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 다이 영
Never Die Young네버 다이 영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88년 1월 | |||
장르. | 록 | |||
길이 | 40:14 | |||
라벨 | 컬럼비아/레거시 | |||
프로듀서 | 돈 그롤닉 | |||
제임스 테일러 연대기 | ||||
| ||||
Never Die Young의 싱글 | ||||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대중음악 백과사전 | ![]() ![]() ![]() ![]() ![]() |
뮤직하운드 | 2/5[3] |
롤링스톤 앨범 안내서 | ![]() ![]() ![]() ![]() ![]() |
네버 다이 영은 싱어송라이터 제임스 테일러의 12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그의 전작 '그래서 내가 여기 있다'가 나온 지 3년 만인 1988년 개봉했다.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25위에 올랐고 결국 RIAA에 의해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이 앨범에는 빌보드 핫 100에서 80위로 정점을 찍은 타이틀 곡이 수록되어 있어 앨범의 유일한 차트 작성 싱글이 되었다.
트랙리스트
모든 곡은 제임스 테일러가 작곡한 곡으로, 유명한 곳을 제외한다.
- "Never Die Young" – 4:24
- 티본(Bill Payne, Taylor) – 3:47
- "베이비붐 베이비"(테일러, 재커리 위스너) – 4:59
- "런어웨이 보이" – 4:18
- "발렌타인의 날" – 2:35
- "Sun on the Moon" – 4:09
- "스위트 포테이토 파이" – 3:30
- "Home by Another Way"(티모시 메이어, 테일러) – 3:50
- "메일 편지" – 4:41
- "5월 1일" – 4:01
인원
- James Taylor – 리드 보컬, 기타
- Don Grolnick – 키보드
- Clifford Carter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
- Robbie Kilgore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
- Bill Payne – 신디사이저(2, 4)
- 밥 맨 – 기타
- 제프 미로노프 – 추가 기타(2, 6)
- 댄 더그모어 – 밴조, 페달 스틸 기타
- 릴랜드 스클라 – 베이스 기타(1-4, 6-10)
- Jay Leonhart – 어쿠스틱 베이스(5)
- 카를로스 베가 – 드럼, 타악기
- "카페" 에디슨 A. 다 실바 – 타악기(10)
- Michael Brecker – 테너 색소폰(2, 3)
- 마크 오코너 – 바이올린(4, 5)
- 그렉 "손가락" 테일러 – 하모니카 (8)
- 로즈마리 버틀러 – 백 보컬
- 아놀드 맥컬러 – 백 보컬
- Lani Groves – 추가 백업 보컬(1, 6, 10)
- David Lasley – 추가 백업 보컬(1, 6, 10)
생산
- 프로듀서 – 돈 그롤닉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Peter Stiglin
- 제임스 파버의 녹음과 혼합
- 보조 엔지니어 – Don Rodenbach
- The Power Station(뉴욕, 뉴욕)에서 녹음 및 혼합.
- 기타 및 피아노 기술자 – Edd Kolakowski
- 디지털 편집 – 론다 쇤
- 스털링 사운드(뉴욕, 뉴욕)에서 그레그 칼비가 마스터했다.
- 울프 포토 – 짐 브란덴부르크
- J.T. 사진 – Rudy Molacek
- 아트 디렉션 – 마크 발렛
참조
- ^ Never Die Young at AllMusic
- ^ Larkin, Colin (2007).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13734.
- ^ Graff, Gary; Durchholz, Daniel, eds. (1999).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Farmington Hills, MI: Visible Ink Press. p. 1125. ISBN 1-57859-061-2.
- ^ "James Taylor: Album Guide". rollingston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5, 2013. Retrieved October 2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