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나오족
Maranao people![]() 라나오에서 온 현대판 마라나오 술탄. | |
총인구 | |
---|---|
1,354,542[1] 전체 인구의 1.47% | |
모집단이 유의한 지역 | |
필리핀의 방사모로, 잠보앙가 반도, 북부 민다나오, 소크스카르겐, 마닐라, 세부 말레이시아 사바의 마라나오스 미국의 마라나오스 ![]() 사우디아라비아의[2] 마라나오스 중동 | |
언어들 | |
마라나오, 차바카노, 세부아노, 타갈로그어, 영어, 말레이어 | |
종교 | |
주로 이슬람교 | |
관련 민족 | |
이란, 마귀인다나오, 티루라이 루마드와 타우수그와 비사얀과 다른 Moros들, 다른 필리핀 사람들, 다른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
마라나오족(마라나오: ['mranranaw];필리핀인:마라나우(Meranaw[3]), 마라나우(Merranaw), 메레라나우(Merranaw)라고도 표기된 말로 필리핀 정부가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무슬림 라나오 주(州) 지역인 '호수의 사람들'인 남부 원주민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이다.그들은 예술품, 직조, 나무, 플라스틱과 금속 공예품, 그리고 서사시 문학인 다랑겐으로 알려져 있다.이들은 민족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이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세 집단 모두 다나오어를 구사하고 민다나오 섬에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원

"마라나오"("메라나오", "메라나우" 또는 "마라나우"라고도 한다)라는 명칭은 "호수의 사람들"을 의미한다(라나우 또는 라나우, 고풍의 다나우는 마라나오어로 "레이크"를 의미한다).이것은 마라나오족의 조상의 고향에서 지배적인 지리적 특징인 라나오 호수에 관한 것이다.[4]
조상 마라나오의 원래 내막은 '이란아오안'[5][6]으로 추정된다.이 집단은 이후 갈라져 근대적인 마귀인다나오와 이란인(이름도 '호수의 사람들'[7]로 번역할 수 있음)을 낳았고, 라나오 호수에 머물렀던 조상인 이란아오안은 마라나오 호로 알려지게 되었다.이들 3개 민족은 여전히 서로 관련이 있고, 다나오어족에 속하는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고 언어를 구사한다.[5][6]
문화
마라나오 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라나오 호
- 사리만옥 (파파노카 음라와 마라패틱)
- 마라나오 왕가의 가장 높은 형태인 토로간(Torogan)은 필리핀에서 건축물이 가장 미적인 곳이다.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다랑겐
- 기림, 19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아랍 문자를 바탕으로 한 히스패닉 이전의 필체
- 필리핀 댄스[8] 싱킬
- 목조 공예품 및 놋쇠제품에 대한 오키르
- 카지파 사 망기스를 위하여 삼볼라양과 파산달란과 함께 갑모로드와 카할릴랑과 모로그와 마리가이.
- 카플라고드 (경주말)
- 타부 또는 타보(Tabu 또는 Tabo)는 사원에서 예배자를 기도로[9] 부르는데 사용하는 드럼이다.
마라나오스의 문화는 민다나오에서 가장 큰 라나오 호수와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크고 깊은 호수가 중심이다.이 호수는 여러 가지 신화와 전설을 소재로 하고 있다.주요 어장을 지원하고, 그 위에 설치된 수력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하며, 아구스 강 시스템은 민다나오 주민들이 사용하는 전력의 70%를 발생시킨다.호수의 멋진 경치는 지방 수도인 마라위시에서 제공한다.
언어
마라나오는 라나오 델 노르테와 라나오 델 수르 지방의 마라나오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다.[10]세부아노 이주민들이 민다나오에 대거 유입되면서 많은 마라나오족도 세부아노에 능통하다.
중앙 셈어인 아랍어는 이슬람의 재판 언어인 만큼 모로족의 소수민족이 사용한다.그러나 대부분의 마라나오들은 종교적인 용도를 넘어서 아랍어를 알지 못한다.
예술
사리마노크, 파파노카 "Mra" 또는 "Mara patik"은 마라나오의 전설적인 새로, 그들의 예술의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상징이다.부리나 발톱에 물고기를 물고 있는 등 화려한 날개와 깃털이 달린 꼬리를 가진 후드후드(아랍어)로 묘사된다.사리만옥의 머리는 후포의 머리(마라노의 발랄라토크)와 같고 두루마리, 잎, 나선무늬(오키르)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행운의 상징이다.[11][12]
마라나오는 또한 라마야나 서사시인 마하라디아 로라나에 대한 그들만의 각색을 발전시켰다.그들은 또한 다른 지역 라마야나 적응인 다랑겐을 바탕으로 한 전통 춤인 싱킬도 가지고 있다.
음악
마라나오 쿨린탕 음악은 징 음악의 일종이다.Sarunaayfis는 또한 남필리핀의 이슬람교도와 비무슬림 집단들 사이에서 발견된다.코빙은 마라나오 악기, 비율라는 또 다른 인기 악기다.비율라는 현악기다.2005년 라나오 호수 마라나오족의 다랑겐 서사시가 유네스코로부터 인류 구전무형유산의 걸작으로 선정되었다.
요리.
마라나오 요리는 양념이 섞여 상당히 맵다.전통적으로 재배한 향신료는 현지에서 팔라파(본탕, 간다마투 토산품)로 알려져 있다.[13]그것은 마라나오에 있는 파전구 또는 "사쿠라브"를 찌개로 만든다.얇게 썬 파 전구와 생강은 천천히 요리하여 카라멜화하여 고추와 코코넛 오일을 섞는다.[14]
음식은 마라나오 문화의 모든 측면에 걸쳐 중요한 문화적 의식과 얽혀 있다: 출생부터 죽음까지![15]
사회구조
전통적으로 마라나오 사회는 두 층으로 나뉜다.즉, 마피야타오(푸레)와 카실리단(혼혈)이다.카실리단은 사라앙(비 마라나오), 발발(비스트), 다가못(소서러/소서리스), 비사야(슬레이브)로 세분된다.마피야토는 왕위에 오를 자격이 있고 순수한 왕족 혈통을 가진 원주민들이다.반면 카실리단은 혼혈로 의심되는 원주민들이다.그러나 시간이 가져온 변화로 인해 이러한 사회 계층은 마라나오 각 가문의 부의 증가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하고 있다.
인구통계학
마라나오스는 2010년 135만454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7%를 차지한다.[16]마라나오는 이란군, 마귀인다나오와 함께 민다나오 토착민 3개 집단 중 하나이다.이 그룹들은 티루라이나 수바논과 같은 비무슬림 루마드 그룹과 유전자와 언어적, 문화적 유대관계를 공유한다.마라나오 왕족들은 아랍계, 인도계, 말레이계, 중국계 조상을 다양하게 주입하고 있다.
역사
다른 원주민과 민다나오 루마드처럼, 스페인인에 의한 필리핀의 명목상의 점령기 동안, 그리고 후에 미국과 일본인들이 마라나오족 지도자들은 그들이 다투라고 부르는 부족 지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14세기 이슬람이 도래하자 이슬람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술탄과 함께 왕국으로 발전하였다.
주목할 만한 마라나오스
- 자파르 디마암파오(Japar Dimaampao)는 필리핀 대법원의 현직 대법관이다.
- Mamintal A.J. Tamano는 필리핀의 정치가였고 전 필리핀 상원의원이었다.
- 아델 타마노는 필리핀 교육자, 변호사, 전직 정치인이다.
- Domocao Alonto는 필리핀 정치인 출신으로 필리핀의 위대한 상원의원이었다.1988년, 그는 이슬람에 대한 봉사로 권위 있는 파이잘 왕 상을 받았다.
- '제네' 구일링 A. 마몬디옹은 변호사 겸 전 테스다 사무총장이다.
- 마민탈 M. 아디옹 스르는 필리핀의 오랜 정치인으로 2001년부터 심장마비로 사망할 때까지 라나오 델 수르 주지사를 지냈다.
- 마민탈 알론토 아디옹 주니어는 현재 라나오 델 수르 지방의 주지사다.
- Abul Kayr Alonto는 필리핀 사업가이자 변호사였으며 전 모로 자유 투사였다.그는 한때 모로 국가 레바토리 전선의 회장이 되었다.
- 디마상카이 푼다토 전 모로 혁명지도자 겸 현 평화프로세스 대통령보좌관실 사무차장이다.
- 사미라 구토코토마위스는 필리핀 시민 지도자, 언론인, 환경·여성 인권 옹호자,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 지역 입법회의 의원, 방사모로 기본법 초안을 맡은 방사모로 인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의원[1]이다.
- 모흐 사두딘은 언론인이자 평화 옹호자였으며, 마귀인다나오 지방의 지방 정보관을 지냈다.
- 이멜다 디마포로(Imelda Dimaporo)는 정치인이자 현 라나오 델 노르트 총독이다.
참고 및 참조
- ^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19 May 2020.
- ^ Admin. "About Us". FEM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8, 2011. Retrieved October 21, 2010.
- ^ [1] 2013년 10월 1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Hamilton, Roy W. (1998). From the rainbow's varied hue: textiles of the southern Philippines. UCLA Fowler Museum of Cultural History. p. 135. ISBN 9780930741648.
- ^ a b Lobel, Jason William; Riwarung, Labi Hadji Sarip (2009). "Maranao Revisited: An Overlooked Consonant Contrast and its Implications for Lexicography and Grammar". Oceanic Linguistics. 48 (2): 403–438. doi:10.1353/ol.0.0040. JSTOR 40783537. S2CID 145549504.
- ^ a b Baradas, David B. (1968). "Some Implications of the Okir Motif in Lanao and Sulu Art" (PDF). Asian Studies. 6 (2): 129–168. S2CID 278922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1-29.
- ^ Campbell, Gwyn (2018). Bondage and the Environment in the Indian Ocean World. Springer. p. 84. ISBN 9783319700281.
- ^ https://www.youtube.com/watch?v=GzhoWsVElXo https://www.youtube.com/watch?v=c6JVSMSIYn4
- ^ https://www.nationalmuseum.gov.ph/nationalmuseumbeta/Collections/Ethno/Drum.html[데드링크]
- ^ "Welcome". Learn Maranao Language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10. Retrieved October 21, 2010.
- ^ "Sari-Manok". Philippines Art and Culture. Retrieved October 21, 2010.[영구적 데드링크]
- ^ Madale, Nagasura T. (2010-02-07). "Recipe in the Life of the Maranao By: Nagasura T. Madale, PhD. -Part 2". Kalopindo. Aratawata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4, 2011. Retrieved October 22, 2010.
- ^ Umagang Kay Ganda (2013-07-09). "Recipe: Maranao dish Chicken Piaparan". ABS-CBN Corporation Website. Retrieved July 9, 2013.
- ^ Rosauro, Ryan (2010-10-17). "Munai spice may be way out of war for conflict areas". Inquirer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3, 2010. Retrieved October 22, 2010.
- ^ Madale, Nagasura T. (2010-02-06). "Recipe in the Life of the Maranao By: Nagasura T. Madale, PhD. -Part 1". Kalopindo. Aratawata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4, 2011. Retrieved October 21, 2010.
- ^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19 Ma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