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H. 후버

John H. Hoover
존 하워드 후버
Admiral John H. Hoover.jpg
닉네임"조니", "제너럴 존"
태어난(1887-05-15)1887년 5월 15일
미국 오하이오 세빌
죽은1970년 12월 2일(1970-12-02) (83)
미국 워싱턴 D.C.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 미국 해군
근속년수1903–1948
순위US Navy O10 infobox.svg 제독
보유된 명령포워드 지역 중부 태평양
캐리어 디비전 4
태스크포스 57 태평양 피트
마리아나스퍼시픽 볼
캐리비안 해 프론티어
해군 제10구
전투/와이어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수상네이비 크로스
공로훈장(3)

존 하워드 후버(John Howard Hoover, 1887년 5월 15일 ~ 1970년 12월 2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몇몇 국기 지휘권을 가진 미 해군 제독으로, 체스터 W. Nimitz 휘하의 중부 태평양 지역 지휘권을 가장 두드러지게 가지고 있었다.[1]후버는 태평양전쟁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니미츠가 신뢰하는 사람 중 하나가 되었다.[2]

후버 제독은 1944-45년 마리아나 제도에서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초 헤비 폭격기 부대가 증축되는 동안 태평양 연안 지역의 포워드 지역 사령관을 지냈다.[3]

초기 경력

존 H. 후버는 1887년 5월 15일 오하이오 세빌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후버와 클라우디아 아이린(크로포드) 브라운의 아들로 태어났다.그는 몬태나주 아델에서 자랐고 1903년 여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로 발령받았다.아카데미에 있는 동안 '조니'라는 별명을 얻었고 콕스웨인 팀에서 활동했다.[4]

후버는 미래의 영사관 아우구스틴 T와 같은 반이었다. 보어가드, 패트릭 N. L. 벨린저, 해롤드 M. 베미, 리처드 S. 에드워즈, 로버트 C 기펜, 펠릭스 X. Gygax, Henry K. 휴이트, 조나스 H. 잉그램, 랜달 제이콥스, 클라우드 A. 존스, 어니스트 D. 맥워터, 앨버트 C 레딩,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로버트 A. 테오발트.[5]

1907년 6월 6일 과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하자, 그는 보호 순양함 USS 시카고에 중간 선원을 통과하면서 애착을 갖게 되었고, 이후 경 순양함 USS 체스터로 옮겨져 미국 동부 해안을 따라 운항하게 되었다.후버는 그 배에 승선하는 동안 1908년 9월 13일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4]

그는 1910년 9월 새로 취역한 구축함 폴딩호로 옮겨졌고, 함대 노스다코타호로 옮겨지기 전까지 대서양함대와 함께 순시 순항하는 동안 그녀의 전무 겸 엔지니어 장교로 근무했다.후버는 1911년 9월 13일 중위(주니어급)로 진급했다.[4]

1913년 4월, 그는 구축함 아일윈의 피팅과 관련하여 임무 명령을 받았다.후버는 쿠바행 크루즈 여행에 참여했고 관타나모 만의 미국 항공 캠프에서 항공 지도를 맡았다.그 후 그는 Aylwin으로 돌아와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서 열리는 훈련에 참가했다.후발 작업 도중 선박 보일러가 폭발해 화재가 발생해 선원들이 배를 버리게 됐다.그 후 장갑 순양함 USS 테네시로 이송되어 1915년 8월까지 대서양 함대에서 근무했으며, 이때 워싱턴 해군 야드로 명령을 받았다.후버는 1915년 3월 22일 중위로 진급했다.[4]

제1차 세계 대전

후버는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함에 따라 1917년 8월 31일 중령 임시 계급으로 승진하여 1918년 초까지 워싱턴 해군 야드의 해군 총공장에서 근무했다.[4]

후버는 1918년 7월 구축함 USS 쿠싱의 지휘를 맡았다.는 프랑스 브레스트 해안에서 대잠수함 순찰을 하던 중 이 선박을 지휘했으며 U보트의 희생자인 선박에 대한 구조작업을 벌였다.[6][4]

그는 휴전 때까지 프랑스 영해에서 활동했으며, 이들 영해를 통해 극적으로 중요한 군대와 보급품 호송 및 보호에 참여했다.후버는 전쟁 중 복무한 공로로 전투에서 용맹을 인정받은 두 번째로 높은 훈장네이비 크로스로 훈장을 받았다.후버는 1918년 9월 21일 임시 지휘관으로 승진했다.[7][4]

전쟁중기

후버(좌측)는 찰스 A 제독의 참모총장이다. 블레이클리는 1940년 3월

후버는 1919년 1월 미국으로 돌아왔고 두 달 후 쿠싱의 지휘에서 분리되었다.그 후 그는 짧은 기간 동안 구축함 USS 호건을 지휘했고 장갑 순양함 USS 브루클린에 탑승하기도 했으며, 전후 해군의 격하로 1919년 7월 1일 중령으로 복귀했다.[8][4]

1922년 여름 워싱턴 해군 야드로 발령을 받았으며, 1922년 6월 3일 사령관 상임이사 계급으로 승격되었다.후버 사령관은 1923년 11월 잠수함 8사단장으로 임명되어 1924년 3월까지 대서양 함대와 함께 순찰에 참여했다.[4]

1926년 6월, 후버는 다시 워싱턴 D.C.로 명령을 받고 해군 작전참모총장토머스 J. 센 해군참모차장의 보좌관으로 합류했다.그의 작품은 후에 센으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후버는 비행훈련에 배정될 것을 요청했다.그는 1928년 8월 워싱턴을 떠나 한 달 뒤 플로리다해군 항공기지 펜사콜라에서 교직에 들어갔다.[9][10][11][4]

후버는 비행훈련이 끝난 뒤 1929년 1월 해군 항공사로 지정돼 그해 6월까지 펜사콜라 공군기지 본부에 머물면서 항공모함 렉싱턴호에 합류했다.당시 선장 어니스트 J. 킹 밑에서 행정관으로 근무했으며, 1931년 2월 함대 문제 XII 때 가상의 침입자에 대항하여 파나마 서부 해안 방어에 참여하였다.[4]

후버는 1931년 5월 로드아일랜드 뉴포트해군전쟁대학 시니어과정에 입학해 이듬해 6월 졸업했다.이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해군 공군기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 6월 30일 대위로 진급되었다.후버는 1934년 6월 알프레드 W. 존슨 제독 휘하의 공군 참모총장, 사령관 항공기, 기지에 임명될 때까지 그 임무에 남아 있었다.[4]

후버 선장은 1935년 6월 중순에 항공모함 랭글리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하와이 해안에서 순찰을 하는 동안 그의 배를 지휘했다.[12][4]

1936년 7월 랭글리에서 별거하여 워싱턴 D.C.의 육군전쟁대학에서 교직에 들어갔으며 이듬해 7월에 졸업하였다.후버는 그 후 버지니아주 해군 공군 기지 노퍽의 지휘를 맡았고, 항공모함 렉싱턴호의 지휘를 맡은 1938년 6월까지 이 임무를 수행했다.의 임무 수행은 찰스 A 제독 휘하의 전투부대인 사령관 항공기 참모총장과 참모로 근무하던 1939년 6월에 끝났다. 블레이클리후버는 후에 새로운 지휘관, 미래의 영웅인 윌리엄 F 제독 밑에서 이 임무를 수행했다. 핼시.후버는 1941년 7월 1일 후방 제독으로 진급되었다.[13][14][15][4]

제2차 세계 대전

일부 참모들과 함께 괌에서 지프를 타고 있는 체스터 니미츠 해군 제독.L to R: 니미츠 제독, 포레스트 셔먼 후버 제독, 헨리 L. 라르센 소령, 1945년.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카리브해 연안 제10군 사령부 (1941-1943)

Hoover was appointed Commandant, Tenth Naval District with headquarters in San Juan, Puerto Rico on December 7, 1941, the day the United States entered the World War II, and was responsible for the defense of Puerto Rico, Vieques, Culebra, Virgin islands, and the Naval Reservation, Guantanamo, and US Naval shore activities at Jamaica, Trinidad, Bah아마스, 앤티가, 세인트루시아, 영국령 기아나.이후 캐리비안해 프론티어 사령관으로 추가 임무를 맡았고 1942년 5월 25일 임시 제독 계급으로 승격되었다.[16][17]

재임 기간 카리브해에서 독일 U보트와 싸우고 마르티니크에서 단 2척의 구축함, 2척의 고대 잠수함, 3척의 고대 잠수함, 그리고 카탈리나스의 날개만으로 비치 부대를 감시하고 있었다.비행장 건설과 작전 경험이 있고, 중태평양 작전을 지원하는 육해공군의 지휘를 받았으며, 포획된 섬에 새로운 공군기지를 개발하는 임무를 맡았다.후버는 1943년 8월까지 그 자격으로 남았고 카리브해에서 복무한 공로로 해군 공훈장을 받았다.[7]

1943년 8월, 후버는 중부 태평양의 육지에 본부를 둔 공군 중령으로 임명되어 그해 12월까지 그 사령부에 남아 있었는데, 그 때 그의 지휘는 먼저 사령관, 항공기, 중부 태평양으로, 그 다음으로는 중부 태평양 전진 지역의 중령으로 재설계되었다.그는 길버트 제도의 타라와, 콰잘린에니웨톡마리아나와 팔라우 제도사이판에서 체스터 니미츠 해군 제독 밑에서 이 임무를 수행했다.후버는 미래 함대 작전의 가장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지휘부의 지역을 조직했고, 그의 강력한 지상 공격 그룹을 적의 영토 깊숙한 곳으로 유도하여 적의 가공할 방어망을 폭격하고 끈으로 묶었으며, 이 공격 작전은 h를 표방하며 진격하는 수륙양용 공격군의 목표를 실질적으로 완화시켰다.수색과 정찰기들이야그는 이러한 캠페인에서 그의 공로로 두 번째 해군 공훈장을 받았다.[7][18][19]

1944년 12월, 윌리엄 F 제독. 미 3함대 사령관 할시 주니어는 다가오는 태풍 코브라를 과소평가했고 790명의 목숨을 잃은 구축함 3척을 잃었다.9척의 다른 군함들이 피해를 입었고, 100여 대의 항공기가 난파되거나 배 밖으로 밀려났다.후버는 궁극적으로 할시에게 제3함대를 태풍으로 항해시킨 혐의로 군법회의에 회부할 것을 권고한 조사법원장에 임명되었다.그러나 후버의 권고는 어니스트 J. 킹 해군 작전부장과 프랭클린 D 대통령으로부터 무시당했다. 핼시가 대중의 질책을 받기에는 너무 대중적인 영웅이라고 느꼈을 것 같은 루즈벨트.[20]

후버는 1945년 2월 이우지마 전투에 참전하여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중부 태평양 전진 지역 사령관으로서 계속되었다.1945년 7월과 8월 니미츠함대 제독 휘하의 태평양수역 태평양함대 부사령관(부사령관)을 잠시 역임한 뒤 곧바로 미국으로 돌아갔다.후버는 작년 전쟁에서 복무한 공로로 세 번째 해군 공훈장을 받았다.[7][18][21]

나중의 경력 및 퇴직

후버는 귀국 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해군 공군기지로 발령받아 함대 공군 서부 해안 사령관직을 맡았다.그는 이후 해군 심사 위원회와 해군 퇴직 위원회의 사장으로 임명되었고, 1947년 5월까지 이 직책을 역임했으며, 그 때 그는 조달, 선적, 유통에서 두 부서 사이의 긴밀한 협력을 담당한 육군-해군 석유 위원회 사원으로 임명되었다.[18][22][23]

후버는 1948년 7월까지 이 자격으로 복무했는데, 그 때 그는 41년간의 복무 끝에 현역에서 은퇴했고, 전투에서 특별히 칭송되어 은퇴자 명단에서 4성 장군 계급에 올랐다.1950년 12월 경제안정청 내 반인플레이션 프로그램 조사국장으로 임명되었다.후버는 안정화 기관이 부과하는 모든 가격과 임금 통제에 대해 시행 기계를 만들고 지휘하는 책임을 맡았다.[24]

후버 제독은 1970년 12월 1일 83세의 나이로 워싱턴 D.C.에서 사망했고 버지니아 알링턴 국립묘지에 군장되었다.그의 아내 헬렌 브래커니어 스미스 후버(1896~1981)는 그의 옆에 묻혔다.그들에게는 헬렌 마리 후버(1917~1994)와 잔 패트리샤(후버) 미어스(1927~2019)라는 두 딸이 있었고 아들 윌리엄 하워드 후버(1923~2005)도 해군에서 복무하다 선장으로 퇴역했다.[18]

시상 및 장식

후버 제독의 리본 바는 다음과 같다.[7]

Gold star
Gold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해군 비행사 배지
1열로 네이비 크로스
2열로 516" 금메달 2개로 해군 공로 메달 에스코트 걸쇠가 달린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구축함 걸쇠가 달린 미국 방위군 훈장
3열로 대잠수함 걸쇠가 달린 미국 캠페인 메달 3/16인치 서비스 스타 3명이 참가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캠페인 메달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순위 날짜


미드십맨
(계급)
엔시그
(정규직)
준장
(정규직)
중위
(정규직)
중령
(일시적인 군 복무 등급)
사령관
(일시적인 군 복무 등급)
중령
(정규직)
O-1 O-2 O-3 O-4 O-5 O-6
US Navy O1 insignia.svg US Navy O2 insignia.svg US Navy O3 insignia.svg US Navy O4 insignia.svg US Navy O5 insignia.svg US Navy O4 insignia.svg
1903년 6월 12일 1908년 9월 13일 1911년 9월 13일 1915년 3월 22일 1917년 8월 31일 1918년 9월 21일 1919년 7월 1일
사령관
(정규직)
선장
(정규직)
코모도어 해군 소장
(정규직)
해군 중장
(일시적인 군 복무 등급)
제독
(계급)
O-7 O-8 O-9 O-10
US Navy O5 insignia.svg US Navy O6 insignia.svg US Navy O7 insignia.svg US Navy O8 insignia.svg US Navy O9 insignia.svg US Navy O10 insignia.svg
1922년 6월 3일 1933년 6월 30일 한 번도 붙들어 본 적이 없는 1941년 7월 1일 1942년 5월 25일 1948년 7월(퇴직)

메모들

  1. ^ "The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Hoover, John H".
  2. ^ Hoyt, Edwin P. (2000). How They Won the War in the Pacific: Nimitz and His Admirals. Lyons. p. 31. ISBN 1-58574-148-5.
  3. ^ "HyperWar: The Army Air Forces in WWII: Vol. V--The Pacific: MATTERHORN to Nagasaki [Chapter 17]".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Biography of John H. Hoover - Press Release July 24, 1941, United States Navy Department". United States Navy Department. 21 July 1941. Retrieved July 10, 2018.
  5. ^ "Lucky Bag - USNA Class of 1907". United States Naval Academy. Retrieved July 10, 2018.
  6. ^ "USS CUSHING (DD-55) - Commanding officers". navy.mil. The Navy Source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7. ^ a b c d e "Valor awards for John H. Hoover". valor.militarytimes.com. Militarytimes Websites. Retrieved June 19, 2018.
  8. ^ "USS HOGAN (DD-178/DMS-6/AG-105) - Commanding officers". navy.mil. The Navy Source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9. ^ "NAVAL ORDERS - San Pedro News Pilot, Volume 1, Number 137, 11 August 1928; page 14".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0. ^ "NAVAL ORDERS - San Pedro News Pilot, Volume I, Number 284, 30 January 1929; page 13".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1. ^ "Welcome Extended To Comdr. Hoover - Coronado Eagle and Journal, Volume XX, Number 26, 29 June 1932; page 6".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2. ^ "USS LANGLEY (CV-1) - Commanding officers". navy.mil. The Navy Source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13. ^ "NAVAL ORDERS - San Pedro News Pilot, Volume 12, Number 28, 6 April 1939; page 8".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4. ^ "Navy Transfers - Coronado Citizen, Volume II, Number 24, 13 April 1939; page 1".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5. ^ "USS LEXINGTON (CV-2) - Commanding officers". navy.mil. The Navy Source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16. ^ "All Hands -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January 1948, page 21" (PDF). navy.mil. United States Navy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17. ^ "Tenth Naval District -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history.navy.mil.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Websites. Retrieved 28 January 2018.
  18. ^ a b c d "VICE ADMIRAL HOOVER NEW FLEET AIR commander - Coronado Eagle and Journal, Volume XXXIII, Number 36, 6 September 1945; page 7".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19. ^ "Decorations, Navy Distinguished Service Medal - All Hands,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January 1946; page 56" (PDF). navy.mil. United States Navy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20. ^ Drury, Bob; Clavin Tom (2007). Halsey's Typhoon: The True Story of a Fighting Admiral, an Epic Storm, and an Untold Rescue. New York: Atlantic Monthly Press. p. 15. ISBN 978-0-87113-948-1. Retrieved April 9, 2017.
  21. ^ "Awarded Gold Star in Lieu of Third DSM - Coronado Eagle and Journal, Volume XXXIII, Number 39, 27 September 1945; page 7". cdnc.ucr.edu. Retrieved 2016-08-27.
  22. ^ "All Hands -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May 1947, page 59" (PDF). navy.mil. United States Navy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23. ^ "All Hands -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June 1948, page 39" (PDF). navy.mil. United States Navy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24. ^ "Will Head Investigation for Stabilization Agency, The New York Times, Friday, December 15, 1950, page 18". timesmachine.nytimes.com. New York Times Websites. Retrieved June 19, 2018.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