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
Negeri Sembilan Malay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 | |
---|---|
바하사 멜라유 네게리 셈빌란 بهاس ملايو نݢري سمبيلن 바소노고기 | |
발음 | [bassu nɔgɔɣi] |
네이티브: | 말레이시아 |
지역 | 네게리 셈빌란, 북부 말라카 (알로르 가자) |
원어민 | 508,000명(2004년)[1] |
언어 코드 | |
ISO 639-3 | zmi |
글로톨로지 | nege1240 |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말레이: Bahasa Melayu Negeri Sembilan, 일명 바소 노고기)는 말레이시아 네게리 셈빌란 주와 알로르 가자의 말라카 북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다. 이 언어는 수마트라 출신의 미낭카바우 정착민 후손들이 사용하는 말로, 이들은 14세기 초부터 네게리 셈빌란으로 이주해 왔다.[2] 흔히 미낭카바우어의 변종이나 방언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어휘학 및 음운학 연구는 미낭카바우보다 표준 말레이어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3][4]
역사
미낭카바우족은 14세기에 수마트라 고원에서 말레이 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3] 이주는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급증했다.[5] 당시 말라카 해협을 통한 무역 활동이 증가하였고 많은 이주민들이 말라카 술탄국으로부터 보호를 받았다. 말라카 항구에서 미낭카바우 정착민들의 집단과 집단이 내륙으로 피난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미낭카바우 사람들이 말라카로 이주한 첫 번째 물결이었다. 미낭카바우 이주자들의 대부분은 루하크 타나 다타르와 루하크 리마풀루흐 코타 출신이었다.[6] 이 첫 번째 이주 물결은 새로운 무킴을 여는 결과를 낳았다.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내륙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이주민들은 그들만의 집단으로 발전했다. 이들 집단은 전체적으로 12개의 집단을 만들었다. 수마트라에서와는 달리, 이주민의 출신을 기준으로 종족의 이름을 지었다. 리마풀루 코타에서 온 이주민들이 이 종족을 이루었다.
- 페이아쿰부어 (페이오 금부어/페이오쿰부아)
- 바투 함파르
- 멍칼
- 세리 멜랑강(소몰랑강/시말랑강)
- 세리 르막 (솔로맥/사릴라마크)
- 티가 네넥 (티고 네넥)
- 바투 벨랑 (바투 볼랑)
- 티가 바투 (티고 바투/티고 바투아 시투아)
한편 타나 다타르에서 온 이주민들은 타나 다타르족을 형성하였다. 이 이주민들은 앞서 언급한 타나 다타르 이주민들이 이주해 온 곳에 이미 정착한 지역사회와의 마찰을 통해 다른 세 종족을 형성하기도 했다.[6] 이 종족은 다음과 같다.
- 아낙 아체
- 아낙 멜라카 (아낙 믈라코)
- 비두안다 (비두안도)
비두안다 일족은 미낭카바우 족과 말레이 반도의 토착민인 오랑 아스리가 서로 교미하면서 생겨났기 때문에 참석한 종족의 지도자로 보였다.
내륙에 새로운 뮤킴이 생겨난 결과 운당들의 지배를 받던 루크들로 구성된 9개의 나가리가 형성되었다. 나가리들은 다음과 같았다.
- 젤레부
- 클랑
- 조홀
- 렘바우
- 숭가이우종
- 젤라이, 난닝
- 세가맛
- 파시르 베사르
이 아홉 명의 나가리들은 후에 네게리 셈빌란 위원회(말레이: 렘바가 넴빌란)라고 불리는 연합을 결성하였다. 이 연방은 조호르 술탄국의 보호를 받고 있었다.
18세기에 조호르 술탄국은 여러 차례의 공격을 받아 평화롭지 못한 상태에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네게리 셈빌란은 부기스 휘하에 있었는데, 네게리 셈빌란의 다투크가 협조하여 조호르 술탄(압둘 잘릴 샤 4세)에게 그를 지도자로 추대하도록 요청하였고, 이 요청은 받아들여졌다.[5] 국왕(라자 멜레와르)의 초청으로 미낭카바우족의[7] 제2차 이주 물결이 이어졌고, 그 결과 야무안 베사르족을 지도자로, 아다트 페르파티흐를 법으로 하여 네게리 셈빌란 주가 형성되었다.[8]
미낭카바우족의 두 가지 이주 파동과 미낭카바우어가 원주민의 언어에 동화된 것이 넵빌란 말레이어의 언어의 결과물이다.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는 인도네시아어 표준화된 말레이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표준화된 형태의 말레이어, 수마트라어 미낭카바우어와 달리 말레이시아어의 표준 품종인 말레이어, 영어, 아랍어와 같은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왔다.[9] 네게리 셈빌란의 미낭카바우 족은 수마트라의 미낭카바우 족으로부터 500~600년 동안 분리되어 왔다.[10] 이것은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가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낳았다.[3]
음운론
표준 말레이어와의[4] 비교
모음.
대응 규칙 (SM ≙ NSM) | 스탠더드 말레이어 (SM) |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 (NSM) | 영어 번역 | |||
---|---|---|---|---|---|---|
최종 /a/ | ≙ | 등/등 반감기/ | apa | /apa/ | [app] | '뭐야' |
초기 /o/ | 오랑캐 | /oraŋ/ | [ɔɣaŋ] | '사람' | ||
초기 공개 음절 /ə/ | 베라스 | /bəras/ | [bɔɣɛh] | '생쌀' | ||
/u/ 최종 /uh/ | 부누흐 | /bunuh/ | [분위히] | '킬' | ||
종료된 결승 /a/ | ≙ | 반저전면/전면/ | 세페트 | /t͡pat/ | [cɔpɛɂ] | '빨리' |
/i/ 최종 /ih/ | 베니흐 | /bənih/ | [bɔnɛh] | 'seed' | ||
/u/ 최종 /ut/ | ≙ | 반높이 등 /o/ | 랑부트 | /rambut/ | [ɣɣ봇] | 'hair' |
/u/ 최종 /uu/ | 캄풍 | /kampuŋ/ | [감포] | 'village' | ||
/i/ 최종 /ir/ | ≙ | 반높이 전면 /e/ | 비비르 | /bibir/ | [bib] | 'lips' |
/i/ 최종 /it/ | 부킷 | /부킷/ | [부켓] | '힐' | ||
/i/ 결승전 /iŋ/ | 안징 | /aɲd͡ʒiŋ/ | [aɲd͡ʒeŋ] | '개' |
자음
대응 규칙 (SM ≙ NSM) | 스탠더드 말레이어 (SM) |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 (NSM) | 영어 번역 | |||
---|---|---|---|---|---|---|
초기 /r/ | ≙ | 유성 구개 마찰음 /ɣ/ | 라마이 | /라마이/ | [ɣamaj] | '많이' |
/r/ 말끝에 | ≙ | 생략됨 | 공기를 쐬다 | /air/ | [에에] | '물' |
초기 /h/ | 히둥 시 | /hiduŋ/ | [idoŋ] | 'nose' | ||
/t/ 최종 /at/ | ≙ | 광택제/광택제/ | 불룩하게 하다 | /bulat/ | [불러bul] | 'circle' |
/s/ 최종 /as/ | ≙ | 시빌란트 마찰음 /h/ | 레카스 | /ləkas/ | [lɔkɛh] | '빨리' |
/s/ 최종 /is/ | 니피스 | /nipis/ | [니피] | '씬' | ||
/s/ 최종 /us/ | ≙ | 자음군 /ʲh/ | 부활시키다 | /rəbus/ | [ɣɔbuʲh] | '쿡' |
어휘
르네와티(2012년)에 따르면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94.74%, 미낭카바우와 어휘적 유사성이 83.16%로 나타났다.[3]
스탠더드 말레이어 | 미낭카바우(표준) |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영어 의미) | |
---|---|---|---|
1 | Semua. | 사도 | 소모우/수모(모두) |
2 | 아부 | 아부 | 아부(애쉬) |
3 | 쿨릿카유 | 쿨리크카유 | 콸렛포곡 (나무껍질) |
4 | 페루트 | 파루이크 | 포후트 (스토마흐) |
5 | 베사르 | 가당/바사 | 고당/보사(큰) |
6 | 부릉 | 부루앙 시 | 부흥(새) |
7 | 기가트 | 기익 | 기가트(물어) |
8 | 히탐 | 이텀 | Itam(검은색) |
9 | 다라 | 다라 | 다하(피) |
10 | 툴랑 | 툴랑 | 튤랑 (뼈) |
11 | 테텍/수스 | 스수 | 스수(우유) |
12 | 바카르 | 바카 | 바카 (번) |
13 | 쿠쿠 | 쿠쿠 | 쿠쿠 |
14 | 아완 | 아완 | 아완 (구름) |
15 | 세죽/딩인 | 사주악/딩인 | 소주크(냉) |
16 | 다탕 | 다탕/티보 | 다탕(도착) |
17 | 마티 | 마티 | 마티(다이) |
18 | 안징 시 | 안장 시 | 안쩡(개) |
19 | 민음 | 민음 | 민암(음료) |
20 | 케링 | 카량 | 고잉(건조) |
21 | 텔링가 | 탈링고 | 톨링고(귀) |
22 | 타나 | 타나 | 타나(지면) |
23 | 마칸 | 마칸 | 마칸 (먹는다) |
24 | 텔루르 | 탈루아 | 톨로(계란) |
25 | 마타 | 마토 | 마토 (눈) |
26 | 레막 | 고목 | 고묵(지방) |
27 | 불루 | 불루 | 불루 (기름) |
28 | api | api | API(화재) |
29 | 이칸 | 라우악/이칸 | 이칸 (어류) |
30 | 터방 | 타방 | 토호방 (날아간다) |
31 | 페누어 | 파누아 | 포누어(풀) |
32 | 카키 | 카키 | 카키 (발) |
33 | 베리 | 아가야/바리 | 보기(가져오기) |
34 | 백 | 엘록/백악 | 엘록/백(좋음) |
35 | 히사우 | 이자우 | 이자우(녹색) |
36 | 람부트 | 람부익 | 감부트 (헤어) |
37 | 탕안 시 | 탕안 시 | 탕안(손) |
38 | 케팔라 | 카팔로 | 코팔로/팔로(머리) |
39 | 덩가르 | 단가 | 동아 (들어봐, 들어봐) |
40 | 옌퉁 시 | 얀투앙 | 얀퉁 (심장) |
41 | 단두크 | 탄두악 | 단덕 |
42 | 아쿠/사야 | 아덴/암보/아왁 | 에세/아요/에덴 (I) |
43 | 부누흐 | 부누아 | 분오 (킬) |
44 | 루투트 | 루투익 | 루투트 |
45 | 타후 시 | 타우 | 타우 (알고) |
46 | 다은 | 다은 | 다은(잎) |
47 | 바링 | 골렉 | 바청 시 |
48 | 하티 | 아티 | 아티(심장) |
49 | 판장 | 판장 | 판장(긴 길이) |
50 | 쿠투 | 쿠투 | 쿠투 (플레아) |
51 | 렐라키 | 라키라키 | 롤라키 (소년) |
52 | 반야크 | 반야크 | 반야크 (많은) |
53 | 다징 | 다강 시 | 다쟁(고기) |
54 | 불란 | 불란 | 불란(달) |
55 | 구릉 시 | 구누앙 시 | 구농 (산) |
56 | 뮬루트 | 문쿠앙 시 | 뮬루트(입) |
57 | 나마 | 나모 | 나모(이름) |
58 | 레허 | 리히아 | 리허 (목) |
59 | 바루/바하루 | 바루 | 바구(신규) |
60 | 말람 | 말람 | 말람 (밤) |
61 | 히둥 시 | 이두앙 | 이등(노스) |
62 | 티닥 | 인닥/인닥 | 티닥/탁 (아니오) |
63 | 사투 | 치크 | 사투(1개) |
64 | 오랑 | 우랑 | 우창(사람) |
65 | 후잔 | 우잔 | 우잔 (비) |
66 | 메라 | 시라 | 메하(빨간색) |
67 | 잘란 | 잘란 | 잘란 (도로) |
68 | 아카르 | 우레크 | 우게크 |
69 | 불랏 | 불렉 | 벌렉(원형, 원형) |
70 | 파시르 | 파시아/카시아크 | 파이스(모래) |
71 | 세부트 | 사부익 | Sobut |
72 | 리하트 | 리크 | 리아트 (,ook) |
73 | 비지 | 잉체크 | 비지(씨앗) |
74 | 두덕 | 두두악 | 두덕(앉아) |
75 | 쿨릿 | 쿨리크/잔지크 | 쿠렛(피부) |
76 | 티두르 | 랄록 | 티도 (수면) |
77 | 가급적 빨리. | 아석 | Asap (연기) |
78 | 디리 | 타각 | 토각(스탠드) |
79 | 빈탕 | 빈탕 | 빈탕(별) |
80 | 케실 | 케텍/카시악 | 코식 (작은) |
81 | 바투 | 바투 | 바투 (돌) |
82 | 마타하리 | 마토아리 | 마토아기 (선) |
83 | 에코르 | 이쿠아 | 에코 (꼬리) |
84 | {be-}레낭 | {ba-}라낭 | {bo-}고낭(수영하기 위해) |
85 | ITU | ITU | ITU (it) |
86 | 이니 | 이코 | 이니(이것) |
87 | 카무/아왁/잉카우/카우 | 깨움/사낙/카우(페렘푸안)/앙(라키-라키) | 어웨이크/에카우(당신) |
88 | 리다 | 리다 | 리다 (통) |
89 | 기기 | 기기 | 기기 (토스) |
90 | 포혼/포곡 | 바탕 포혼 | 포곡(나무) |
91 | 두아 | 듀오 | 듀오(2) |
92 | {ber-}jalan | {ba-}jalan | {bo-}jalan (갈 예정) |
93 | 한갓집/패나스 | 엔제크 | 창(핫) |
94 | 공기 | 아이아 | Ae (물) |
95 | 카미 | 어웨이크/카미 | 카미 (우리) |
96 | 아파 | A/Apo | 아포(뭐) |
97 | 푸티 | 푸티아 | 푸테 (흰색) |
98 | 사파 | 시아/시아포 | 시아포/사포(누구) |
99 | 페렘푸안 | 파두시 | 포금푸안 (소녀) |
100 | 쿠닝 시 | 쿠니앙 시 | 쿠닝(노란색) |
101 | 사우다라 | 둔사낙 | 와히(오빠, 친구) |
102 | 하리 | 아리 | 아그기 (하루) |
103 | 자투흐 | 발람빈 | 보도빈(낙하) |
104 | 바기마나 | 박아포/바아/박마노 | 캠노 (어떻게) |
105 | 페말라스 | 파냐간 | 페니요간 (잔인한 사람) |
106 | 마리. | 마리. | 마기흐 (오너라) |
참조
- ^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Ethnologue, 2019년 22일 에드워드)
- ^ Rahilah Omar & Nelmawarni (2008). "Negeri Sembilan: Rantau Minangkabau di Semenanjung Tanah Melayu". Historia: Journal of Historical Studies (in Malay). 9 (2): 2–30.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b c d Reniwati (2012). "Bahasa Minangkabau dan dialek Negeri Sembilan: Satu tinjauan perbandingan linguistik historis komparatif". Wacana Etnik: Jurnal Ilmu Sosial dan Humaniora (in Indonesian). 3 (1): 71–86.
- ^ a b Idris Aman, Mohammad Fadzeli Jaafar & Norsimah Mat Awal (2019). "Language and identity: A reappraisal of Negeri Sembilan Malay language" (PDF). Kajian Malaysia. 37 (1): 27–49. doi:10.21315/km2019.37.1.2.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b "SEJARAH AWAL PEMERINTAHAN NEGERI SEMBILAN". Portal Rasmi Kerajaan Negeri Sembilan. 24 April 2021. Retrieved 24 April 2021.
- ^ a b 제드, 메스티카 후번간 미낭카바우 덴간 네게리 셈빌란. 작업 용지. FIS 우니베르니타스 네게리 파당, 파당.
- ^ 아스린다, A, 노비아트리, N, & 레니와티, R. (2015) 말레이시아어의 미낭카바우-와이즈의 흔적. PPI-UKM 과학저널, 2(7), 291-295.
- ^ Aidafidah (2009-01-04). "Let Us Read: Kesinambungan Raja-raja Melayu". Let Us Read. Retrieved 2021-04-24.
- ^ Reniwati, Reniwati; Midawati, Midawati; Noviatri, Noviatri (29 August 2017). "Lexical variations of Minangkabau Language within West Sumatra and Peninsular Malaysia: A dialectological study". Geografia - Malaysian Journal of Society and Space. 13 (3): 1–10. doi:10.17576/geo-2017-1303-01. ISSN 2180-2491.
- ^ 이드리스 아만, 노르시마 마트 아왈, 모하마드 파즐리 자파르(2016년). 제국주의 언어학, 바하사 네게리 셈빌란 단 자티 디리: 아파, 멘가파, 바기마나. 국제 말레이 세계 및 문명화 저널 (이만), 4(3): 3 - 11.
추가 읽기
- Hendon, Rufus S. (1966).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Ulu Muar Malay: (Kuala Pilah District, Negri Sembilan, Malaya). Yale University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70. New Haven: Dept. of Anthropology, Yale University.
외부 링크
- 네게리 셈빌란의 말레이어 방언(말레이)에 나오는 용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