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ut-être toi
Peut-être toi"Peut-être toi" | ||||
---|---|---|---|---|
![]() | ||||
Myllène Farmer의 싱글 | ||||
'아방크 롬브르' 앨범에서... | ||||
B면 |
| |||
방출된 | 2006년 8월 21일 | |||
녹음된 | 2005년 프랑스 | |||
장르. | 댄스팝, 하우스 | |||
길이 | 3:40(단일 버전) 3:45 (라디오 편집) 4:55 (앨범 버전) | |||
라벨. | 폴리도르 | |||
작곡가 | 가사: 마일렌 파머 음악: 로랑 부토나트 | |||
제작자 | 로랑 부톤나트 | |||
마일렌 파머 싱글 연표 | ||||
| ||||
대체 덮개 | ||||
![]() CD maxi |
Peut-etre Toi | |
---|---|
연출자 | Naoko Kusumi |
음악별 | 마일렌 파머 |
생산. 회사 | |
출고일자 |
|
러닝타임 | 7분 |
나라 | 일본 |
〈Peut-tretoi〉(영어: "Maybe You")는 프랑스의 예술가 밀렌 파머가 2005년에 녹음한 노래입니다. 2006년 8월 21일에 발매된 정규 6집 앨범 《Avantque l'ombre...》의 다섯 번째 싱글입니다. 뮤직비디오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고 가사는 연애를 다루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3대 히트작이었지만 판매량은 다소 저조했습니다.
배경 및 릴리스
2005년 5월, 팬들은 "Q"라는 말에 실망했습니다."Peut-tretoi"가 이미 라디오에서 방송된 후 다음 싱글이 될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I"는 두 번째 싱글로 선택되었습니다.[1] 이후 2006년 5월 22일자로 "Dans le sres rues de Londres"를 앨범의 다섯 번째 싱글로 발표했습니다.[2] 그러나 2006년 6월 16일, "Peut-tretoi"가 아방크 롬브르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이 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곡은 6월 19일 NRJ에서 라디오 편집 버전으로 처음 방송되었습니다. 6월 26일, 미스 파머스 리믹스라고 불리는 첫 번째 리믹스가 발표되었지만 연주되지 않았습니다. 7월 6일, 라디오 편집과 미스 파머스 리믹스 두 버전 모두 디지털 다운로드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21일 후, 두 번째 리믹스인 콕스의 리믹스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 싱글은 결국 8월 21일 CD 싱글, CD 맥시에트 12" 비닐의 세 가지 한정판으로 발매되었습니다.[3] 첫 번째 리믹스는 "L'amour n'estrien..."을 프로듀싱한 Bionix에 의해 이루어졌고, 다른 두 곡은 "Désenchantée"와 "Q.I"를 리믹스한 Chris Cox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4]
"Peut-tretoi"는 2006년 파머스 투어에서 콘서트의 첫 곡으로 공연되었고, 따라서 라이브 앨범인 아방크 롬브르에서 공연할 수 있습니다. à 베르시.
가사와 음악
작가 베노 î트 카친은 이 노래의 가사가 농부의 경력에서 매우 드문 낙관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후렴구에서 가수는 연인에게 "어두운 우주가 그녀의 사랑을 초과했다면" 그녀가 말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노래는 파머가 부른 여러 개의 "닥쳐"로 시작되며 춤과 전자음악이 있습니다.[1][4] 심리학자 위그스 로이어(Hugues Royer)는 이 노래에서 "[사랑의 선언]에 약간의 주의가 있으며, 이는 꺼질 수 있는 열정을 말하는 예의"라고 믿으며, 이는 후렴구의 "닥쳐"로 표현됩니다. 사랑은 영원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오직 현재와 관련이 있습니다. 연인 중 한 명의 실수가 없어야 하고, 일상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는 '절대 성실의 요건'의 약속을 봉인합니다.[5]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는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회사인 프로덕션 I.G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으며, 테즈카 오사무의 스트립 만화를 본떠 오토모 카츠히로가 각본을 맡았으며,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애니메이션 감독인 키세 가즈치카, 예술 감독인 히라타 슈이치가 연출을 맡았습니다.[6] 뮤직비디오 IV의 소책자가 증명하듯이 원래는 "Fuck Them All"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7] 2005년에 비디오가 제작되었음을 나타냅니다.[8]
2006년 7월 7일, 이 뮤직 비디오는 유니버설이 휴대 전화로 22초 버전으로 선보였고, 그 다음날 오렌지가 풀 버전으로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5일 후 야후 뮤직에서, 7월 21일 오렌지 웹사이트에서 발표되었습니다.[3] 이 애니메이션 비디오는 농부가 1996년 콘서트 투어의 두 번째 시리즈에서 입었던 번을 가진 젊고 섹시한 여성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작가 에르완 추베레는 이 비디오가 "올해 가장 혁신적인 비디오"라고 생각했습니다.[9] 영상이 화살에 찔려 얽히면 죽는 두 연인의 죽음으로 끝나자, 로이어는 이 영상의 메시지가 로미오와 줄리엣 이야기와 같고, 즉 죽음만이 사랑의 영원성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5] 비디오의 주요 주제는 반란과 사랑입니다.[10]
2006년 7월 19일 TV에서 선보인 이 비디오는 아방크 롬브르의 앨범 중 가장 많이 방송되었습니다. 7월 29일 아이튠즈에서도 다운로드가 가능했습니다.[3] 2007년 2월 25일, MCM에서 방영된 "Les 100 Meilleur Clips du XXIècle"이라는 음악 프로그램에서, 이 비디오는 TV 시청자들의 투표에 힘입어 1위인 "Fuck Them All", 3위인 "Redonne-moi"에 이어 4위에 올랐습니다.[11] 야후 뮤직 프랑스 사이트에서 이 비디오는 "베스트 애니메이션 클립 2006"을 수상했습니다.[6]
프로모션 및 라이브 공연
"Peut-tretoi"는 텔레비전에서 공연된 적이 없지만, 2006년 콘서트 시리즈의 오프닝 곡이었습니다. 거대한 "닥쳐!"로 시작한 다음 가수가 가둬놓은 공중에 매달린 원통형 유리관이 중앙 십자가 모양의 무대로 내려갔습니다. 검은 옷을 입은 여섯 명의 남자들이 무대 중앙으로 옮겨 받침대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그것은 똑바로 절을 하고 열렸습니다. 이어 무대 전체가 붉은색으로 비추는 동안 연갈색 옷을 입은 파머가 나와 후렴구 대신 첫 소절을 시작으로 노래를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12]
차트성적
이 싱글은 프랑스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했으며, 8월 26일에 3위로 데뷔하여 18,144장의 판매고를 기록했습니다.[13] 그 다음 주에는 하락했고 차트에서 50위권과 15위권에 총 9주 동안 머물렀습니다.[14] SNEP에 따르면, "Peut-tretoi"는 2006년 첫 9개월 동안 97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입니다.[15]
이 싱글은 벨기에어(Wallonia)에서 24위에 올랐습니다. Ultra top 40 싱글 차트는 9월 2일에 1위를 차지했고, 그 다음 주에는 12위까지 뛰어올랐고, 그 다음 주에는 하락했습니다. 그것은 7주 후에 차트에서 떨어졌습니다.[16] 스위스에서는 9월 3일 첫 주에 푸트레토이(Peut-tretoi)가 34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그리고는 아주 빠르게 무너져 내려 7주 동안 100위권에 머물렀습니다.[17]
형식 및 트랙 목록
다음은 《Peut-itretoi》의 싱글 발매 형식과 수록곡 목록입니다.
|
|
출고이력
날짜[18] | 라벨. | 지역 | 형식 | 카탈로그 |
---|---|---|---|---|
2006년 6월 26일 | 폴리도르 |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 CD싱글 - 프로모 | 11 233 |
2006년7월 | 7" 맥시 - 프로모 | 11 234 | ||
2006년 8월 21일 | 7" maxi | 984 206-8 | ||
CD싱글 | 984 206-9 | |||
CD maxi | 984 207-0 |
오피셜 버전
버전[19] | 길이 | 앨범 | 리믹스 대상 | 연도 | 코멘트[3][4] |
---|---|---|---|---|---|
앨범버전 | 4:55 | 아방크 롬브르... | — | 2005 | 이전 섹션 참조 |
싱글버전 / 라디오편집 | 3:45 | — | 로랑 부톤나트 | 2006 | 이 리믹스 버전은 앨범 버전보다 더 짧고 역동적이며 추가적인 음파(종소리, 더 많은 신시사이저 및 드럼)가 있습니다. |
인스트루멘탈 | 3:46 | — | 로랑 부톤나트 | 2006 | 보컬에 나오는 '닥쳐'까지 가사가 다 지워집니다. |
미스 파머스 리믹스 | 4:10 | — | 바이오닉스 | 2006 | 이 리믹스는 R&B 소노리티와 일부 "Shut the fuck up"이 노래 내내 반복되었습니다. |
콕스 리믹스 - 클럽 믹스 | 6:58 | — | 크리스 콕스 | 2006 | |
풀 보컬 콕스 리믹스 | 8:46 | — | 크리스 콕스 | 2006 | |
뮤직비디오 | 4:19 | 뮤직비디오 IV | — | 2006 | |
라이브 버전 (2006년 recorded) | 3:27 (audio) 3:22 (영상) | 아방크 롬브르... 아 베르시 | — | 2006 | 아방크 롬브레... à 베르시 (투어) |
학점 및 인원
싱글의 뒷면에 표시된 크레딧과 인원은 다음과 같습니다.[18][20]
|
|
차트 및 매출
|
|
참고문헌
- Cachin, Benoît (2006). Le Dictionnaire des Chansons de Mylène Farmer (in French). Tournon. ISBN 2-35144-000-5.
- Chuberre, Erwan (2007). L'Intégrale Mylène Farmer (in French). City. ISBN 978-2-35288-108-7.
- Chuberre, Erwan (2008). Mylène Farmer, phénoménale (in French). City. ISBN 978-2-35288-176-6.
- Chuberre, Erwan (18 June 2009). Mylène Farmer : Des mots sur nos désirs (in French). Alphée. ISBN 978-2-7538-0477-7.
- Khairallah, Sophie (2007). Mylène Farmer, le culte - L'envers du décor (in French). Why Not. ISBN 978-2-916611-25-9.
- Royer, Hugues (2008). Mylène, biographie (in French). Spain: Flammarion. ISBN 978-2-35287-139-2.
메모들
- ^ a b Cachin, 2006, 페이지 195.
- ^ Chuberre, 2007, 246쪽.
- ^ a b c d "Mylène Farmer - "Peut-être toi" - Histoire du single"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17 December 2007.
- ^ a b c d Rigal, 2010, pp. 157-59.
- ^ a b 로이어, 2008, 페이지 284-85.
- ^ a b "Mylène Farmer "Peut-être toi" - Clip"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21 July 2010.
- ^ Lagrange, Clément (February 2008). "Mylène Farmer, l'icône". Jukebox (in French). 253: 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11. Retrieved 1 May 2011.
- ^ 카이랄라, 2007, 44쪽.
- ^ Chuberre, 2008, p. 282.
- ^ Chuberre, 2009, 208쪽.
- ^ "Mylène Farmer, rétrospective 2007"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11 January 2008.
- ^ Rigal, Julien. "Avant que l'ombre... à Bercy (2006) - Description du live" (in French). Sans-logiq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2. Retrieved 6 July 2010.
- ^ a b "Mylène Farmer "Peut-être toi" - Classements"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21 July 2010.
- ^ ""Peut-être toi", French Singles Chart" (in French). Lescharts. Retrieved 17 December 2007.
- ^ "Best-selling singles from 01.01.06 to 30.09.06" (in French).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December 2007. Retrieved 20 December 2007.
- ^ ""Peut-être toi", Belgian (Wallonia) Singles Chart" (in French). Ultratop. Retrieved 3 January 2007.
- ^ ""Peut-être toi", Swiss Singles Chart" (in German). Hitparade. Retrieved 17 December 2007.
- ^ a b c "Mylène Farmer - "Peut-être toi" - Supports"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2 March 2010.
- ^ "Mylène Farmer - "Peut-être toi" - Versions"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21 July 2010.
- ^ "Mylène Farmer - "Peut-être toi" - Crédits" (in French). Mylene.net. Retrieved 3 April 2010.
- ^ "Mylène Farmer – Peut-tretoi" (프랑스어). 울트라톱 50. 2021년 8월 31일 회수.
- ^ 마일렌 파머 - 푸트레토이. 탑히트. 2021년 8월 31일 회수.
- ^ "Mylène Farmer – Peut-tretoi" (프랑스어). 클래스 구분이 적습니다. 2021년 8월 31일 회수.
- ^ "밀렌 농부 – 푸트레토이" 스위스 싱글 차트. 2021년 8월 31일 회수.
- ^ Royer, 2008, 368쪽.
외부 링크
- (프랑스어로) Mylène Farmer — "Peut-tretoi" 모든 것이 Mylene의 노래에 관한 것입니다.그물망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