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 클릭

Palatal click
구개 클릭
(기존 벨라)
K͡ǂ
ǂ
ᵏ𝼋
IPA 번호179
인코딩
도면요소(십진수)ǂ
유니코드(헥스)U+01C2
X-SAMPA=\
점자⠯ (braille pattern dots-12346)⠱ (braille pattern dots-156)
오디오 샘플
유성 구개 클릭
ǂ̬
ᶢǂ
구개비강 클릭
ǂ̃
ᵑǂ

구개음 또는 구개음 클릭은 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오직 남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는 클릭 자음 계열이다. 혀는 거의 평평하며, 우편물 클릭에서처럼 아래로 당겨지지 않고 뒤로 당겨져 그 자음보다 더 날카로운 소리를 낸다. ('Sharper'는 에너지가 더 높은 주파수에 집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혀는 입천장을 가로지르는 극히 넓은 접촉을 하여 비클릭의 굴절부위와의 상관관계를 어렵게 하지만, 라데포게드&트레일(1984:18)은 굴절부위의 일차적인 장소가 구절부위임을 알게 되며, "[ǂ]를 구절부위로 표현해야 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소리들의 발음이 있는 곳을 나타내는 국제 음성 알파벳의 기호는 이중 막대인 ⟨ǂ⟩이다. 더 오래된 변종인 esh, ⟨𝼋⟩ ((⨎ ( (, (⨎, (⨎)이 가끔 보인다. 이 기본 글자는 두 번째 요소와 결합되어 관절의 방식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10의 클릭에 대해서는 생략된다.

공식 IPA 필사에서는 클릭 글자가 타이 바를 통해 ⟨k ɡ q q q ⟩ ⟩과 결합되지만, ⟨k⟨은 자주 생략된다. 대신 많은 저자들이 넥타이 바 없이 윗첨자 ⟨k q q q use q을 사용하며, 다시 ⟨k⟩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기준선이든 위첨자가든 어느 한 글자는 클릭 문자 앞에 놓이지만, 벨라 또는 경구 폐색 해제음이 들릴 때 다음에 올 수 있다. 세 번째 관례는 무성음, 음성 및 비음에 대한 분음 부호가 있는 클릭 문자로, 이는 경구개 클릭과 벨라를 구분하지 않는다.

트랜스. I 트란스 2호 트란스 3호 설명
(벨라)
⟨k⟩⟩ ᵏǂ ǂ 십이 구개열 클릭
⟨k⟩⟩ ᵏǂʰ ǂʰ 흡인된 구개 박음
ɡ͜ǂ ᶢǂ ǂ̬ 유성 구개 클릭
ŋ͜ǂ ᵑǂ ǂ̃ 구개 비침
ŋ͜ǂ̥ʰʰ ᵑǂ̥ʰʰ ǂ̥̃ʰʰ 흡인된 구개 비강 클릭
ŋ͜ǂˀ ᵑǂˀ ǂ̃ˀ 활화구 비강 클릭
(전극)
q͜⟩⟩ 𐞥ǂ 십이 구개열 클릭
q͜⟩⟩ 𐞥ǂʰ 흡인된 구개 박음
ɢ͜ǂ 𐞒ǂ 유성 구개 클릭
ɴ͜ǂ ᶰǂ 구개 비침
ɴ͜ǂ̥ʰʰ ᶰǂ̥ʰʰ 흡인된 구개 비강 클릭
ɴ͜ǂˀ ᶰǂˀ 활화구 비강 클릭

개별 언어의 맞춤법에서 구개성 클릭은 IPA의 세로 막대 문자에 기초한 디그그래프로 쓰거나 라틴 알파벳을 사용할 수 있다. Khoekhoee와 대부분의 부시만 언어는 전자를 사용한다. 후자를 이용한 맞춤법에는 주ʼ호안시(1987년 맞춤법)에서 çç을 기준으로 한 다문자(多文字)가 포함되며, 나로호에서는 이후 ⟨tctc, qqc⟩으로 바뀌었다. 19세기에는 가끔 ⟩v⟩이 사용되기도 했다(클릭 문자 참조). 이것은 분명히 수직 막대를 가진 v가 과대 선전된, 무성 경구 클릭의 도크 문자의 출처가 될 수도 있다.

특징들

팔자극 클릭의 특징:

  • 기본 관절은 발성, 비음, 흡인, 글로탈화 등을 할 수 있다.
  • 관절앞쪽은 넓으며, 입천장에서 입천장까지 혀가 평평하다. 릴리즈는 날카롭고 도도한 사운드다.
  • 찰칵하는 소리는 구강이나 콧물일 수 있는데, 이는 기류가 입으로 제한되거나 코를 통해서도 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중심 자음인데, 옆구리가 아닌 혀의 중심에 기류를 놓아 만들어 낸다는 뜻이다.
  • 기류 메커니즘설파 침습(일명 벨라릭 침습)이며, 이는 두 개의 폐쇄 사이에 갇힌 공기 주머니가 글로티스나 폐/다엽에 의해 이동되기 보다는 혀의 "흡입" 작용에 의해 드물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폐쇄를 해제하면 "딸깍" 소리가 난다. 유성 및 비음 클릭은 동시 맥동 방출 기류를 가진다.

발생

팔라탈 클릭은 극히 흔한 남부 아프리카 코이산어(Khoe, Kx'a, Tuu family)와 예이, 줄루, 호사 등의 반투어에서만 발생한다.

언어 단어 IPA 의미
꺽회 Khoesaob [ǂ͡essaȍp] 7월
타아 ǂnûm [ᵑǂûm] = [ǂ̃ûmm] 두 개
하바 하바 [ǂʰaba] (이름)
나로호 차우-kg'am
(사우-kg'am)
[ [a̯kχʼam] 실망하다
예이 [쿠자파라] 산산이 부수다

마찰 구개 클릭

마찰구슬 클릭
ʃ =(⨎)
ǂᶴ
ǂǂ

Ekoka !Kung은 역사적으로 좀 더 원형적인 구강 클릭에서 유래한 시끄럽고 마찰이 있는 출시와 함께 일련의 소립 우편-구강-구강 클릭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전치 치경 클릭으로 다양하게 설명되어 왔고 (정확하지 않게) 역방향 클릭으로 설명되어 왔다.[1] 날카롭고 갑작스러운 릴리스를 갖는 일반적인 구개성 클릭과는 달리, 이들은 천천히, 난류성 전방 릴리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짧게 들이마신 [ʃ][citation needed]처럼 들리기도 하고, 일반적인 구개성 클릭처럼 납작한 혀보다는 돔형 혀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 방출은 또한 측면으로 설명되었다.[2] 그들이 얻는 클릭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수축된 혀 뿌리와 전형적인 치골 클릭백-보울 제약을 가지고 있지 않다. 10의 클릭에 대한 임시 필사본은 ⟨ǃss⟩이지만, 이는 클릭이 부착되었음을 오해할 수 있다.[3] 또 다른 제안은 구태의연한 클릭을 위해 ʃ과 같은 옛 편지 ⟨⟩를 부활시키는 것이다.

참고 항목

참조

  1. ^ 하이네 및 쾨니그(2010)
  2. ^ 밀러 (2010) 멸종위기에 처한 호산어의 새로운 형태의 복합어와 등고선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음운학적 패턴, CUNY Conference on the Foundry Language of Englished Language Language, CUNY Conference.
  3. ^ 밀러, 홀리데이, 하우크로프트, 필립스, 스미스, 츠이, 스콧 2011. "주우어의 원태 클릭의 현대적 반사작용의 음성학" 북서부 ǃXun(2008)의 간결한 사전에서 쾨니그와 하이네이는 그것들을 ⟨‼⟩로 표기하는데, 이는 다른 곳에서 복고 클릭에 사용된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