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절

Lymph node
림프절
Schematic of lymph node showing lymph sinuses.svg
림프절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입니다.
Blausen 0623 LymphaticSystem Female.png
림프절은 림프계의 일부를 형성하고 신체의 대부분에 존재하며 작은 림프관에 의해 연결된다.
세부 사항
시스템.면역체계일부인 림프계
식별자
라틴어림프절(Nodus lymphicus); 림프절(임파절)
메쉬D008198
TA98A13.2.03.001
TA25192
FMA5034
해부학 용어

림프절 또는 림프선[1]림프계적응 면역계의 신장 모양의 기관이다.많은 림프절들이 림프관에 의해 몸 전체에 연결되어 있다.그들은 B세포와 T세포를 포함하는 림프구의 주요 부위이다.림프절은 암세포를 비롯한 이물질의 필터 역할을 하는 면역체계의 제 기능을 위해 중요하지만 해독 기능은 없다.

림프계에서 림프절은 이차 림프기관이다.림프절은 섬유상 캡슐에 봉입되어 외피질 및 내수질로 이루어진다.

림프절은 경미한 인후염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암까지 다양한 질병에서 염증을 일으키거나 확대됩니다.림프절의 상태는 사용할 치료법과 예후를 결정하는 암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림프절 장애는 확대되거나 부어오른 분비선을 말한다.염증이 생기거나 확장되면 림프절은 단단하거나 부드러워질 수 있습니다.

구조.

1) 캡슐, 2) 캡슐하정맥동, 3) 생식중심, 4) 림프절, 5) 트라베큘라 단면의 단면

림프절은 신장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가 [2]0.1에서 2.5cm 사이이다.각 림프절은 섬유상 캡슐로 둘러싸여 있으며, 섬유상 캡슐은 림프절 안쪽으로 뻗어 트라베큘라[3]형성한다.림프절의 물질은 외피질[3]내수질로 나뉜다.이것들은 [2]세포들이 풍부합니다.문짝은 림프관이 떠나고 혈관이 [2]드나드는 림프절의 오목한 표면에 난 움푹 패인 자국이다.

림프는 여러 개의 구심성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의 볼록한 쪽으로 들어가고 거기서부터 일련의 [3]부비강으로 흐른다.구심성 림프관에서 림프절로 들어간 후 림프는 캡슐 밑의 캡슐 부비동이라고 불리는 공간으로 흘러들어 피질 부비강으로 들어간다.[3]피질을 통과한 후 림프는 수핵에 [3]모인다.이 모든 부비강은 오목한 [3]쪽의 문턱에서 결절을 빠져나가기 위해 폐림프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위치

림프절은 몸 전체에 존재하며, 몸통 근처와 몸통 안에 더 집중되어 있으며,[2] 그룹으로 나뉩니다.성인에게는 [2]약 450개의 림프절이 있다.팔 아래 액와 림프절, 머리와 목의 경부 림프절 및 사타구니 주름 부근의 사타구니 림프절과 같은 일부 림프절은 확대되었을 때(때로는 그렇지 않을 때) 느낄 수 있다.대부분의 림프절은 부피질 림프절기관지 림프절과 같은 신체 내 다른 주요 구조물과 인접한 줄기에 있다.림프액 배출 패턴은 사람마다 다르고 심지어 같은 [4][5]몸의 양쪽이 비대칭이다.

중추신경계에는 림프절이 없고, 이 림프절은 혈액-뇌 장벽에 의해 몸에서 분리된다.CNS의 수막 림프관에서 나온 림프는 깊은 자궁경부 림프절[6]배출된다.

크기

성인의 림프절 크기 상한
일반적으로. 10 mm[7][8]
인귀날 10[9] ~ 20 mm[10]
골반 난형 림프절은 10mm, 둥근 림프절은[9] 8mm
일반적으로(비후두) 10 mm[9][11]
주걱턱 위 림프절 11mm[9] 또는 15mm[11]
후인두 8 mm[11]
  • 외측인두후방: 5 mm[9]
미디어스티넘
종격, 일반적으로 10 mm[9]
종격과 부위가 높다 7mm[12]
저부기관 및 하복골 11 mm[12]
상복부
후각 공간 6 mm[13]
파라카디악 8 mm[13]
위간 인대 8 mm[13]
상부 부피질 영역 9 mm[13]
Portacaval 공간 10 mm[13]
포르타헤파티스 7 mm[13]
하부 부피질 영역 11 mm[13]

소분할

림프절은 결절(또는 소엽)이라고 불리는 구획으로 나뉘는데, 각각은 결합된 모낭 B세포, T세포의 부피질, 그리고 [14]수질에 있는 결절의 일부로 구성됩니다.림프절의 물질은 외피질[3]내수질로 나뉜다.림프절의 피질은 림프절의 바깥쪽 부분이며,[14] 캡슐과 캡슐하정맥동 아래에 있습니다.그것은 외부[14]부피질로 알려진 더 깊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외피질은 주로 [2]모낭이라고 불리는 불활성화된 B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활성화되면 이들은 발아중추라고 불리는 [2]곳으로 발달할 수 있다.더 깊은 부피질은 주로 [2]T세포로 구성되어 있다.여기서 T세포는 주로 수지상 세포와 상호작용하며 망상 네트워크는 [15]조밀하다.

수질은 항체를 분비하는 혈장 세포를 포함하는 큰 혈관, 부비강 및 수대를 포함합니다.수질에 세포가 적어요.[2]

수질줄은 림프조직의 끈으로 혈장세포, 대식세포, B세포를 포함한다.

림프계에서 림프절은 이차 림프기관이다.[2]림프절은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B세포와 T세포로 구성되어 [2]있다.B세포는 주로 림프모낭에서 모낭 B세포로 뭉쳐 있는 외피질에서 발견되며, T세포와 수상세포주로 [16]부피질에서 발견됩니다.

수질에 있는 세포가 [2]피질보다 적다.수질은 혈장 세포뿐만 아니라 수성 [16]부비강 에 존재하는 대식세포를 포함한다.

망상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B세포 엽단에는 모낭 수상세포가, T세포 피질에는 섬유아세포망상세포가 있다.망상 네트워크는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및 림프구 접착을 위한 구조적 지지와 표면을 제공합니다.또한 고내피 정맥을 통해 혈액과 물질을 교환할 수 있으며 면역 [17]세포의 활성화와 성숙에 필요한 성장과 조절 인자를 제공합니다.

림프류

Human lymph node
림프의 흐름을 보여주는 인간 림프절의 레이블 다이어그램.
구심성 및 원심성 혈관

림프는 림프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여러 구심성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의 볼록한 쪽으로 들어가고 여기서부터 캡슐 밑의 공간(라틴어: 부비동)[2][3]으로 흐릅니다.여기서부터 림프는 피질 [3]내의 부비강으로 흐릅니다.피질을 통과한 후 림프는 수핵에 [3]모인다.이 모든 부비강은 오목한 [3]쪽의 문에서 결절을 빠져나가기 위해 폐림프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들은 섬유아세포망상세포와 함께 내피세포가 늘어선 림프절 내 채널로 림프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캡슐하정맥동의 내피는 구심성 림프관의 내피와 연속적이며, 또한 트라베큘라에 측면 및 피질 내에 있는 유사한 부비강과도 연속적이다.이 혈관들은 더 작고 대식세포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림프절 안에서 기능하도록 유지된다.림프 과정에서 림프구는 적응면역반응의 일부로 활성화될 수 있다.

때때로 두 개의 [18]혈관이 있을 수 있지만 보통 하나의 혈관이 있다.수질 부비강은 조직세포(불모체 대식세포)와 망상세포를 포함한다.

림프절은 림프 조직, 즉 그물망 또는 백혈구가 그물망이라고 불리는 섬유를 포함한다.그물망 내에 세포가 거의 없는 영역을 림프동이라고 한다.그것은 망상세포, 섬유아세포, 고정대식세포[19]의해 배열된다.

캡슐

트라베큘라를 나타내는 림프절 조직

망상결합조직의 얇은 망상섬유(레티쿨린)는 [2]노드 내에서 지지망 구조를 형성한다.림프절 캡슐은 몇 가지 단순한 콜라겐 섬유를 가진 조밀하고 불규칙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표면에서 많은 막상 과정 또는 트라베큘라가 확장되어 있습니다.trabeculae는 원주와 노드 중심 사이의 공간의 약 1/3 또는 1/4 동안 노드의 중심을 향해 방사선을 그리며 안쪽으로 통과합니다.일부 동물에서는 노드의 말초 또는 피질 부분을 다수의 구획(노듈)으로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잘 표시되지만, 인간에서는 이러한 배열이 명확하지 않다.캡슐에서 튀어나온 더 큰 사시골은 미세한 띠로 나뉘고, 이러한 사시골은 노드의 중앙 또는 수질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합니다.서로 얽힌 트라베큘라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트라베큘라 공간에는 적절한 림프절 물질 또는 림프조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러나 노드 펄프는 공간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바깥쪽 가장자리와 둘러싸인 트라베큘라 사이에 균일한 폭의 채널 또는 공간을 남깁니다.이를 캡슐하정맥동(림프 경로 또는 림프동)이라고 합니다.그 위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미세한 망상 섬유들이 있는데, 대부분 세포로 덮여 있다.

기능.

림프계에서 림프절은 이차 림프기관이다.[2]

림프구를 나타내는 림프절의 그림.

림프절의 주요 기능은 감염을 식별하고 퇴치하기 위한 림프 여과이다.이를 위해 림프절은 B세포와 T세포를 포함한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를 포함한다.이것들은 혈류를 통해 순환하고 림프절에 들어가 상주한다.[20]B세포는 항체를 생성한다.각 항체는 결합할 수 있는 하나의 미리 정해진 표적인 항원을 가지고 있다.이것들은 혈류 전체에 순환하고 만약 그들이 이 표적을 발견하면, 항체는 그것에 결합하고 면역 반응을 자극합니다.각각의 B세포는 다른 항체를 생성하며, 이 과정은 림프절에서 구동된다.B 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된 "순수한" 세포로 혈류로 들어갑니다.림프절에 들어간 후, 그들은 림프 난포에 들어가 증식하고 분열하며, 각각 다른 항체를 생성한다.만약 세포가 자극을 받는다면, 그것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하거나 미래 [21]감염과 싸우는 것을 돕는 기억 세포 역할을 할 것이다.세포가 자극을 받지 않으면 세포자멸을 일으켜 [21]죽게 된다.

항원박테리아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분자,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화학 물질, 또는 때로는 신체 조직 자체에 존재하는 분자이다.이것들은 수지상 [22]세포와 같은 항원 제시 세포라고 불리는 몸 전체의 세포에 의해 흡수된다.이 항원 제시 세포들은 림프계로 들어간 다음 림프절로 들어간다.이들은 T세포에 항원을 제시하고 적절한 T세포 수용체를 가진 T세포가 있으면 활성화된다.[21]

B세포는 구심성 림프로부터 직접 항원을 획득한다.B세포가 자신의 동족항원과 결합하면 활성화된다.일부 B세포는 즉시 혈장세포를 분비하는 항체로 발달해 IgM을 분비한다.다른 B 세포는 항원을 내부화하여 B 및 T 세포 구역 계면의 모낭 도우미 T 세포에 제공할 것이다.만약 동족 FTh세포가 발견되면 CD40L을 상향조절하여 B세포의 체세포 과변성 및 아이소타입 클래스 전환을 촉진하여 항원결합 친화력을 높이고 이펙터 기능을 변화시킨다.림프절 내의 세포가 증식하면 림프절이 확장된다.

림프는 몸 전체에 존재하며 림프관을 통해 순환한다.림프절과 림프절 사이의 이러한 유출 – 구심성 혈관은 림프절 내부로 유출되고, 림프절의 혈관은 유출됩니다.림프액이 림프절 안으로 들어가면 캡슐 바로 아래의 림프액이 캡슐하정맥동이라고 불리는 공간에 있는 림프액으로 빠져나갑니다.캡슐하 부비강은 삼차 부비강으로, 그리고 마침내 수핵 부비강으로 빠져나간다.부비강 공간은 대식세포유사동물에 의해 십자형으로 교차되며, 이 유사동물은 이물질을 가두고 림프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수핵 부비강은 문과 림프에 수렴한 후, 림프관통해 림프절을 떠나 더 중심 림프절을 향하거나 궁극적으로 중심 정맥 쇄골하 혈관으로 배수한다.

  • B세포는 결절피질과 수질로 이동한다.
  • T세포는 심피질로 이동한다.이것은 바로 수질을 둘러싸고 있는 부피질이라고 불리는 림프절의 영역입니다.순진한 T세포와 수상세포는 모두 CCR7을 발현하기 때문에 동일한 화학요인에 의해 부피질로 빨려 들어가 T세포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진다.B와 T 림프구 모두 혈액순환에서 부피질에서 발견되는 특수 고내피 정맥을 통해 림프절로 들어간다.

임상적 의의

붓기

확대된 림프절을 보여주는 3D 의료 애니메이션의 스틸 이미지입니다.

림프절의 비대나 부기는 림프절 [23]장애로 알려져 있다.붓기는 감염, 종양, 자가면역질환, 약물반응, 아밀로이드증, 살코이드증 등의 질병 또는 림프종이나 [24][23]백혈병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원인에 따라서는 특히 팽창이 빠르고 감염이나 [23]염증으로 인해 붓기가 아플 수 있습니다.림프절 [23]확대는 국소적인 감염원 또는 림프절까지 퍼진 종양을 암시할 수 있는 부위에 국한될 수 있다.또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이는 감염, 결합 조직 또는 자가 면역 질환 또는 림프종이나 [23]백혈병과 같은 혈액 세포의 악성 종양을 암시할 수 있다.드물게 부위에 따라 림프절 확대로 인해 호흡곤란이나 혈관 압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 상부 대정맥 폐색[25]).

확대된 림프절은 건강 검진의 일부로 느껴지거나 의료 [citation needed]영상촬영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의료 기록의 특징은 붓기, 통증, 그리고 열이나 [26]체중 감소와 같은 다른 체질적 증상과 같은 원인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유방의 종양은 팔[23] 아래 림프절의 부종을 초래할 수 있으며 체중 감소와 식은땀은 림프종과 [23]같은 악성 종양을 나타낼 수 있다.

의료인에 의한 건강검진 외에, 의료검사혈액검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23] 그 원인을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스캔이 필요할 수 있다.림프절 조직검사도 [23]필요할 수 있다.

림프절은 림프조직의 1차암과 신체의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2차암에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림프조직의 1차암은 림프종이라고 불리며 호지킨림프종비호지킨림프종[27]포함한다.림프절의 암은 [27]종양의 등급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며, 통증이 없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붓는 것에서부터 며칠 또는 몇 주에 걸쳐 갑작스럽게 급격히 확대되는 것까지 광범위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대부분의 림프종은 B세포의 [27]종양이다.림프종은 혈액학자종양학자에 의해 관리된다.

신체의 많은 부분의 국소암은 [28]림프절로 전이된 종양세포로 인해 림프절이 커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림프절 개입은 종종 암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부분이며, 국소 질환의 "보초" 역할을 하며, TNM 병기 및 기타 암 병기 시스템에 통합된다.암에 대한 조사나 연구의 일환으로 림프절을 촬영하거나 수술로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림프절이 영향을 받는지 여부는 암의 단계와 전반적인 치료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림프부종

림프부종은 림프계에 [29]의한 충분한 클리어런스와 관련된 조직의 붓기(부종) 상태를 말한다.그것은 대개 발달하지 않았거나 없는 림프절의 결과로 선천적일 수 있으며, 원발성 림프부종으로 알려져 있다.이차 림프부종은 보통 유방암 수술 중 림프절을 제거하거나 방사선과 같은 다른 해로운 치료에서 발생한다.그것은 또한 일부 기생충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감염된 조직은 [citation needed]감염될 위험이 크다.림프부종의 관리에는 체중감량, 운동, 환지의 습기 유지,[29] 환부를 압박하는 조언이 포함될 수 있다.때로는 외과적 관리도 [29]고려된다.

유사한 림프 기관

비장편도는 림프절과 다소 유사한 기능을 하는 더 큰 이차 림프 기관이지만, 비장은 림프보다는 혈액 세포를 여과한다.편도선을 림프절이라고 잘못 부르기도 한다.편도와 림프절은 특정한 특징을 공유하지만, 그것들에는 위치, 구조,[30] 크기와 같은 많은 중요한 차이점도 있다.또한 편도는 조직액을 여과하는 반면 림프절은 [30]림프를 여과한다.

충수에는 림프조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계뿐만 아니라 [31]면역계에서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Swollen glands NHS inform". www.nhsinform.scot. Retrieved 4 April 2020.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Standring, Susan, ed. (2016). "Lymphoid tissues".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1st ed.). Philadelphia. pp. 73–4. ISBN 9780702052309. OCLC 920806541.
  3. ^ a b c d e f g h i j k Young B, O'Dowd G, Woodford P (2013).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pp. 209–210. ISBN 9780702047473.
  4. ^ Themes, U. F. O. (6 January 2018). "Lymphatic Anatomy and Clinical Implications". Ento Key. Retrieved 21 September 2020.
  5. ^ https://www.woundsinternational.com/uploads/resources/content_11242.pdf[베어 URL PDF]
  6. ^ Dupont G, Schmidt C, Yilmaz E, Oskouian RJ, Macchi V, de Caro R, Tubbs RS (January 2019).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lymphatics of the brain and spinal cord". Clinical Anatomy. 32 (1): 117–121. doi:10.1002/ca.23308. PMID 30362622.
  7. ^ Ganeshalingam, Skandadas; Koh, Dow-Mu (2009). "Nodal staging". Cancer Imaging. 9 (1): 104–111. doi:10.1102/1470-7330.2009.0017. ISSN 1470-7330. PMC 2821588. PMID 20080453.
  8. ^ Schmidt Júnior, Aurelino Fernandes; Rodrigues, Olavo Ribeiro; Matheus, Roberto Storte; Kim, Jorge Du Ub; Jatene, Fábio Biscegli (2007). "Distribuição, tamanho e número dos linfonodos mediastinais: definições por meio de estudo anatômico". Jornal Brasileiro de Pneumologia. 33 (2): 134–140. doi:10.1590/S1806-37132007000200006. ISSN 1806-3713. PMID 17724531.
  9. ^ a b c d e f Torabi M, Aquino SL, Harisinghani MG (September 2004). "Current concepts in lymph node imaging". Journal of Nuclear Medicine. 45 (9): 1509–18. PMID 15347718.
  10. ^ "Assessment of lymphadenopathy". BMJ Best Practice. Retrieved 4 March 2017. 최종 갱신일 : 최종 갱신일 :2017년 2월 16일
  11. ^ a b c 페이지 432 인치:
  12. ^ a b Sharma, Amita; Fidias, Panos; Hayman, L. Anne; Loomis, Susanne L.; Taber, Katherine H.; Aquino, Suzanne L. (2004). "Patterns of Lymphadenopathy in Thoracic Malignancies". RadioGraphics. 24 (2): 419–434. doi:10.1148/rg.242035075. ISSN 0271-5333. PMID 15026591. S2CID 7434544.
  13. ^ a b c d e f g Dorfman, R E; Alpern, M B; Gross, B H; Sandler, M A (1991). "Upper abdominal lymph nodes: criteria for normal size determined with CT". Radiology. 180 (2): 319–322. doi:10.1148/radiology.180.2.2068292. ISSN 0033-8419. PMID 2068292.
  14. ^ a b c Willard-Mack CL (25 June 2016). "Normal structure, function, and histology of lymph nodes". Toxicologic Pathology. 34 (5): 409–24. doi:10.1080/01926230600867727. PMID 17067937.
  15. ^ Katakai T, Hara T, Lee JH, Gonda H, Sugai M, Shimizu A (August 2004). "A novel reticular stromal structure in lymph node cortex: an immuno-platform for interactions among dendritic cells, T cells and B cells". International Immunology. 16 (8): 1133–42. doi:10.1093/intimm/dxh113. PMID 15237106.
  16. ^ a b 데이비슨의 2018년 67페이지
  17. ^ Kaldjian EP, Gretz JE, Anderson AO, Shi Y, Shaw S (October 2001). "Spatial and molecular organization of lymph node T cell cortex: a labyrinthine cavity bounded by an epithelium-like monolayer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anchored to basement membrane-like extracellular matrix". International Immunology. 13 (10): 1243–53. doi:10.1093/intimm/13.10.1243. PMID 11581169.
  18. ^ Henrikson RC, Mazurkiewicz JE (1 January 1997). Hist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683062250.
  19. ^ Warwick R, Williams PL (1973) [1858]. "Angiology (Chapter 6)". Gray's anatomy. illustrated by Richard E. M. Moo re (Thirty-fifth ed.). London: Longman. pp. 588–785.
  20. ^ 호프브랜드의 2016년 페이지 103,110
  21. ^ a b c 호프브랜드의 2016년 페이지 111
  22. ^ 호프브랜드의 2016년 페이지 109
  23. ^ a b c d e f g h i 데이비슨의 2018년 페이지 927
  24. ^ 호프브랜드의 2016년 페이지 114
  25. ^ 데이비슨의 2018년 페이지 1326
  26. ^ 데이비슨의 2018년 페이지 913
  27. ^ a b c 데이비슨의 2018년 페이지 961
  28. ^ 데이비슨의 2018년 페이지 1324
  29. ^ a b c Maclellan RA, Greene AK (August 2014). "Lymphedema". Seminars in Pediatric Surgery. 23 (4): 191–7. doi:10.1053/j.sempedsurg.2014.07.004. PMID 25241097.
  30. ^ a b Lakna (31 January 2019).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onsils and Lymph Nodes". Pediaa.Com. Retrieved 14 December 2019.
  31. ^ Kooij IA, Sahami S, Meijer SL, Buskens CJ, Te Velde AA (October 2016). "The immunology of the vermiform appendix: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186 (1): 1–9. doi:10.1111/cei.12821. PMC 5011360. PMID 27271818.

참고 문헌

  • Ralston SH, Penman ID, Strachan MW, Hobson RP (2018).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3rd ed.). Elsevier. ISBN 978-0-7020-7028-0.
  • Hoffbrand V, Moss PA (2016). Hoffbrand's essential haematology (7th ed.). West Sussex: Wiley Blackwell. ISBN 978-1-1184-0867-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