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페록산

Piperoxan
피페록산
Piperoxan.svg
임상 데이터
기타 이름베노다인
루트
행정부.
오랄
ATC 코드
  • 없음.
식별자
  • 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2-일메틸)트리시딘
CAS 번호
PubChem CID
켐스파이더
유니
첸블
CompTox 대시보드 (EPA )
화학 및 물리 데이터
공식C14H19NO2
몰 질량233.311 g/120−1
3D 모델(JSmol)
  • O1c3c(OC(C1)CN2CCC2)cc3

베노다인으로도 알려진 피페록산은 최초로 발견된 [1][2]항히스타민제이다.벤조디옥산에서 유래한 이 화합물은 1930년대 초 프랑스 [1][2]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다니엘 보벳과 에르네스트 푸르노만들었다.이전에 Fourneau에 의해 α-아드레날린 차단제로 조사되었던 그들은 또한 기니피그에서 히스타민 유도 기관지 경련에 길항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1][2][3]1933년에 그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보벳은 그의 [4]공헌으로 195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Bovet과 Fourneau의 제자 중 한 명인 Anne-Marie Staub은 1939년에 [1]항히스타민에 대한 최초의 구조 활동 관계(SAR) 연구를 발표했다.피페록산과 유추물 자체는 인체 독성 효과의 생성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하지 않았고 1940년대 초 펜벤자민(안테르간)이 의료용으로 [5]시판된 최초의 항히스타민제였다.

레퍼런스

  1. ^ a b c d Scriabine A, Landau R, Achilladelis B (1999). Pharmaceutical innovation: revolutionizing human health. Philadelphia: Chemical Heritage Press. ISBN 0-941901-21-1.
  2. ^ a b c Williams DH, Lemke TL, Foye WO (2008).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Hagerstwo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7817-6879-5.
  3. ^ Fourneau E, Bovet D (1933). "Recherches sur l'action sympathicolytique d'un nouveau dérivé du dioxane". Archives Internationales de Pharmacodynamie et de Thérapie. 46: 178–91. ISSN 0003-9780.
  4. ^ "Daniel Bovet - Biography". NobelPrize.org.
  5. ^ Ralph Landau; Basil Achilladelis; Alexander Scriabine (1999). Pharmaceutical Innovation: Revolutionizing Human Health. Chemical Heritage Foundation. pp. 230–. ISBN 978-0-9419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