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 전쟁
Song–Xia wars송-샤 전쟁(Song-Xia)은 10세기 말부터 12세기 초까지 북송, 서하, 요나라가 벌인 일련의 군사 분쟁입니다. 비록 산발적인 분쟁이 계속되긴 했지만, 북송은 진송 전쟁과 1127년의 징강 사건으로 서하와의 국경을 잃었고, 그들의 수도인 카이펑은 여진족이 이끄는 진나라에 함락되었습니다.
지첸의 난(982-1004)
리지천의 난 | |||||||
---|---|---|---|---|---|---|---|
| |||||||
Belligerents | |||||||
딩난 지에두시 | 송나라 | ||||||
지휘관 및 지도자 | |||||||
리지첸 | |
982년, 딩난 지에두시의 통치자 리 지펑은 송나라에 복종하고 그의 칭호를 카이펑의 편안한 삶과 교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의 형인 리지천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송나라 정부에 복종하기를 거부했습니다. 지천은 도적떼를 이끌고 송나라의 통제에 저항했습니다. 984년, 송나라는 그의 진영을 공격하여 그의 어머니와 아내를 잡았지만, 그는 가까스로 탈출했습니다. 그는 다음 해에 인주를 함락시킴으로써 이 패배에서 회복했습니다.[1] 인주와 함께 지천은 많은 양의 공급을 잡았고, 그로 인해 그의 추종자들을 증가시킬 수 있었습니다. 986년에는 거란에 투신하였고, 989년에는 거란 귀족과 결혼하였습니다.[2] 또한 지천은 송에게 상징적인 경의를 표했지만 송은 자신의 의도를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지펑은 송나라가 지첸을 멸망시키기 위해 보냈으나 994년 5월 6일 전투에서 패배하고 다시 샤오주로 도망쳤습니다. 지천은 9월 9일에 동생과 함께 10월 1일에 송나라에 공물을 보냈습니다. 송태종은 이러한 행동을 수용하였으나, 이듬해에 자천은 송나라를 습격하기 위해 돌아왔습니다. 996년 4월 타이종은 군대를 보내 5월과 11월에 다시 링저우를 습격한 지첸을 진압했습니다. 998년 이후 짧은 기간 동안, 지천은 송나라를 받아들여 1001년 가을에 다시 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첸은 1004년 1월 6일 화살에 맞아 사망했습니다.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리데밍은 그의 전임자보다 송나라에 더 우호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3]
원하오의 부상
리더밍은 요나라와 송나라에 공물을 바쳤습니다. 동시에 그는 서쪽으로 탕구트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1028년, 그는 아들 리위안하오를 보내 간저우 위구르 왕국을 정복했습니다. 2년 후 구이 서킷은 탕구트족에게 항복했습니다. 위안하오는 칭하이 지역도 침공했지만, 새롭게 부상한 티베트의 송카 왕국에 의해 격퇴당했습니다. 1032년, 위안하오는 티베트의 시량부 연합을 합병했고, 곧 아버지가 사망하여 탕구트 국가의 통치자가 되었습니다.[4]
원하오의 침입(1040~1044)
원하오의 침입(1040~1044) | ||||||||
---|---|---|---|---|---|---|---|---|
| ||||||||
Belligerents | ||||||||
서하 | 송나라 | 요나라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서하의 징종 | 판용 류핑 한치 런푸 게화이민 판중옌 | 요나라 성종 | ||||||
힘 | ||||||||
150,000 | 239,000 | 100,000 |
이종의 습격 | |||||||
---|---|---|---|---|---|---|---|
| |||||||
Belligerents | |||||||
서하 | 송나라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서하 이종 | 송나라 영종 | ||||||
힘 | |||||||
20,000 | |
1032년 아버지 리더밍이 죽자 리원하오는 탕구트 성( tang口 surname)인 웨이밍( we明)을 채택했습니다. 그는 15세에서 60세 사이의 유능한 신체를 가진 사람들에게 모두 세금을 부과하여, 그에게 15만 명의 군대를 제공했습니다. 1036년까지 그는 서쪽으로 간저우 위구르 왕국과 구이이 서킷을 병합했습니다. 1038년 원하오는 자신을 대하의 황제로 선포했습니다. 이에 송나라는 국경 무역을 끊고 현상금을 머리에 올렸습니다.[6]
그는 군사화된 왕국을 위해 중국식 중앙정부를 수립하는 것 외에도 5개 군구에 걸쳐 18개의 군통제위원회를 지정했습니다. (1) 요나라를 상대할 7만 명의 군사, (2) 환, 청, 전롱, 원을 상대할 5만 명의 군사, (3) 50,푸옌 현과 린 현, 푸 현의 맞은편에 있는 000명, 서쪽으로 시판 현과 휘게 현을 상대하는 3만 명, 허란 산맥의 동쪽 스커트랜드에 있는 5만 명, 링 현에 있는 5만 명, 싱칭 푸 현과 더 높은 현 사이에 있는 7만 명. 모두 합하면 원하오는 무려 37만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힘겨운 전쟁과 아마도 군대를 채우기 위해 인상적인 비전공자 기병들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가늘어진 기병들이었습니다. 그는 5,000명의 6개 부대 경호원과 3,000명의 정예 기병대인 철기병대를 유지했습니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얕은 경제 기반을 덮고 있는 무서운 군사력 집중이었습니다.[7]
— Michael C. McGrath
1039년 ~ 1040년 겨울, 원하오는 10만 명이 넘는 병력을 이끌고 옌저우(지금의 옌안)를 포위했습니다. 옌저우의 현감 판융은 군사 부관 류핑(劉平)에게 모순된 명령을 내려, 그의 군대(9천 명)를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그들은 산천 고개에서 시아군(5만 명)에게 패배했습니다. 류핑은 포로로 잡혔습니다.[8] 방어자들의 평범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위안하오는 포위를 풀고 겨울 폭설이 내리는 옌저우를 내려다보는 요새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9]
그해 겨울 늦게 3만 명의 송군이 렌보의 지휘 하에 돌아왔습니다. 그들은 하오슈이천에 매복되어 전멸했습니다.[10] 이러한 승리에도 불구하고, 원하오는 송나라의 요새를 공격하는데 실패했고, 수도에서 교대로 20만 명의 병력을 주둔시켰으며,[11] 어떠한 영토도 점령하지 못했습니다.[12]
1042년 원하오는 남쪽으로 진격하여 딩촨성의 요새를 포위했습니다.[13] 방어사령관 게화이민은 용기를 잃고 군대를 버리고 도망치기로 결심했습니다.[14] 다시 원하오는 중요한 영토를 얻는 데 실패했습니다. 그의 병사의 절반이 소모로 사망했고 2년이 지난 후, 서하는 더 이상 그의 군사적 노력을 지원할 수 없었습니다. 탕굿군은 소규모의 패배를 당하기 시작했고, 송나라군은 위주와 린저우에서 퇴각했습니다.[15]
1043년까지 산시성에는 수십만 명의 현지 궁수와 석궁 민병대원들이 훈련을 받았고, 그들의 활쏘기 기술은 이제 전반적으로 효과적이었습니다. 방어(또는 공격)에 결정적인 것은 중국이 아닌 지역 동맹국들이 송나라를 전면전의 금전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으로부터 선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1042년 중반까지 판중옌 등의 남성들이 사이사이 지역에 정착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노력이 축적된 성과를 거두고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팬들과 특히 장나라는 이 시점에서 시아보다 송의 편에 섰습니다. 또한 지금까지 위안하오의 기동성을 제한하고 그에 대한 상호 지원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분한 요새와 성벽이 있었습니다.[16]
— Michael C. McGrath
요나라는 매년 비단과 은으로 조공금을 10만 단위씩 늘려 송나라의 궁핍한 처지를 이용했습니다.[15] 송나라는 요나라에 도움을 청했고, 그 결과 요나라 성종은 1044년 10만 명의 병력으로 서하를 침공했습니다.[17] 요나라군은 초반에 승리를 거두었지만, 하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원하오의 수비군에게 잔인하게 죽임을 당했습니다.[18] 송씨의 첩자에 의하면 요나라가 죽은 채로 사막을 가로질러 가는 수레가 줄을 잇고 있었다고 합니다.[19]
자원을 소진한 원하오는 송나라와 화의를 맺었고, 송나라는 자나라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연간 25만 개의 비단, 은, 차를 바치기로 동의했습니다.[19]
Yizong's raids (1064, 1066-1067)
1064년 서하 황제 이종이 송나라를 습격했습니다. 1066년 가을, 그는 두 번의 습격을 더 했고, 9월에는 칭저우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습니다. 탕구트 군대는 몇몇 요새화된 정착지를 파괴했습니다. 기병 지원군이 도착하기 전까지 3일 동안 송군을 포위했습니다. 이종은 석궁에 상처를 입고 물러났습니다. 탕구트 군대는 나중에 또다시 공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송나라 군대의 야습으로 탕구트 군대는 흩어졌습니다. 이종은 다시 청탕으로 집결하여 12월에 다시 청주를 공격하였으나, 송나라 영종의 위협으로 인해 분쟁이 격화되자 물러났습니다.[20] 이듬해 송나라 사령관 총이가 쑤이저우를 공격해 함락시켰습니다.[21] 3년 후, 탕구트족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송나라를 다시 침공했지만 이렇다 할 영토를 차지하지 못했습니다.[22]
선종의 침입(1081~1085)
선종의 침입(1081~1085) | |||||||
---|---|---|---|---|---|---|---|
| |||||||
Belligerents | |||||||
송나라 | 서하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송종 리셴 총이 왕중정 가오쥔위 류창즈오 쉬시 왕원위 | 서하 희종 양황후 섭정 량이마이 렌드링딩 | ||||||
힘 | |||||||
리셴 : 5만 종이 : 96,000 왕중정: 60,000 가오준유 : 87,000 류창즈오: 5만 티베트의 3만 여명의 보조병. 총 : 380,000+[23] (보급군 미포함) | 300,000 |
전진과 강화 | |||||||
---|---|---|---|---|---|---|---|
| |||||||
Belligerents | |||||||
송나라 | 서하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송종 | 서하 종종 양황후 섭정 Weiming Amai 메이레두부 | ||||||
힘 | |||||||
100,000 |
송카의 송병합 | |||||||
---|---|---|---|---|---|---|---|
| |||||||
Belligerents | |||||||
송나라 | 서하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송나라 희종 퉁관 타오제 | 서하 종종 |
1081년 송나라는 서하를 다섯 갈래로 공격했습니다. 초기의 승리 후, 송나라 군대는 싱칭의 수도를 차지하는 데 실패했고, 그 후 3년 동안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했습니다. 시아의 반격도 초반에 성공한 뒤 여러 차례 란저우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1085년 송나라의 선종이 사망하면서 전쟁은 끝이 났습니다.
조직
송나라는 서하를 상대로 다섯 개의 군대를 보냈습니다.[24]
1. 리셴(李賢) - 1072년 송카(宋ha)를 상대로 한 초기 캠페인에 참여한 궁정 환관. 그는 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서남쪽에서 시아를 침공했습니다.
2. 총이 - 동북쪽에서 96,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있는 지역 부관.
3. 왕중정 - 1072년 송카 반대 운동에 참여한 내시. 북서쪽에서 6만 명의 군대를 이끌었습니다.
4. 가오준유 - 송나라 선종의 외삼촌. 1073년 민저우 정복에 참여했습니다. 8만 7천 명을 이끌고 칭저우에서 왔습니다.
5. 류창즈오 - 내시. 5만 대군을 이끌고, 3만 명은 남쪽에서 송카의 동잔이 보낸 것입니다.
전쟁
1081년 여름, 송나라 5군이 서하를 침공했습니다. 총이는 시아 군대를 물리치고 8천 명을 죽였습니다.[25]
10월에, 리셴은 란저우를 점령했습니다.[25][26]
10월 15일, 류창주오의 5만 대군은 양황후의 형이 이끄는 3만 명의 하군을 만났습니다. 유비의 장수들은 그에게 방어 자세를 취하라고 권하였으나, 그는 거절하고, 두 대열의 석궁병과 기병을 거느린 방패 전사들을 이끌고, 자신은 두 개의 방패를 들고 선두에 섰습니다. 전투는 몇 시간 동안 계속되었고, 시아군은 2,700명의 사상자를 내며 후퇴했습니다.[27] 그 후, 류는 밍샤 마을에서 많은 양의 조를 잡아 링저우로 향했습니다.[27] 유비의 선봉장은 수비대가 성문을 닫기 전에 성문을 공격해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내고 1천여 마리의 소를 잡은 뒤 물러났습니다. 류씨는 가오준유가 링저우를 데려가는 것을 도와주기를 원했지만, 가오씨는 거절했습니다. 그러자 유비는 그들에게 대신 시아의 수도를 차지할 것을 건의했고, 가오 역시 이를 거절하고 대신 링주를 차지할 수 없다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습니다. 가오는 자신의 사건을 송나라에 전달하고, 그 후 유비를 지휘에서 제거하여 두 세력을 합쳤습니다.[28]
11월까지, 시아는 오르도스 고원의 한가운데를 버리고 시아저우를 잃었습니다.[25]
11월 20일, 왕중정은 유저우를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습니다.[25] 이때 왕씨는 공급품이 떨어질 것을 염려하여 식량 문제로 총어와 다투게 되었습니다. 그는 또한 그의 군대가 그들의 위치를 알려줄 것을 우려하여 그의 군대가 그들의 식사를 요리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그의 군대는 익히지 않은 음식으로 병이 들었고, 굶기 시작했고, 어쨌든 적 기병들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총이가 퇴각을 엄호하는 동안 왕은 철수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왕은 2만 명을 잃었습니다.[29]
12월 8일, 가오쥔위는 링저우를 공격하기로 결정했지만, 그가 공성 장비를 가져오는 것을 잊어버렸고, 그들의 공사를 위한 나무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가오는 자신이 처형하려 했던 류창즈오에게 좌절감을 토로했습니다. 류의 군대는 순회판사 판춘추이가 가오에게 류와 화해하도록 설득하기 전에 반란을 일으키기 직전이었습니다. 12월 21일, 시아군은 황하를 따라 제방을 뚫고 송나라를 포위하고 있던 양군의 진을 물에 잠기게 하여 그들은 후퇴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시아의 괴롭힘은 퇴로를 대패로 만들었습니다.[29][30]
1081년 말까지 총이만 현역으로 남아 있었습니다.[29]
1082년 9월, 하나라는 30만 대군으로 반격하여 미즈시 서쪽의 성읍인 융러를 포위했습니다. 시아는 송나라의 구호를 막기 위해 기병을 보냈습니다. 수비대장 쉬시는 군대를 성문 밖에 배치했지만, 적군이 강을 건너는 동안 공격하기를 거부했습니다. 그리고는 탕구트 철호크 기병대가 공격하자 군대를 들여보내기를 거부해 방어군을 모독했습니다. 송나라는 융을 함락시키면서 17,300명의 군사를 잃었습니다.[31]
1083년 3월, 하군은 란저우를 공격했습니다. 방어사령관 왕원유는 소규모 부대를 이끌고 밤에 출진하여 시아 진영을 기습 공격하여 퇴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탕구트족은 지난 4월과 5월 두 차례 더 란저우 함락을 시도했지만 두 차례 모두 실패했습니다. 린저우에 대한 동시 공격도 실패했습니다.[32]
여러 번의 패배 후에, 시아는 송에게 평화를 요구했지만, 그들은 거절했습니다.[32]
1084년 1월, 시아군은 란저우를 함락시키기 위한 마지막 시도를 하였습니다. 포위전은 10일 동안 계속되다가 탕구트 군대의 보급품이 떨어져 퇴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32]
평화.
전쟁은 1085년 4월에 선종의 사망으로 끝났습니다. 100명의 중국 포로와 맞바꾸는 대가로, 송나라는 포로로 잡힌 여섯 개의 성 가운데 네 개의 성을 돌려주었습니다. 송나라와 시아 사이의 적대는 5년 후에 다시 고조되었고, 1127년 징강 사건으로 송나라가 카이펑을 잃을 때까지 산발적으로 분쟁이 계속되었습니다.[32]
전진 및 강화 (1097-1099)
전진과 요새화는 서하의 서북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송나라의 군사 전략이자 캠페인이었습니다. 이 캠페인은 시아의 위치를 잠식하기 위해 강 계곡과 산을 따라 주요 위치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1096년, 송나라는 하나라에 공물을 바치는 것을 중단하고, 다음 해에는 진격과 강화라는 두 갈래의 작전을 펼쳤습니다. 1097년부터 1099년까지 송나라 군대는 오르도스 고원을 가로질러 40개의 요새를 건설했습니다. 1098년, 하태후 량씨는 10만 대군을 보내 핑샤를 탈환했습니다. 당굿군은 송나라를 자신들의 고지에서 쫓아내려는 시도에서 완전히 패배했고, 그들의 장수 웨이밍 아마이와 메이레두부는 모두 포로로 잡혔습니다.[33]
송카의 송병합 (1103-1106)
1103년 송나라는 송카를 병합하고 이듬해 토착민의 저항을 물리쳤습니다. 송나라의 영토 확장은 서하의 남쪽 국경을 위협했고, 1104년과 1105년에 서하가 침략했습니다. 결국 서하는 란저우와 청탕을 총공격했습니다. 그러나 1097년 ~ 1099년의 진격과 강화 작전 이후, 서하군은 송나라의 위치를 더 이상 물리칠 수 없었습니다. 주요 도시를 점령하지 못한 탕구트군은 난동을 부려 현지 민간인 수만 명을 숨지게 했습니다. 이듬해 서하의 종종은 송나라와 화의를 맺었으나 국경을 명확히 획정할 수 없어 1113년에 또 다른 전쟁이 일어났습니다.[34]
희종의 침입(1113~1119)
희종의 침입(1113~1119) | |||||||
---|---|---|---|---|---|---|---|
| |||||||
Belligerents | |||||||
송나라 | 서하 | ||||||
지휘관 및 지도자 | |||||||
송나라 희종 퉁관 류파 류충우 왕허우 | 서하 종종 체이지 | ||||||
힘 | |||||||
200,000 | 300,000 |
1113년, 서하는 송나라와 분쟁 지역에 요새를 짓기 시작했고, 청탕 지역을 점령했습니다. 이 도발에 분노한 송 희종은 당군을 쫓아내기 위해 동관을 파견했습니다. 1115년, 유비가 지휘하는 15만 명의 군대가 시아 영토 깊숙이 침투하여 구굴롱의 탕굿 수비대를 학살했습니다. 한편 왕후와 류충우는 새로 건설된 탕구트 요새인 장디허를 공격했습니다. 포위전은 실패로 끝났고 침략군의 절반이 사망했습니다. 왕씨는 황제에게 사상자 수를 비밀로 하기 위해 통씨에게 뇌물을 주었습니다. 다음 해, 류파와 류충우는 렌데취안이라고 불리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탕구트 도시를 차지했습니다. 장디허를 상대로 또다시 10만 대군을 보내 요새를 함락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샤는 1116년에서 1117년 겨울에 성공적으로 반격했습니다. 송나라 측에 사상자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통씨는 시아를 완전히 제거할 것을 단호히 주장했습니다. 그는 유비에게 20만 명을 이끌고 하나라의 심장부로 들어가 수도 지방을 정조준했습니다. 자살임이 금방 드러났습니다. 송나라 군대는 도시 밖에서 시아 왕자인 채거가 이끄는 더 큰 탕구트 군대와 마주쳤습니다. 탕구트 군대는 송나라 군대를 포위하여 절반을 죽이고 나머지는 밤중에 후퇴했습니다. 탕구트족은 송을 추격하여 다음날 다시 그들을 물리쳤습니다. 류는 참수당했습니다. 1119년에 휴전이 선포되었고 황제 희종은 서하에게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35]
참고문헌
- ^ 트위쳇 1994, 170쪽.
- ^ Mote 2003, p. 173.
- ^ Lorge 2015, p. 243-244.
- ^ McGrath 2008, 154쪽.
- ^ Twitchett 2009, 315쪽.
- ^ 스미스 2015, 73쪽.
- ^ McGrath 2008, 156쪽.
- ^ 스미스 2015, 76쪽.
- ^ 스미스 2015, 페이지 77.
- ^ 스미스 2015, 78쪽.
- ^ 스미스 2015, 86쪽
- ^ 스미스 2015, 79쪽.
- ^ Twitchett 2009, 314쪽.
- ^ 스미스 2015, 80쪽.
- ^ a b 스미스 2015, 91쪽.
- ^ McGrath 2008, 168쪽
- ^ 트위쳇 1994, 122쪽.
- ^ 모테 2003, 페이지 185.
- ^ a b 스미스 2015, 페이지 126.
- ^ Twitchett 2009, p. 343-344.
- ^ Twitchett 2009, 469쪽.
- ^ Twitchett 2009, p. 46-470.
- ^ 니 2015, 페이지 372.
- ^ 1991년 마초, 7-8쪽.
- ^ a b c d 마초 1991, 9쪽.
- ^ 니 2015, 페이지 374.
- ^ a b 마초 1991, 10쪽.
- ^ 마초 1991, 15쪽.
- ^ a b c 마초 1991, 16쪽.
- ^ 니 2015, 페이지 376.
- ^ 마초 1991, 17쪽.
- ^ a b c d 마초 1991, 18쪽.
- ^ Twitchett 2009, p. 548-551.
- ^ Twitchett 2009, p. 619-620.
- ^ Twitchett 2009, p. 620-621.
서지학
- Forage, Paul C. (1991), "The Sino-Tangut War of 1081-1085", Journal of Asian History, 25 (1): 1–28, JSTOR 41930788
- Lorge, Peter (2015), The Reunification of China: Peace through War under the Song Dynas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ie, Lina (2015), A Grand Strategy or a Military Operation? A Reconsideration of the Liangzhou Campaign of 1081
- McGrath, Michael C. (2008), Frustrated Empires: The Song-Tangut Xia War of 1038-1044
- Mote, F. W. (2003),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2127
- Smith, Paul Jakov (2015), A Crisis in the Literati State
- Tseng-Yü, Wang; Wright, David C. (2015), "A history of the Sung military",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pp. 214–249, doi:10.1017/CHO9781139193061.005, ISBN 9781139193061
- Twitchett, Denis (1994), "The Liao",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 and Border States, 907-136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3–153, ISBN 0521243319
- Twitchett, Denis (2009),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The Sung dynasty and its Predecessors, 907-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