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로잘린

Rosaline
로잘린
로미오와 줄리엣의 등장인물
Rosaline.JPG
프랑코 제피렐리의 1968년 영화에서 로잘린 을 맡은 파올라 테데스코는 그녀에게 눈에 띄는 역할을 준 몇 안 되는 영화 중 하나이다.
작성자윌리엄 셰익스피어
단일 우주 정보
성별여성
가족카풀레트

로잘린(/ˈrɒzlaɪn/)[1][2]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1597년)에서 언급된 가상의 인물이다.그녀는 카풀레 경의 조카딸이다.비록 에 보이지 않는 캐릭터지만, 그녀의 역할은 중요하다: 로잘린대한 로미오의 짝사랑은 그가 처음 줄리엣을 만나는 동안 캐퓰릿 가족이 주최한 모임에서 그녀를 엿보려고 노력하도록 이끈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로잘린에 대한 로미오의 짧은 생애를 줄리엣에 대한 이후의 사랑과 비교한다.셰익스피어가 로잘린을 위해 쓴 시는 줄리엣의 시보다 훨씬 약하다.학자들은 로잘린과의 초기 경험으로 로미오가 줄리엣과의 관계에 대비한다고 믿는다.이후 로미오와 줄리엣의 연기는 영화제작자들이 로잘린을 더 눈에 잘 띄는 인물로 만드는 실험을 했기 때문에 로미오와 로잘린의 관계에 대한 다른 그림들을 그렸다.

극중 역할

로미오줄리엣을 만나기 전, 그는 카풀렛의 조카이자 줄리엣의 사촌인 로잘린을 사랑한다.그는 그녀를 놀랍도록 아름다운 사람으로 묘사한다: "모든 것을 보는 태양/네어는 처음에 세상이 시작된 이래로 그녀의 경기를 보았다."[3]그러나 로잘린은 정숙함을 택한다. 로미오는 말한다. "그녀는 사랑하기를 포기한다. 그리고 그 서약에서 / 내가 지금 그것을 말하기 위해 사는 죽은 목숨이다."[4]이것이 그의 우울증의 원인이고, 그는 그의 친구들을 불행하게 만든다; Mercutio는 이렇게 말한다: "그 창백하고, 냉정한, 그리고 로잘린이 그를 괴롭혀서 그가 틀림없이 미쳐버릴 것이다."[5]벤볼리오 씨는 로잘린이 다른 아름다운 여성들과 함께 "까마귀"로 인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6]로미오는 동의하지만 벤볼리오의 평가를 의심한다.로미오가 줄리엣을 본 후 갑자기 감정이 바뀌었다. "지금까지 내 마음은 사랑했는가?포기해, 시력 / 오늘 밤까지 진정한 아름다움을 본 사람이니까."[7]그들의 관계가 갑작스럽고 비밀스럽기 때문에, 로미오의 친구들과 로렌스 프리는 연극의 많은 부분을 통해 로잘린에 대한 애정을 계속 말하고 있다.

분석

이름

"...발코니에 있는 줄리엣은 로미오의 이름을 못을 박고, 그 장미에 비유해서 뭐라고 부르든 그 자신 그대로 남아 있는 장미에 비유한다.줄리엣이 장미꽃을 피웠는데 로잘린?""

Jonathan Goldberg[8]

로잘린은 로잘린드의 변종으로,[9] 올드 프랑스어 유래 이름: (hros = "말", lind = "부드럽다, 연하다")이다.그것이 영어로 수입되었을 때 그것은 라틴 로사 린다("사랑스런 장미")[10]에서 온 것으로 생각되었다.로미오는 로잘린을 장미꽃의 화신으로 본다. 그녀의 이름과 명백한 애정 때문이다.[11][12]로잘린이라는 이름은 로미오가 줄리엣에게 구애하고 로잘린과 줄리엣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의 한 형태인 페트라르칸 소네트(Petrarchan sonnets)에서 흔히 나타난다.로잘린은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녀는 이런 스타일의 완벽한 주제지만, 로미오의 시도에는 강제적이고 약하다.줄리엣을 만났을 때쯤 그의 시적 능력은 상당히 향상되었다.[11]

로잘린은 다른 셰익스피어 등장인물의 이름으로만 쓰이고 있는데, 사랑의 노동력 상실(1598년)의 주요 여성 인물 중 한 명이고, 로잘린드는 As You Like It의 여성 주인공의 이름이다.학자들은 그들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했다: 둘 다 아름답다고 묘사되고 둘 다 남성의 낭만적인 발전을 피하는 방법이 있다.'사랑의 노동력 상실'의 레이디 로잘린은 구혼자의 진보를 끊임없이 거절하고 로미오의 로잘린은 그녀에 대한 그의 간략한 묘사에서 멀고도 정숙한 상태로 남아있다.이러한 유사점들로 인해 찰스와 메리 클라크는 그들이 셰익스피어가 실제로 알고 있는 여자, 아마도 그의 소네트 속에 묘사된 다크 레이디에 근거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게 되었지만,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강력한 증거는 없다.[13]

로잘린(Rosaline

분석가들은 로잘린이 로미오가 줄리엣을 만나게 될 카풀렛 파티에 몰래 들어가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줄리엣의 음모를 꾸민다는 점에 주목한다.그녀가 없다면 그들의 만남은 성사될 것 같지 않을 것이다.[14]따라서 로잘린은 "별그대 연인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자극제 역할을 한다. 그녀는 그들의 운명을 결정짓는 데 중요하다.아이러니하게도 그녀는 자신의 역할을 망각하고 있다.[15]

로잘린과 줄리엣

"로살린과 파리......의 가장 미미한 반사는...이다.그들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보다 견실한 현실에 의해 뱀의 가죽처럼 주조된다."

—Ruth Nevo, on the Rosaline-Juliet, Paris-Romeo comparison[16]

문학 평론가들은 로잘린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과 줄리엣에 대한 감정을 종종 비교한다.로잘린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을 줄리엣에 대한 진실한 사랑과 비교했을 때 유치한 분노로 보는 이들도 있다.다른 사람들은 로미오의 명백한 감정 차이가 셰익스피어의 실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셰익스피어가 1591년에 극의 초고를 썼다가 1597년에 다시 주워 최종본을 만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로잘린과 줄리엣을 위한 로미오의 언어의 변화는 극작가로서 셰익스피어의 늘어진 기술, 즉 로잘린을 묘사하는 젊은 셰익스피어와 줄리엣을 묘사하는 경험이 많은 셰익스피어의 솜씨를 반영할 수도 있다.이런 관점에서 극을 세심하게 들여다보면 로잘린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이 평소 상상했던 것만큼 사소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14]

비평가들은 또한 로잘린과 로잘린과의 관계가 줄리엣을 만날 준비를 하는 방법에 주목한다.로잘린을 만나기 전, 로미오는 모든 카풀렛을 경멸하지만, 후에 그들을 더 호의적으로 바라본다; 그는 증오와 사랑의 이중적인 감정을 단 하나의 관계에서 경험한다.이로써 그는 몬태규와 캐퓰렛의 불화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줄리엣과의 보다 성숙한 관계에 대비하게 되었다.로미오는 로잘린에 대한 사랑과 두 집 사이의 불화를 비교하며 1, 1막 1장에서 사랑과 증오의 갈등을 표현한다.[17]

미움과는 많은 관계가 있지만, 사랑과는 더 관련이 있다.
왜, 그럼, 오, 사랑을 쟁취하다니!오 사랑하는 증오심!
오, 아무것도 아닌 것을 먼저 창조하라!
오 무거운 가벼움! 심각한 허영심!
시딩이 잘 된 형태의 혼란!
납의 깃털, 밝은 연기, 차가운 불, 아픈 건강!
아직도 깨우는 잠, 그런 게 아니야!
이 사랑은 나, 이 안에서 아무런 사랑도 느끼지 못하는 나를 느낀다.
너는 웃지 않니?[18]

정신분석학 비평가들은 로잘린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에서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억압된 징후를 본다.그녀는 라이벌 집이고 정절을 맹세한다. 그러므로 그는 불가능한 상황에 처해 있다. 그가 그 집에 남아 있으면 트라우마를 계속 겪게 될 것이다.그는 상황의 우스꽝스러움을 인정하지만, 그녀를 사랑하는 것을 멈추려 하지 않는다.정신분석가들은 이것을 어머니와의 실패한 관계를 재연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로잘린의 부재는 어머니가 부재하고 그에 대한 애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줄리엣에 대한 로미오의 사랑은 비슷하게 절망적이다. 그녀는 카풀렛이고 로미오는 그녀와의 관계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줄리엣이 그의 감정에 보답한다는 차이점이다.[19]

퍼포먼스

로잘린은 수세기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어 왔다.테오필루스 시버의 1748년판 로미오와 줄리엣은 로잘린에 대한 참조를 줄리엣에 대한 참조로 대체했다.이것은, 비평가들에 따르면, 카풀렛 잔치에서 "첫눈에 반한 사랑"을 한순간에 꺼냈다고 한다.[20]1750년대에, 많은 사람들이 로미오가 로잘린을 빠르게 교체한 것을 비도덕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배우 겸 연극 감독인 데이비드 개릭 또한 로잘린에 대한 언급을 그의 공연에서 삭제했다.[21][22]하지만, 1968년 프랑코 제피렐리영화판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로잘린(파올라 테데스코 역)[23]을 카풀레트 잔치에서 처음 보게 되고, 그 다음 줄리엣을 보게 되는데, 로미오는 즉시 열광하게 된다.이 장면은 사랑이 짧고 피상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로잘린은 또한 레나토 카스텔라니 감독의 1954년 영화 버전에도 등장한다.셰익스피어가 아닌 짧은 장면에서 로잘린(다그마르 요시포비치)은 카풀렛의 축하연에서 로미오에게 마스크를 주며, 로미오에게 피해가 오기 전에 변장을 하고 떠나라고 재촉한다.다른 영화제작자들은 셰익스피어의 대본에 따라 로잘린을 더 엄격하게 촬영하지 못하게 한다.[24]로잘린은 로미오와 줄리엣 2013년 영화 각색에도 등장한다.

로버트 네이쓴의 1966년 로맨틱 코미디 '만투아에서 줄리엣'은 로잘린을 완전히 발전된 캐릭터로 선보인다.로미오와 줄리엣이 죽지 않은 이 속편에서 두 사람은 10년 후 만투아에서 망명 생활을 한다.그들은 용서를 받고 베로나로 돌아온 후 로잘린이 이제 파리 백작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두 부부는 결혼에 대한 환멸에 맞서야 한다.스코틀랜드 극작가 샤먼 맥도날드가 쓴 또 다른 연극 애프터 줄리엣은 로미오가 죽은 후 로잘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이 연극의 주인공인 그녀는 자신의 상실에 몸부림치며 자신과 사랑에 빠진 벤볼리오의 진보를 외면한다.맥도날드의 딸 키이라 나이틀리는 이 연극의 1999년 초연에서 로잘린 역을 맡았다.[25][26]

로잘린은 2017년 미국 드라마 시리즈 스틸스타크로스드의 주인공이다.그녀는 여배우 라샤나 린치에 의해 그려진다.

로잘린은 웨스트엔드 뮤지컬 앤 줄리엣의 주연으로, '외로운 존재의 의미를 보여줘'에만 출연하며 그레이스 무아트가 그렸다.

참조

  1. ^ Crystal, David (2016). The Oxford Dictionary of Original Shakespearean Pronunciat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 472. ISBN 978-0-19-966842-7.
  2. ^ Kokeritz, Helge (1953). Shakespear's Pronunci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 477.
  3. ^ 로미오줄리엣 1.2/99–100, 폴거 셰익스피어 도서관
  4. ^ 로미오줄리엣 1.1/231–232,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
  5. ^ 로미오와 줄리엣 2.4/4–6,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
  6. ^ 로미오와 줄리엣 1.2/94, 엽기 셰익스피어 도서관
  7. ^ 로미오와 줄리엣 1.5.59–60, 폴거 셰익스피어 도서관
  8. ^ 골드버그, 조나단.르네상스 시대의 대기.더럼:듀크 대학 출판부(1994년), 221–227.ISBN 0-8223-1385-5
  9. ^ "로살린"이름 사전.에드, 패트릭 행크스, 케이트 하드캐슬, 플라비아 호지스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2006년).옥스퍼드 레퍼런스 온라인.2007년 6월 25일 회수.옥스퍼드 참조(등록 필요)
  10. ^ "로살린드"이름 사전.에드, 패트릭 행크스, 케이트 하드캐슬, 플라비아 호지스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2006년).옥스퍼드 레퍼런스 온라인.2007년 6월 25일 회수.옥스퍼드 참조(등록 필요)
  11. ^ a b 휘티어, 게일.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소넷의 몸'과 '소넷의 몸'이 '소네티즈'로 만들어졌다.'셰익스피어 분기별 40.1 (1989년 4월) : 27–41.
  12. ^ 루이스, 앨런"셰익스피어의 큐피드 읽기."비판 47.2 (2005년 4월): 177–213.
  13. ^ 클라크, 찰스메리 클라크.셰익스피어 키.런던: 샘프슨 로우, 마스턴, 서얼 앤 리빙턴(1879), 페이지 651–652.
  14. ^ a b 그레이, 헨리 데이빗"로미오 로잘린과 줄리엣"Modern Language Note 29.7 (1914년 11월): 209–212.
  15. ^ 에반스, 베르트랑"로렌스 수교의 간결함" PMLA 65.5 (1950년 9월) : 841–865.
  16. ^ Nevo, Ruth (April 1969). "Tragic Form in Romeo and Juliet". SEL: Studies in English Literature 1500–1900. Baltimore,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 (2): 241–258.
  17. ^ Bowling, Lawrence Edward (March 1949). "The Thematic Framework of Romeo and Juliet". PMLA. New York City: Modern Language Association. 64 (1): 208–220.
  18. ^ 로미오줄리엣 1.1/180–188,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
  19. ^ Krims, Marvin (November 1999). "Romeo's Childhood Trauma?—'What Fray Was Here?'". PSYART: A Hyperlink Journal for Psychological Study of the Arts. Cambridge, Massachusetts: Psyart Foundation. ISSN 2123-4434.
  20. ^ 마스든, 진.Re-Imaged Text.렉싱턴:켄터키 대학 출판부, (1995년), 87–88.ISBN 0-8131-1901-4
  21. ^ 브래남, 조지 C. "다비드 개릭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창시자"셰익스피어 분기별 35.2 (1984년 7월): 170–179.
  22. ^ 스톤, 조지 윈체스터 주니어 "로미오와 줄리엣:현대 무대 경력의 원천."셰익스피어 분기별 15.2 (1964년 4월): 191–206.
  23. ^ "Romeo & Juliet (1968)". Yahoo! Movies. Yahoo!. 2007. Retrieved 28 June 2007.
  24. ^ 마틴, 제니퍼 L. "긴장 vs.문신:'로미오와 줄리엣'의 영화적 해석."English Journal 92.1(2002년 9월): 41–46.
  25. ^ Maxwell, Tom (20 July 2007). "Keira's helpful prompt". The Scots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07. Retrieved 27 May 2009.
  26. ^ "After Juliet by Sharman McDonald". Plays. Acqu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27 Ma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