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F 13파운드 포

QF 13-pounder gun
오드넌스 QF 13파운드
HACBelah.jpg
1918년 3월 팔레스타인 벨라 인근 명예포병회사(HAC) 배터리 및 분리
유형라이트필드건
원산지영국
서비스 이력
가동중1904-1940(영국)
사용자대영 제국
전쟁제1차 세계 대전, 부활절 라이징, 제2차 세계 대전
생산이력
No. 지은416[1]
변형Mk I Mk II
사양
미사통&브릿지
685 lb(311 kg),
총 2,236 lb (1,014 kg)[2]
배럴 길이보어 5ft 8인치(1.73m);
총 6ft(1.8m)[2]
크루9[2]

껍질고정 QF 76.2 x 313 mm[3] R
중량12.5파운드(5.7 kg) 파편, 나중에 HE
칼리브레3인치(76.2 mm) L/23
리코일하이드로 스프링, 상수, 41인치(1.0m)[2]
마차바퀴 달린 기둥 자국
표고-5° ~ +16°[2]
다각측량4° L&R[2]
입마개 속도1,675ft/s(511m/s)[2]
최대 사격 범위5,900 yd(5,400m)[1]

오드넌스 QF 13파운드[a](급발사) 야포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영국과 캐나다 로열 호스 포병의 표준 장비였다.

역사

사진: 총기 난사 팀이 질주하는 모습

보어 전쟁에서 얻은 전투 경험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되어 1904년 서비스를 개시하여 에르하르트 QF 15파운드BL 12파운드 6cwt를 대체하였다. 기동 오픈전투가 예상되는 기병여단을 지원하는 RHA(Royal Horse Parameters) 전지를 위한 고속발사 및 기동성이 뛰어나지만 상당히 강력한 야전포였다. 야전 포병들이 사용하는 QF 18파운더와 병렬로 개발됐다.

원래의 Mk I 배럴은 철사로 된 상처였다.[2] 나중에 Mk II 배럴은 테이퍼형 내부 A 튜브를[1] 가지고 있었고, 이 튜브는 외부 튜브에 압입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서부전선의 첫 영국군 포병대는 1914년 8월 22일 벨기에 하르티니에서 북동쪽으로 떨어진 E배터리 로열 호스 포병의 4번 총에 의해 발사되었다.[4]

1914년 8월 르카토 전투에서 영국 원정군몬스로부터 후퇴하면서 가장 유명한 행동을 보았다.

1914년 9월 1일 프랑스 네리에서 열린 유명한 방어 액션에서 'L' Bty가 빅토리아 크로스 3개를 수상하면서 큰 효과를 거두는 데 사용되었다. 메달, [5]그리고 이 행동에 관련된 6번 총과 절름발이들은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품에서 열린다.[6][7]

서부전선참호전으로 안착한 1914년 말부터 13파운드는 너무 가벼워 준비된 수비 포지션에 제대로 맞설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기병대 형성을 지원하지 않는 RHA 배터리 몇 개가 18파운드 포와 4.5인치 포수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서부전선의 영국과 캐나다 기병여단에도 그대로 남아 있었다.[8] 또한 전쟁 내내 팔레스타인 및 메소포타미아의 기병대와 기병을 지원하는 배터리(RHA와 영토군 둘 다)에 사용되기도 했다.[9]

배터리는 보통 1건당 176발을 운반했다. 총과 그 충전된 림버(24발)는 무게가 3,368파운드(1,528kg)로 6마리에 의해 견인되었다. 총 분리대원들은 모두 자기들 말에 올라탔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공중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중형 대공포의 요구조건이 생겼다. 13파운드는 약간 변형되어 "Ordnance QF 13 pdr Mk III"가 되었고 13파운더 6 cwt 대공포로 알려진 것을 생산하기 위해 고각 마운트에 장착되었다.

1940년, 독일 침공 가능성에 대한 영국의 국내 방어를 위해 [10]약상자에 장착된 비상 대전차포로서 사용하기 위해 13파운드의 로켓들이 가게에서 나왔다.

2009년 '색깔의 트로이핑'에서 킹스 부대의 13개 pdr 주정부 경례총, 로열 말포병

전투 목적상 이 총은 오래 전에 쓸모없었지만, 의례적인 목적과 국가 경례용 총으로서 킹스 부대와 왕실 포병대에서 사용되고 있다.[1]

13파운드 6센트 QF 마크 V 해군 포

이것은 마크 1 말 포병의 비커스 리미티드(Vickers Limited)가 대좌에 탑재한 것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 해군의 신형 모터 발사를 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650개의 예가 미국에서 제작된 것을 포함하여 건설되었다.[11] 독일의 U보트 운동 때문에, 많은 총들이 방어 장비를 갖춘 상선에 사용되었고, 일부는 그러한 목적으로 모터 발사에서 제외되었다.[12]

탄약

QF13pdrMkIIShrapnelRoundDiagram.jpg
No80FuzeMkVL.jpg
QF13pounderShrapnelShell.jpg
Round 13 Pdr HE (Sectioned).jpg
Mk II Shrapnel 라운드
80번 T. & P. (시간과 타악기) 푸제
캔버라 호주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파편 껍질
234볼, 41/4리터(90/kg)[2]
9oz 4dr(262gm) 아마톨 폭약(흰색 영역)이 들어 있는 구간별 고폭탄 라운드. 카트리지에는 1파운드 3.9온스(536gm)의 코다이트 추진제(잘린 끈 묶음으로 시뮬레이션)가 들어 있었다.[2]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품에서 나온 조개껍질.[13]

잔존예

2018년 4월 런던 하이드파크에서 킹스부대의 13파운드급 로열 말포병(Royal Horse Paramets)이 총포사격을 하고 있다.
네리 건과 림버는 1914년 9월 1일 네리에서 활동할 때 사용되었다.[6][7]
4번 총, E 배터리 로열 호스 포병; 1914년 8월 서부 전선에 첫 영국 포격을 가했다.[14]
  • 캐나다 전쟁 박물관, 오타와
  • 포트 세클린 – 1914/1918 박물관(이프레스와 비미 사이 - 니어 프로펠레스)
  • 프랑스 알베르트의 아브리스 박물관 (M. 2)
  • 남아공에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예가 있다.
    • 2009년 1회 복구,
    • 요하네스버그의 THA HQ에서 1번,
    • 더반에서 NFA와 함께 2번,
    • 2번 포체프스트룸에 있는 국립기념관에서.
  • 침몰한 상선에서 회수된 마크 V 해군 총이 노스요크셔 스카버러 항구에 전시되어 있다.
  • 나미비아의 츠메브 박물관에 전시된 한 예가 있다. 이 총기는 1914년 9월 26일 Sandfontein 전투에서 THA에 의해 사용되었고 독일군에 의해 포로로 잡혔으며, 이후 1915년 6월 독일군이 항복하기 전에 Otjikoto 호수에 투하되었다.
2008년 4월 IWM 런던에 전시네리
2010년 2월 IWM North에 전시된 4 Gun E 배터리 RHA 없음

대중문화

QF 13파운더는 빅 건스(아빠의 군대)에서 홈 방어를 위해 워밍턴-온-시 소대에 공급된다.[15]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영국 포병들은 표준 발사체의 무게로 총기를, 이 경우 약 13파운드(5.9kg), 박격포와 호위츠를 칼리브레이션으로 표시했다.
  1. ^ a b c d 클라크 2004
  2. ^ a b c d e f g h i j Hogg & Thurston 1972, 페이지 58
  3. ^ "77-77 MM CALIBRE CARTRIDGES". www.quarryhs.co.uk. Retrieved 2017-09-05.
  4. ^ 판데일 1986, 10페이지
  5. ^ Imperial War Museum. "Search results for "Néry" [in category 'medals and decorations']".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17 April 2013.
  6. ^ a b Imperial War Museum (2013). "QF 13 pdr Mk 1 (Nery Gun) (ORD 102)".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10 March 2013.
  7. ^ a b Imperial War Museum (2013). "Limber for QF 13 pdr Mk 1 (Nery Gun) (ORD 102.2)".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10 March 2013.
  8. ^ 판데일 1986, 페이지 388
  9. ^ 판데일 1988, 380페이지
  10. ^ 크루릭상크 2001
  11. ^ 프리드먼 2011, 페이지 112.
  12. ^ 로열 네이비 모터 출시: 무장
  13. ^ Imperial War Museum (2013). "Round 13 Pdr HE (Sectioned) (MUN 504)".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10 March 2013.
  14. ^ Imperial War Museum (2013). "QF 13 pdr Mk 1 (ORD 101)".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10 March 2013.
  15. ^ 유튜브에 올라온 아빠 군대 '빅 건'

원천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