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K/UMASS 역
JFK/UMass stationJFK/UMASS | |||||||||||||||||||||||||
---|---|---|---|---|---|---|---|---|---|---|---|---|---|---|---|---|---|---|---|---|---|---|---|---|---|
2013년 브레인트리 분기 플랫폼 남행 열차 | |||||||||||||||||||||||||
일반 정보 | |||||||||||||||||||||||||
위치 | 옛 콜로니 가 599번지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
좌표 | 42°19′14″N 71°03′09″W/42.32058°N 71.05239°W좌표: 42°19′14″N 71°03′09″W / 42.32058°N 71.05239°W | ||||||||||||||||||||||||
회선 | 올드 콜로니 간선 애슈몬트 지점 브라인트리 분점 | ||||||||||||||||||||||||
플랫폼 | 측면 플랫폼 1개(Commuter 레일) 2개의 섬 플랫폼(레드 라인) | ||||||||||||||||||||||||
트랙스 | 1 (커머터 레일) 4 (빨간색 선) | ||||||||||||||||||||||||
연결 | ![]() ![]() | ||||||||||||||||||||||||
건설 | |||||||||||||||||||||||||
자전거 시설 | 랙 사용 가능 | ||||||||||||||||||||||||
액세스 사용 안 함 | 네 | ||||||||||||||||||||||||
다른 정보 | |||||||||||||||||||||||||
운임존 | 1A(커머터 레일) | ||||||||||||||||||||||||
역사 | |||||||||||||||||||||||||
열린 | 1927년[1] 11월 5일 | ||||||||||||||||||||||||
리빌드 | 1988년[1] 12월 14일 | ||||||||||||||||||||||||
이전 이름 | 컬럼비아 (1927–1982) | ||||||||||||||||||||||||
승객 | |||||||||||||||||||||||||
2018 | 일일 362회 탑승[2](커머터 레일) | ||||||||||||||||||||||||
2019 회계연도 | 매일 8,012개의 보딩[3](레드 라인) | ||||||||||||||||||||||||
서비스 | |||||||||||||||||||||||||
| |||||||||||||||||||||||||
|
JFK/UMASS 역은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도체스터의 컬럼비아 포인트 지역에 인접한 매사추세츠 베이 교통국(MBTA) 간 환승역이다.MBTA 통근철도의 그린부시 선, 킹스턴/플리머스 선, 미들버러/레이크빌 선, 그리고 3개의 MBTA 버스 노선이 운행한다.그 역은 존 F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케네디 대통령 도서관과 박물관, 그리고 보스턴 매사추세츠 대학교 둘 다 콜롬비아 포인트 근처에 위치해 있다.
JFK/UMASS 역에는 레드 라인의 애쉬몬트 지선과 브라인트리 지선의 4개 선로와 2개 섬 승강장이 있으며, 통근 철도의 1개 선로와 1개 측 승강장이 있다.레드라인 플랫폼 위의 대기실과 요금 로비는 컬럼비아 로드, 시드니 스트리트, 역의 동쪽에 있는 버스 전용도로와 도보로 연결되어 있다.그 역은 충분히 갈 수 있다.역 북쪽, 복합 콜럼비아 분기점은 시내 터널과 카봇 야드 선로 두 레드 라인 지선과 연결된다.
구식민지철도는 1845년에 이 지역을 통해 처음 개통되었으며, 크레센트 애비뉴 역은 1868년에 개통되었다가 1883년에 다시 건설되었다.보스턴 고가 철도는 1925년 캠브리지-도체스터 터널의 도체스터 연장선에 콜롬비아 역을 건설하기 시작했다.크레센트 애비뉴 역은 1927년 7월에 문을 닫았고, 콜롬비아 역은 11월 5일에 문을 열었으며, 1929년에 추가 도보 다리가 추가되었다.컬럼비아 역은 1971년에 시작된 사우스 쇼어(Braintree Branch)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은 없지만 1970년에 현대화되었다.UMASS Boston은 1974년에 Columbia Point로 이사했고, Kennedy Library는 1979년에 문을 열었다; 그 역은 1982년에 JFK/UMASS로 개칭되었다.1987-88년의 리노베이션은 브레인트리 지사를 위한 플랫폼을 추가했다.1959년에 마지막으로 운영되었던 구 식민지 지역의 통근 철도 서비스는 1997년에 재개되었다.그러나 JFK/UMASS의 플랫폼은 2001년에야 개통되었다.
역사
구식민지철도와 베리
1845년, 올드 콜로니 철도가 보스턴과 매사추세츠 플리머스 사이에 개통되었다.[4]1868년 11월 2일 크레센트 애비뉴에 역이 개설되었다.[5]그 창고 건물은 1883년에 교체되었다.[6]
1920년대 초, 보스턴 고등철도(BERY)는 쇼무트 분기를 넘어 아슈몬트까지 케임브리지-도체스터 터널을 연장하는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올드 콜로니(Old Colony)를 계승한 뉴욕, 뉴 헤이븐, 하트포드 철도(Hartford Railway)는 쇼무트 분점을 BERY에 매각하였고, 1926년 9월 6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크레센트 애비뉴와 사빈힐의 간선역들은 공사하는 동안 개방되어 있었다.[8]크레센트 애비뉴 역은 최종 공사를 위해 1927년 7월 15일에 폐쇄되었고 그 직후 철거되었다.[9][10]
크레센트 애비뉴는 주로 서쪽에 있는 주택가들을 서비스하는 콜롬비아 역으로 대체되었다.[11]이 역은 길이가 300피트(91m)이고 폭이 다양한 20~25피트(6.1~7.6m)의 단일 섬 플랫폼으로, 전체 길이 철근 콘크리트 캐노피로 덮여 있었다.[8]미래의 기수들이 6량 열차를 필요로 할 경우 남쪽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되었다.[11]역의 입구는 컬럼비아 로드 고가도로였다. 도체스터 익스텐션의 다른 역들과 마찬가지로 붉은 사암과 콩코드 화강암 장식이 있는 직사각형의 붉은 벽돌 구조였다.헤드하우스의 지붕과 승강장 계단, 캐노피 등은 모두 구리로 번쩍였다.요금 통제는 본사에 있었고, 승강장에는 대기실이 있었다.그 역은 윌리엄 D에 의해 설계되었다. 오스틴.[8]
역의 건설은 1925년 컬럼비아 로드 다리의 재건과 함께 시작되었다.[12]역 승강장은 1926년 중반에 지어졌다.[8]1927년 5월에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 역은 사빈 힐과 필드 코너 이전에 개통될 가능성 때문에 다음 몇 달 동안 완공되었다.[9]이 세 정거장은 결국 1927년 11월 5일에 함께 문을 열었다.[1][9]
1928년 11월, BERY는 Crescent Avenue의 시드니 스트리트에서 두 번째 역 입구를 건설하기 시작했다.기차역의 남쪽 끝에 있는 남행 선로 위에 도다리가 세워졌고, 요금 통제는 승강장의 짧은 연장선에 위치해 있었다.[13]1929년 3월 18일에 새로운 입구가 열렸으며, 5월에 이르러서는 42%의 승객들이 역에서 이용하게 되었다.[14][15]1938년 말, 도로는 주차 구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선로 위로 동쪽으로 확장되었다.[16][17]
MBTA 시대
뉴 헤이븐 철도는 1959년에 올드 콜로니 노선의 통근 서비스를 종료했지만, 콜럼비아를 경유하여 애쉬몬트로 가는 지하철 서비스는 계속되었다.1965년 7월 28일, MBTA는 복도를 따라 새로운 고속 철도 노선을 건설하기 위해 뉴 헤이븐 철도사와 옛 식민지 간선인 포트 포인트 채널에서 사우스 브라인트리까지 11마일(18km)을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이 노선은 2년 안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18]1965년 8월 26일 케임브리지-도체스터 노선은 1964년 이 제도를 인수한 매사추세츠베이 교통국(MBTA)에 의해 리브랜딩의 일환으로 레드 라인으로 개칭되었다.[1]
1967년, MBTA는 역 현대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콜롬비아에 대한 수정은 1970년에 일어났다.[19]남쪽으로 연장하면 6량 열차(887년까지 운행되지 않음)를 탈 수 있을 만큼 승강장이 길어졌다.[1]원래의 벽돌 본관은 1970년 2월 20일 개관한 평탄한 콘크리트 본관으로 교체되었고, 승강장 대합실은 철거되었다.[20][21]도보교도 교체됐다.[20]1971년 남부 해안 지점(Braintree 지점보다 작음)이 문을 열었다.기차는 콜롬비아 동쪽에 있는 두 개의 새로운 선로를 이용했다; 그들은 퀸시와 보스턴 사이의 이동 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 멈추지 않았다.[1]
콜럼비아 포인트 개발은 1954년에 역의 남동쪽에 문을 열었고, 주택 개발의 주민들은 1962년 도시 쓰레기 매립지의 폐쇄를 확보했고, 이로 인해 한반도가 개발에 개방되었다.MBTA의 사우스 쇼어 분기점 정차 거부에도 불구하고 컬럼비아 역의 기수들은 빠르게 성장했다.[6]: 80 1970년대에 컬럼비아 포인트에 문을 연 세 가지 주요 개발 - 1974년 UMASS 보스턴 캠퍼스, 존 F. 1979년 케네디 대통령 도서관과 박물관, 그리고 베이사이드 엑스포 센터는 역의 중요성을 증가시켰다.[22][6]: 80 1982년 12월 2일, 캠퍼스와 도서관을 거쳐 JFK/UMASS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21]콜럼비아는 일련의 역 이름 변경의 일환으로 1985년에 2차 명칭으로 다시 추가되었다.[23]컬럼비아 로드 다리 수리는 1982년 초부터 1983년 1월 10일까지 북쪽 입구를 폐쇄했다.[21]
1980년 1월 MBTA는 제2의 플랫폼을 포함한 100만 달러 규모의 역 개보수 공사가 1982년에 완료될 것임을 시사했다.[24]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논란이 되었다; 사빈 힐 역 근처의 주민들은 대신 브레인트리 분기 열차가 사빈 힐과 JFK/UMASS 둘 다에 정차하도록 그쪽으로 가는 비행기를 원했다.주 관리들은 이 비행로가 제2 승강장보다 훨씬 더 비쌀 것이며, 사빈 힐에 비해 사우스 쇼어 기수들이 JFK/UMASS로 5배나 더 많이 타고 있다고 주장했다.[25][26]1987년 7월 16일 1,350만 달러 프로젝트의 기공식이 열렸다.[21][6]승강장 중앙에는 대형 대합실과 요금통제 로비가 세워졌는데, 서쪽으로는 시드니 가까지, 동쪽으로는 새로운 버스전용도로가 설치되었다.1970년대 컬럼비아 로드 입구는 출구 전용이 되었고, 로비에 인접한 다리도 추가되었다.남쪽 보도교는 새 승강장과의 연결로 개조되어 출구 전용이 되었다.도보교 동부는 철거되고 그 자리에 직원 건물이 들어섰다.[20]1988년 12월 14일 브라인트리 지부 승강장이 개통되어 모든 레드라인 열차가 개보수된 역에서 정차할 수 있게 되었다.[1][6]그 개조 작업에는 양쪽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가 포함되어 있어서 역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27][28][29]
미들버러/레이크빌 및 플리머스/킹스턴 노선의 통근 철도 서비스는 1997년 9월에 복구되었다.[1]MBTA는 처음에 JFK/UMASS에 정차를 포함시킬 계획이 없었다; 1996년 11월에야 그 기관이 플랫폼 구축에 동의했다.[30]2000년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1년 4월 30일부터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1][30]간선 통근 열차가 역에 정차한 것은 1927년 이후 처음이다.몇몇 러시아워 그린부시 선 열차가 2007년에 그 노선의 복구와 동시에 멈추기 시작했다.[1]그러나 역이 다른 복선 노선의 병목현상에 있기 때문에 평일 통근 열차가 모두 정차하는 것은 아니다.더 제한적인 일정으로 운행되는 주말 열차는 모두 역에 정차한다.2012년 1월에 발표된 개념계획은 역을 통과하는 두 번째 통근 철도를 복원하여 더 많은 열차가 정차할 수 있게 할 것이다.[31]
JFK/UMASS 역은 MBTA가 계획한 어반 링 프로젝트의 제안된 중단점이었다.[32]어반 링은 시내 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현재의 MBTA 노선을 연결하도록 설계된 버스 급행열차(BRT) 노선이 될 예정이었다.2008년 계획에 따르면, 어반 링은 기존 버스 도로에 1베이 전용 BRT 플랫폼을 가지고 콜롬비아 로드를 통해 역에 접근할 것이다.[33]이 프로젝트는 2010년 1월에 취소되었다.[34]2012년과 2013년에 MBTA는 인근 지역의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이미 10대 이상의 보안 카메라를 정거장에 설치했다.[35]역 개선안은 2015년 철회된 2024년 올림픽 유치의 일환으로 2014년 제안됐다.[36]
2019년 6월 11일 JFK/UMASS 역 바로 북쪽에서 레드라인 열차가 탈선해 인근 컬럼비아 분기점을 통제하는 신호 장비 3채가 파손됐다.적색선은 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3개월 동안 시간당 10대의 열차(일반적인 13-14호 대신)로 제한되었다.[37][38]2019년 9월 25일 풀서비스가 재개되었다.[39]2020년 1월 29일, 컬럼비아 로드와 역 동쪽 사이의 계단은 수리를 위해 운행이 중단되었다.[40]보스턴 대학교 교수 데이비드 K.존스는 2021년 9월 11일 아직 폐쇄된 계단(보존레크리에이션부 소유)의 실종 구간을 지나 추락해 사망했다.[41][42]
측점 배치도
측점 배치도 | ||||||||||||||||||||||||||||||||||||||||||||||||||||||||||||||||||||||||||||||||||||||||||||||||||||||||||||||||||||||||||||||||||||||||||||||||||||||||||||||||||||||||
---|---|---|---|---|---|---|---|---|---|---|---|---|---|---|---|---|---|---|---|---|---|---|---|---|---|---|---|---|---|---|---|---|---|---|---|---|---|---|---|---|---|---|---|---|---|---|---|---|---|---|---|---|---|---|---|---|---|---|---|---|---|---|---|---|---|---|---|---|---|---|---|---|---|---|---|---|---|---|---|---|---|---|---|---|---|---|---|---|---|---|---|---|---|---|---|---|---|---|---|---|---|---|---|---|---|---|---|---|---|---|---|---|---|---|---|---|---|---|---|---|---|---|---|---|---|---|---|---|---|---|---|---|---|---|---|---|---|---|---|---|---|---|---|---|---|---|---|---|---|---|---|---|---|---|---|---|---|---|---|---|---|---|---|---|---|---|---|---|
|
JFK/UMASS 역은 코스시우스코 서클 부근의 컬럼비아 로드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간 93번 고속도로는 남서로, 모리스시 대로는 동쪽에 있다.레드 라인은 역에 4개의 선로와 2개의 섬 승강장이 있다; 서쪽 승강장은 애쉬몬트 지점이, 동쪽 승강장은 브라인트리 지점이 운행한다.[43] (이 특이한 구성은 원래 브라인트리 지점이 역에 정차하지 않도록 한 결정의 결과)[6][31]레드 라인 동쪽은 통근 철도 3개 노선이 이용하는 단일 선로로, 동편에는 높은 수준의 사이드 플랫폼이 있다.[43]선로 동쪽에 왕복 2차선 버스전용차로, 하차차선, 광장 등이 위치해 있다.[20]
대기실과 요금 로비가 레드라인 승강장 가운데에 위치해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양쪽 승강장으로 연결되어 있다.로비는 북쪽으로는 컬럼비아 로드 브리지, 서쪽으로는 시드니 스트리트, 동쪽 광장에 경사로 구조물을 통해 연결된다.출구 전용 계단은 레드 라인 플랫폼의 북쪽 끝에서 컬럼비아 로드까지, 남쪽 끝에서 크레센트 애비뉴의 시드니 스트리트까지 이어진다.[20]북행 적색선 열차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랫폼에 도착하기 때문에, 로비에 자동 조명이 켜진 표지판은 다음 북행 열차가 어느 플랫폼에 도착할 것인지를 알려준다.[31]
역의 북쪽은 콜롬비아 분기점이라고 불리는 복잡한 레드 라인 연동이다.보스턴 시내에서 출발하는 2개의 선로는 JFK/UMASS역에서 북쪽으로 약 0.4마일(0.6km) 떨어진 도체스터 애비뉴 밑 터널을 빠져나와 비행 분기점이 있는 4개의 선로로 갈라진다.이 분기점은 브로드웨이 인근 지표면에 위치한 주요 레드라인 정비시설인 카봇 야드에서 2야드 리드를 연결하기도 한다.[43][31]정거장 남쪽, 브라인트리 분기점 선로는 긴 비행로를 통해 통근 철로 위를 가로지른다.[43]이 비행은 1993년 12월 MBTA 선로 노동자인 Milton DeVaughn에게 바쳐졌다. 그는 MBTA 작업 열차의 바퀴 아래에 떨어져 사망했다.[44]
2012년 1월, 주 중앙 교통 계획 담당자는 JFK/UMASS 역을 완전히 재정비하는 동남 고속도로 확장에 대한 개념 계획을 발표했다.4개의 레드라인 선로는 하나의 섬 플랫폼을 공유하는 2개의 선로로 통합될 것이며, 이것은 별도의 플랫폼에 도착하는 북행 레드라인 열차의 어색함을 없앨 것이다.아슈몬트와 브레인트리 지점 사이의 갈라진 부분이 역의 바로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컬럼비아 접점이 간소화될 것이다.이를 통해 두 번째 통근 철도 선로가 역을 통과하게 되어, 더 많은 통근 열차가 그곳에 정차할 수 있게 되고, 구 식민지 선과 그린부시 선의 주요 병목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31]
M | 메자닌 | 레드 라인 요금 제어, 플랫폼 간 교차 |
P 플랫폼 레벨 | 사이드 플랫폼 | |
통근자 | 〇 남역방향 MBTA 통근철도 (터미널미너스) MBTA 통근철도 남쪽(퀸시센터) 방향 → 〇 케이프플라이어는 여기서 멈추지 않음 → | |
북행 | ← 알레아(안드류)를 향한 레드 라인 | |
섬 플랫폼 | ||
남부행 | 브레인트리(북퀸시)를 향한 레드라인 → | |
북행 | ← 알레아(안드류)를 향한 레드 라인 | |
섬 플랫폼 | ||
남부행 | 애슈몬트 방향 레드라인(사빈힐 방향) → | |
G | 거리 수준 | 출구/출입구, 버스 |
버스 연결
콜럼비아는 환승역으로서 건설되지 않았다; 전차, 그리고 나중에는 버스 노선이 대부분 앤드루와 필즈 코너를 운행했다.역까지의 버스 운행은 1954년 컬럼비아 포인트 개발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고, 1974년 UMass 캠퍼스가 문을 열면서 증가하였다.[1]1988년 개보수는 역의 동쪽에 전용 2차선 버스 도로를 추가했다.[20][29]이 역은 다음과 같은 3개의 MBTA 버스 노선이 운행한다.[45]
개인적으로 운영되는 셔틀버스가 역과 UMass 캠퍼스를 연결하고 존 F를 연결한다. 케네디 도서관.[45]
계획된 트랙 작업과 계획되지 않은 사고 모두 서비스 중단 동안 JFK/UMASS는 종종 Red Line 지점의 버스의 종착역으로 사용된다.[1]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Belcher, Jonathan. "Changes to Transit Service in the MBTA district" (PDF).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 ^ Central Transportation Planning Staff (2019). "2018 Commuter Rail Counts".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 ^ "A Guide to Ridership Data". MassDOT/MBTA Office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novation. June 22, 2020. p. 8.
- ^ Karr, Ronald Dale (1995). The Rail Lines of Southern New England. Branch Line Press. pp. 310–315. ISBN 0942147022.
- ^ Jacobs, Warren (October 1928). "Dates of Some of the Principal Events in the History of 100 Years of the Railroad in New England. 1826-1926". Railway and Locomotive Historical Society Bulletin. Railway and Locomotive Historical Society. 17 (17): 15–28. JSTOR 43504499.
- ^ a b c d e f Cheney, Frank (2002). Boston's Red Line: Bridging the Charles from Alewife to Braintree. Arcadia Publishing. pp. 77–80. ISBN 9780738510477.
- ^ "GETS PERMISSION TO CLOSE STATIONS: N. Y., N. H. & H. Abandons Shawmut Branch Sept 6 Commission Rules It Necessary to Complete New Service". Boston Daily Globe. August 27, 1926. p. 13 – via Newspapers.com.
- ^ a b c d Boston Transit Department (1927).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for the Year ending December 31, 1926. City of Boston. pp. 31-32, 36–37 – via Internet Archive.
- ^ a b c Boston Transit Department (1928).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for the Year ending December 31, 1927. City of Boston. pp. 26, 28, 33 – via Internet Archive.
- ^ "State Approves Closing of Crescent-Av Station". Boston Globe. July 19, 1927. p. 28 – via Newspapers.com.
- ^ a b "First Station Completed on Dorchester Rapid Transit". Electric Railway Journal. McGraw-Hill Company. 70 (11): 428. 10 September 1927 – via Internet Archive.
- ^ Boston Transit Department (1926).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for Eleven Months ending December 31, 1925. City of Boston. pp. 35–36 – via Internet Archive.
- ^ Boston Transit Department (1929).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for the Year ending December 31, 1928. City of Boston. pp. 28–29 – via Internet Archive.
- ^ Boston Transit Department (1930). Report of the Transit Department for the Year ending December 31, 1929. City of Boston. p. 55 – via Internet Archive.
- ^ "Novel entrance to Columbia station". Co-operation. Vol. 8, no. 5. Boston Elevated Railway. May 1929. pp. 67–68.
- ^ "Columbia Station overpass to parking area". Boston Elevated Railway. December 23, 1938 – via Historic New England.
- ^ Twentieth Annual Report of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Boston Elevated Railway Company for the Year Ending December 31, 1938. Boston Elevated Railway. 1939. pp. 21-22 – via Internet Archive.
- ^ Carr, Robert (July 29, 1965). "MBTA Buys Old Colony Line For a South Shore Express". The Boston Globe – via Newspapers.com.
- ^ Sixth Annual Report.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1970. pp. 12, 18 – via Internet Archive.
- ^ a b c d e f O'Regan, Gerry (2005). "MBTA Red Line". nycsubway.org. Retrieved February 23, 2020.
- ^ a b c d Sanborn, George M. (1992). A Chronicle of the Boston Transit System.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 via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 Malone, M.E. (September 27, 1986). "Planned Red Line stop expected to give easier access to UMass area". The Boston Globe. p. 18 – via Newspapers.com.
- ^ Crocket, Douglas S. (July 27, 1985). "T board votes to change the names of some stations". Boston Globe. p. 26 – via Newspapers.com.
- ^ Richard, Ray (January 26, 1980). "A Better Day for Columbia Point / 'New' Columbia Point". The Boston Globe. pp. 1, 12 – via Newspapers.com.
- ^ Crocket, Douglas S. (June 28, 1984). "MBTA board approves contract for new North Station trestle". The Boston Globe. p. 27 – via Newspapers.com.
- ^ Crocket, Douglas S. (May 19, 1984). "MBTA says Savin Hill sign was removed as 'hazardous'". The Boston Globe. pp. 17, 20 – via Newspapers.com.
- ^ Tran Systems and Planners Collaborative (August 24, 2007). "Evaluation of MBTA Paratransit and Accessible Fixed Route Transit Services: Final Report" (PDF).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 ^ Operations Directorate Planning Division (November 1990). "Ridership and Service Statistics" (3 ed.).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pp. 1–4 – via Internet Archive.
- ^ a b "New JFK/UMass T station opens". The Boston Globe. December 15, 1988 – via Newspapers.com.
- ^ a b Kahn, Ric (July 1, 2001). "T trains bypass new JFK stop". The Boston Globe City Weekly. pp. 1, 9 – via Newspapers.com. (두 번째 페이지, 세 번째 페이지)
- ^ a b c d e Central Transportation Planning Staff (January 2012). "Improving the Southwest Expressway: A Conceptual Plan" (PDF). Boston Region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 ^ "Urban Ring Phase 2 FACT SHEET" (PDF). Massachusetts Executive Office of Transportation. Jan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July 2011.
- ^ "Conceptual alignments, profiles, station locations, and typical sections" (PDF). The Urban Ring Phase 2: Revised Draft Environmental Impact Report/Statement. Massachusetts Executive Office of Transportation. Nov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28, 2013. Retrieved 19 July 2011.
- ^ Mullan, Jeffery B. (January 22, 2010). "Re: Urban Ring Phase 2, EOEEA #12565" (PDF). Massachusetts Executive Office of Energy and Environmental Affairs.
- ^ Feathers, Todd (January 30, 2013). "MBTA installs 50 surveillance cameras at JFK/UMass Red Line stop to fight crime in area". The Boston Globe. Retrieved February 23, 2020.
- ^ Levenson, Michael; Dungca, Nicole (January 10, 2015). "Revenue to dictate difficult choices on Olympic transit projects". The Boston Globe. Retrieved February 23, 2020.
- ^ "Plans to Accelerate Red Line Signal Repairs"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June 21, 2019.
- ^ Stout, Matt; Siu, Diamond Naga (June 21, 2019). "T says Red Line reduced schedule to last through summer". The Boston Globe.
- ^ "Completion of Red Line Signal Repairs" (Press releas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25, 2019.
- ^ "Alerts: Commuter Rail".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January 29,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 2020.
- ^ Fortier, Marc (September 13, 2021). "BU Professor Dies After Apparent Fall From Stairs Near MBTA Station in Boston". NBC Boston. Retrieved September 14, 2021.
- ^ MilNeil, Christian (September 14, 2021). "BU Professor Dies On Crumbling DCR Staircase In Dorchester". Streetsblog Massachusetts.
- ^ a b c d "Ridership and Service Statistics" (PDF) (14th ed.).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4.
- ^ "T worker dies following accident". The Boston Globe. December 4, 1993 – via Newspapers.com.
- ^ a b "System Map".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JFK/UMASS 방송국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MBTA - JFK/UMASS
- Google 지도 스트리트 뷰: 컬럼비아 로드 입구, 시드니 스트리트 입구, 시드니 스트리트 출구, 동쪽 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