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LMS Tjerk Hiddes (G16)
HNLMS Tjerk Hiddes (G16)![]() 1949년 10월 로테르담의 티에르크 히데스. | |
역사 | |
---|---|
![]() | |
이름 | HMS 논파렐 |
빌더 | 윌리엄 데니와 형제, 덤바튼 |
눕다 | 1940년 5월 22일 |
시작됨 | 1941년 6월 25일 |
운명 | 네덜란드 왕립 해군으로 이전 |
![]() | |
이름 | HNLMS 티에르크 히데스 |
네임스케이크 | 티에르크 히데스 드 브리스 |
완료된 | 1942년[1] 6월 |
획득한 | 1942년 5월 27일 |
커미셔닝됨 | 1942년 10월 30일 |
식별 | 페넌트 번호: G16 |
운명 | 1951년 3월 1일 인도네시아에 판매 |
![]() | |
이름 | 가다 마다 리 |
네임스케이크 | 가자 마다 |
획득한 | 1951년 3월 1일 |
운명 | 폐기된 1961년 |
일반 특성(구축 시) | |
클래스 및 유형 | N급 구축함 |
변위 | |
길이 | 356 ft 6 in (196.7 m) (o/a) |
빔 | 35ft 9인치(10.9m) |
드라우트 | 12피트 6인치(3.8m) |
설치된 전원 | |
추진 | 축 2개, 증기 터빈 2개 |
속도 | 36노트(67km/h; 41mph) |
범위 | 15노트(28km/h; 17mph)에서 5,500nmi(10,200km; 6,300mi) |
보완 | 183 |
센서 및 가공 시스템 |
|
무장을 |
|
구축함 HNLMS Tjerk Hiddes는 제2차 세계대전의 네덜란드 군함이었다. 1940년 5월 22일 영국 N급 구축함으로 함락되었고 1941년 6월 25일 HMS 논파렐로 진수되었으나 1942년 5월 27일 네덜란드 왕립 해군으로 전출되었다.[2] 이 배는 1942년에[1][3] HNLMS Tjerk Hiddes로 임관되었는데, 17세기 네덜란드 제독 Tjerk Hiddes de Vries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녀의 대부분의 전쟁예배는 인도양과 호주에 있는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과 함께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 이 구축함은 인도네시아에 팔렸고, RI Gadjah Mada로 개명되었다. 그녀는 1961년에 폐기되었다.
전쟁 서비스
그녀는 5월 6일 동부 함대에서 영국 해군 제7 구축함 플로티야호와 함께 복무하기 위해 27일 네덜란드 왕립 해군에 임관했으며 티에르크 히데스는 동부 함대에서 영국 해군 제7 구축함 플로티야호와 함께 근무하기 위해 파견되었다.[3]
스카파 플로우에서 6월과 7월 초에는 내무함대와 함께 근무하며 해외 근무를 준비했다. 7월 중순 클라이드강에서 클라이드강에서 인도양까지 군용 호송차 WS21P의 호위무사에[4] 합류했다. 8월 5일, 항해를 하는 동안, 호송대는 이집트 8군단의 장비를 실은 수송대 AS4의 8척의 배에 의해 증강되었다. 8월 20일, 티에르크 히데스와 네팔은 케냐의 킬린디니로 항해하면서 호송대를 떠났다.[3]
티제르크 히데스는 지난 9월 상륙지원군에 배정된 부대에 합류해 비치군이 장악하고 있던 마다가스카르 점령(롤리메이트 제인 작전)을 완수하고 준비훈련에 참가했다. 9월 9일, 그녀는 킬린디니를 떠나 공격용 호송차와 그 호송차를 랑데부하고 착륙을 위해 마장가로 가는 통로에 있었다. 네덜란드 구축함인 반 갈렌과 티에르크 히데스는 HMS 일러스트리우스의 스크린으로 배치되었다.[3]
9월 26~27일, 티에르크 히데스는 인도양에서 호송 임무를 위해 킬린디니로 귀환했다.(이때 제7 플로티야의 다른 함선들은 지중해에서 단독 근무를 마치고 귀환하고 있었다.) 에스코트 임무는 10월까지 계속되었는데, 그녀는 미 7함대의 통제 하에 시드니와 프리만틀 사이에 호송 방어를 위해 배치되었다.[3] 이 임무는 1944년 1월까지 계속되었으나, 12월 4일, 11일, 15일에 그녀는 티모르에서 연합군과 민간인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세 차례 항해했다.[2]
18세부터 24세 1943년 2월 사이에, 그녀는 자매선 반 갈렌과 순양함 HMAS 애들레이드와 HNLMS Tromp과 프리맨틀과 멜버른(운전 팸플릿, 이 군 호송대는 9일 호주 사단을 태운 중동에서 호주로 명백한 일본 위협에 대응에서 회수)사이에 부대 호송 차량을 호위하기 위해 구축했다.[3]
1944년 1월 네덜란드 함선 티에르크 히데스와 반 갈렌, 트롬프가 동부 함대로 이양되었다. 지난 2월 트린코말리에 도착한 티에르크 히데스는 인도양에서 7번째 구축함 플로티야호와 함대 검열 및 호송 보호 임무를 위해 합류했다.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그녀는 일본에서 독일로[3][6] 가는 도중에 독일의 봉쇄 주자를 찾는 데 실패했다.
3월 22일, 티에르크 히데스는 대규모[7] 함대와 함께 해상 재급유 연습을 하고 미국 항공모함 사라토가와 랑데뷰를 하기 위해 배치했다. 사라토가의 역할은 주로 미 해군과 함께 서태평양(영국 태평양 함대)에서 복무할 영연방 부대의 멘토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이 부대는 미국 절차를 이용하기 위해 전환해야 할 것이다. 재훈련의 일환으로, 영연방과 미국 해군 항공기는 일본 석유 시설에 대한 공격을 실행했다. 훈련과 이로 인한 피해와는 별개로, 미국인들이 공세를 취하려고 계획한 지역에서 일본군이 이탈하기를 희망했다.[3]
티제르크 히데스는 3월 25일 트린코말리에 기계 결함을 가지고 조급하게 돌아와야 했고, 인도양에서 호송 호송 임무로 돌아온 6월까지 수리 중에 있었다.[3]
1944년 10월, 그녀는 영국으로 돌아가 플리머스에서 제8 구축함 플로티야호와 함께 서남 접근에서 호송 임무를 수행했다. 그녀는 1945년 5월부터 8월까지 재시험을 치르기 위해 던디로 이사했고, 그 무렵에는 전쟁이 끝났다.[3]
전후
티에르크 히데스는 던디에서 재장착이 완료된 후 네덜란드 왕립 해군과 평화시간 근무를 재개했다. 그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네시아로 돌아왔고, 1951년 3월 새로 독립한 인도네시아로 옮겨졌다. 그녀는 RI Gadjah Mada로 이름이 바뀌었고 인도네시아 해군의 기수가 되었다.
1958년 4월 17일, 가드자 마다가 8월 17일 작전에 참가했다(인도네시아어: 수마트라 서부의 PRRI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수륙양용 상륙작전의 오퍼라시 17 아구스투스.[8] 그녀는 인도네시아 해병대가 파당 타빙 비치에 상륙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해안 폭격 역할을 했다.[9]
1958년 6월, 구축함 가다(Gadjah Mada)와 함께 바서스트급 초계함 RI Pati Unuse, 알바트로스급 산호함 RI 술탄 하사누딘, RI Pattimura 등이 작전 독립 1호(인도네시아어: 오페라시 메르데카 1세(Operasi Merdeka I), 페메스타 반군의 수도 마나도를 점령하기 위해 술라웨시 북부의 케마에 상륙한 수륙양용 상륙함.[9]
그녀는 1961년에 현역 명단에서 삭제되었다. 그 배는 1961년에[10] F에 의해 폐선되었다. 리즈디크,[2][3] 헨드리크-이도-암바흐트에 있어
메모들
- ^ a b 출처는 이 배의 취항 날짜에 따라 다양하며, 몇몇 권위 있는 선원들은 1942년 10월을 인용한다. 1942년 7월과 8월 영국에서 중동까지 군 호송차 WS21P 에스코트로 안정적으로 등재돼 있기 때문에 1942년 6월 완성은 맞는 것 같다.
- ^ a b c Whitley, M J (2000). Destroyers of World War Two: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London: Arms and Armour Press. pp. 117 & 214. ISBN 1-85409-521-8.
- ^ a b c d e f g h i j k Mason, Lt Cdr (Retd) Geoffrey B (2003). "Dutch HNethMS TJERK HIDDES (G 16), ex-HMS NONPAREIL – N-class Destroyer". SERVICE HISTORIES of ROYAL NAVY WARSHIPS in WORLD WAR 2. Retrieved 9 November 2014.
- ^ WS21P의 호위함에는 순양함 HMS 오리온호와 자매함인 호주 구축함 HMAS 네팔호도 포함됐다.
- ^ 공격형 호위함의 호위함에는 항공모함 HMS 일러스트리어스, 순양함 HMS 버밍엄, HNLMS 제이콥 반 헴스커크 등이 포함됐다. Force M provided cover and control of landings and included battleship HMS Warspite, cruisers HMS Gambia and HMS Dauntless, minelayer HMS Manxman, monitor HMS Erebus, seaplane carrier HMS Albatross, destroyers HMS Foxhound, Hotspur, Arrow, Active, Inconstant and Fortune, HMAS Napier, HMAS Norman, Nepal and HNLMS Van Galen, and escort destroyer HMS 블랙모어
- ^ 이번 수색은 순양함 HMS 감비아호가 구축함 HMS 로더함, 티에르크 히데스와 함께 수행했다.
- ^ 작전에는 호주 구축함 HMAS 노먼, 네팔, 네이피어, 퀴버론, 영국 구축함 HMS 퀼리암, 패스파인더, 퀸버러, 퀄리티, 네덜란드 구축함 HNLMS Tjerk Hiddes, Van Galen 등이 투입됐다. 전투함 HMS 렌타운, 전함 HMS 퀸 엘리자베스 앤 발리안트, 항공모함 HMS 일러스트리어스, 순양함 런던, 실론, 컴벌랜드, 감비아 등이 그것이었다.
- ^ Historia.id, Perang Saudara Bersandi 17 Agustus
- ^ a b Haryadi, Yosafat Robert (2019). Sejarah Kavaleri Korps Marinir. Surabaya: Penerbit Karunia. pp. 235 & 238–239. ISBN 978-979-9039-97-2.
- ^ 콜리지, 페이지 445
참조
- Colledge, J. J.; Warlow, Ben (2006) [1969]. Ships of the Royal Navy: The Complete Record of all Fighting Ships of the Royal Navy (Rev. ed.). London: Chatham Publishing. ISBN 978-1-86176-281-8.
- English, John (2001). Afridi to Nizam: British Fleet Destroyers 1937–43. Gravesend, Kent: World Ship Society. ISBN 0-905617-64-9.
- Friedman, Norman (2006). British Destroyers & Frigates: The Second World War and After.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86176-137-6.
- Hodges, Peter; Friedman, Norman (1979). Destroyer Weapons of World War 2. Greenwich: Conway Maritime Press. ISBN 978-0-85177-137-3.
- Langtree, Charles (2002). The Kelly's: British J, K, and N Class Destroyers of World War II.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422-9.
- Lenton, H. T. (1998). British & Empire Warships of the Second World War.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048-7.
- March, Edgar J. (1966). British Destroyers: A History of Development, 1892–1953; Drawn by Admiralty Permission From Official Records & Returns, Ships' Covers & Building Plans. London: Seeley Service. OCLC 164893555.
- Rohwer, Jürgen (2005).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The Naval History of World War Two (Third Revised ed.).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119-2.
- Whitley, M. J. (1988). Destroyers of World War Two: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326-1.
- Haryadi, Yosafat Robert (2019). Sejarah Kavaleri Korps Marinir. Surabaya: Penerbit Karunia. ISBN 978-979-9039-97-2. (인도네시아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