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란트 작전
Operation Neuland뉴랜드 작전(New Land)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카리브해로 무제한 잠수함전을 확장하기 위한 독일 해군의 암호명이었다.U보트는 연합군의 전쟁 전 계획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영국의 석유 공급과 미국의 알루미늄 공급을 방해하기 위해 사거리를 시연했다.비록 이 지역이 몇 달 동안 잠수함에 취약했지만, U보트는 이번 작전에 참가한 잠수함이 이룬 놀라움에서 비롯된 성공 기회를 다시는 누리지 못했다.
배경
카리브 해는 동남부의 베네수엘라 유전과 남서부의 파나마 운하 때문에 전략적으로 의미가 컸다.네덜란드 소유의 쿠라소(Curasao)에 있는 로열더치셸(Royal Dutch Shell) 정유공장은 월 1,100만 배럴을 처리하고 있으며 트리니다드의 푸앵테아피에르(Pointe-a-Pierre)에 있는 정유공장은 대영제국에서 가장 크며 네덜란드 소유의 아루바에 또 다른 대형 정유공장이 있었다.영국 섬은 전쟁 초기 동안 매일 4척의 석유 유조선을 필요로 했으며, 이탈리아가 중동에서 지중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은 후 대부분 베네수엘라에서 쿠라소를 거쳐 왔다.[1]
카리브해는 미국에 추가적인 전략적 중요성을 부여했다.석유 시설과 미시시피 강 무역을 포함한 멕시코만의 남부 해안선은 두 지점에서 방어될 수 있었다.미국은 플로리다 해협을 방어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었지만, 유카탄 해협을 통한 카리브해로부터의 접근을 막을 수는 없었다.보크사이트는 알루미늄이 선호되는 광석이었고, 미국 대륙에서는 구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전략 원재료 중 하나였다.미국의 군용기 생산은 소안틸레스와 평행한 항로를 따라 기아나스에서 수입된 보크사이트에 의존했다.[2]
미국 해군 VP-51 통합 PBY 카탈리나스는 1939년 9월 13일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레터 앤틸리스를 따라 중립 순찰을 시작했다.[3]영국은 트리니다드에 군사기지를 설치했고, 네덜란드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한 직후 영국군은 아루바, 쿠라소, 보네르를 점령했다.프랑스령 마르티니크 섬은 제2차 컴피엥 휴전 이후 비시 프랑스와의 영국 관계가 악화되면서 액시스 선박의 예상 기지로 인식됐다.1940년 9월 기지를 위한 구축함 협정은 미국이 영국령 기아나와 그레이트 엑수마, 자메이카, 안티구아, 세인트루시아, 트리니다드 섬에 기지를 건설할 수 있게 했다.[4]
개념
1941년 12월 8일 전쟁 선언으로 서대서양에서의 무역 선적을 보호해 왔던 미국의 중립 주장이 삭제되었다.파우켄슈라그 작전에 참가하는 U보트들이 관측한 미국 대서양 연안의 비교적 실효성이 없는 대잠전(ASW) 조치들은 이전에 판아메리카 중립수역 남쪽에 있었던 상황을 탐색하기 위해 독일형 IX 잠수함의 사정거리를 활용하도록 장려했다.1942년 1월 15일, 로오리엔트에서 열린 회의에는 카리브해 경험이 있는 전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 선장들이 참가하여 U-156, U-67, U-502, U-161 및 U-129의 지휘관에게 이 지역의 상황에 대해 브리핑했다.처음 3척의 U보트는 2월 16일 네덜란드 정유시설을 동시에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고 1월 19일 출항했다.U-161은 1월 24일 트리니다드를 공격하기 위해 출항했고, U-129는 1월 26일에 뒤따랐다.U-126은 2월 2일 쿠바와 히스파니올라사이의 윈드워드 항로를 순찰하기 위해 항해했고, 5척의 대형 이탈리아 잠수함이 보르도에서 출발해 소안틸리스 대서양 쪽을 순찰했다.이들 11척의 잠수함은 식량, 연료 또는 어뢰가 고갈될 때까지 연합군의 ASW 자원을 분산시키기 위해 독립적으로 순찰할 것이다.[5]
실행
U-156
U-156의 두 번째 순찰대는 베르너 하텐슈타인의 지휘를 받았다.2월 15일 저녁, U-156은 아루바에서 2마일 떨어진 해질녘에 모습을 드러냈다.하텐슈타인은 2월 16일 0131에서 공격을 시작했는데, 산 니콜라스 외곽에 정박해 있는 유조선 SS 페더날레스와 SS 오란제스타드를 향해 어뢰 2발을 발사했다.10분 후, U-156은 라고 정제소에서 3/4마일 이내로 이동하여 10.5 cm의 데크 건으로 폭격을 준비했다.그러나 한 선원이 주둥이의 탐피온을 제거하지 못하고 첫 포탄이 통 안에서 터졌다.총잡이 한 명이 죽고, 다른 한 명은 중상을 입었으며, 총통의 주둥이는 열려 있었다.U-156은 이 공격에 이어 서쪽으로 14마일 떨어진 오란제스타드를 지나 독수리 부두에 정박해 있는 셸 유조선 아칸소를 향해 어뢰 3발을 발사했다.한 명은 배에 부딪혀 가벼운 피해를 입었고, 한 명은 표식을 벗어나 물속에서 사라졌으며, 세 번째는 스스로 해경에 이르렀다.며칠 뒤 네덜란드 해병대 4명이 해경 어뢰의 무장해제를 시도하다 사살됐다.하텐슈타인은 날이 밝은 후 U-156을 아루바 북쪽에 잠기게 했다.해질녘에 선원들은 총이 폭발해 사망한 선원을 매장했고, 선장은 마르티니크까지 항해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으며, 그곳에서 부상당한 선원은 해안으로 보내졌다.선원들은 쇠톱을 이용해 손상된 총통을 40cm 단축시켰고, 톱니총을 이용해 다른 2척의 선박을 침몰시키는 어뢰가 모두 소진된 뒤 마주친 2척을 침몰시켰다.U-156은 1942년 2월 28일에 본국으로 출발했다.[6]
날짜[7] | 배[7] | 깃발[7] | 톤수(GRT)[7] | 메모들 |
---|---|---|---|---|
1942년 2월 16일 | 페더날레스 | ![]() | 4,317 | 산니콜라 항구 밖에서 유조선이 어뢰를 맞았으나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2월 16일 | 오라녜스타드 | ![]() | 2,396 | 산니콜라 항구 밖에서 유조선이 어뢰 공격을 받아 48초[8] 만에 전복됨 |
1942년 2월 16일 | 아칸소 주 | ![]() | 6,452 | 오란제스타드 인근 이글부두에서 어뢰를 맞았지만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2월 20일 | 델플라타 | ![]() | 5,127 | 화물선이 에 어뢰를 발사했다.14°45°N 62°10°W/14.750°N 62.167°W[9] |
1942년 2월 25일 | 라 캐리르 | ![]() | 5,685 | 유조선 |
1942년 2월 27일 | 맥그리거 | ![]() | 2,498 | 포격에 침몰한 화물선 |
1942년 2월 28일 | 오리건 주 | ![]() | 7,017 | 6명의 선원이 20°44에서 총에 맞아 유조선에서 숨졌다.′N 67°52°W / 20.733°N 67.867°W/ [10] |
U-67
U-67의 세 번째 순찰대는 귄터 뮐러-스토크하임의 지휘하에 있었다.아루바 U-67에 직후 쿠라소(Curasao)의 윌렘스타드 항구로 이동해 정박 중인 유조선 3척에 어뢰 6발을 발사했다 함께 2월 16일 자정 공격과 대한.활 어뢰 4발이 명중했지만 폭발하지는 못했다.선미관에서 나온 두 개의 어뢰는 세 번째 유조선에서 효력이 있었다.[11]
날짜[12] | 배[12] | 깃발[12] | 톤수(GRT)[12] | 메모들 |
---|---|---|---|---|
1942년 2월 16일 | 라파엘라 | ![]() | 3,177 | 윌렘스태드 항구에서 유조선이 어뢰를 맞았으나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2월 21일 | 콩고르드 | ![]() | 9,467 | 유조선 |
1942년 3월 14일 | 페넬로피 | ![]() | 8,436 | 유조선 |
U-502
U-502의 세 번째 순찰대는 위르겐 폰 로젠스틸의 지휘하에 있었다.U-502는 아루바와 윌렘스태드에 대한 공격에 협조하여 정유소로 가는 길에 얕은 초안인 마라카이보호 원유 유조선을 매복하기 위해 대기했다.3척의 유조선이 실종된 후 생존 유조선의 중국 선원들은 출항을 거부했으며 AP통신은 이 지역에서 유조선의 통행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U-502는 2월 23일 마지막 어뢰를 발사한 후 윈드워드 통로를 통해 북상하여 본국으로 귀환했다.[13]
날짜[14] | 배[14] | 깃발[14] | 톤수[14] | 메모들 |
---|---|---|---|---|
1942년 2월 16일 | 후아나 티아 | ![]() | 2,395 | 얕은 물속 '레이크 마라카이보' 원유 유조선 |
1942년 2월 16일 | 모나가스 | ![]() | 2,650 | 얕은 물속 '레이크 마라카이보' 원유 유조선 |
1942년 2월 16일 | 산니컬러스 | ![]() | 2,391 | 얕은 물속 '레이크 마라카이보' 원유 유조선 |
1942년 2월 22일 | 제이앤퓨 | ![]() | 9,033 | 12°40에서 유조선이 어뢰로 격침됨′N 74°00′W / 12.667°N 74.000°W/ ,33명, 생존자[9] 3명 |
1942년 2월 23일 | 탈리아 | ![]() | 8,329 | 유조선 |
1942년 2월 23일 | 태양 | ![]() | 9,002 | 탑승객은 사상자 없음.13°02에서 어뢰에 의해 유조선이 파손′N 70°41′W / 13.033°N 70.683°W[15] |
U-161
U-161의 2차 순찰대는 알브레히트 아킬레우스의 지휘를 받고 있었다.아킬레우스와 그의 첫 번째 감시관 벤더는 전쟁 전에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에 고용되어 있는 동안 트리니다드를 방문했었다.U-161은 깊고 좁은 통로나 보카(Boca)를 통해 대낮에 잠망경 깊이로 트리니다드의 파리아 만으로 들어갔다.전자 잠수함 탐지 시스템은 1942년 2월 18일 0930번으로 통과를 등록했으나 경비정에 의한 것으로 신호가 해제되었다.U-161은 항구의 바닥에서 쉬면서 하루를 보낸 후 어두워진 후에 정박된 두 척의 배를 어뢰로 공격하기 위해 모습을 드러냈다.U-161호는 그 후 갑판들이 활활 타오르고, 항구의 작은 우주선들 중 하나를 닮도록 조명이 켜진 채 그 만을 떠났고, 북서쪽으로 이동한 후 보카호 밖에 있는 배를 침몰시키기 위해 돌아왔다.1942년 3월 10일 해가 진 후 U-161은 조용히 카스트리스 항구의 얕고 좁은 입구로 들어가 도크사이드에 있는 화물선 두 척을 어뢰로 격침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로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 기관총의 포격을 받아 질주했다.두 화물선은 새로운 미국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물자를 가지고 막 도착했고, 이전에 잠수함 공격에 대해 면역이 되었다고 여겨졌던 항구는 나중에 대잠수함 그물을 장착했다.U-161은 1942년 3월 11일에 본국으로 출발했다.[16]
날짜[17] | 배[17] | 깃발[17] | 톤수[17] | 메모들 |
---|---|---|---|---|
1942년 2월 19일 | 영국 영사 | ![]() | 6,940 | 파리아 만에서 어뢰를 맞았지만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2월 19일 | 모키하나 | ![]() | 7,460 | 파리아 만에서 어뢰를 맞은 화물선에 탑승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나중에 수리했다[18]. |
1942년 2월 21일 | 서스 셸 | ![]() | 8,207 | 유조선 |
1942년 2월 23일 | 리후 | ![]() | 7,001 | 14°30에서 어뢰를 맞은 화물선에 탑승한 인명피해 없음′N 64°45′W / 14.500°N 64.750°W/ [19]° |
1942년 3월 7일 | 우니왈레코 | ![]() | 9,755 | 유조선이 폭발하여 생존자가[20] 없었다. |
1942년 3월 10일 | 레이디 넬슨 | ![]() | 7,970 | 화물선은 카스트리 항구에서 어뢰를 맞았으나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3월 10일 | 움타타 | ![]() | 8,141 | 화물선은 카스트리 항구에서 어뢰를 맞았으나 나중에 수리했다. |
1942년 3월 14일 | 사르니아독 | ![]() | 1,940 | 화물선이 폭발해 30초 만에 사라지다 21호 어뢰[21] 충격으로 생존자가 없다 |
1942년 3월 15일 | 아카시아 | ![]() | 1,130 | 아이티 남쪽의 포화에 의해 침몰한 USCG 등대 |
루이지 토렐리
안토니오 데 지아코모의 지휘 아래 루이지 토렐리가 두 척의 배를 침몰시켰다.[22]
날짜[23] | 배[22] | 깃발[22] | 톤수[22] | 노트[22] |
---|---|---|---|---|
2월 19일 | 스코틀랜드 스타 | ![]() | 7,300 GRT | 화물선 |
2월 25일 | 에소 코펜하겐 | ![]() | 9,200 GRT | 유조선 |
U-129
니콜라이 클로스텐 U-129는 트리니다드 남동부에서 보크라이트 화물선을 요격하는 네 번째 순찰대를 보냈다.[24]예상치 못한 침몰로 상선 출항이 일시 중단됐다.연합군은 항해를 재개할 때 피할 수 없는 상선들이 따라갈 수 있는 경로를 제시했다.U보트들은 방송을 받고 제안된 장소에서 기다리고 있었다.[25]
날짜[26] | 배[26] | 깃발[26] | 톤수[26] | 메모들 |
---|---|---|---|---|
2월 20일 | 노르드반겐 | ![]() | 2,400 GRT | 생존자[27] 없이 침몰한 유조선 |
2월 23일 | 조지 L.토리안 | ![]() | 1754 GRT | 화물선 |
2월 23일 | 서제다 | ![]() | 5,658 GRT | 09°13에서 어뢰를 맞은 보크사이트 화물선에[28] 탑승한 인명피해 없음′N 69°04˚W / 9.217°N 69.067°W/ [9] |
2월 23일 | 레녹스 | ![]() | 1,904 GRT | 보크라이트 화물선 |
2월 28일 | 바유 | ![]() | 2,605 GRT | 화물선 |
3월 3일 | 메리 | ![]() | 5,104 GRT | 08°25에 어뢰를 발사한 보크라이트 화물선[29]′N 52°50′W / 8.417°N 52.833°W[30] |
3월 7일 | 스틸 에이지 | ![]() | 6,188 GRT | 33명 사망, 06°45에 어뢰를 맞은 화물선에서 포로로 잡힌 밑창 생존자′N 53°15′W / 6.750°N 53.250°W/ 6°W / [30]° |
레오나르도 다빈치
루이지 롱가네시-카타니의 지휘 아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연합선[22] 1척과 중립적인 브라질 화물선 1척을 침몰시켰다.브라질 선박에서 생존자는 없었고 침몰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31]
날짜[32] | 배[32] | 깃발[32] | 톤수[32] | 노트[32] |
---|---|---|---|---|
1942년 2월 25일 | 카바델로 | ![]() | 3775 GRT | 16°00′N 42°30′W/16.000°N 42.500°W; ; 54명의 손이 모두 손실됨 |
2월 28일 | 에버라스마 | ![]() | 3,644 GRT | 16°00′N 49°00′W / 16.000°N 49.000°W/ |
U-126
U-126은 에른스트 바우어의 지휘 아래 바람의 길을 순찰했다.[33]
날짜[34] | 배[34] | 깃발[34] | 톤수[34] | 메모들 |
---|---|---|---|---|
3월 2일 | 귀니 | ![]() | 2,362 GRT | 화물선 |
3월 5일 | 마리아나 | ![]() | 3,110 GRT | 22°14′N 71°23′W / 22.233°N 71.383°W/ W; -71[30][36]에서 어뢰를 맞은 화물선에서 생존자 없음 |
3월 7일 | 바바라 | ![]() | 4637 GRT | 20°00′N 73°56′W / 20.000°N 73.933°W/ 에[35] 어뢰를 장착한 화물선 |
3월 7일 | 카르도니아 | ![]() | 5,104 GRT | 19도 53분에 어뢰로 격침된 화물선′N 73°27′W / 19.883°N 73.450°W/ [35] |
3월 8일 | 에소 볼리바르 | ![]() | 10,389 GRT | 관타나모가[36] 보이는 곳에서 어뢰에 의해 파손된 유조선 |
3월 9일 | 한석 | ![]() | 8,241 GRT | 유조선 |
3월 12일 | 텍사스 주 | ![]() | 7,005 GRT | 21°3에서 어뢰로 격침된 화물선2′N 76°24′W / 21.533°N 76.400°W[37] |
3월 12일 | 올가 | ![]() | 2,496 GRT | 23°39로 어뢰를 맞은 화물선′N 77°00′W / 23.650°N 77.000°W[37] |
3월 13일 | 콜라비 | ![]() | 5,518 GRT | 22°14′N 77°35′W / 22.233°N 77.583°W/ W / [37]; 어뢰에 의해 손상된 화물선 |
엔리코 타졸리
카를로 페시아 디 코사토의 지휘를 받은 1331t급 대형 엔리코 타졸리는 6척의 배를 침몰시켰다.[22]
날짜[38] | 배[38] | 깃발[38] | 톤수[38] | 노트[38] |
---|---|---|---|---|
3월 6일 | 아스트레아 | ![]() | 1,406 GRT | 화물선 |
3월 6일 | 톤즈버그피오르드 | ![]() | 3,156 GRT | 31°22′N 68°05′W / 31.367°N 68.083°W/ , 1명 사망 |
3월 8일 | 몬테비데오 | ![]() | 5785 GRT | 29°13에 어뢰를 맞은 화물선′N 69°35′W / 29.217°N 69.583°W/ , 14명 사망 |
3월 10일 | 시그넷 | ![]() | 3,628 GRT | 24°05°N 74°20°W / 24.083°N 74.333°W/ 의 속도로 어뢰로 침몰한 화물선 |
3월 13일 | 데이토니아어 | ![]() | 6,434 GRT | 26°33에 어뢰를 맞은 화물선′N 74°43′W / 26.550°N 74.717°W/ °W / 26.550;, 1명 사망 |
3월 15일 | 아텔퀸 | ![]() | 8,780 GRT | 26°50′N 75°40′W / 26.833°N 75.667°W/ , 3명 사망 |
주세페 핀지
우고 기우디체 지휘를 받은 1331t급 대형 주세페 핀지는 3척의 배를 침몰시켰다.[22]
날짜[39] | 배[40] | 깃발[40] | 톤수[40] | 노트[40] |
---|---|---|---|---|
3월 7일 | 멜포메네 | ![]() | 7000 GRT | 유조선 |
3월 7일 | 스킨 | ![]() | 4,500 GRT | 화물선 |
3월 10일 | 찰스 라신 | ![]() | 1만 GRT | 생존자[36] 없이 어뢰로 격침된 유조선. |
모로시니
아토스 브라테날레의 지휘를 받는 마르첼로급 잠수함 모로시니가 3척의 배를 침몰시켰다.[22]
날짜[41] | 배[41] | 깃발[41] | 톤수[41] | 노트[41] |
---|---|---|---|---|
3월 12일 | 스탕가스 | ![]() | 5,966 GRT | 22°45′N 57°40′W / 22.750°N 57.667°W/ °W / |
3월 15일 | 오실라 | ![]() | 6,341 GRT | 4명이 사망하여 어뢰로 격침된 유조선 |
3월 23일 | 페더 보겐 | ![]() | 9741 GRT | 24°53에 어뢰로 격침된 유조선′N 57°30′W / 24.883°N 57.500° /24., 인명피해 없음 |
결과.
아루바 정유공장은 갑판총 사정거리 안에 있었다.에리히 레이더 제독은 닐란트 작전의 개시 조치로 정유공장을 포격하는 것을 선호했을 것이다.U보트 장교들은 어뢰에 비해 갑판총으로 인한 상대적 피해 경험에 기초해 대형 기름 확산 화재를 일으키기 위해 유조선 어뢰로 시작하는 방식을 택했다.아루바와 쿠라소오에 대한 초기 공격의 결과는 무기 실패로 줄어들었고, 이후 아루바 정유소를 포탄으로 격파하려는 시도는 더 많은 수의 더 큰 구경의 해안포와 경보된 항공기와 잠수함 추격자들에 의한 순찰으로 인해 좌절되었다.[42]
베네수엘라 유전에서 석유제품 수송의 중요한 연결고리는 얕은 마라카이보 호수의 우물에 도달하여 정유소까지 원유를 수송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형 유조선이었다.이들 유조선 중 약 10%가 닐란트 작전 첫날 파괴되었다.생존한 유조선들은 ASW 에스코트 없이 중국 선원들이 항해를 하면서 항해를 거부하자 일시적으로 고정되었다.[43]정유소의 생산량은 감소했고, 항해가 재개될 때까지 반역자들은 투옥되었다.[44]
방어 항만 내에서 어뢰를 발사하는 선박은 대서양 전투를 통해 비교적 이례적이었다.U보트는 은밀한 출구를 허용하기 위해 더 자주 지뢰를 배치했다.결과는 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U-161의 파리아와 카스트리스 만에서의 공격의 어려움은 귄터 프리엔의 스카파 플로우 침투에 필적할 만했다.[45]
U-126에 의한 윈드워드 패스 순찰은 ASW 병력의 남북 분산을 이용하기에 적절한 타이밍이었다.U-126은 관타나모 만 해군기지에서 일부 선박을 침몰시켰다.[46]
Neuland와 Paukenschlag는 비슷한 수의 U 보트로 개항되었지만, Neuland의 실효성은 이탈리아 잠수함과의 조정에 의해 향상되었다.이탈리아 잠수함들이 독자적으로 항해하는 방어되지 않은 선박들의 집중에 대항하여 성공하는 수준은 좀처럼 반복되지 않았고 대서양 전투에서 축 협력이 유효하다는 최고점을 찍었다.[22]
참고 항목
원천
- 블레어, 클레이 히틀러의 U-보트 전쟁: 헌터즈 1939-1942 랜덤 하우스 (1996) ISBN0-394-58839-8
- 크레스만, 로버트 J.미국의 공식 연대기해군, 제2차 세계 대전 해군 연구소 프레스(2000) ISBN 1-55750-149-1
- 카프카, 로저 & 페퍼버그, 로이 L. 군함 세계 코넬 해양 프레스 (1946)
- 켈샬, 게이로드 T.M.미국 카리브해 해군연구소 보도(1994) ISBN 1-55750-452-0
- 모리슨, 사무엘 엘리엇, 제2차 세계대전의 미국 해군작전사 (I권) 1939년 9월 대서양 전투 (1943년 5월 ~ 1943년 5월)
메모들
- ^ 켈샬 페이지 7-22
- ^ Kelshall 7-18 페이지
- ^ 스카버러, 윌리엄 E. "중립자 순찰대:2차 세계대전을 막기 위해?" 페이지 18-23 해군 항공 뉴스 3월-90년 4월
- ^ 켈샬 페이지 4-24
- ^ 블레어 페이지 503-509&728
- ^ Kelshall 페이지 26-31,42,47-48&57
- ^ a b c d "Patrol info for U-156".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켄스홀 페이지 29
- ^ a b c 크레스만 p.77
- ^ 크레스만 페이지 79
- ^ 켈샬 페이지 26&32
- ^ a b c d "Patrol info for U-67".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켈샬 페이지 26,33,35,43-44&54
- ^ a b c d "Patrol info for U-502".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크레스만 p.78
- ^ Kelshall 페이지 26,35-42,44,49-51,60-64&67
- ^ a b c d "Patrol info for U-161".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크레스만 p.76
- ^ 크레스만 pp.77-78
- ^ 켈샬 페이지 59
- ^ 켈샬 p.66
- ^ a b c d e f g h i j 블레어 p.508
- ^ 켈샬 페이지 45&56
- ^ 블레어 p.507
- ^ 켈샬 페이지 55
- ^ a b c d "Patrol info for U-129".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켈샬 페이지 47
- ^ 켈샬 페이지 53
- ^ 켈샬 페이지 57
- ^ a b c 크레스만 p.80
- ^ 켈샬 페이지 56
- ^ a b c d e 크리스티아누 다다도 regiamarina.net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2019년 7월 25일 회수
- ^ 켈샬 페이지 52
- ^ a b c d "Patrol info for U-126". Guðmundur Helgason. Retrieved 29 July 2012.
- ^ a b 크레스만 페이지 81
- ^ a b 켈샬 페이지 60
- ^ a b c 크레스만 p.82
- ^ a b c d e 엔리코 타졸리(regiamarina.net, Christiano D'Adamo); 2019년 7월 25일 회수
- ^ 켈샬 페이지 58&60
- ^ a b c d Christiano D'Adamo, regiamarina.net의 주세페 핀지; 2019년 7월 25일 회수
- ^ a b c d e 모로시니 regiamarina.net, Christiano D'Adamo; 2019년 7월 25일 회수
- ^ 블레어 페이지 504–505.
- ^ 블레어 페이지 505–506.
- ^ 켈샬 페이지 43.
- ^ 블레어 페이지 506.
- ^ Kelshall 페이지 5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