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장르
Literary genre문학 |
---|
![]() |
주요 양식 |
산문 장르 |
시 장르 |
드라마 장르 |
기록 및 목록 |
토론 |
![]() |
문학 장르는 문학작품의 범주다.장르는 문학적 기법, 어조, 내용 또는 (소설의 경우처럼) 길이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그들은 일반적으로 더 추상적이고, 계층을 포괄하는 것에서 이동하며, 그 다음에는 더욱 구체적인 구분으로 세분된다.[1]장르와 범주의 구분은 유연하고 느슨하게 정의되며 장르를 지정하는 규칙도 시간이 지날수록 바뀌고 상당히 불안정하다.[2]
현재 고전 문학 장르의 많은 부분은 그의 유명한 논문인 수사학과 시학에서 요약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념에서 시작되었다.논문 '미사여구'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 문학 장르를 심의, 법의학, 인식론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다.[3]그는 또한 그의 논문인 《시인》에서 시의 장르를 더욱 분류하는데, 여기서 그는 또한 서사시, 비극, 코미디의 세 가지 장르 형태를 창조한다.[3]문학 장르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다른 학자들의 작품을 통해 세밀하게 조율되었다.[4]
장르는 모두 산문이나 시의 형식일 수 있다.덧붙여 풍자, 우화, 목회 등의 장르는 하위장르(아래 참조)로서뿐만 아니라, 장르의 혼합으로서 위의 어느 것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마지막으로, 그것들은 그들이 작곡된 역사적 시대의 일반적인 문화 운동으로 정의된다.
장르는 나이 범주와 혼동해서는 안 되며,이범주에서 문학은 성인, 청소년 또는 어린이로 분류될 수 있다.그들은 또한 그래픽 소설이나 그림책 하위 장르와 같은 '형식'과 같지 않다.[5]
장르의 역사
아리스토텔레스와 함께한 장르의 기초
장르 이데올로기는 문학 장르의 분류에 생물학적 개념을 적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념과 저술 작품과 함께 진정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6]이러한 분류들은 주로 그의 논문인 '미사여구'와 '시인'에서 논의된다.이 논문들에서 그는 산문과 시 장르는 물론 수사적인 문학 장르의 윤곽을 드러낸다.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가지 새로운 수사학 문학 장르인 심의학, 법의학, 인식학을 소개한다.그는 웅변가들이 이러한 수사적인 장르의 사용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바를 이야기한다.[3]
그의 논문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가지 주요 산문/시 장르, 즉 서사시, 비극, 희극을 논한다.그는 이러한 장르들을 모방 시의 주요 형태로서 논의하며, 그것들이 인간의 감정과 특성의 표현과 모방이라고 언급했다.[7]
다른 학자들의 공헌
장르는 수많은 문학 평론가들과 학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특히 Northrop F례라는 이름의 한 학자가 '비평의 해부학'을 펴내 장르의 체계를 이론화하고 언어화했다.시스템을 통해 그는 일련의 규칙을 사용하여 각 장르의 제약을 설명한다.[1]그는 작품에서 '작품의 영웅과 우리 자신 또는 자연의 법칙과의 관계'[1]라는 헌법을 통해 신화, 전설, 고미매틱 장르, 저미매틱 장르, 아이러니, 코믹, 비극의 장르의 방법론적 분류를 정의한다.그는 또한 '현실'과 '이상'의 대칭으로 로맨스(이상), 아이러니(실제), 코미디(실제에서 이상으로의 전환), 비극(이상에서 현실로의 전환)의 장르를 분류한다.마지막으로, 그는 그들이 원하는 관객에 따라 장르를 드라마, 서정시, 서사시 등으로 나눈다.[1]
프례 이전에는 문학 장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작품들이 많이 쓰여 있었다.작품 중 하나는 50여 명의 문학작가의 작품과 이들이 청중들의 감정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들을 논의한 로마 시대의 그리스어 논문 '수블라임'이었다.[8]
사실적으로 사실이 아닌 곳에 존재하는 '상상적' 장르, 즉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글쓰기가 발명된 것은 낭만주의 시대부터였다.[4]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전쟁, 내분, 리더십 타도라는 측면에서 서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던 사회 사건들이 종종 기인한다.[4] 사람들은 각자의 처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피주의'의 필요성을 느꼈다.[4]
장르
문학작품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장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공유 관습을 바탕으로 이를 분류한다.[9]이후 장르는 하위 장르로 더욱 나뉜다.문학은 고대 그리스의 고전적인 세 가지 형태, 시, 연극, 산문으로 세분된다.그 후 시는 서정, 서사시, 극의 장르로 세분될 수 있다.가사는 노래, 노래, 노래, 발라드, 엘레지, 소네트 등 모든 짧은 형태의 시를 포함한다.[9]드라마틱한 시는 희극, 비극, 멜로드라마, 그리고 희비극 같은 혼합물을 포함할지도 모른다.
드라마를 비극과 희극으로 표준분할하는 것은 그리스 드라마에서 비롯된다.[9]이러한 하위 장르로의 분업은 계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미디는 예절의 코미디, 감상적인 코미디, 버레스크 코미디, 풍자 코미디를 포함한 그 자체의 하위 장르를 가지고 있다.
흔히 작품을 장르로 나누는 데 사용되는 기준은 일관성이 없고, 작가나 평론가 모두 토론과 변화, 도전의 대상이 될 수 있다.[2]그러나 일부 기본적인 구분은 거의 만장일치일 수 있다.예를 들어, 소설과 같은 흔한 느슨한 장르("실화나 상황에 근거할 수도 있지만 사실로서 제시되지 않고 상상력으로 창조된 문학")는 모든 허구 문학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대신 일반적으로 소설, 단편 소설, 중편 문학에는 사용하지 않고, 우화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i또한 보통 산문 텍스트.
세미픽션이나 스팬 스토리에는 상당한 양의 논픽션이 포함되어 있다.이름만 바꾼 실화를 되짚은 것인지도 모른다.또한 가상의 사건들이 제리 사인펠드 같은 반(反)정체적 성격을 띠게 되는 호혜적 작용도 할 수 있다.
현대 장르 이론
현대 장르 이론의 기원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의 유럽 낭만주의 운동과 다시 연결되는데, 이 운동에서 장르의 개념이 심각하게 검토되었다.[10]장르적 제약을 무시할 수 있다는 생각과 각 문학작품이 '그 자체로 천재적'[10]이라는 생각이 인기를 끌었다.장르적 정의는 "원초적이고 유치한"[10] 것으로 생각되었다.그 시점부터 21세기까지 현대 장르 이론은 수세기 동안 장르의 분류를 표방해온 관습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았다.그러나 21세기는 장르가 개성의 상실이나 지나친 순응과 연관되는 부정적인 함축의 많은 부분을 잃어버린 새로운 시대를 가져왔다.[10]
주요 양식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Todorov, Tzvetan; Howard, Richard (1976).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20 (2): 186–189. doi:10.2307/305826. JSTOR 305826. Retrieved 2021-04-17 – via JSTOR.
- ^ a b Pavel, Thomas (2003). "Literary Genres as Norms and Good Habits". New Literary Histor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4 (2): 201–210. doi:10.1353/nlh.2003.0021. JSTOR 20057776. S2CID 144429849. Retrieved 2021-04-17 – via JSTOR.
- ^ a b c Collins, James (2015). Exhortations to Philosophy: The Protreptics of Plato, Isocrates, and Aristotl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58595.
- ^ a b c d Corrigan, Philip (July 1, 1986). "Book Review: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Insurgent Sociologist. 13 (4): 75–77. doi:10.1177/089692058601300410. S2CID 14484816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8, 2021. Retrieved April 17, 2021.
- ^ Neto, Bill (April 16, 2021). "Literary Genres". eBooks Discoun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7, 2021. Retrieved April 17, 2020.
- ^ Fishelov, David (1999). "The Birth of a genre". European Journal of English Studies. 3 (1): 51–63. doi:10.1080/13825579908574429. ISSN 1382-557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28. Retrieved 2021-04-17.
- ^ Wagner, Christian (2005). "G. M. Sifakis: Aristotle on the function of tragic poetry". Gnomon. 77 (4): 294–299. doi:10.17104/0017-1417_2005_4_294. ISSN 0017-14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28. Retrieved 2021-04-17.
- ^ Weinberg, Bernard (February 1950).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of Longinus, "On the Sublime", to 1600: A Bibliography". Modern Philology. 47 (3): 145–151. doi:10.1086/388836. ISSN 0026-8232. S2CID 1611095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28. Retrieved 2020-12-02.
- ^ a b c "Gen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6, 2011. Retrieved April 17, 2021.
- ^ a b c d Duff, David (2000). Modern Genre Theory. London: Routledge. doi:10.4324/9781315839257. ISBN 97813158392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4-28. Retrieved 2021-04-17.
{{cite book}}
: CS1 maint: 날짜 및 연도(링크)
외부 링크
라이브러리 리소스 정보 문학 장르 |
- 픽션 하위 장르, 정의 및 지시 단어 목록
- (es) 문예 장르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