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리아의 정착지 목록

List of settlements in Illyria

일리리아인(다르다니아인, 리부니인, 판노니아인), 베네치아인, 로마인, 켈트인,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또는 일리리아인 땅이나 근처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는 일리리아에 정착한 목록이다. 일리리아와 후에 일리리리쿰에 있는 많은 도시들이 비록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지만, 이미 존재하는 일리리아 정착지의 유적지나 가까운 곳에 건설되었다. 어떤 정착지는 이중으로 들어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 폴라, 로마 피에타스 줄리아, 그리고 일부 토포니들은 재건된다.

알바니아

식별된 사이트

알바니아에서 확인된 장소와 거주지.
# 결산[note 1] 거주 위치 지리 좌표 Ref.
1 애드 아크로세라우니아 로가라 고개 근처 40°16′52″N 동경 19도 27도 20도 / 40.28111°N 19.45556°E / 40.28111; 19.45556 (Ad Acroceraunia) [1]
2 애드 퀸텀 브라다셰시 41°05′38″N 20°00′54″E / 41.09389°N 20.01500°E / 41.09389; 20.01500 (Ad Acroceraunia) [2]
3 아크로리소스, 리서스 레저 41°46′58″N 19°38′38″E / 41.78278°N 19.64389°E / 41.78278; 19.64389 (아크로리소스) [3]
4 아만티아 플록스 40°22′37″N 19°42′0″E / 40.37694°N 19.700°E / 40.37694; 19.70000 (아만티아) [1]
5 아폴로니아 포잔 40°44′2″N 19°27′46″E / 40.73389°N 19.46278°E / 40.73389; 19.46278 (아폴로니아) [1]
6 알론 벨러르 주 트리포트 곶 40°28′0″N 19°29′0″E / 40.46667°N 19.48333°E / 40.46667; 19.48333 (아울론) [4]
7 베라트 베라트 40°42′0″N 19°57′0″e / 40.700°N 19.95,000°E / 40.70000; 19.95000 (베랏) [5]
8 부샤트 부샤트 41°58′1″N 19°31′59″e / 41.96694°N 19.53306°E / 41.96694; 19.53306 (부샤트) [6]
9 벨리스 헤칼 40°32′25″N 동경 19도 44도 15도 / 40.54028°N 19.73750°E / 40.54028; 19.73750 (빌리스) [7]
10 디말레 크로티너 40°42′59″N 동경 19도47도49도 / 40.71639°N 19.79694°E / 40.71639; 19.79694 (다이메일) [8]
11 전염병 듀러스 41°18′40″N 19°26′21″E / 41.3111°N 19.43917°E / 41.31111; 19.43917 (에피담노스) [9]
12 가지탄 가지탄 42°3′23″N 19°34′20″E / 42.05639°N 19.57222°E / 42.05639; 19.57222 (가잔) [10]
13 카니너 카니너 40°26′23″N 19°31318″E / 40.43972°N 19.51889°E / 40.43972; 19.51889 (카니너) [11]
14 크라툴 크라툴 42°7′22″N 19°343430′E / 42.12278°N 19.57500°E / 42.12278; 19.57500 (크라툴) [10]
15 쿠커스 쿠커스 42°4′51″N 20°25′12″e / 42.08083°N 20.42000°E / 42.08083; 20.42000 (쿠커스)
16 로프켄트 로프켄트 40°38′28″N 19°444445″E / 40.64111°N 19.74583°E / 40.64111; 19.74583 (히자코빗) [12]
17 히자 에 코빗 말리크 40°42′30″N 20°42′0″E / 40.70833°N 20.700°E / 40.70833; 20.70000 (히자코빗) [13]
18 마르겔리크스 마르겔리크스 40°40′19″n 동경 19도 39도 40도 / 40.67194°N 19.66111°E / 40.67194; 19.66111 (마르겔리츠) [11]
19 매트 매트 41°37′1″N 20°0′0″0″E / 41.61694°N 20.00000°E / 41.61694; 20.00000 (Mat)
20 마토하사나지 마토하사나지 40°21′14″N 19°49′59″e / 40.35389°N 19.83306°E / 40.35389; 19.83306 (마토하마나즈) [14]
21 니카이아 클로스 40°31′44″N 동경 19도45도7도 / 40.52889°N 19.75194°E / 40.52889; 19.75194 (니카이아) [15]
22 님파온 (산소) 셀레니케 40°31′59″N 19°37′59″E / 40.53306°N 19.63306°E / 40.53306; 19.63306 (암페어온(산소)) [16]
23 님파온(항구) 상진 41°48′50″N 19°35′39″e / 41.81389°N 19.59417°E / 41.81389; 19.59417 (Nymphaion(항구)) [15]
24 올림프 마브로버 40°24′32″N 19°35′28″e / 40.40889°N 19.59111°E / 40.40889; 19.59111 (올리엠페)
25 오리콘 오리쿰 40°19′23″N 동경 19도 27도 7도 / 40.32306°N 19.45194°E / 40.32306; 19.45194 (오리콘) [17]
26 팔래스트 팔라세 40°9′54″N 19°373730′E / 40.16500°N 19.6mechyoE / 40.16500; 19.62500 (팔레스트) [18]
27 페르스코피 티라나 41°19′44″N 19°49′4″e / 41.32889°N 19.81778°E / 41.32889; 19.81778 (페르스코피)
28 포그라데크 포그라데크 40°54′0″N 20°39′0″E / 40.90000°N 20.65000°E / 40.90000; 20.65000 (포그라데크)
29 라비제 라비제 40°28′55″N 19°56′21″E / 40.48194°N 19.93917°E / 40.48194; 19.93917 (라비제) [19]
30 레돈 로돈 곶 41°35′2″N 19°27′0″E / 41.58389°N 19.45000°E / 41.58389; 19.45000 (Redon)
31 스캄파 엘바산 41°6′40″N 20°4′51″E / 41.1111°N 20.08083°E / 41.11111; 20.08083 (Scampa)
32 셀커 이 포슈트메 셀커 이 포슈트메 40°58′59″N 20°31′1″E / 40.98306°N 20.51694°E / 40.98306; 20.51694 (셀커 e Poshtme) [20]
33 스코드라 슈코더르 42°4′1″N 19°30′0″e / 42.06694°N 19.500°E / 42.06694; 19.50000 (스코드라) [21]
34 트렌드 트렌드 40°39′58″N 21°0′0″E / 40.66611°N 21.00000°E / 40.66611; 21.00000 (트렌) [22]
35 즈거르데슈 즈거르데슈 41°28′23″N 19°48′54″E / 41.47306°N 19.81500°E / 41.47306; 19.81500 (제너드헤쉬) [6]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알바노폴리스 즈거르데슈 [23]
안티파트레아 베라트 [24]
바굴룸속 베라트 [25]
바사니아 페다너 또는 부샤트 [26]
보아오이 오흐리드 해안에서 [27]
흐리손돈 [28]
크레오니온 [28]
데마스티온 [29]
앵클라나과 오흐리드 해안에서 [30]
게르투스 [28]
케락스 오흐리드 해안에서 [27]
파르투스 베라트 [31]
펠리온 오흐리드프레스파 인근 [32]
Sation 오흐리드 해안에서 [27]
세사레토스 오흐리드프레스파 인근 [33]
트론니온 카니너 [34]
우스카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식별된 사이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장소와 정착지를 확인했다.
# 결산[note 2]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아두바 브란두크 44°17′34″N 17°54′14″E / 44.29278°N 17.90389°E / 44.29278; 17.90389 (아두바) [35]
2 도슨 스톨락 근처 43°4′59″N 17°58′0″E / 43.08306°N 17.96667°E / 43.08306; 17.96667 (도슨) [36]
3 델미늄 토미슬라브그라드 43°43′0″N 17°14′0″E / 43.71667°N 17.2333°E / 43.71667; 17.23333 (델미늄) [37]
4 헤덤 카스텔룸 브레자 44°1′11″N 18°15′53″e / 44.01972°N 18.26472°E / 44.01972; 18.26472 (헤덤 카스텔룸)
5 오샨지치 스톨락 오샨지치 43°5′24″n 17°56′24″E / 43.09000°N 17.94000°E / 43.09000; 17.94000 (오샨지치치) [38]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살비아 보산스코 그라호보 인근 [39]

크로아티아

식별된 사이트

크로아티아의 장소와 정착지를 확인했다.
# 결산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아이노나 44°14′0″N 15°11′0″E / 44.2333°N 15.18333°E / 44.23333; 15.18333 (에노나) [40]
2 아에쿠움 치틀루크 근처 43°45′0″N 16°38′0″E / 43.75000°N 16.63333°E / 43.75000; 16.63333 (에쿠움) [41]
3 알보나 라빈 45°5′0″N 14°7°0°E0″ / 45.08333°N 14.11667°E / 45.08333; 14.11667 (알보나) [42]
4 안데트리움 무치 43°41′26″N 16°29′2″e / 43.69056°N 16.48389°E / 43.69056; 16.48389 (안데트리움) [43]
5 압소루스 오소르 44°42′0″N 14°24′0″E / 44.700°N 14.40000°E / 44.70000; 14.40000 (압소러스)
6 아르바 44°45′22″n 14°45′40″E / 44.75611°N 14.76111°E / 44.75611; 14.76111 (아르바)
7 아르기룬툼 스타리그라드 44°17′43″N 15°26′17″E / 44.29528°N 15.43806°E / 44.29528; 15.43806 (Argyruntum)
8 아스팔라토스 분할 43°30′36″n 16°27′0″E / 43.51000°N 16.45000°E / 43.51000; 16.45000 (아스팔라토스) [44]
9 아세리아 팟그레이지 근교 44°0′36″n 15°40′4″e / 44.01000°N 15.66778°E / 44.01000; 15.66778 (아세리아)
10 버넘 키스탄제 인근 44°1′5″N 16°1′33″e / 44.01806°N 16.02583°E / 44.01806; 16.02583 (버넘) [45]
11 콜렌툼 베티나 근처 43°49′22″N 15°36′17″E / 43.82278°N 15.60472°E / 43.82278; 15.60472 (색상)
12 코리늄 벤코바크 근처 44°06′16″N 15°38′01″E / 44.10444°N 15.63361°E / 44.10444; 15.63361 (코리늄) [46]
13 크레파스 크레스 44°57′36″N 14°24′29″E / 44.96000°N 14.40806°E / 44.96000; 14.40806 (크렙사)
14 퀴리쿰 크르크 45°1′0″N 14°34′0″E / 45.01667°N 14.56667°E / 45.01667; 14.56667 (쿠리쿰)
15 에피튬 스토브레치 43°29′58″N 16°31′20″E / 43.49944°N 16.52222°E / 43.49944; 16.52222 (에페튬)
16 전염병 카브타 42°34′46″N 18°13′15″E / 42.57944°N 18.22083°E / 42.57944; 18.22083 (에페튬) [47]
17 플라노나 플로민 45°8′16″N 14°10′51″e / 45.13778°N 14.18083°E / 45.13778; 14.18083 (플라노나) [48]
18 메스비눔 오미샬지 근방 45°12′42″N 14°33′15″E / 45.21167°N 14.55417°E / 45.21167; 14.55417 (코리늄) [49]
19 이데르 또는 이다사 자다르 44°7′10″N 15°13′55″E / 44.11944°N 15.23194°E / 44.11944; 15.23194 (Iader)
20 잇사 비스 43°4′0″N 16°11′0″E / 43.06667°N 16.18333°E / 43.06667; 16.18333 (이사) [50]
21 롭시카 스베티 주라즈 44°55′32″N 14°55′8″e / 44.92556°N 14.91889°E / 44.92556; 14.91889 (롭시카)
22 룸바르다 룸바르다 42°55′19″N 17°10′12″e / 42.92194°N 17.17000°E / 42.92194; 17.17000 (룸바르다)
23 멜라이나 코키라 코르쿨라 42°57′0″N 17°7°0°E / 42.95000°N 17.11667°E / 42.95000; 17.11667 (멜라이나 코키라) [50]
24 무르사 오시젝 45°33′20″N 18°41′40″E / 45.556°N 18.6944°E / 45.55556; 18.69444 (머사)
25 나로나 모미치 43°2′47″N 17°35′55″e / 43.04639°N 17.59861°E / 43.04639; 17.59861 (나로나) [51][52]
26 네디눔 나딘 44°4′27″N 15°29′53″e / 44.07417°N 15.49806°E / 44.07417; 15.49806 (네디눔)
27 네작티움속 네작티움속 44°55′0″N 13°58′11″E / 44.91667°N 13.96972°E / 44.91667; 13.96972 (네작티움) [53]
28 파로스 흐바르 43°8′0″N 16°44′0″E / 43.1333°N 16.73333°E / 43.13333; 16.73333 (파로스) [54]
29 폴라 풀라 44°52′0″n 13°51′0″E / 44.86667°N 13.85000°E / 44.86667; 13.85000 (폴라) [50]
30 포르투나타 노발자 44°33′0″N 14°53′0″e / 44.55,000°N 14.88333°E / 44.55000; 14.88333 (포르투나타)
31 프로모나 테플주 43°54′0″N 16°12′0″e / 43.90000°N 16.20000°E / 43.90000; 16.20000 (프로모나) [55]
32 살로나 솔린 43°32′22″N 16°28′59″E / 43.53944°N 16.48306°E / 43.53944; 16.48306 (살로나) [56][57]
33 세니아 센지 44°59′25″N 14°54′11″E / 44.99028°N 14.90306°E / 44.99028; 14.90306 (세니아)
34 틸루륨 니어 트릴지 43°36′41″N 16°42′57″E / 43.61139°N 16.71583°E / 43.61139; 16.71583 (틸루륨) [39]
35 트라구리온 또는 트라고륨 트로기르 43°31′1″N 16°15′5″e / 43.51694°N 16.25139°E / 43.51694; 16.25139 (추적) [58]
36 바르바리아 브리비르 43°44′0″N 15°51′0″E / 43.733°N 15.85,000°E / 43.73333; 15.85000 (바바리아)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나레스테 오미시 근교 [59]
원룸 오미시 [59]
피툰튬 포드스트라나 [59]
살로니아어 이모츠키
세토비아 신즈 [39]
타리오나 [60]

코소보

식별된 사이트

코소보에서 확인된 장소와 정착촌.
# 결산[note 3]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다르다노룸 시 소카니커 43°3′17″N 20°48′36″E / 43.05472°N 20.81000°E / 43.05472; 20.81000 (다르다노룸 시) [61]
2 로마주 로마주 42°17′31″N 20°35′34″e / 42.29194°N 20.59278°E / 42.29194; 20.59278 (로마주) [62]
3 부사바테 부사바테 42°34′49″N 21°32′36″E / 42.58028°N 21.54333°E / 42.58028; 21.54333 (부사바테) [63]
4 울피아나 울피아나 42°35′47″N 21°10′31″e / 42.59639°N 21.17528°E / 42.59639; 21.17528 (다르다노룸 시) [64]
5 빈데니스 글람니크 42°51′58″N 21°10′59″e / 42.86611°N 21.18306°E / 42.86611; 21.18306 (빈데니스) [65]
6 블라스너 블라스너 42°12′09″N 20°39′45″E / 42.20250°N 20.66250°E / 42.20250; 20.66250 (Vlashnje)
7 토파니커 토파니커 42°31′25″N 21°38′23″E / 42.52361°N 21.63972°E / 42.52361; 21.63972 (토파니커) [66]
8 두보브크 두보브크 42°46′37″N 20°54′37″E / 42.77694°N 20.91028°E / 42.77694; 20.91028 (Dubovc) [67]
9 다르다나 요새 카메니카 42°35′33″N 21°33′49″E / 42.59250°N 21.56361°E / 42.59250; 21.56361 (다르다나 요새) [68]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테란다 수하레카 또는 프리즈렌

몬테네그로

식별된 사이트

몬테네그로에서 확인된 장소와 거주지.
# 결산[note 4]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아크루비움 코토르 42°25′48″N 18°46′12″E / 42.43000°N 18.77000°E / 42.43000; 18.77000 (아크루비움) [69]
2 안데르바, 엔데론 니키시치 42°46′40″N 18°57′00″E / 42.778°N 18.95000°E / 42.77778; 18.95000 (안데르바) [70]
3 부토이 버드바 42°17′16″N 18°50′35″e / 42.28778°N 18.84306°E / 42.28778; 18.84306 (Buthoe) [6]
4 도클레아 포드고리차 42°28′5″N 19°15′54″e / 42.46806°N 19.26500°E / 42.46806; 19.26500 (도클레아) [6]
5 고스티일지 고스티일지 42°29′13″N 18°41′56″E / 42.48694°N 18.69889°E / 42.48694; 18.69889 (고스티일즈)
6 유성 메둔 42°28′23″N 19°212143″E / 42.47306°N 19.36194°E / 42.47306; 19.36194 (메톤) [6]
7 42°22′59″N 19°08′13″E / 42.38306°N 19.13694°E / 42.38306; 19.13694 [6]
8 페라스트 페라스트 42°29′13″N 18°41′56″E / 42.48694°N 18.69889°E / 42.48694; 18.69889 (페스트)
9 리존 리산 시 42°30′54″n 18°41′21″E / 42.51500°N 18.68917°E / 42.51500; 18.68917 (리존) [6]
10 사모보르 사모보르 42°18′44″N 19°21′53″e / 42.3122°N 19.36472°E / 42.31222; 19.36472 [6]
11 스타라 그라디나 스타라 그라디나 42°49′41″N 19°17°13°E / 42.82806°N 19.28694°E / 42.82806; 19.28694 [6]
12 울키니온 울신지 41°55′12″N 19°12′0″e / 41.92000°N 19.200°E / 41.92000; 19.20000 (울키니온) [6]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키나 젬 강을 따라 [70]

북마케도니아

식별된 사이트

북마케도니아에서 장소와 정착지를 확인했다.
# 결산[note 5]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리치니도스 오흐리드 41°7′0″N 20°48′0″E / 41.11667°N 20.80000°E / 41.11667; 20.80000 (리크니도스)
2 오에네온, 오에네움 테토보 42°0′0″0″N 20°58′0″E / 42.00000°N 20.96667°E / 42.00000; 20.96667 (오에네온)
3 스쿠피 스코프제 42°0′59″n 21°23′31″E / 42.01639°N 21.39194°E / 42.01639; 21.39194 (스쿠피) [71]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데마스티온

세르비아

식별된 사이트

# 결산[note 6] 설명 위치 지리 좌표 Ref.
1 나비소스, 나이소스 니슈 43°19′16″N 21°53′44″E / 43.32111°N 21.89556°E / 43.32111; 21.89556 (나비소스) [72][73]

미확인 사이트

결산 설명 제안위치 Ref.
데마스티온

일리리아 정착촌

리버니아 도시

정맥 도시

로마의 도시들

로마 이탈리아 지방의 아주 작은 부분에는 이스트리아가 포함되어 있었다.

잘못 배치됨

  • 프톨레마이오스가 리수스-네이수스 노선에 배치한 테르미다바. 토폰어(toponym)는 아마도 현대 연구의 대부분의 학자들이 오늘날 세르비아의 바나트 근처에 위치한 정착지를 잘못 읽은 것일 것이다.[86]
  • 다르다니아의 프로코피우스가 언급한 퀘메다바.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2.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3.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4.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5.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6. ^ 이탤릭체: 고대 이름들은 매력적이지 않다.

참조

  1. ^ a b c 윌크스 2000, 페이지 750.
  2. ^ 드 마테이스 2017, 페이지 12
  3. ^ Wilkes 2000, 페이지 750, 753; Shpuza 2014, 페이지 106.
  4. ^ 윌크스 2000, 페이지 751; 파파도풀로스 2016, 페이지 437.
  5. ^ 진델2018, 페이지 278, 280.
  6. ^ a b c d e f g h i j 슈푸자 2017, 페이지 42.
  7. ^ 윌크스 2000, 페이지 751.
  8. ^ Wilkes 2000, 페이지 752; Muka & Heinzelmann 2014, 페이지 223.
  9. ^ 윌크스 2000, 페이지 752.
  10. ^ a b 슈푸자 2014, 페이지 106.
  11. ^ a b 세카 & 세카 2017 페이지 492.
  12. ^ Bejko 2015, 페이지 4; Zindel 2018, 페이지 375–376.
  13. ^ Zindel 2018, 페이지 375–376.
  14. ^ 세카 & 세카 2017, 페이지 490.
  15. ^ a b 윌크스 2000, 페이지 754.
  16. ^ Wilkes 2000, 페이지 754, Bejko2015, 페이지 4; Papadopulos 2016, 페이지 440, Larson 2001, 페이지 162.
  17. ^ 윌크스 2000, 페이지 754; 파파도풀로스 2016, 페이지 437.
  18. ^ Ceka 2011, 페이지 100–101; Wilkes 2012, "장소: 481942 (Palaeste)".
  19. ^ 세카 2012 페이지 59-60.
  20. ^ 윌크스 2000, 페이지 755.
  21. ^ 윌크스 2000, 페이지 755; 슈푸자 2017, 페이지 42.
  22. ^ 윌크스 1992 페이지 18.
  23. ^ 윌크스 2000, 페이지 750, 슈푸자 2017, 페이지 42.
  24. ^ Cabanes 2002, 페이지 35 ( 메시오비치 & 샤치치치 2015, 페이지 47; 진델 2018, 페이지 278, 280.
  25. ^ 케카 2009년 페이지 17
  26. ^ 샤셀 코스 2005, 페이지 286; 나우카 W 폴스체 2018.
  27. ^ a b c Jaupaj 2019, 페이지 75.
  28. ^ a b c Cabanes 2002, 페이지 35 ( 메시오비치 & 샤치치치 2015, 페이지 47.
  29. ^ Wilkes 1992, 페이지 223; Wilkes & Fischer-Hansen 2004.
  30. ^ Jaupaj 2019, 74-75페이지.
  31. ^ 케카 2009, 페이지 7; 샤셀 코스 2005, 페이지 282.
  32. ^ Winnifrith 2002, 페이지 282; Cabanes 2002, 페이지 35 메시오비치 & 샤치치치 2015, 페이지 47.
  33. ^ Ujes 2002 페이지 106.
  34. ^ 윌크스 2000, 페이지 758; 파파도풀로스 2016, 페이지 439.
  35. ^ 슈페체비치, 알렉산다르, 일리리아-역사문화, 1974년, 노이스 프레스
  36. ^ 달마티아: 1970-2001년 로마 주에서의 연구: 데이비드 데이비슨, 빈센트 가프니, 에밀리오 마린, 2006년 21페이지의 "완전히 헬레네이션된 마을"에 의한 J. J. 윌크스 추모 논문들.
  37. ^ 윌크스 1992, 페이지 188
  38. ^ 보슈코 2011, 페이지 177.
  39. ^ a b c Wilkes 1992 페이지 190.
  40. ^ S. 차체, 브로지 리번스키 오피치나 이 제로도스토지노스트 플리니자(Nat. history 3, 130; 139–141), 라도비 필로조프스코그 파쿨테타 우 자드루(32, Zadru, 1993), 페이지 1~36
  41. ^ 프린스턴 고전 유적지 백과사전(eds) 리처드 스틸웰, 윌리엄 L. 맥도날드, 마리안 홀랜드 맥칼리스터), "AEQUM(치틀룩) 크로아티아, 유고슬라비아. 로마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아에쿰은 신즈의 6km N에 위치해 있었다. 서기 45년 이후 어느 시기에 황제 클라우디우스가 창설한 것으로 레조 7세의 퇴역군인들이 모시아를 위해 틸루륨에 있는 이웃 진영을 떠나면서 정착했다."
  42. ^ J. J. Wilkes의 달마티아, 1969년, 194페이지, "아우구스투스 초기까지 알루트렌세스 알보나의 거주자들.."
  43. ^ 샤셀 코스 & 코스 2020: "안데트리움"
  44. ^ Wilkes 1992 페이지 100.
  45. ^ 프린스턴 고전 유적지 백과사전(eds) 리처드 스틸웰, 윌리엄 L. 맥도날드, 마리안 홀랜드 맥칼리스터), "BUNUM(키스탄제의 이보셰비시) 크로아티아, 유고슬라비아.E 강둑의 달마시안 언덕 요새 바로 맞은편 크르카(티티우스) 강 협곡 위에 위치한 레조 12세 클라우디아 피델리스의 군영.."
  46. ^ 샤셀 코스 & 코스 2017, 장소: 197225 (코리늄); 바겐돈: 벨리브 오피덤: 엘시 M. 클리포드 – 1961 – "바겐돈 사이트 1장"의 1954-56 – 1페이지의 발굴 기록. "코리늄의 식별... 로마 코리늄에 의해 불려졌다."
  47. ^ 1992년 윌크스 페이지 216
  48. ^ 달마티아 by J. J. Wilkes, 1969, 195 페이지 "플라보나에서는 원주민들이 잘 자리를 잡았고 1세기 이탈리아 정착의 효과에 더 잘 맞섰다.."
  49. ^ 샤셀 코스 & 코스 2019, 장소: 197280(풀피늄/페르티늄); 로마 마을의 고고학: 존 S를 기리기 위한 연구. 워커, ISBN1-84217-103-8페이지 235 J. S. Wacher, Peter R. 2003년 윌슨, "그 보상은 로마의 식민지와 새로운 정착민들의 유입으로, 카이사르가 메스비니움에서 직접 [...]와 남쪽의 메스비니움에서 부여한 것이었다."
  50. ^ a b c Wilkes & Fischer-Hansen 2004.
  51. ^ 옥스포드주니어날은 "기원전 2세기부터 현지에 '폴라' '지금의 피에타스 줄리아'라는 엠포리온이나 교역소가 있었다.."
  52. ^ 로마군, 기원전 31년-AD 337: 출처집 –출처집 – J. B. 캠벨, ISBN 0-415-07173-9, 1994년 "나로나의 민간인 식민지는 카이사르의 독재 말기에 세워졌다.."
  53. ^ 윌크스 1992 페이지 183.
  54. ^ 윌크스 1992 페이지 114.
  55. ^ Wilkes 1992, 페이지 197.
  56. ^ Excavations at Salona, Yugoslavia, 1969–1972: conducted for the Department of Classics, Douglass College, Rutg, by Christoph W. Clairmont, 1975, ISBN 0-8155-5040-5, page 4, "If we are correct in our interpretation of the earliest finds from Salona, the emporion, even if very small, was a settlement in a strategic position..."
  57. ^ 케임브리지 고대사, 앨런 K의 제10권. 보우만, 에드워드 참플린, 앤드류 린토트(845쪽) "달마티아 해안의 살로나 식민지는 목성 옵티머스 막시무스의 제단을 헌정하는 데 거의 동일한 공식을 사용했다.."
  58. ^ 크로아티아, 2위: 브래드 여행 가이드 크로아티비 피어스 레처, 2005 ISBN 1-84162-113-7, 225페이지, "..." 히스토리 트로기르는 기원전 3세기에 시작되었는데, 그리스 식민지인 이스사(Vis)의 오프슛인 트라구리온으로서..."
  59. ^ a b c 달마티아 by J. J. Wilkes, 1969년 페이지 227 "이 지역에는 델마태 피툰티움(팟스트라나) 나레스테(제네시체)와 원음(오미스)의 세 작은 공동체가 있었다.."
  60. ^ Miletich 2008, 페이지 61, Catani 2008, 페이지 77.
  61. ^ 윌크스 1992 페이지 258.
  62. ^ 셔머, 슈크리우 & 데스카즈 2011 페이지 236.
  63. ^ Alaj 2019, 페이지 41.
  64. ^ 공동체의 로마군: Adrian Keith Goldsworth, Ian Haynes, Colin E. P. Adams, ISBN 1-887829-34-2, 1997, 100페이지.
  65. ^ Fjalor encikovedik shqiptar, Akademia e Shkencave e Shqiperriser, Tiraner, 2009, fq. 2870 – 2871. ISBN 978-9956-10-32-6
  66. ^ Alaj 2019, 페이지 51.
  67. ^ Alaj 2019, 페이지 65.
  68. ^ Alaj 2019, 페이지 91.
  69. ^ a b c Wilkes 1992 페이지 213.
  70. ^ a b 윌크스 1996, 페이지 577.
  71. ^ 공동체로서의 로마군은 아드리안 키스 골드스워디, 이안 헤인즈, 콜린 P. 아담스, ISBN 1-887829-34-2, 1997페이지 39, "도미티아누스 사망 후 원래의 호칭인 도미티아나의 식민지를 잃은"...에서 열린 회의 문서를 포함한다.."
  72. ^ "Nis, Brita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13. Retrieved 2009-08-25.
  73. ^ 로마 이전의 발칸 부족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트리발리, 아우티리아어... 파눌라 파파조글루 편 1978년, 페이지 198, "...푸팅거 테이블"은 나이수스에서 40마일 떨어진 아우이엘리안이 세운 나이수스에 표시한다.."
  74. ^ 고전적 관보: 윌리엄 헤이즐릿이 1851년에 쓴 "일리아에 있는 카비이 마을"의 신성하고 불경스러운 고대 지리 사전이다.
  75. ^ 케임브리지 고대사, 제8권: 로마와 지중해에서 기원전 133년까지 A. E. Astin, ISBN 0-521-23448-4, 1990, 페이지 92
  76. ^ J. J. Wilkes의 달마티아 1969년 페이지 216에 "시드리니 도시 시드로나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다.
  77. ^ a b c d 플리니 자연사, 제3권 (C. 플리니 세쿤디 자연사, 리버 III), 제23장 (19.) – 이스트리아, 그 사람들과 지역성."이 지방에서는 해안에서 사라져 버렸다.베네치아에 속하는 이라메네, 펠라온, 팔사티움, 아티나와 실리나 "
  78. ^ Talbert, Richard J. A. (8 October 2000). Barrington atlas. ISBN 06910494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0-12. Retrieved 2016-10-04.
  79. ^ "Titi Liv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29. Retrieved 2010-02-23.
  80. ^ a b "MARU´SI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29. Retrieved 2010-02-23.
  81. ^ a b c 프톨레마이오스
  82. ^ 달마티아: 1970~2001년 로마주 연구: J.J. 108쪽 데이비드 데이비슨, 빈센트 L. 가프니, J. 윌크스, 에밀리오 마린, ISBN 1-84171-790-8, 2006년 "예를 들어 아르바의 마을 벽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건설되었다.."
  83. ^ 로마 마을의 고고학: 존 S를 기리기 위한 연구. 워커, 237페이지 J. S.워커, 피터 R. 윌슨 ISBN 1-84217-103-8, 2003년 "리버니아의 로마 섬 마을들은 아르바였다.."
  84. ^ 루드비히 프리들러에 의한 초기 제국의 생활과 예의 302쪽 1965년 "클라우디우스는 쿠메, 쾰른, 달마티아에 있는 시쿰, 영국의 카물로두눔에 퇴역 군인들을 정착시켰다..."
  85. ^ 로마 이전의 발칸 부족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트라이벌리, 아우트라리아에 ... 파눌라 파파조글루 편 1978년, 250페이지, "달마티아 내륙의 마을, 스코드라와 시파룬툼 사이에 위치한다.
  86. ^ Lepper 1988, 페이지 138:Stuart Jones는 Lissus Naissus 도로에 있는 Dacian - 소리 나는 장소 - 이름 'Thermidava'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것에 대한 증거는 Miller col. 557을 참조하라. 그 장소는 아마도 '테란다'라고 불렸을 것이고, 지금은 친로마인 데이키아의 그곳에 정착할 증거가 없고, 그럴 가능성도 별로 없다. (..)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우리가 이제 다뉴브 강 북쪽에 있다고 가정해 왔으며, 그 지역 주민들이 근친상간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하고 있는 바나트 지역 어딘가에 있다.y는 'liberty'을 얻었다.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