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베병

Krabbe disease
크라베병
기타이름
  • 글로비드세포 백혈구위축증
  • 갈락토실세라마이드 지질증
  • GALC 결핍증
  • 갈락토세레브로시다아제 결핍증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조직병리학 슬라이드는 성상세포교세포증(astrocyclic gliosis) 내에 PAS 염색이 포함된 거대 세포("globoid cell")를 보여줍니다.
전문대사장애 Edit this on Wikidata
증상[1]
통상적인 발병출생 후 3개월에서 6개월 이내에, 아동기 또는 성인기에도 나타날 수 있음
종류들유아, 청소년 및 성인
원인들GALC 유전자 변이
위험요소GALC 유전자에 대한 돌연변이에 대해 이형접합(단 한 개의 카피)인 부모
진단방법조직병리학, 유전자 검사[1]
예방산전 진단 및 위험 부부[1] 검진
치료대증적이고 지원적인 치료만 가능하지만 줄기세포 이식이 도움이[1] 될 수 있습니다.
예후1년, 2년, 3년 생존율 각각[2] 60%, 26%, 14%

크라베병(Krabbe disease, KD)신경계[3] 점진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희귀하고 종종 치명적인 리소좀 저장 질환입니다.KD는 스핑고지질의 역기능 대사를 수반하며 상염색체 열성 패턴으로 유전됩니다.이 병의 이름은 덴마크의 신경학자 크누드 크라베 (Knud Krabbe, 1885–1961)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4]

징후 및 증상

증상이 없는 신생아 발병(<생후 12개월)과 나중에 발병한 크라베병의 증상은 다르게 나타납니다.신생아 발병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 85–90%는 유아기에 진행성 신경학적 악화를 보이고 2세 이전에 사망합니다.[5]증상으로는 과민성, , 사지 경직, 발작, 섭식장애(GERD와 같은), 구토, 응시 에피소드, 정신 및 운동 발달의 둔화 등이 있습니다.질병의 첫 단계에서 의사들은 종종 그 증상을 뇌성마비의 증상으로 착각합니다.다른 증상으로는 근육 약화, 경련, 난청, 시신경 위축, 시신경 확대,[6] 실명, 마비, 삼킴 곤란 등이 있습니다.체중 감소가 장기화될 수도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나중에 발병한 크라베병 환자의 10-15%는 훨씬 더 느린 질병 진행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러한 사람들은 또한 괴사증, 흐린 말, 운동 이정표의 느린 발달 또는 상실과 같은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5]

원인들

크라베병에 나타난 상염색체 열성 유전 패턴

크라베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14번 염색체([7]14q31)에 위치한 GALC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GALC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galactosylceramidase라고 불리는 효소의 결핍을 야기합니다.[8]드물게는 활성 사포신 A(프로사포신의 유도체)의 부족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1]

대사되지 않은 지질의 축적은 신경의 보호 미엘린 피복(많은 신경을 절연시키는 피복)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쳐 탈수액화와 운동 능력의 심각한 진행성 퇴화를 초래합니다.백혈구 감소증으로 알려진 장애 집단의 일부로서, 크라베 병은 미엘린의 불완전한 성장과 발달에서 비롯됩니다.[citation needed]

갈락토실세라미다아제 결핍은 또한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올리고덴드로시테에 독성이 있는 사이코신이라고 불리는 글리코스피고지질의 축적을 초래합니다.[9]

진단.

크라베병의 존재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크라베병 신생아 선별검사에는 GALC 효소 활성을 위한 건조혈액세포 분석과 GALC 효소 변이의 증거를 위한 분자 분석이 포함됩니다.효소 활성도 및/또는 효소 변이가 낮은 유아는 추가 진단 검사 및 신경학적 검사를 위해 참조해야 합니다.[10]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모든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0-5%의 GALC 효소 활성이 관찰됩니다.[5]건조된 혈자리에 있는 높은 농도의 싸이코신은 크라베병의 표지자로도 확인될 수 있습니다.[11]2011년의 한 연구는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 더 나중에 발병한 사람들에게서 CSF 단백질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12]

이 질병은 특정 세포(다핵 글로부이드 세포)의 특징적인 집단, 신경 탈수질과 퇴행, 그리고 뇌세포의 파괴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마이엘린의 특별한 얼룩(예: 빠른 파란색 럭셔리)은 진단을 돕기[citation needed]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뉴욕,[13] 미주리, 켄터키[14] 주는 신생아 선별검사팀에 크라베를 포함시키고 있습니다.[15]인디애나주는 2020년에 상영을 시작했습니다.[16]

치료

크라베병에 대한 알려진 치료법은 없지만 골수 이식이나 조혈모세포이식(HSCT)은 질병 초기에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일반적으로, 그 장애에 대한 치료는 증상이 있고 도움이 됩니다.물리치료근육의 톤과 순환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생후 7주 만에 HSCT를 받은 크라베병 어린이들의 발달 결과에 대한 15년 간의 연구는 환자들이 수명과 기능성 모두에서 더 나은 예후를 가지고 있으며 질병의 진행이 더 느리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17]나중에 발병한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증상이 있는 사람도 충분히 일찍 진단되면 HSCT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18]탯줄 혈액은 일반적으로 이식 줄기세포의 공급원으로 사용됩니다.[19]유전자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이 현재 환자들을 등록하고 있습니다.[20]

관리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아기 발병자에게는 증상 관리가 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19]크라베병에 대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그 상태의 관리는 일반적으로 도움이 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특정 증상의 발생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빈번한 평가가 권장됩니다.[5]물리치료는 운동 장애를 완화시키고 힘, 이동성, 유연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5]

위루관은 섭식의 어려움을 피하고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2차 수술 절차의 필요성을 방지하기 위해 위루관 삽입과 닛센 안저 삽입 동시 시술이 일반적으로 시행됩니다.[19]심각한 운동 결손을 가진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더 적은 칼로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리자들이 기대하는 것보다 더 적은 칼로리를 소비하기 때문에 과식에 걸리기 쉽습니다.[19]정기적인 백신이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크라베병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전통적인 백신 접종 절차를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19]

예후

유아 크라베병에서 사망은 보통 유아기에 발생합니다.2011년의 한 연구에서는 1년, 2년, 3년 생존율이 각각 60%, 26%, 14%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더 오래 생존했습니다.늦게 발병한 크라베병 환자들은 병의 진행 속도가 느리고 상당히 오래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2]

역학

이 질병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원숭이, 쥐, 그리고 개와 같은 다른 동물들도 크라베 병을 발병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특정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보다 더 자주 삭제되지만 크라베병을 일으키는 새로운 돌연변이가 세계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가장 일반적으로, 이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은 GALC 효소의 결핍을 유발하는 GALC 유전자의 결실입니다.유럽과 멕시코 출신 환자의 80%가 이런 상황입니다.[21]초기 유아 크라베병 사망률은 2세 이전에 90%입니다.증상이 늦게 시작되면 수명이 길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나이 든 아이들은 초기 진단 후 2년에서 7년 후에 생존합니다.[22]

크라베병은 약 10만 명의 출생자 중 한 명꼴로 발생합니다.[23]이 질병은 유전적이기 때문에 발병률은 인구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21]일본은 100만명의 출생자당 5명에서 10명 사이의 발병률이 매우 낮습니다.미국에서 크라베병은 약 10만명 중 1명꼴로 발생합니다.[24]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출산율이 50,000명 중 한 명이라고 보고하고 있습니다.[25]이스라엘의 드루즈 공동체처럼 크라베병은 실제 출생아 1,000명당 6명꼴로 발병하는 등 특정 공동체에서는 발병 빈도가 훨씬 높습니다.[24]이러한 높은 비율은 부분적으로 계속적인 결혼의 높은 빈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드루즈의 결혼 중 35%가 사촌간의 결혼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6]유대인 사회에서 크라베병에 걸린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24]

발병 시기도 위치에 따라 빈도가 다릅니다.초기 신생아 크라베병은 전체적으로 가장 흔한 질병이지만, 북유럽 지역사회는 초기 신생아 크라베병 발병률이 훨씬 더 높은 경향이 있는 반면, 남유럽 국가들은 말기 발병률이 더 높습니다.성인 발병 크라베병의 발병률을 추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늦게 발병한 경우와 성인 발병한 경우를 분류하는 것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24]

사회와 문화

버팔로 빌스의 쿼터백 켈리는 1997년 아들 헌터의 진단 이후 크라베병에 대한 인정과 연구비 지원을 받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헌터 켈리는 2005년 8월 5일 8세의 나이로 이 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citation needed]그들은 신생아 검진, 연구 및 치료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백혈구 감소증 어린이 가족들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재단인 헌터의 희망을 만들었습니다.[citation needed]

가족 옹호는 신생아 검진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부분이며, 많은 크라베 가족들은 그들의 주에서 상당한 지지의 진전을 이루었습니다.[citation needed]

예를 들어, 코브 엘리스는 2016년 초에 이 병을 진단받은 미국 조지아주 출신의 어린이입니다.엘리스의 가족은 그녀의 공동체와 함께 이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으며, 부모들에게 이 질병에 대한 태아 검진을 받을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하는 "코브의 법칙"을 통과시키는 것을 도왔습니다. 이는 아이를 크라베병의 이환율과 사망률로부터 구할 수 있습니다.[27]

기타동물

크라베병은 고양이와[28][29] 개들, 특히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즈와 케언 테리어즈에서도 발견됩니다.[30][31]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Langan, Thomas J (23 November 2016). "Krabbe disease". UpToDate. Retrieved 18 October 2018.
  2. ^ a b Duffner, Patricia K.; Barczykowski, Amy; Jalal, Kabir; Yan, Li; Kay, Denise M.; Carter, Randy L. (September 2011). "Early Infantile Krabbe Disease: Results of the World-Wide Krabbe Registry". Pediatric Neurology. 45 (3): 141–148. doi:10.1016/j.pediatrneurol.2011.05.007. PMID 21824559.
  3. ^ Li, Y; Sands, MS (November 2014). "Experimental therapies in the murine model of globoid cell leukodystrophy". Pediatric Neurology (Review). 51 (5): 600–6. doi:10.1016/j.pediatrneurol.2014.08.003. PMC 4252788. PMID 25240259.
  4. ^ 누가 이름 붙였을까?
  5. ^ a b c d e Orsini, Joseph J.; Escolar, Maria L.; Wasserstein, Melissa P.; Caggana, Michele (1993), Adam, Margaret P.; Ardinger, Holly H.; Pagon, Roberta A.; Wallace, Stephanie E. (eds.), "Krabbe Disease",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PMID 20301416, retrieved 2019-11-25
  6. ^ Hussain, S. A.; Zimmerman, H. H.; Abdul-Rahman, O. A.; Hussaini, S. M.; Parker, C. C.; Khan, M. (May 2011). "Optic Nerve Enlargement in Krabbe Disease: A Pathophysiologic and Clinical Perspective". Journal of Child Neurology. 26 (5): 642–644. doi:10.1177/0883073810387929. PMID 21285037. S2CID 22242663.
  7. ^ Cannizzaro, L.A. (1994). "Regional mapping of the human galactocerebrosidase gene (GALC) to 14q31 by in situ hybridization". Cytogenetic and Genome Research. 66 (4): 244–245. doi:10.1159/000133703. PMID 8162701.
  8. ^ "Krabbe diseas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9. ^ Kohlschütter, A (2013). Lysosomal leukodystrophies: Krabbe disease and metachromatic leukodystrophy.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Vol. 113. pp. 1611–18. doi:10.1016/B978-0-444-59565-2.00029-0. ISBN 9780444595652. PMID 23622382.
  10. ^ Orsini, Joseph J.; Kay, Denise M.; Saavedra-Matiz, Carlos A.; Wenger, David A.; Duffner, Patricia K.; Erbe, Richard W.; Biski, Chad; Martin, Monica; Krein, Lea M.; Nichols, Matthew; Kurtzberg, Joanne (2016-03-01). "Newborn screening for Krabbe disease in New York State: the first eight years' experience". Genetics in Medicine. 18 (3): 239–248. doi:10.1038/gim.2015.211. ISSN 1530-0366. PMID 26795590.
  11. ^ Escolar, ML; Kiely, BT; Shawgo, E; Hong, X; Gelb, MH; Orsini, JJ; Matern, D; Poe, MD (July 2017). "Psychosine, a marker of Krabbe phenotype and treatment effect".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121 (3): 271–278. doi:10.1016/j.ymgme.2017.05.015. ISSN 1096-7192. PMC 5548593. PMID 28579020.
  12. ^ Shah, Samir S.; Ebberson, Jessica; Kestenbaum, Lori A.; Hodinka, Richard L.; Zorc, Joseph J. (January 2011). "Age-Specific Reference Values for Cerebrospinal Fluid Protein Concentration in Neonates and Young Infants".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6 (1): 22–27. doi:10.1002/jhm.711. ISSN 1553-5592. PMC 2978786. PMID 20629018.
  13. ^ Duffner, Patricia K.; Caggana, Michele; Orsini, Joseph J.; Wenger, David A.; Patterson, Marc C.; Crosley, Carl J.; Kurtzberg, Joanne; Arnold, Georgianne L.; Escolar, Maria L. (2009-04-01). "Newborn Screening for Krabbe Disease: the New York State Model". Pediatric Neurology. 40 (4): 245–252. doi:10.1016/j.pediatrneurol.2008.11.010. PMID 19302934.
  14. ^ (KRS 214.155)
  15. ^ "unbs_state - Hunter's Hope Foundation". www.huntershop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14. Retrieved 2016-11-14.
  16. ^ Runevitch, Jennie. "Bryce's Battle: Family gets law change after deadly diagnosis". WTH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2-10. Retrieved 2019-03-25.
  17. ^ Wright, Matthew D.; Poe, Michele D.; DeRenzo, Anthony; Haldal, Shilpa; Escolar, Maria L. (2017-09-26). "Developmental outcomes of cord blood transplantation for Krabbe disease: A 15-year study". Neurology. 89 (13): 1365–1372. doi:10.1212/WNL.0000000000004418. ISSN 1526-632X. PMC 5649761. PMID 28855403.
  18. ^ Laule, Cornelia; Vavasour, Irene M.; Shahinfard, Elham; Mädler, Burkhard; Zhang, Jing; Li, David K. B.; MacKay, Alex L.; Sirrs, Sandra M. (May 2018).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Late-Onset Krabbe Disease: No Evidence of Worsening Demyelination and Axonal Loss 4 Years Post-allograft". Journal of Neuroimaging. 28 (3): 252–255. doi:10.1111/jon.12502. ISSN 1552-6569. PMID 29479774. S2CID 3533589.
  19. ^ a b c d e Escolar, Maria L.; West, Tara; Dallavecchia, Alessandra; Poe, Michele D.; LaPoint, Kathleen (November 2016). "Clinical management of Krabbe disease".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94 (11): 1118–1125. doi:10.1002/jnr.23891. ISSN 1097-4547. PMID 27638597. S2CID 34083553.
  20. ^ "A Phase 1/2 Clinical Study of Intravenous Gene Transfer With an AAVrh10 Vector Expressing GALC in Krabbe Subjects Receiv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SKUE)". clinicaltrials.gov. 5 May 2021.
  21. ^ a b Amin, Mutaz; Elsayad, Liena; Ahmed, Ammar Eltahir (2017). "Clin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Leukodystrophies in Africa". Journal of Neurosciences in Rural Practice. 8 (S 01): S089–S093. doi:10.4103/jnrp.jnrp_511_16. PMC 5602269. PMID 28936078.
  22. ^ Mayo Clinic Staff (June 2018). "Krabbe Disease". Mayo Clinic.
  23. ^ "Krabbe disease". Genetics Home Referenc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08-05-02. Retrieved 2008-05-07.
  24. ^ a b c d Matsuda, Junko; Suzuki, Kunihiko (2007), Barranger, John A.; Cabrera-Salazar, Mario A. (eds.), "Krabbe Disease (Globoid Cell Leukodystrophy)", Lysosomal Storage Disorders, Springer US, pp. 269–283, doi:10.1007/978-0-387-70909-3_18, ISBN 9780387709093
  25. ^ Books.Google.com
  26. ^ Zayed, Hatem (February 2015). "Krabbe Disease in the Arab World" (PDF). Journal of Pediatric Genetics. 4 (2146–4596): 001–008. doi:10.1055/s-0035-1554981. PMC 4906415. PMID 27617109.
  27. ^ Miller, Andy (March 18, 2017). "Georgia lawmakers considering bill on testing newborns for rare genetic disorder". Athens Banner-Herald. Athens Banner-Herald. Retrieved 25 March 2017.
  28. ^ Suzuki, K. (July 1995). "The twitcher mouse: a model for Krabbe disease and for experimental therapies". Brain Pathology (Zurich, Switzerland). 5 (3): 249–258. doi:10.1111/j.1750-3639.1995.tb00601.x. ISSN 1015-6305. PMID 8520724. S2CID 43425895.
  29. ^ Salvadori C, Modenato M, Corlazzoli DS, Arispici M, Cantile C (May 2005).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globoid cell leucodystrophy in cats". J. Comp. Pathol. 132 (4): 350–6. doi:10.1016/j.jcpa.2004.12.001. PMC 7172685. PMID 15893994.
  30. ^ NYtimes.com
  31. ^ Capucchio MT, Prunotto M, Lotti D, Valazza A, Galloni M, Dore B, Pregel P, Amedeo S, Catalano D, Cornaglia E, Schiffer D (2008). "Krabbe's disease in two West Highland White terriers". Clin. Neuropathol. 27 (5): 295–301. doi:10.5414/npp27295. PMID 18808060.

이 기사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국립 신경 질환뇌졸중 연구소의 퍼블릭 도메인 텍스트를 통합합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