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에피토프
Linear epitope선형 또는 순차 에피토프는 아미노산의 선형 배열 또는 1차 구조에 의해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에피토프이다.반면 대부분의 항체는 특정 3차원 형태와 단백질 구조를 가진 입체구조 에피토프를 인식한다.
항원은 면역체계가 이물질로 인식하고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다.항원은 보통 어떤 수용체에도 전체적으로 결합하기엔 너무 큰 단백질이기 때문에, 항원을 형성하는 특정 세그먼트만이 특정 항체와 결합합니다.이러한 세그먼트를 에피토프라고 합니다.마찬가지로 항체와 접촉하는 것은 항체의 파라토프일 뿐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고 불리는 반복적인 질소를 포함한 소단위들로 구성되어 있다.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선형 배열은 1차 구조라고 불리며, 이것은 전형적으로 단순한 연속 단백질의 선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그러나 리소좀에서 항원이 분해되면 작은 펩타이드가 생성되며, 이는 일렬로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통해 인식될 수 있어 선형 [1]에피토프라고 불린다.
중요성
Western Blot, 면역조직화학, ELISA 등의 항체를 사용하는 분자측정에서는 선형 또는 입체구조 에피토프를 [2][3][4]인식하는 항체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백질 시료를 끓여 베타-메르캅토에탄올로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을 위해 SDS-PAGE로 구동하면 단백질은 본질적으로 변성되므로 자연 3차원 구조를 가정할 수 없다.따라서 면역검출에는 구조 에피토프 대신 선형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체가 선택된다.반면 단백질 구조가 보존된 면역조직화학에서는 입체구조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체가 선호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Goldsby, Richard; Kindt, TJ; Osborne, BA; Janis Kuby (2003). "Antigens (Chapter 3)". Immunology (Fifth ed.).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pp. 57–75. ISBN 0716749475.
- ^ "EMD - Calbiochem: Technical Tips/Immunochemical Applic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11. Retrieved 2008-05-06.
- ^ Ahmad, TA; Eweida, A; Sheweita, SA (2016). "B-cell epitope mapping for the design of vaccines and effective diagnostics". Trials in Vaccinology. 5: 71–83. doi:10.1016/j.trivac.2016.04.003.
- ^ Ahmad, TA; Eweida, A; El-Sayed, LH (2016). "T-cell epitope mapping for the design of powerful vaccines". Vaccine Reports. 6: 13–22. doi:10.1016/j.vacrep.2016.07.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