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눈어
Bunun language분운 | |
---|---|
원어민 | 대만 |
Ethnicity | 부눈족 |
원어민 스피커 | 38,000(2002년)[1] |
사투리 |
|
라틴 문자 | |
공식 상태 | |
인정 소수자 의 언어. | |
언어 코드 | |
ISO 639-3 | bnn |
글로톨로그 | bunu1267 |
![]() 분운어 분포(중록색, 중심) |
부눈어(중국어: 布語語 is)는 타이완의 부눈족에 의해 사용된다.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지리적 그룹인 대만어족 중 하나이며, 다음과 같은 5개의 방언으로 구분된다.이스부쿤, 탁부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우.지배적인 방언인 Isbukun은 주로 대만 남부에서 사용된다.탁부누아즈와 타키바탄은 주로 나라의 중심부에서 사용된다.타키바카와 타키투두는 모두 북부 방언이다.여섯 번째 방언인 타키풀란은 1970년대에 멸종되었다.
이스부쿤 부눈과 영토를 공유하는 작은 소수민족인 사아로와 카나카나부도 부눈을 자국어로 채택했다.
이름.
부눈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인간" 또는 "인간"을 의미합니다.
사투리
부눈어는 현재 5개의 방언으로 분류되어 있다.이스부쿤, 탁부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우.Li(1988)는 이 방언들을 세 개의 주요 갈래로 나눈다: 북부, 중부, 이스부쿤(Southern Bunun으로도 [2]분류된다).여섯 번째 방언인 타키풀란은 1970년대에 멸종되었다.위엄 있는 방언인 이스부쿤 또한 가장 다른 방언이다.가장 보수적인 방언은 북부 지역에 있다.
- 부눈조어
- 이스부쿤
- 북중부
- 북부.
- 타키투도
- 타키바카
- 중앙의
- 탁바누아즈
- 타키바탄
- 북부.
분운은 원래 난터우 [3]현의 신이 향(新))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었다.17세기 이후 부눈족은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하여 사아로족, 카나카나부족, 타오족 등 다른 민족을 흡수하였다.분운어는 북쪽의 난터우시 런애읍에서 남쪽의 타이둥시 연평읍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된다.이스부쿤은 난터우, 타이둥, 가오슝에 분포한다.탁바누아즈는 난터우와 화롄현 남부에서 사용된다.타키바탄은 난터우 중부와 화롄 중부에서 사용됩니다.타키투두와 타키바카는 모두 난토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운론
자음
순음부 | 치과의 | 폐포 | 벨라 | 구개수 | 성문 | ||
---|---|---|---|---|---|---|---|
비음 | m | n | 【ng | ||||
플로시브 | 평지 | p | t | k | q | '⟩⟩' | |
파괴적인 | 【b】 | 【d】 | |||||
마찰음 | v | ð⟩⟩⟩ | s | χ | h | ||
대략적인 | l |
맞춤법 주석:
- /dd/는 "j"로 지정합니다.
주의:
- /j w/는 존재하지만, 음절에 초성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기본 모음 /i u/에서 파생되었다.따라서 이들은 자음 인벤토리의 일부가 아닙니다.
- 치과 마찰제 /d/는 실제로 치간(/d̟/)입니다.
- 이스부쿤 방언에서는 ///가 최종 또는 일치 후의 위치, /h/가 초기 및 중간 위치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방언은 이 두 위치 모두에 /q/가 있다.
- Isbukun은 다른 방언에서 볼 수 있는 성문간 파열음(/)/)을 떨어뜨리는 반면, ///는 다른 방언에서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Isbukun 단어 [mapa)is] bitter는 다른 방언에서는 [mapaisis]이고, Isbukun 단어 [luumum] 'cloud'는 [hum]이다.)
- 치경 파찰사 /d//는 Isbukun의 Taitung 품종에서 발생하며, 보통 다른 방언에서는 /t/[4]로 표시됩니다.
모음.
전선. | 중앙의 | 뒤로 | |
---|---|---|---|
높은 | i | u | |
중앙의 | e | ||
낮다 | a |
주의:
- /e/는 Isbukun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법.
개요
부눈은 동사-초기 언어이며 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체계 또는 포커스 체계를 가지고 있다.이는 Bunun 절이 주격-관행적 또는 절대적-작용적 정렬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절의 주장은 동사에 의해 기술된 사건의 참가자가 '초점'에 있는가에 따라 정렬된다.Bunun에서는 다음 4가지 역할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 대리인: 행동을 하거나 상태를 달성/유지하고 있는 사람 또는 사물
- 거치는 사람: 대리인이 되지 않고 어떻게든 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 또는 사물; 거치는 사람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환자: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일어난 사람이나 물건
- 도구: 어떤 행동을 하는 데 사용되는 물건(때로는 사람)
- 수혜자(수혜자라고도 불린다): 어떤 행동이 행해지거나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사람(때로는 사물)
- 위치추적 참여자: 행동이 일어나는 장소; 필리핀식 음성 시스템을 사용하는 언어에서 공간적 위치는 종종 [5]영어처럼 부사적인 절이 아니라 에이전트나 환자와 같은 절에 있다.
어떤 인수의 초점이 동사 위에 접두사와 [6]접미사의 조합으로 나타나 있다.
- 에이전트 포커스의 동사는 종종 표시되지 않지만 접두사 ma- 또는 pa- 또는 ka-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진행자 포커스의 동사는 접미사 -un을 얻는다
- 동사의 로케이션 포커스는 접미사인 -an을 얻는다
포커스 시스템을 갖춘 다른 언어들은 환자, 기구, [citation needed]수혜자에 대한 표시가 다르지만, 부눈에서는 그렇지 않다.Bunun 절의 포커스 인수는 보통 항상 동사 바로 뒤에 발생하며(예를 들어 actor-focus 절에서는 에이전트가 다른 참가자 앞에 표시됨) 후명사 마커 [6]a로 표시된 Isbukun 방언으로 표시됩니다.
분운은 조동사의 종류가 매우 많다.보조 기능에 의해 표현되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정(ni 'be not' 및 uka 'have not')
- 형식 및 의지(예: maqtu 'can, be allowed')
- 상대 시간(예: ngausang 'first, previous', canaqtung 'be finished')
- 비교(마장 '동일, 유사')
- 질문 단어(예: '왜?'를 통해)
- 때때로 숫자(예: 타티니 '(be) 혼자, (be) 하나')
사실, Bunun 보조자들은 보통 부사구로 표현되는 시간과 장소를 제외하고, 영어로 표현되는 모든 종류의 개념을 표현한다.
단어 클래스
Takivatan Bununun에는 다음과 같은 단어 클래스가 있습니다(De Busser 2009:189). (주: 오픈 클래스의 단어는 복합화 할 수 있지만 클로즈드 클래스의 단어는 복합화 할 수 없습니다.)
- 수업을 열다
- 명사들
- 동사들
- 형용사
- 휴강
- 데모
- 무지외대명사
- 인칭 대명사
- 숫자
- 단어를 배치하다
- 타임워드
- 예의바른 말
- 질문어
- 보조 장치
접사
Bunun은 형태학적으로 응집어이며 매우 정교한 파생접사 집합(대부분 접두사 200개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은 다른 단어 [7]클래스에서 동사를 파생한다.이들 접두사 중 일부는 파생된 동사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앞의 보조어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특별하다.이것들은 어휘 접두사[8] 또는 예상 접두사라고[9] 불리며, 부눈어 및 소수의 다른 대만어에서만 발생한다.
다음은 De Busser(2009)의 Takivatan Bunun 언어 접두사입니다.
프리픽스의 종류 | 중립 | 원인 | 대격 |
---|---|---|---|
이동처 | 뮤 | 푸- | 쿠 |
동적 이벤트 | 마 | ~하다 | 카 |
Stative 이벤트 | 마/미- | pi- | ka- / ki- |
초기 이벤트 | 최소의 | 핀 | 친족 |
요컨대:
- 이동처: Cu-
- 동적 이벤트: Ca-
- Stative 이벤트: Ci-
- 초기 이벤트 : Cin-
- 중립: mV-
- 원인: pV-
- 고발: kV-
De Busser(2009)의 Bunun 접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초점
- 에이전트 포커스(AF): -ö
- exceeder focus(UF): -un(노멀라이저로도 사용)
- Locative Focus(LF): -an(명칭자로도 사용)
- TAM(Tension-aspect-mood)접사
- na-irrealis(미래, 결과, 의지, 필수).이것은 최소 바인딩 TAM 프리픽스이기도 합니다.
- -a430 프로그레시브(진행적 측면, 동시성, 희망표현/선택적 사용)
- -완벽하게(완성, 결과적 의미, 상태 변화, 전방성)
- -과거/결과적(과거,과거/현재 대비)
- -i- 간혹 발생하는 과거 정보
- 참가자 상호 참조
- - Ø 에이전트
- - 참을 수 없음
- - 로케이션
- 중요한
- 수익자
- 로케이션 프리픽스
- 고정식 'at, in': i-
- 여행 일정 '도착 시간' : atan-, pan-, pana-
- 얼라이언트 'to' : mu-, mun-
- terminative 'until' : sau-
- 방향 '방향, 방향' : tan-, tana-
- Viative '함께, 팔로우' : malan-
- perlative 'through, into' : tauna-, tun-
- 애블러티브 'from' : maisna-, maisi-, taka-
- 이벤트 유형 프리픽스
- ma- 동적 이벤트를 표시합니다.
- ma- 상태 이벤트를 표시합니다.
- mi- stative negative 이벤트 표시
- a: 비생산적인 고정 프레픽스
- pakaka- 재료 특성 표시(표준)
- min- 결과 상태 표시(변환)
- 과제 - 참여형, 그룹 행동을 표시한다.
- 원인
- 동적 동사의 사동사
- 정지 동사의 pi-사동사
- 향하게 하다
- 이벤트 분류
- 잘못 구운 사건
- 주석 충격 사건
- 팔라 분열 사건
- 파시 분리 이벤트
- 고양이 잡기 이벤트
- 환자 포함 접두사
- bit-'bit-'bit'
- kun-'웨어'
- malas-'말해'
- maqu-'사용'
- muda-'걷기'
- pas-'파스'
- qu-'술'
- sa- '보기'
- 탈 - '빨래'
- tapu-'특징 있음'
- 맛-'맛'
- 출산하다
- 주석-'주석'
- tum-'드라이브'
- 버벌라이저
- pu-verbalizer: '사냥하다'
- maquu-verbalizer: '사용'
- '말하다'
대명사
타키바탄 부눈 인칭 대명사 어근은 다음과 같다(De Busser 2009:453).
- 1초: -ak-
- 2초: -su-
- 3s: - is-
- 1p(표준): -at-
- 1p (표준): -담-
- 2p: -(a)mu-
- 3p: -in-
아래의 타키바탄 분운 인칭 대명사 표는 De Busser(2009:441)에서 발췌한 것이다.
종류 대명사 | 뿌리 | 포커스 에이전트 (바운드) | 비포커스대리인 (바운드) | 중립 | 포커스 에이전트 | 로케이티브 | 소유욕 |
---|---|---|---|---|---|---|---|
1s. | -아크- | -(키)ak | -(수치)uk | ,, | 삭, 사이킨 | 사다쿠난 | 아이낙, 아이낙, 낙 |
2s. | - su- | -(마이너스)로서 | – | 스스, 스스 | – | 수우안 | isu, su |
1p. (표준) | -시점- | – | – | 미타 | 【ata】【in】ata】 | 미타카노 | 이미타 |
1p. (표준) | -dam- | -(오후)am | – | 다다미, 남 | 아다무, 샘 | 다다미탄 | inam, nam |
2p. | -(a)mu- | -(오후)am | – | 뮤, 뮤 | amu | 무우안 | imu, mu |
단수형 | 복수형 | |
---|---|---|
[뿌리] | -그건... | -in- |
근위부 | 이스트 | 인티 |
중앙 | 하지 않다 | 삽입하다 |
원위부 | 스타 | 인타 |
이스쿠분 부눈 인칭 대명사는 다소 다르다(De Busser 2009:454).
종류 대명사 | 대리인 | 헤쳐러 | 소유욕 |
---|---|---|---|
1s. | 사이킨, -ik | 다쿠, -쿠 | inak, nak |
2s. | kasu, -as | 고소하다 | isu, su |
3s. | 사이아 | 사이카 | 이사이사 |
1p. (표준) | kata, -ta | 미타 | 이미타 |
1p. (표준) | 카이민, -im | 다다미 | 인암 |
2p. | 카무, -am | 뮤 | imu |
3p. | 나이아 | 이나이카 | 나이카 |
데모
Takivatan Bununun에는 다음과 같은 어근과 접사가 있습니다(De Busser 2009:454).
- 지시적 접미사
- 근위: -i
- 중앙: -un
- 원위부: -a
- 실증적 루트
- aip-: 단수
- aikk-: 애매한 복수
- 빈곤층
- ait-: 포괄적 범용
- 데모 프레픽스
- ü-: 표시됨
- n-: 표시되지 않음
- 단어를 배치하다
- ①여기서
- ②거기(중간)
- 저기 (멀리)
기능어
- 시아 아나포릭 마커, "상기"; 주저 마커로도 사용됨
- tu 속성 마커
- duma "displicate" (두마 "displicate")
- 이투 존댓말
타키바탄 분운에는 확실한 표식도 있습니다.
단수형 | 복수형 | |
---|---|---|
근위부 | -ti | -ki |
중앙 | - tun(튠) | -군 |
원위부 | -ta | -카 |
메모들
- ^ Etnologue에서 Bununun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 ^ 리, 폴 젠케이1988년 부눈 사투리 비교 연구인리, 폴 젠게이, 2004년, 대만의 언어에 관한 논문선집.타이베이, 대만:시나카 학회 언어학 연구소
- ^ De Busser (2009), 페이지 63
- ^ De Busser, Rik (14 May 2011). Introduction to the Bunun language (PDF). Languages of Taiwan, 2011. pp. 7–8.
- ^ Tagalog 로케이션의 논의에 대해서는, Schachter & Otanes(1972)를 참조해 주세요.
- ^ a b Zeitoun (2000)
- ^ 린 등(2001)
- ^ 노지마(1996년)
- ^ Adelaar (2004)
레퍼런스
- Adelaar, K. Alexander (2004). "The Coming and Going of 'Lexical Prefixes' in Siraya" (PDF). Language and Linguistics / Yǔyán jì yǔyánxué. 5 (2): 333–3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1-05-10.
- De Busser, Rik (2009). Towards a Grammar of Takivatan: Selected Topics (Ph. D. thesis). La Trobe University. doi:10.17613/M68D2H – via hcommons.org.
- Jeng, Heng-hsiung (1977). Topic and Focus in Bunun. Taipei: Academia Sinica.
- Nojima, Motoyasu (1996). "Lexical Prefixes of Bunun Verbs". Gengo Kenkyu: Journal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Japan. 110: 1–27. doi:10.11435/gengo1939.1996.110_1.
- Li, Paul Jen-kuei (1988). "A Comparative Study of Bunun Dialects" (PDF).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59 (2): 479–508. doi:10.6355/BIHPAS.198806.0479.
- Schachter, Paul; Otanes, Fe T. (1972). Tagalog Reference Gramma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Zeitoun, Elizabeth 齊莉莎 (2000). Bùnóngyǔ cānkǎo yǔfǎ 布農語參考語法 [Bunun Reference Grammar] (in Chinese). Taibei Shi: Yuan liu. ISBN 957-32-3891-8.
- Lin, Tai 林太; Zeng, Si-qi 曾思奇; Li, Wen-su 李文甦; Bukun Ismahasan Islituan 卜袞‧伊斯瑪哈單‧伊斯立瑞 (2001). Isbukun: Bùnóngyǔ gòucífǎ yánjiū Isbukun: 布農語構詞法研究 [Isbukun: A Study on Word Formation in Bunun] (in Chinese). Taibei: Du ce wenhua.
- Anu Ispalidav (2014). Bùnóngzú yǔ dúběn: Rènshí jùn qún Bùnóngzú yǔ 布農族語讀本: 認識郡群布農族語 [Bunun Reader: Understanding the Bunun Language] (in Chinese). Taibei Shi: Shitu chuban she.
- Huang, Hui-chuan 黃慧娟; Shih, Chao-kai 施朝凱 (2018). Bùnóngyǔ yǔfǎ gàilùn 布農語語法概論 [Introduction to Bunun Grammar] (in Chinese). Xinbei Shi: Yuanzhu minzu weiyuanhui. ISBN 978-986-05-5687-2 – via alilin.apc.gov.tw.
외부 링크
- Kaipuleohone의 Robert Blust 컬렉션에는 Bunun에 대한 도출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Yuanzhmminzu Yyyyan Xinng Cidinn (중국어) - 원주민 언어 연구 및 개발 재단의 "원주민 언어 온라인 사전" 웹사이트의 부논 검색 페이지
- 대만 원주민 협의회가 발행하는 부논교재 (중국어)
- 차이잉원 총통의 2016년 원주민 사과문 부논 번역 - 청와대 홈페이지에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