014.
  85. ^ Julien, Charles-Andre, Histoire de l'Afrique du Nord, des origines à 1830, Payot 1931, p.196
  86. ^ C.E. Bosworth, 새로운 이슬람 왕조, 페이지 42 에든버러 대학 출판부 1996.ISBN 978-0-231-10714-3.
  87. ^ H. J. 키슬링, 버톨드 스풀러, N. 바버, J. S. 트리밍엄, F. R. C. 배글리, H. 브라운, H. 하텔, 라스트 그레이트 무슬림 제국, BRIL 1997, 페이지 102 [3]
  88. ^ E. George H. Joffé, 북아프리카: 국가, 주, 지역, Routledge 1993, 페이지 19
  89. ^ Michael Peyron, © Dila' : in : Gabriel Camps (dir.) , Encyclopédie berbér – Chp. 15. Edisud 1995 , pp.2340 - 2345 (ISBN 2-85744-808-2)
  90. ^ 코인드로 2006, 페이지 42
  91. ^ 코인드로 2006, 페이지 43
  92. ^ Leïla Maziane (2008). Salé et ses corsaires, 1666-1727 (in French). Publication Univ Rouen Havre. pp. 69–70. ISBN 978-2-87775-832-1.
  93. ^ (프랑스어) Lelala Maziane, sal Salé au XVIE siécle, tere d'asile morisque sur littoral Atlantique marocain, 2009년 제79호 Cahiers de la Méditerrané, no.
  94. ^ (프랑스어) 2009년 9월 1일 르몽드의 라바트/살레, 콩케트 해적 pirate
  95. ^ "Murad Reis", 해적 유토피아, 97페이지, 2009년 9월 30일 회수.
  96. ^ Maziane 2007, 페이지 59
  97. ^ 코인드로 2006, 페이지 48
  98. ^ Coindreau 2006, 페이지 44-45 및 49-50
  99. ^ "이슬람의 계급/사회적 계층화", 모로코의 역사와 저개발, 페이지 43, 2009년 9월 30일 회수.
  100. ^ Roger Coindreau, 2006, 53페이지
  101. ^ "Early Relations Morocco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7 September 2015.
  102. ^ "Dr. Farooq's Study Resource Page". Globalwebpost.com. 20 June 2000. Retrieved 31 January 2010.
  103. ^ 마드리드 1880년 체결된 외교 보호 조약
  104. ^ Flournoy, F. R. (March 1932). "Political Relations of Great Britain with Morocco, From 1830 to 1841". Political Science Quarterly. 47 (1): 27–56. doi:10.2307/2142701. JSTOR 2142701. Retrieved 26 October 2022.
  105. ^ Barnett, Vincent (27 August 2014). Routledge Handbook of the History of Global Economic Thought. Routledge. ISBN 978-1-317-64412-5.
  106. ^ "General Treaty Between Her Majesty and the Sultan of Morocco – EuroDocs". eudocs.lib.byu.edu. Retrieved 5 March 2020.
  107. ^ a b c d e f g h i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08. ^ Gottreich, Emily R. Jewish space in the Moroccan city : a history of the mellah of Marrakech, 1550–1930. p. 54. OCLC 77066581.
  109. ^ Rodrigue, Aron (2003). Jews and Muslims: Images of Sephardi and Eastern Jewries in Modern Time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ISBN 978-0-295-98314-1.
  110. ^ 프랭크 E.송어, Guir-Zousfana 강 유역에 있는 모로코의 경계, in: 아프리카 역사 연구, 제3권, 제1호(1970), 37-56페이지, Publ.보스턴대 아프리카연구센터=알제리-모로카 분쟁은 1890년대 알제리 행정부와 군이 모로코 제국의 일부였던 사하라 오아시스의 상당 범위인 투아트-구라-티디켈트의 합병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모로코 제국의 부속지로 남동쪽 약 750km에 걸쳐 사하라 사막으로 돌출되어 있다.
  111. ^ 프랭크 E.송어, 모로코의 사하라 국경, 드로즈(1969), 페이지 24 (ISBN 9782600044950): 구라-투아-티디켈트 복합체는 프랑스가 알제리에 도착하기 전 수 세기 동안 모로코의 지배하에 있었다.
  112. ^ Trout, Frank E. (1969). Morocco's Saharan Frontiers. Librairie Droz. ISBN 978-2-600-04495-0.
  113. ^ Furlong, Charles Wellington (September 1911). "The French Conquest Of Morocco: The Real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Trouble". The World's Work: A History of Our Time. XXII: 14988–14999. Retrieved 10 July 2009.
  114. ^ 데니스 브로간, 현대 프랑스의 발전, 1870-1939 (1940) 392–401.
  115. ^ 김문홀랜드, 모로코에 대한 라이벌 접근:델카세, 리아우테이, 알제리-모로칸 국경, 1903~1905년.프랑스 역사연구 5#3(1968): 328~343.
  116. ^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5.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17. ^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6.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18. ^ الخديمي, علال, 1946-.... (2009). الحركة الحفيظية أو المغرب قبيل فرض الحماية الفرنسية الوضعية الداخلية و تحديات العلاقات الخارجية : 1912-1894. [د. ن.] OCLC 929569541.{{cite book}}: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19. ^ H. Z(J. W.) Hirschberg (1981). A history of the Jews in North Africa: From the Ottoman conquests to the present time / edited by Eliezer Bashan and Robert Attal. BRILL. p. 318. ISBN 978-90-04-06295-5.
  120. ^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8.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21. ^ 국제사법재판소 판결 레퍼토리(1947년-1992년), P.453
  122. ^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84.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23. ^ De Azevedo, Raimondo Cagiano(1994) 이행개발 협력..유럽 평의회, 페이지 25ISBN 92-871-2611-9.
  124. ^ Albert Habib Hourani, Malise Ruthven (2002)."아랍 민족의 역사"하버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323ISBN 0-674-01017-5
  125. ^ Othen, Christopher (2013). Franco's international brigades : adventurers, fascists, and christian crusaders in the Spanish Civil War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ed.). New York. ISBN 978-0-231-70425-0. OCLC 794366388.
  126. ^ Sánchez Pérez, Andrés (1973). "Adbelkrim" (PDF). Revista de Historia Militar. Madrid: Ministerio de Defensa. XVII (34): 123. ISSN 0482-5748.
  127. ^ a b Wolf, Anne (2018). "Morocco's Hirak movement and legacies of contention in the Rif".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Routledge. 1–6: 2. doi:10.1080/13629387.2018.1538188. ISSN 1362-9387. S2CID 149496054.
  128. ^ Nelson, Harold D. (1985). Morocco, a Country Study.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129. ^ "Morocco (10/04)". U.S. Department of State. Retrieved 27 May 2020.
  130. ^ HOFFMAN, KATHERINE E. (2010). "Berber Law by French Means: Customary Courts in the Moroccan Hinterlands, 1930-1956".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52 (4): 851–880. doi:10.1017/S0010417510000484. ISSN 0010-4175. JSTOR 40864899.
  131. ^ Maghraoui, Driss (8 August 2014). "The goumiers in the Second World War: history and colonial representation". The Journal of North African Studies. 19 (4): 571–586. doi:10.1080/13629387.2014.948309. ISSN 1362-9387. S2CID 144080194.
  132. ^ "زيارة محمد الخامس لطنجة.. أغضبت‭ ‬فرنسا وأشعلت‭ ‬المقاومة". Hespress (in Arabic). 31 July 2013. Retrieved 29 August 2019.
  133. ^ a b c d e f g h i j k l 이 인용 섹션에 사용된 텍스트는 원래 다음과 같습니다.의회 도서관 국가 연구 프로젝트의 모로코 프로필.
  134. ^ Ghostarchive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135. ^ Burns, Jennifer. "Revolution of the King and the People in Morocco, 1950–1959: Records of the U.S. State Department Classified Files". Retrieved 28 October 2016.
  136. ^ "Muḥammad V sultan of Morocco".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 February 2018.
  137. ^ 랭거의 세계사 백과사전 1288쪽.
  138. ^ "Constitutional history of Morocco". ConstitutionNet. Retrieved 17 April 2022.
  139. ^ "Reign of Hassan II". globalsecurity.org/. 22 May 2020.
  140. ^ P. Mweti Munya (1999). "The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and Its Role in Regional Conflict Resolution and Dispute Settlement: A Critical Evaluation". Boston College Third World Law Journal. pp. 556–557.
  141. ^ a b c Miller, Susan Gilson. (2013). A history of modern Morocco.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84. ISBN 9781139624695. OCLC 855022840.
  142. ^ "Marocanisation : Un système et des échecs". Aujourd'hui le Maroc (in French). Retrieved 17 July 2019.
  143. ^ CIA Intelligence Report (September 1975). "The 1973 Arab-Israeli War. Overview and Analysis of the Conflict" (PDF). CIA Library Reading ro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January 2017. Retrieved 22 February 2019.
  144. ^ Rivet, Daniel (2012). Histoire du Maroc: de Moulay Idrîs à Mohammed VI. Fayard.
  145. ^ Reuters (17 December 1990). "33 Dead in 2-Day Riot in Morocco Fed by Frustration Over Economy (Published 1990)".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10 January 2021.
  146. ^ "5 Die, 127 Hurt as Worst Riots in 7 Years Sweep Morocco City". Los Angeles Times. 16 December 1990. Retrieved 10 January 2021.
  147. ^ Bidwell, Robin (1998). "Fez Riots (1990)". Dictionary Of Modern Arab History. Routledge. p. 146. ISBN 9780710305053.
  148. ^ "Ceuta, Melilla profile". BBC News. 14 December 2018. Retrieved 19 March 2021.
  149. ^ "Mohamed VI, King of Morocco".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Gale. 2007.
  150. ^ Schmickle, Sharon (17 December 2010). "The Kaplans in Morocco: Distinctive duo realizing a dream as they live politics and protocol 24/7". MinnPost. Retrieved 22 November 2013.
  151. ^ "Moroccans and Women: Two Rallies". The New York Times. 13 March 2000. Retrieved 22 November 2013.
  152. ^ "Moroccan feminist groups campaign to reform Moudawana (Personal Status Code/Islamic family law), 1992–2004 Global Nonviolent Action Database". Nvdatabase.swarthmore.edu. Retrieved 22 November 2013.
  153. ^ "Europe Solution to island dispute 'closer'". BBC News. 19 July 2002. Retrieved 22 November 2013.
  154. ^ "Battle of Parsley Island ends". The Daily Telegraph. 20 July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22. Retrieved 22 November 2013.
  155. ^ 2019-11-21T15:37:00+00:00. "Africa's first high speed line covers its cost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Retrieved 27 November 2020.
  156. ^ Directorate-General for Trade (2022). "Southern Neighbourhood: EU trade relations with its Southern Neighbourhood. Facts, figures and latest developments". European Commission. Retrieved 20 October 2022.
  157. ^ "Thousands in Morocco march for rights". The Independent. 20 March 2011. Retrieved 13 April 2022.
  158. ^ "Morocco: Marrakesh bomb strikes Djemaa el-Fna square". BBC News. 28 April 2011. Retrieved 13 April 2022.
  159. ^ "Moroccan court hands down harsher sentences for cafe bombers". France 24. 10 March 2012. Retrieved 13 April 2022.
  160. ^ "Morocco approves King Mohammed's constitutional reforms". BBC News. 2 July 2011. Retrieved 13 April 2022.
  161. ^ "Morocco profile - Timeline". BBC News. 24 April 2018. Retrieved 13 April 2022.
  162. ^ Masbah, Mohammed (7 November 2017). "A New Generation of Protests in Morocco? How Hirak al-Rif Endures". Arab Reform Initiative.
  163. ^ "Morocco adopts law confirming Berber as official language ". AW. Retrieved 18 April 2022.
  164. ^ "Morocco adopts law confirming Berber as official language". Al Arabiya English. 11 June 2019. Retrieved 18 April 2022.
  165. ^ "Morocco adopts law confirming Berber as official language". Arab News. Retrieved 18 April 2022.
  166. ^ "U.S. Relations With Morocc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Retrieved 18 April 2022.
  167. ^ Kestler-D'Amours, Jillian. "US recognised Morocco's claim to Western Sahara. Now what?". www.aljazeera.com. Retrieved 18 April 2022.

참고 문헌

  • Abun-Nasr, Jamil M.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1987,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ISBN 9780521337670.
  • 챈들러, 제임스 A. "스페인과 그녀의 모로코 보호국, 1898–1927", 현대사 저널 10(1975년 4월): 301–22.
  • 페넬, C. R. 모로코 1830년 이후: A History,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ISBN 9780814766774
  • 페넬, C. R. 모로코: '엠파이어에서 독립까지, Oneworld Publications, 2013'ISBN 9781780744551(미리보기)
  • 스텐너, 데이비드모로코의 글로벌화: 초국가적 행동주의와 포스트 식민지 국가(Stanford UP, 2019).온라인 리뷰
  • 테라세, 앙리모로코의 역사, 에드아틀란티데스, 1952년
  • 울먼, 데이비드.Rif의 반란군: Abd-el-Krim과 Rif의 반란 (Stanford UP, 1967년)

프랑스어

  • 데이비드 벤수상, Il etait un fois le Maroc : témoignages du passé judéo-marocain, Ed. du Lys, 2010.ISBN 2-922505-14-6.
  • 베르나르 루간, 히스토아르마록, 에드페린, 2000년ISBN 2-262-01644-5
  • 미셸 아비볼, 히스토아르 뒤 마록, 에드Perrin, 2009.ISBN 978226202388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