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신증
Polyneuropathy다신증 | |
---|---|
![]() | |
말초신경장애(근육염)를 보여주는 마이크로그래프.다신증은 몸의 양쪽에 있는 같은 부위에서 일어나는 말초신경증이다. | |
전문 | 신경과. ![]() |
증상 | 아탁시아[1] |
원인들 | 세습(Charcot-Marie-)치아 질환), 후천적(알코올 사용 장애)[2] |
진단법 | 신경전도 연구, 소변검사[3][1] |
치료 | 작업치료, 체중감소(관리)[1] |
다신증(poly- + neuropathy, poly- + neuropathy)은 양쪽의 거의 같은 부위에서 말초신경(주변신경증)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이나 질병으로, 허약함과 무감각함, 불타는 통증을 특징으로 한다.[1] 보통 손과 발에서 시작되며 팔과 다리로 진행되기도 하고 때로는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몸의 다른 부분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급성일 수도 있고 만성일 수도 있다. 당뇨병과 기레인-바레 증후군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질환들이 다신증을 일으킬 수 있다.[4][5][6]
분류
다신경세포는 주로 액손, 몰린 피복 또는 세포체 등 신경세포의 어느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원인,[2] 표시 또는 [1]다신경세포의 종류별로 다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7][8]

- 원위축증은 말초신경의 기능이 중단된 결과물이다.[9] 대사 장애나 독성 장애에 대한 뉴런의 가장 흔한 반응으로 당뇨병, 신부전, 결합조직 질환, 영양실조, 알코올 중독과 같은 결핍증후군, 화학요법 같은 독소나 약물의 영향 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영향을 받는 액손의 종류(대섬유, 소섬유 또는 둘 다)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며, 액손의 가장 원위부위는 보통 가장 먼저 퇴화하며, 액손 위축은 신경의 세포체 쪽으로 천천히 진전된다. 그러나 원인이 제거되면 원래 자극의[medical citation needed] 지속시간과 심각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지만 재생이 가능하다. 원위축성 경화증을 가진 사람들은 대개 근위축성 측경화증과[10] 같은 센서리모터 장애를 가지고 있다.
- 골수병증은 골수나 슈완 세포의 손실 때문이다.[11] 이 강하제는 신경세포의 축을 통한 작용 전위의 전도를 늦추거나 완전히 차단한다(신경절개증).[12] 가장 흔한 원인은 기예인-바레 증후군의[13] 가장 흔한 형태인 급성 염증성 탈염성 다신경실조증 AIDP이다(다른 원인으로는 만성 염증성 탈염 다신경실조증 등이 있다).[14]
- 뉴런병증은 말초신경계(PNS) 신경세포의 문제의 결과물이다. 그것들은 운동 신경 질환, 감각 신경병, 독소, 자율 기능 장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화학요법과 같은 신경독소는 뉴로노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15]
징후 및 증상
다신증(poly neuropathy)의 징후/증상 중 분열이 가능하고(감각적, 유전적) 다음 사항과 일치한다.[1]
원인들
다신증의 원인은 유전과 후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음과 같다.[2]
- 유전성 운동 신경병, 샤르코-마리-치아 질환, 그리고 마비를 압박할 책임이 있는 유전적 신경증
- 후천성 당뇨병, 혈관 신경증, 알코올 사용 장애, 비타민 B12 결핍증
병리학
물론 다신증의 병태생리학에 관해서는 전자가 어떤 다신증(多神性)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만성 염증성 탈염성 다신경증의 경우 자가면역질환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여기서 T세포의 관여가 입증된 반면, 탈탄화 측면에서는 항체만으로는 능력이 없다.[16]
진단
다낭신경의 진단은 병과정의 패턴(팔, 다리, 원위부, 근위부 등)이 요동칠 경우, 어떤 결손과 고통이 수반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역사와 신체검사에서 시작된다. 통증이 한 요인이라면 통증이 어디에, 얼마나 오래 존재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면 가족 내에 어떤 장애가 있는지, 어떤 질병이 있을 수 있는지도 알아야 한다. 흔히 신체검사와 병력만으로 질병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채택할 수 있는 검사로는 전기진단검사, 혈청단백질전기포레시스, 신경전도연구, 소변검사, 혈청크레아신키나아제(CK), 항체검사(신경생검이 때때로 이루어진다)[1][3] 등이 있다.
다른 테스트, 특히 다낭종과 관련된 특정 장애에 대한 테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위 대칭 다낭종증(DSP)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품질 조치가 개발되었다.[17]
차등진단
다신증 차등 진단에 있어 다음을 살펴야 한다.
치료
다의성 신경병 치료에서는 체중 감소, 보행 보조기 사용, 직업 치료사 보조 등 관리 활동 중 원인을 확인하고 관리해야 한다. 또한, 당뇨병을 가진 사람들의 BP 조절은 도움이 되는 반면, 정맥내 면역글로불린은 다초점 운동 신경증에 사용된다.[1]
로파테 외 연구진에 따르면 메틸프레드니솔론은 만성 염증성 강박성 다신경증(정맥 면역글로불린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에 대한 실행 가능한 치료법이다. 저자들은 또한 앞서 언급한 약물의 간헐적(고선량)과는 반대로 프레드니손은 그러한 치료에서 더 큰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1][21]
Wu 등에 따르면 중병에서는 피티코스테로이드(또는 제한)를 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신경증 지지와 예방 치료가 환자에겐 중요하다.[22]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Polyneuropathies. Medical information about polyneuropathy Patient". Patient. Retrieved 2016-07-17.
- ^ a b c MD, Dr Sara J. Cuccurullo (2014-11-25).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Board Review, Third Edition. Demos Medical Publishing. p. 434. ISBN 9781617052019. Retrieved 26 August 2016.
- ^ a b Burns, Ted M.; Mauermann, Michelle L. (15 February 2011). "The Evaluation of Polyneuropathies". Neurology. 76 (7 Supplement 2): S6–S13. doi:10.1212/WNL.0b013e31820c3622. ISSN 0028-3878. PMC 5766173. PMID 21321354.
- ^ Richard A C Hughes (23 February 2002). "Clinical review: Peripheral neuropathy". British Medical Journal. 324 (7335): 466–469. doi:10.1136/bmj.324.7335.466. PMC 1122393. PMID 11859051.
- ^ Janet M. Torpy; Jennifer L. Kincaid; Richard M. Glass (21 April 2010). "Patient page: Peripheral neuropath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3 (15): 1556. doi:10.1001/jama.303.15.1556. PMID 20407067.
- ^ "Peripheral neuropathy fact sheet".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19 September 2012.
- ^ Rakel, David; Rakel, Robert E. (2015-02-02). Textbook of Family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p. 1026. ISBN 9780323313087. Retrieved 26 August 2016.
- ^ McCance, Kathryn L.; Huether, Sue E. (2014-01-30). Pathophysiology: The Biologic Basis for Disease in Adults and Children. Elsevier Health Sciences. p. 635. ISBN 9780323316071. Retrieved 26 August 2016.
- ^ Perry, Michael C., ed. (2007). The chemotherapy source book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241. ISBN 9780781773287. Retrieved 26 August 2016.
- ^ Moloney, Elizabeth B.; de Winter, Fred; Verhaagen, Joost (14 August 2014). "ALS as a distal axonopathy: molecular mechanisms affecting neuromuscular junction stability in the presymptomatic stages of the disease". Frontiers in Neuroscience. 8: 252. doi:10.3389/fnins.2014.00252. PMC 4132373. PMID 25177267.
- ^ Hankey, Graeme J.; Wardlaw, Joanna M. (2008). Clinical neurology. London: Manson. p. 580. ISBN 9781840765182. Retrieved 26 August 2016.
- ^ Goodman, Catherine C.; Fuller, Kenda S. (2013-08-07). Pathology: Implications for the Physical Therapist. Elsevier Health Sciences. p. 1597. ISBN 9780323266468. Retrieved 26 August 2016.
- ^ RESERVED, INSERM US14 – ALL RIGHTS. "Orphanet: 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www.orpha.net. Retrieved 2016-08-26.
- ^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CIDP) Information Pag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www.ninds.nih.gov. Retrieved 2016-07-30.
- ^ Barohn, Richard J.; Amato, Anthony A. (May 2013). "Pattern-Recognition Approach to Neuropathy and Neuronopathy". Neurologic Clinics. 31 (2): 343–361. doi:10.1016/j.ncl.2013.02.001. ISSN 0733-8619. PMC 3922643. PMID 23642713.
- ^ Mahdi-Rogers, Mohamed; Rajabally, Yusuf A (1 January 2010). "Overview of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s". Biologics: Targets and Therapy. 4: 45–49. doi:10.2147/btt.s4881. ISSN 1177-5475. PMC 2846143. PMID 20376173.
- ^ England, John D.; Franklin, Gary; Gjorvad, Gina; Swain-Eng, Rebecca; Brannagan, Thomas H.; David, William S.; Dubinsky, Richard M.; Smith, Benn E. (13 May 2014). "Quality improvement in neurology". Neurology. 82 (19): 1745–1748. doi:10.1212/WNL.0000000000000397. ISSN 0028-3878. PMC 4032209. PMID 24696504.
- ^ a b c d e f g h "Polyneuropathy/differential diagnosis". BMJ.com. BMJ Best Practices. Retrieved 26 August 2016.
- ^ 만성신부전증, Medline Plus
- ^ 프리드리히 아탁시아: [논문초록] 신경병리학 및 실험신경학 학술지 개정
- ^ Lopate, Glenn; Pestronk, Alan; Al-Lozi, Muhammad (1 February 2005).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With High-Dose Intermittent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Archives of Neurology. 62 (2): 249–54. doi:10.1001/archneur.62.2.249. ISSN 0003-9942. PMID 15710853.
- ^ Zhou, Chunkui; Wu, Limin; Ni, Fengming; Ji, Wei; Wu, Jiang; Zhang, Hongliang (1 January 2014). "Critical illness polyneuropathy and myopathy: a systematic review". Neural Regeneration Research. 9 (1): 101–110. doi:10.4103/1673-5374.125337. ISSN 1673-5374. PMC 4146320. PMID 25206749.
추가 읽기
- Dimachkie, Mazen M.; Barohn, Richard J. (7 April 2013).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Current Treatment Options in Neurology. 15 (3): 350–366. doi:10.1007/s11940-013-0229-6. ISSN 1092-8480. PMC 3987657. PMID 23564314.
- Katirji, Bashar; Kaminski, Henry J.; Ruff, Robert L. (2013-10-11). Neuromuscular Disorders in Clinical Practi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1461465676. Retrieved 26 August 2016.
- Said, Professor Gérard (2014). Peripheral Neuropathy & Neuropathic Pain: Into The Light. tfm Publishing Limited. p. 17. ISBN 9781910079027. Retrieved 3 August 2016.
외부 링크
![]() | 스콜리아는 다신증(Polyneuropathy)에 대한 주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