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이반호

Philip J. Ivanhoe

필립 J. 이반회(Philip J. Ivanoe, 1954년 1월 17일 ~ )는 중국 사상, 특히 유교성리학[1]역사학자이다.그는 조지타운 [2][3]대학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 겸 학과장이다.이반회는 아마도 두 가지 주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주희와 왕양밍과 같은 성리학자들이 공자같은 초기 유학을 체계적으로 잘못 해석했고, 그리고 유교는 미덕 윤리의 한 버전으로 유용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전기

아이반호는 미국 뉴저지에서 정육점을 포함한 다양한 소규모 사업체를 소유한 부모들에 의해 자랐고 그곳에서 대학으로 떠날 때까지 일했다.그는 스탠포드 대학에서 장학금을 받고 철학 학사(1976년)를 받았으며 중국어도 공부했다.1976년부터 1978년까지 Ivanhoe는 David S와 함께 일하기 위해 스탠포드에 머물렀다. 중국어 텍스트의 컴퓨터화된 일치성을 생성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합니다.1974년부터 1978년까지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했으며 명예 제대했다.1978년부터 1982년까지 그는 미국 육군에서 복무했다.명예 제대 후 스탠포드로 돌아와 종교학 박사과정(1987년 수상)을 밟고 아시아어 부전공 자격도 마쳤다.스탠퍼드대에서 아이반호는 분석철학을 중국사상 연구에 응용한 대표적인 중국학자 니비슨과 토마스 아퀴나스 및 비교종교학자H. 연리 밑에서 공부했다.Nivison이 은퇴하자 Ivanhoe는 Stanford의 철학과와 종교학과의 조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1991년).1993년, Ivanhoe는 Lloyd W. Dinkelspiel Award에서 학부 교육에 대한 탁월한 서비스 상을 수상했습니다.1996년, 이반호는 부교수로 승진했다.그 후 1998년 Ivanhoe는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철학부와 아시아 언어 및 문화부의 부교수급으로 채용되었습니다.2003년, 이반호는 미시건을 떠나 보스턴 대학의 핀들레이 철학 초빙 교수가 되었다.2006년에 그는 홍콩 시립 대학으로의 임명을 수락했다.그의 과정에는 페미니즘과 가족 윤리, 삶의 철학, 그리고 윤리와 실천이 포함되었습니다.2018년 이반회는 성균관대학교 유교동양철학대학 석좌교수로 자리를 옮겼다.그는 유교철학문화연구소의 유교철학문화저널 편집장과 유교철학대학 내 새로운 연구센터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가칭은 유교철학연구소(CIEAP)다.

Ivanhoe는 결혼했고 딸과 아들, 두 아이가 있다.

지적 공헌

이반회는 성리학자들이 비록 불교를 혹독한 비판자였지만 그들이 깨달은 것보다 더 깊은 불교 철학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는 니비슨의 제안에 영향을 받았다.그 결과, 성리학자들이 그들 자신의 지적 전통을 잘못 해석했다.Ivanhoe는 그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Nivison의 통찰력을 매우 상세하게 발전시켰고, 그 개정판은 나중에 책 "유교 전통에서의 윤리: 멍쯔와 왕양밍의 사상.이 책에서 이반회는 왕양명(王ming明)과 성리학자 왕양명(王ming明)의 견해를 대조해 왕양명(王ming明)이 왕양명(王陽明)에게 끼친 영향(불교 사상이 설명한다고 믿으면서도 잘못 읽혀지는 것)을 보여준다.그야.

Ivanhoe는 그의 다음 주요 저서인 유교적 도덕적 자기 계발에서 이 생각을 더 폭넓게 적용했다.이 책의 초판에서, 이반호는 중국 철학자들이 윤리 수양의 "개발", "발견" 또는 "재형성" 모델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반호는 기원전와 함께 이 용어의 공동 개발자들 중 한 명이었다.) Graham, 그의 동급생 Kwong-loi Shun, 그리고 그의 제자 Jon Schofer)발달모형에서 윤리적 수양이란 선천적 성향에서 출발하여 점차 발전하는 과정이다(예를 들어, 고대 유교 맹자는 덕의 싹을 길러야 덕이 완성된다고 말한다).발견 모델에 따르면, 인간은 완전한 덕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그들 안에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능력은 어떻게든 방해되거나 가려져 있고, 교양은 자기 안에 있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다. (이반호는 많은 주제에 대한 그들의 진정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중국 불교도와 성리학자들이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윤리 함양의 발견 모델)마지막으로, 재형성 모델에서, 인간의 본성은 원래 재배에 대한 저항력이 있고, 미덕을 창조하기 위해 힘겹게 재형성되어야 한다.(이반호는 고대 유교 순자가 그런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유교적 도덕성향 제2판에서 이반회는 자기양성 모델의 유형을 더욱 세분화하였다.

덕목, 윤리적 함양, 인간의 본성과 같은 주제에 대한 이반회의 영향은 유교가 덕목 윤리의 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는 올리의 견해의 영향을 반영한다.이반회는 중국 사상에 관한 2차 논문집을 다수 공동 편집했으며, 유교, 모교, 도교에 관한 참고서적과 논문을 다수 출판했다.

레퍼런스

  1. ^ Mou, Bo (2003). Comparative approaches to Chinese philosophy. Ashgate Publishing, Ltd. p. 117. ISBN 978-0-7546-0508-9.
  2. ^ "Georgetown University Faculty Directory". gufaculty360.georgetown.edu. Retrieved 2021-05-01.
  3. ^ Weinberg, Justin (2020-03-30). "Ivanhoe from Sungkyunkwan to Georgetown". Daily Nous. Retrieved 2021-05-0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