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쿠운 야스타니

Hakuun Yasutani
하쿠운 야스타니
야스타니 로시와 브리짓 도르치
제목로시
개인적인
태어난1885
죽은1973년 (87-88세)
종교일본의 선
국적.일본인입니다
학교산보 교단
고위직
전임자하라다 다이운 소가쿠
후계자야마다 군
타이잔 마에즈미

하쿠운 야스타니(, 1885년 ~ 1973년)소토의 승려이자 일본의 평신도 선단인 산보 교단의 창시자입니다.그의 제자 필립 카플라우타이잔 마에즈미를 통해 야스타니는 서양 선술을 창시하는 데 주요한 힘 중 하나였습니다.

전기

하쿠운 야스타니와 필립 카플라우

야스타니 료코()는 일본 시즈오카현 출신.그의 가족은 매우 가난했고, 그래서 그는 다른 [1]가족에게 입양되었습니다.그가 다섯 살 때 그는 쓰야마 [1]겐포의 지도 아래 작은 린자이 사원인 후쿠지인으로 보내졌습니다.

야스타니는 자신이 선승이 될 운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출생에 대한 기적적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안전한 출산을 위해 묵주를 삼키라고 지시한 수녀로부터 묵주의 구슬을 받았을 때 이미 그녀의 다음 아들이 사제가 될 것이라고 결정했습니다.그가 태어났을 때 그의 왼손은 같은 구슬을 꽉 움켜쥐고 있었습니다.그의 계산에 따르면, "당신의 삶은...당신 자신의 착상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훨씬 더 일찍 시간을 흘러갑니다.당신의 삶은 당신의 [1]부모님을 찾습니다.

그러나 그가 사원 [2]가정에서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선승이 될 가능성은 작았습니다.

그가 11살이었을 때 그는 역시 린자이 [1]사원인 다이추지로 이사했습니다.13세의 나이에 그는 소토 사원인 테이신지에서 [1]안수되었고 하쿠운이라는 [3]이름이 주어졌습니다.16세 때 보쿠산 [1]니시아리의 지도 아래 덴신지로 다시 이사했습니다.

그 후 그는 몇몇 다른 성직자들과 함께 공부했지만, 학교 선생님으로 교육을 받았고 초등학교 선생님과 교장이 되었습니다.그가 30살이 되었을 때 그는 결혼했고, 그의 아내와 그는 결국 다섯 명의 [1]아이를 낳았습니다.

1925년에 40세의 나이로 소토와 린자이 두 명의 스승 밑에서 선을 공부한 소토 로시 하라다 다이운 소가쿠 밑에서 고안 훈련을 시작했습니다.2년 후에 그는 선생님이 인정한 켄쇼에 도달했습니다.그는 50대 초반에 코안 공부를 마쳤고,[4] 1943년 58세의 나이로 하라다로부터 소토 전통의 달마 전승을 받았습니다.그는 일본 [1][5][dubious ]북부 주간지에 있을 때 짧은 기간 동안 훈련장의 책임자였지만, 대신 평신도들을 [1]훈련시키는 것을 선호하면서 이것을 포기했습니다.

야스타니의 의견에 따르면, 일본에서의 소토 선 수행은 다소 체계적이고 의례적인 [6]것이 되었습니다.야스타니는 연습과 깨달음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그는 소토종을 떠났고, 그가 이미 69세였던 1954년에 선술인들의 [4]자신의 공동체인 산보교단을 설립했습니다.그 후 그의 노력은 주로 평신도 의사들의 훈련에 집중되었습니다.

야스타니는 이미 70대였던 1962년에 처음으로 미국을 여행했습니다.그는 [7]1965년에 출판된 "의 세 기둥"이라는 책을 통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그것은 1956년에 야스타니와 함께 공부하기 시작한 필립 카플레오에 의해 편찬되었습니다.그것은 야스타니의 짧은 전기와 그의 선술 입문 강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그 강의들은 영어로 출판된 zazen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첫 번째 지침들 중 하나였습니다.이 책에는 야스타니의 코안무 해설과 서양 학생들과의 [8]도쿠산 인터뷰에 대한 다소 비정통적인 보도도 있습니다.

1970년에 야마다 쿤에 의해 산보쿄단의 칸치(총감)로서 그의 은퇴와 함께 야스타니는 계승되었습니다.1973년 [9]3월 8일에 사망.

교수법

산보 교단은 야스타니가 그의 스승 하라다 다이운 소가쿠로부터 배운 스타일인 린자이 코안 학습뿐만 아니라 소토 전통의 많은 부분을 통합합니다.

야스타니는 실제 [1][note 1]연습의 시작으로 자신의 [10]본성에 대한 초기 통찰력인 켄쇼에 큰 중점을 두었습니다.

야스타니는 자신이 수련한 소토종파가 실제로 이 본래의 [1]깨달음에 눈뜨는 경험적 측면을 배제하기 위해 깨달음의 본질적, 즉 본래적 측면을 강조했다고 느꼈기 때문에 그렇게 노골적이었습니다.

켄쇼를 얻기 위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무코안을 배정받습니다.돌파 후, 학생은 먼저 22개의 "사내"[11] 코안을 공부하는데, 이 코안은 "출판되지 않았고 일반 [11]대중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그 후, 학생들은 무문(무문칸), 푸른 절벽 기록, 평정의 책, 빛을 전하는 기록, 오위 그리고 마지막으로 100명 이상의 [11]코안들을 거칩니다.

정치적 견해

일본 파시즘과 군국주의 지지자

이치카와 하쿠겐에 따르면, 야스타니는 "광신적인 군국주의자이자 [12]반공주의자"였습니다.Brian Victoria는 그의 책 Zen at War에서 이 말을 1868년에 시작된 메이지 유신의 더 큰 맥락에 두고 있습니다.그리고 나서 일본은 외국의 영향과 현대 서양의 기술과 문화에 개방된 중세 봉건 제도를 떠났습니다.이 과정의 결과로 격렬한 민족주의가 발전했습니다.그것은 일본 제국의 헌법, 빠른 산업 성장, 그리고 공격적인 군국주의의 시작, 그리고 [13]불교의 박해를 상징했습니다.이러한 발전에 대응하여 일본 불교는 불교 모더니즘[14]발전시켰지만,[13][15]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 독재 정권을 지지하기도 했습니다.빅토리아는 또한 야스타니가 1940년대에 [16]칼프리트 그라프 뒤르크하임으로부터 들은 나치 선전에 영향을 받았다고 제안합니다.

빅토리아는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전쟁에서의 선을 추적했습니다.그는 [web 1]1943년에 출판된 야스타니의 선종 도겐과 슈쇼기(실천과 계몽에 관한 조약)에 주목했습니다.이 책은 "일본의 [web 2]패권하에서 아시아의 단결을 촉구하는 외침"입니다.

미국과 영국의 배신을 말살하고 대동아공영권을 확립하는 것만이 아시아의 10억 인구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그래야 그들이 안심하고 각자의 길을 갈 수 있습니다.또한 이것이 세계의 악령을 쫓아내고 인류의 영원한 평화와 행복을 실현하는 새로운 세계질서 구축에 기여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저는 이것이 우리의 위대한 일본 제국이 성취해야 할 매우 중요한 임무라고 믿습니다.
사실, 이 매우 중요한 국가적 사명을 완수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요소는 영적 [web 2]문화의 힘이라고 말해야 합니다.

응답

빅토리아의 이 주제에 대한 처리는 강한 반응과 찬성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브라이언 다이젠 빅토리아의 전쟁의 선(Victoria 1997)만큼 최근 몇 년간 일본과 다른 지역의 불교도들의 사고에 깊은 영향을 미친 책은 거의 없었습니다.그 책의 큰 기여는 성공했다는 것이고, 다른 사람들은 성공하지 못한 곳에 있다는 것입니다.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17]봉건적 고립의 거의 250년 후에 국경을 열었을 때)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본 불교도들의 군국주의에 대한 대체로 의심의 여지가 없는 지지를 대중의 관심으로 이끌었습니다.

필립 카플라우의 달마 후계자인 보딘 콜헤데에게 야스타니의 정치적 견해는 깨달음의 의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야스타니 로시에 관한 책을 펴놓았으니, 이제 새로운 코안이 나옵니다.많은 한국인들처럼, 그것은 고통스러울 정도로 당혹스럽습니다.어떻게 깨달음을 얻은 선사가 그런 증오와 편견을 표출할 수 있었겠습니까?이 코안의 핵심은, 제가 제안하고 싶은 것은, 계몽된 단어입니다.만약 우리가 깨달음을 우리에게 영구적인 성스러운 것을 제공하는 도착의 전부 혹은 아무것도 아닌 장소로 본다면, 우리는 이 신음소리에 의해 방해를 받을 것입니다.하지만 실제로는 무수히 많은 수준의 깨달음이 있으며, 모든 증거는 완전한 깨달음(그리고 어쩌면 그것을 가지고도-누가 알겠는가?)을 제외하고,[web 3] 더 깊은 타락과 습관적인 경향이 마음에 뿌리박고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비판

빅토리아는 하라다-야스타니 계통의 선종 교사인 로버트 베이커 아이트켄에 의해 인용과 번역의[17][web 4]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다른 연구원들과는 달리, 빅토리아는 진공 상태에서 글을 씁니다.그는 일본 불교 지도자들의 말과 행동을 문화적, 시간적 맥락에서 추출하여 현재의 진보적, 서구적 [web 5]관점에서 판단합니다.

사과드립니다.

이 책은 또한 전쟁 희생자와 결혼한 네덜란드 여성의 캠페인으로 이어졌습니다.

네덜란드 여성이 문제를 제기한 주된 이유는 브라이언 빅토리아의 책 젠앳 워를 읽고 [web 6]전쟁을 찬양하고 홍보를 거듭한 산보교단 야스타니 하쿠운 로시의 전쟁 당시 언행에 배신감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종교재단 산보교단 [web 6]제3대 수도원장"인 쿠보타 지운은 야스타니의 우익 동정을 인정합니다.

야스타니 로시는 자신의 [web 6]책에서 빅토리아 씨가 지적한 것처럼 2차 세계대전 중과 이후에도 강력한 우파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육성했습니다.

결국, 2000년에 쿠보타 지운은 태평양 전쟁 동안 야스타니의 발언과 행동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지금 책에 드러난 야스타니 로시의 언행이 산보교단 선에서 수련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충격을 주었고, 그 결과 선의 수련을 혐오하거나 버리게 했다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이와 같은 지난날의 도사의 잘못된 언행으로 인하여 범한 죄에 대하여, 현재의 산보교단 수도원장인 저는 진심으로 [web 6]유감의 뜻을 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영향을 주다

산보 교단의 창시자로서, 그리고 필립 카플라우타이잔 마에즈미스승으로서, 야스타니는 선의 수행을 서쪽으로 가져오는 데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산보교단 조직의 회원은 비교적 적지만(1988년 등록[15] 팔로어 3,790명, 강사 24명), "산보교단은 서양의 선종에 과도한 영향을 끼쳤다"[15]고 하며, 타이잔 마에즈미가 설립한 백매화 아상은 산보교단과는 독립되어 있지만,어떤 면에서 그것은 야스타니의 영향력을 영속시킵니다.

야스타니 하쿠운의 혈통 타이잔 마에즈미의 혈통
소토 계통
소토 학교
린자이 씨족
린자이 학파
소토 계통
린자이 학파
린자이 씨족
소토 학교
하라다 소도 가쿠쇼 (1844년-1931년)[web 7] 도쿠탄 소산(일명: 도쿠탄 소산.도쿠탄 도요타)(1840-1917)[web 7]
하라다 다이운 소가쿠 (1871년-1961년)[web 7] 조코 로시
[웹 8][주2]
하쿠운 야스타니[웹 7] 하쿠운 야스타니[웹 7] 바이안 하쿠준 구로다 고류 오사카 (1901-1985)
필립 카플라우 (1912-2004) 야마다 쿤 (1907-1989) 타이잔 마에즈미 (1931년-1995년
  1. 주교, 미트라 (b.1941)
  2. 헨리, 마이클 다넌 (b.1939-)
  3. 기포드, 데인 젠슨
  4. 그레프, 수냐나 (b.1948)
  5. 졸헤데, 소냐 순야 선생님
  6. 로우, 앨버트 (b.1928)
  7. 작터, 로슨 데이비드
  8. 토니 패커 (b.1927) (독립)
  9. 클라크, 리처드 (b.1933) (독립)
  1. 아다치 유키요시
  2. 레이코 혼안 아다치
  3. 로버트 초탄 교운 아이켄
  4. 아시다 오사무
  5. 니클라우스 고운켄 브란첸 신부, SJ.
  6. 우타 류운안 드라이스바흐
  7. 루드비히 코난 파비안 , OSB.
  8. 루르드 밀라 교쿤안 골레스
  9. 루벤 게이운켄 하토[웹 9]
  10. 고도 뇨운켄 하세가와
  11. 히야마 테츠오 타이운켄
  12. 윌리지스 쿤켄 예거 씨, OSB
  13. 구보타 아키라 지은켄
  14. 하이디 헤키운 컨
  15. 요하네스 혼켄 콥
  16. 빅터 유운켄 로우
  17. 피터 챈켄 렝스펠드
  18. 데이비드 테츠운켄 로이
  19. 일레인 코운안 맥인스 경
  20. 군둘라 주은안 마이어
  21. 카르멘 바이카안 몽스케
  22. 테이조 카쿠운켄 나카무라
  23. 오다 쓰네오 고운켄
  24. 오다 아키라 소운켄
  25. 실비아 린운안 오스터택
  26. 소니아 슈니안 푼잘란
  27. 캐슬린 세이은안 레일리
  28. 조안 리크
  29. 아마 구눈켄 사미
  30. 아나 마리아 쿤안 슐뤼터 로드
  31. 시테쓰 쇼운켄 센도
  32. 폴 춘켄 셰퍼드
  33. 로슬린 세이은안 스톤
  34. 도시오 헤키운켄 도노이케
  35. 슈레이쿤쿠우사미
  36. 야마다 마사미치 료운켄
  1. 알프레드 지쓰도 안체타
  2. 수잔 묘유 안데르센-파머
  3. 얀 초젠 만 (b.1945)
  4. 샬롯 조코 벡 (1917-2011)
  5. 찰스 텐신 플레처
  6. 테츠겐 버나드 글래스먼 (b.1939)
  7. 존 다이도 루리 (1931-2009)
  8. 데니스 겐포 메르젤 (b.1944)
  9. 니콜 지교 밀러-맥마흔
  10. Louis Mitsunen Nordstrom (b.1943)
  11. 존 테신 샌더슨
  12. 게리 시신 윅
  13. 윌리엄 뇨겐 여 (b.1936)


서지학

  • Yasutani, Hakuun; Jaffe, Paul (1996), Flowers Fall: A commentary on Zen Master Dogen's Genjokoan, Shambala, ISBN 1-57062-103-9
  • 도겐 젠지에서 슈쇼기까지.도쿄: 후지쇼보, 1943년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이것은 켄쇼를 강조하지만 이것이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린자이젠과 일맥상통합니다. 개의 신비한 문과 네 가지의 알 수 있는 방법 보기
  2. ^ 버니 글래스만: "고류로시의 학교는 석가모니 카이라고 불렸습니다.석가모니 카이는 고려로시의 스승인 조코로시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조코로시는 사실 소수의 다른 불교 [web 8]전통에서 사제이자 스승이었습니다."유사한 이름을 가진 그룹은 소이[18]샤쿠의 제자인 고넨 샤쿠(1849년-1924년)가 설립한 샤쿠손 쇼후카이(Shakuson Showfu Kai)였습니다.

레퍼런스

참고서

  1. ^ a b c d e f g h i j k Jaffe 1979.
  2. ^ 포드 2006, 150페이지
  3. ^ Kapleau 1989, 30페이지
  4. ^ a b Jaffe 1996, p. xxiv.
  5. ^ 하쿠운 야스타니, 꽃의 가을: 선승 도겐의 겐조코안 해설, 번역자 소개 페이지 xxv.
  6. ^ Jaffe 1996, p. xxvii.
  7. ^ "Zen Teaching, Zen Practice: Philip Kapleau and The Three Pillars of Zen". thezensite. Retrieved 25 July 2014. First published in 1965, it has not been out of print ever since, has been translated into ten languages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still inspires newcomers to take up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8. ^ Jaffe 1996, 페이지 xxv.
  9. ^ 샤프 1995, 422페이지
  10. ^ 샤프 1995.
  11. ^ a b c 포드 2006, 42페이지
  12. ^ 빅토리아 2006, 167페이지
  13. ^ a b 빅토리아 2006.
  14. ^ 맥마한 2008; 샤프 1993.
  15. ^ a b c 샤프 1993.
  16. ^ Brian Daizen Victoria, Zen War Stories, 불교에서의 경로 비판적 연구 21권; 심리학 출판사, 2003; 페이지 88; ISBN 978-0700715817.
  17. ^ a b 사토 2008.
  18. ^ 2008년 내일 2페이지

웹 참조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