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네그로
Magical Negro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아프리카계 미국인 |
---|
![]() |
미국의 영화관에서 마법의 네그로는 영화에서 백인 주인공들의 도움을 받는 조연 배우다.[1]종종 특별한 통찰력이나 신비로운 힘을 가진 마법의 흑인 등장인물들은 오랫동안 미국 소설의 전통이었다.[2]
마법의 네그로라는 용어는 2001년 영화감독 스파이크 리에 의해 대중화되었는데, 대학 캠퍼스 투어에서 학생들과 영화를 토론하면서 할리우드가 이 전제를 계속 채용하고 있다고 말해 실망감을 나타냈다.그는 또한 영화 The Green Mile과 The Legend of Bagger Vance가 "슈퍼 듀퍼 마법의 네그로"[3][4][5][6]를 사용했다고 말했다.비평가들은 "네그로"라는 단어를 현대 영어에서 고풍스럽고 보통 불쾌하게 여겨지기 때문에 사용한다.사심 없이 백인을 돕는 '매력적인 흑인 캐릭터'가 '삼보'나 '고귀한 야만인'[2] 같은 고정관념의 후퇴라는 그들의 메시지를 밑바탕에 새긴 것이다.
사용법
픽션과 영화
마법의 네그로는 영화, 텔레비전, 문학에 등장하는 트로피로, 등장인물은 전형적으로, 그러나 항상은 아니지만, "차별, 장애 또는 사회적 제약에 의해, 겉으로 또는 내면적으로 장애가 있다".흑인은 종종 수위나 포로가 된다.[7]등장인물은 과거가 없는 경우가 많지만 어느 날 단순히 나타나 백인 주인공을 돕는다.[8][9]그들은 대개 일종의 마법의 힘을 가지고 있는데, "어렴풋이 정의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딪히는 종류의 것은 아니다."[8]캐릭터는 인내심이 강하고 현명하며, 종종 다양한 지혜의 단어를 주입하며, "지구에 더 가까이" 있다.[6]이 캐릭터는 또한 시드니 포이티어가 마법의 네그로를 연기하는 "The Defiant Ones"에서 예시된 것처럼 백인 주인공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것을 할 것이다.[6]영화평론가 맷 졸러 세이츠는 이 트로피가 "어떤 백인들이 불쾌하거나 심지어 골치 아프게 생각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말했다.영화 평론가 오드리 콜롬베는 이 트로피가 압도적인 화이트 블록버스터 영화 산업에 의해 영구화되었다고 주장한다.[10][11]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스파이크 리는 2001년에 "백인이 지배하는 영화 산업은 여전히 예전과 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귀한 야만인과 행복한 노예를 재활용하는 것"[12]이라고 말했다.
인종차별주의 역사학자인 프란시스코 베텐코트와 존 버스터디엔은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반의 스페인 코미디언 드 네그로스와 흑인 "행동 군인"에 대한 그들의 묘사를 추적하고 있는데, 이들은 아프리카인들의 더 큰 체력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한다.여기에는 로페 드 베가의 엘 탕티오 데 에티오피아와 엘 네그로 델 메조르 아모, 안드레스 드 클라라몬테의 엘 발리엔테 네그로 앙 플란데스 등이 포함된다.[13][14]
마법의 네그로를 "마법적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친구"라고 지칭하는 크리스토퍼 존 팔리는 그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시나리오 작가들의 무지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MAAF가 존재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들이 백인 힙합 스타 에미넴의 레코드에서 듣는 것 외에 흑인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다.그래서 인생사나 연애사를 얻는 대신 흑인 캐릭터는 마법의 힘을 얻는다.[7]
마법의 네그로 고정관념은 전형적으로 백인 주인공이 자신의 결점을 인식하고 이를[6] 극복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가르침으로써 백인 주인공이 곤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줄거리 장치 역할을 한다.[15]비록 등장인물이 마법의 힘을 가지고 있을지 모르지만, 그 마법은 표면적으로는 백인 남성 캐릭터를 돕고 계몽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7][16]2009년판 《사회문제》지에 실린 기사는 마법의 흑인은 미국 내 인종 프로파일링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힘은 미국의 구원과 구원의 신화의 맥락 안에서 흐트러지고, 교양 없고, 상실되거나, 망가진 백인들(거의 백인 남성들)을 능력 있고, 성공적이며, 내용적인 사람으로 구원하고 변화시키는 데 사용된다.몇몇 사람들이 가장 골치 아픈 것은 마법의 흑인의 특징이다.비록 어떤 관점에서는 캐릭터가 흑인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여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캐릭터는 여전히 궁극적으로 백인에 종속되어 있다.그나 그녀도 예외로 간주되어, 백인이 흑인 문화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흑인 문화를 좋아하지는 않을 수 있다.[17]
2001년 스파이크 리는 대학 캠퍼스에 관한 일련의 강연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여 그 당시 최근의 영화들에서 흑인 남성들을 위해 창조된 정형적이고 비현실적인 역할을 비판했으며, 그 예로 The Family Man, What Dreams May Come, The Legend of Bagger Vance, The Green Mile(1999)을 들었다.[3]백거 밴스가 정해진 시간과 장소를 이야기하면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 "블랙스는 좌우로 린치를 당하고 있고, [바거 밴스는] 맷 데이먼의 골프 스윙을 개선하는 데 더 신경을 쓴다구!…앉아야겠어. 생각만 해도 화가 나.그들은 여전히 예전과 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귀한 야만인과 행복한 노예를 재활용하는 거야."그는 계속해서 흑인들이 모든 종류의 일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그의 욕구에 대해 토론했다.[4]
크린 가바드 작가는 2004년 출간된 책에서 우피 골드버그가 연기한 1990년 영화 고스트의 오다 매 브라운 캐릭터가 마법의 흑인의 예라고 주장했다.[16]: 154–155
2012년 작가인 기아 미악카 나티세(Kia Miakka Natisse)는 "돌고래 이야기에서 의족을 만드는 의사"와 병든 CIA의 멘토인 [빨간색]과 같은 마법의 네그로 형식에 부합하는 역을 연기하는 배우 모건 프리먼이 그의 불완전한 백인 상대들을 위해 날을 구하러 오는 것에 대해 토론했다.'다크나이트 라이즈'에 나오는 그의 기계장치 구루가 같은 우산 아래 들어맞는다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18]
코미디언 데이브 샤펠은 2000년대 중반 자신의 시리즈 '샤펠의 쇼'에서 "블랙 픽시"라는 제목의 스케치를 포함하여 이 트로피를 여러 차례 언급했다.크리스 록은 같은 기간 자신의 쇼인 "The Chris Rock Show"에서 "Migger, the Magic Nigger"라는 제목의 "The Legend of Bagger Vance"에 비판적인 것을 포함시켰다.MADtv의 키건-마이클 키와 키와 필레의 명성이 자자한 요르단 필은 두 방송 모두에서 그들만의 비판적인 마법의 네그로 스케치를 하며 그 뒤를 따랐다.[citation needed][19]
윌리엄 피히트너가 작사, 감독한 2019 인디 영화 콜드브룩에는 해롤드 페리노우가 연기한 '길 르 두크스'라는 이름의 마법의 네그로가 포함됐다.그 역할은 중년 위기를 겪고 있는 두 중년 남자에 의해 구출된 세기적인 갇힌 유령이었다.[20][21][22][23]
버락 오바마
2007년 3월, 미국 비평가 데이비드 에렌슈타인은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에 기고한 사설에서 "오바마 더 매직 네그로"라는 제목을 사용했는데, 이 사설에서 그는 백인 미국 문화에서 버락 오바마의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는 미국 역사에서 노예제도와 인종 차별의 역할에 대해 백인 '유감'(즉 그들이 느끼는 "최소한의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그곳에 있는 한편, 위험하고 고도로 성적인 흑인 남성의 고정관념을 인종간의 성적인 의회가 관심 없는 양성적인 인물로 대체했다.알 샤프톤이나 스눕 독과 같은 "진정한" 흑인의 그런 엄격한 예에 비하면, 순간적으로 고착된 유일한 진흙은 오바마의 '무신성' 주장에 대한 비판이었다(흰색이나 검은색이 모두 비슷함).지금 오바마의 명성은 그의 정치적 기록과 거의 관련이 없다.만화책 슈퍼히어로처럼, 오바마는 우리가 알거나 이해할 필요가 없는 순수한 마음의 선량함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그곳에 있다.모든 마법의 네그로들이 그렇듯이, 그는 현실성이 없어 보일수록 더 바람직해 진다.만약 그가 진짜라면, 백인 미국은 치료적인 흑인 자비심에 대한 환상을 그에게 모두 투영할 수는 없었다.[24]
에렌슈타인 사설을 길게 논하면서, 어느 순간 러쉬 림보는 노래 "퍼프, 마법의 용"의 곡조에 맞춰 "마술의 흑인 바락"이라는 말을 불렀다.[25][26]그 직후 폴 샨클린은 2008년 대선 시즌 내내 림보가 수 차례 연주한 매직 네그로에 관한 노래를 녹음했다.[27]2008년 크리스마스에는 공화당의 정치인 겸 테네시 공화당의 의장인 칩 솔트맨이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장 선거 때 이 노래가 담긴 41트랙 CD를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들에게 보냈다.[28][29]솔트먼의 선거운동은 cd로 인한 논란으로 파열됐고, 그는 경선에서 물러났다.[30][31]
2015년 5월, 연극문화평론가 프랭크 리치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례 백악관 출입기자 만찬과 2015년 볼티모어 시위의 우연을 돌아보며 이렇게 썼다. "이 사건을 가슴 아프게 만든 것은 우리의 첫 흑인 대통령인 매직 네그로의 무도회장에 어떤 기대를 걸고 있었던 것이다.d는 노예제도로 건국되고 건설된 국가를 수세기 역사의 독소적 부담에서 구제하는 것이다.[32]
참고 항목
참조
- ^ Farley, Christopher John (May 27, 2000). "That Old Black Magic". T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4, 2007. Retrieved February 3, 2007.
In The Legend of Bagger Vance, one of the more embarrassing movies in recent history, Will Smith plays a magical black caddie who helps Matt Damon win a golf tournament and the heart of Charlize Theron.… The first is the Magical African-American Friend [MAAF]. Along with Bagger Vance, MAAFs appear in such films as The Family Man (2009, co-starring Don Cheadle) and last year's prison drama The Green Mile.
- ^ a b Jones, D. Marvin (2005). Race, Sex, and Suspicion: The Myth of the Black Male. Westport, Conn.: Praeger Publishers. p. 35. ISBN 0-275-97462-6. OCLC 56095393.
- ^ a b Seitz, Matt Zoller (September 14, 2010). "The offensive movie cliche that won't die". Salon.
- ^ a b Gonzalez, Susan (March 2, 2001). "Director Spike Lee slams 'same old' black stereotypes in today's films". Yale Bulletin & Calendar. Yal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1, 2009.
- ^ Kempley, Rita (June 7, 2003). "Too Too Divine: Movies' 'Magic Negro' Saves the Day – but at the Cost of His Soul". Retrieved March 17, 2012.
- ^ a b c d Okorafor, Nnedi (October 25, 2004). "Stephen King's Super-Duper Magical Negroes". Strange Horiz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4, 2006. Retrieved December 3, 2006.
- ^ a b c Hicks, Heather (September 1, 2003). "Hoodoo Economics: White Men's Work and Black Men's Magic in Contemporary American Film". Camera Obscura. 18 (2): 27–55. doi:10.1215/02705346-18-2_53-27. S2CID 145204947. Retrieved February 3, 2007.
- ^ a b Colombe, Audrey (October 2002). "White Hollywood's new Black boogeyman". Jump Cut: A Review of Contemporary Media (45). Retrieved December 3, 2006.
- ^ Persons, Georgia Anne (2005). Contemporary Patterns of Politics, Praxis, and Cultur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 137. ISBN 1-4128-0468-X. OCLC 56510401.
- ^ "The offensive movie cliche that won't die". Salon. September 14, 2010.
- ^ "White films 1". www.ejumpcut.org.
- ^ https://web.archive.org/web/20090121190429/http://www.yale.edu/opa/arc-ybc/v29.n21/story3.html 스파이크 리 감독은 오늘날 영화에서 '오래된' 흑인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
- ^ "Racis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trieved April 21, 2019.
- ^ Beusterien, John (2006). An Eye on Race: Perspectives from Theater in Imperial Spain. Buck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0838756140.
- ^ 쥴리카 제발로스름"할리우드 인종차별주의: 마법의 네그로 트로피".다른 사회학자, 2012년 1월 24일.2016년 7월 16일에 접속.
- ^ a b Gabbard, Krin (2004). Black Magic: White Hollywood and African American Culture.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pp. 173. ISBN 0-8135-3383-X. OCLC 53215708.
- ^ Hughey, Matthew (August 2009). "Cinethetic Racism: White Redemption and Black Stereotypes in 'Magical Negro' Films". Social Problems. 25 (3): 543–577. doi:10.1525/sp.2009.56.3.543.
- ^ 나티세, 기아 미악카."모건 프리먼, 이제는 '마법적인 흑인' 역할을 은퇴할 때"thegrio.com, 2012년 6월 6일.2015년 8월 19일 회수
- ^ "Gay Marriage Legalized". Key & Peele. Season 1. Episode 5. February 28, 2012. Comedy Central.
- ^ Minow, Nell. "Cold Brook movie review & film summary (2019) Roger Ebert". www.rogerebert.com. Retrieved November 20, 2019.
- ^ "'Cold Brook': Film Review". The Hollywood Reporter. Retrieved November 20, 2019.
- ^ "Review: Nicolas Cage on the high seas, bloody 'Ballet,' a little Dolph Lundgren and more". Los Angeles Times. November 8, 2019. Retrieved November 20, 2019.
- ^ Harvey, Dennis (November 7, 2019). "Film Review: 'Cold Brook'". Variety. Retrieved November 20, 2019.
- ^ Ehrenstein, David (March 19, 2007). "Obama the 'Magic Negro'". Los Angeles Times. Retrieved May 12, 2010.
- ^ 러시 림보 쇼 성적표.2007년 3월 19일 자유당, 오바마를 "매직 네그로"라고 부른다.
- ^ 미디어 매터스(Media Matters)를 통한 러시 림보 녹화.2007년 3월 20일."L.A.에 매달리다. 타임즈 오브 더 매직 네그로 "Barack, The Magic Negro"를 부른 Limbaugh는 11시 30분이다.
- ^ DeParle, Jason (December 28, 2008). "G.O.P. Receives Obama Parody to Mixed Reviews". The New York Times.
- ^ Sinderbrand, Rebecca (December 26, 2008). "RNC chairman candidate defends 'Barack the Magic Negro' song". CNN.
- ^ Barr, Andy (December 30, 2008). "'Magic Negro' flap might help Saltsman". Politico.com. Retrieved December 2, 2014.
- ^ Nagourney, Adam (January 29, 2009). "Candidate Linked to Obama Parody Song Leaves Race for G.O.P. Chairman". The New York Times.
- ^ Kleinheider (January 29, 2009). "Chip Saltsman Withdraws From RNC Chairman's Race". NashvillePos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09.
- ^ 부자, 프랭크."왜 미국의 폭동은 세대를 거쳐 세대를 거듭하면서, 그렇게 정확하게 서로를 반영하고 있는가?"뉴욕 잡지2015년 5월 17일.2015년 8월 17일 회수
외부 링크
- "'Magic Negro' definition". Double Tongued Dictionary. Retrieved October 4, 2007.
- "The Numinous Negro". National Review. Retrieved August 20, 2001.
- "Magical Negro". TV Tropes. Retrieved September 2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