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카나 플레보바이러스
Toscana phlebovirus
토스카나 플레보바이러스 | |
---|---|
바이러스 분류 ![]() | |
(랭킹되지 않음): | 바이러스 |
영역: | 리보비리아 |
킹덤: | 오르토나비라과 |
망울: | 네가나비리코타 |
클래스: | 엘리오비리케테스속 |
순서: | 부냐비라목 |
패밀리: | 페누이비루스과 |
속: | 플레보바이러스 |
종: | 토스카나 플레보바이러스 |
동의어 | |
|
Toscana Plebo바이러스(TOSV)는 부냐비랄레스에 속하는 아르보바이러스(arbo바이러스, arxropod-born virus)로, 음의 가닥이 잡히고 감싼 RNA 바이러스의 순서다.이 바이러스는 펠레보토무스속(Phlebotomus)의 감염된 모래파리를 물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1]토스카나는 풍토 지역에서 높은 세로프레밸류율(최대 25%)으로 나타나듯이 보통 질병과 관련이 없지만 [2]나폴리 바이러스나 시칠리아 바이러스 등 다른 모래파리 전염 바이러스와 공통적으로 감염되면 파파타치열, 미열, 두통, 근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심각한 경우 진단되지 않은 급성 뇌막염, 뇌막염, 뇌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감염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치료는 뒷받침이 되어 면역체계가 감염을 해소할 때까지 증상의 심각성을 줄여준다.[3]
이 바이러스는 지중해에 접해 있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발견되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모래파리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여름철에 감염률이 최고조에 달한다.[4]
바이러스학
구조와 게놈
TOSV는 80–120 nm 직경의 구면 감싸진 몸체를 가지고 있다.게놈은 뉴클레오캡시드에 싸여 있으며, 세 부분으로 쪼개진 음의 RNA로 구성되어 있는데, L, M, M, 4,200 뉴클레오티드, S, 1,900 뉴클레오티드라고 한다.바이러스성 중합효소를 위한 L 암호, 구조용 당단백질을 위한 M 암호, 핵 단백질을 위한 S 암호.
유전적 변동성
![]() | 이 구간은 비어 있다.추가하면 도움이 된다. (2013년 4월) |
진단
TOSV 감염에 대한 실험실 진단은 ELISA, 면역불황 및/또는 중화 테스트를 통해 수행할 수 있지만,[5] 역전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측정은 시간이 덜 걸리고 오염 위험을 줄이기 때문에 선호된다.[5][6]
역학
이 바이러스는 중부 이탈리아와 다른 지중해 북부 국가들(크로아티아, 프랑스,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뿐만 아니라 동부 지중해 국가들(키프로스, 터키)에서 5월과 10월 사이에 급성 뇌수막염의 주요 원인이다.그것은 따뜻한 계절 동안 뇌막염과 관련된 세 가지 가장 흔한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다른 두 가지 바이러스는 장내막염과 헤르페스바이루스다.
역사
토스카나 바이러스(TOSV)는 1971년 몬테아르헨티나리오(크로세토, 투스카니)의 펠레보토무스 페르니시오수스(Perniciosus)와 플레보토무스(Pholebotomus perfilliiewi)로부터 처음 격리되었다.[7]
참조
- ^ Valassina, M.; Cusi, M. G.; Valensin, P. E. (2003). "A Mediterranean arbovirus: The Toscana virus". Journal of NeuroVirology. 9 (6): 577–583. doi:10.1080/jnv.9.6.577.583. PMID 14602570.
- ^ Braito, A.; Corbisiero, R.; Corradini, S.; Marchi, B.; Sancasciani, N.; Fiorentini, C.; Ciufolini, M. G. (1997). "Evidence of Toscana virus infections without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A serological study".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13 (7): 761–764. doi:10.1023/A:1007422103992. PMID 9384264.
- ^ Arboviral Infections (Report). Virginia Department of Health.
- ^ Valassina, M.; Cusi, M. G.; Valensin, P. E. (2003). "A Mediterranean arbovirus: The Toscana virus". Journal of Neurovirology. 9 (6): 577–583. doi:10.1080/jnv.9.6.577.583. PMID 14602570.
- ^ a b Cusi, M. G.; Savellini, G. G. (2011). "Diagnostic tools for Toscana virus infection". 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 9 (7): 799–805. doi:10.1586/eri.11.54. PMID 21810052.
- ^ Pérez-Ruiz, M.; Collao, X.; Navarro-Marí, J. -M. A.; Tenorio, A. (2007). "Reversetranscription,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of Toscana virus".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39 (4): 276–281. doi:10.1016/j.jcv.2007.05.003. PMID 17584525.
- ^ Charrel RN, Bichaud L, de Lamballerie X (2013). "Emergence of Toscana virus in the Mediterranean area". World J Virol. 1 (5): 135–141. doi:10.5501/wjv.v1.i5.135. PMC 3782275. PMID 24175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