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T림프향성바이러스1

Human T-lymphotropic virus 1
인간T림프향성바이러스1
HTLV-1 and HIV-1 EM 8241 lores.jpg
HTLV-1 및 HIV
바이러스 분류 e
(순위 미지정): 바이러스
영역: 리보비리아
왕국: 파라나비래
문: 아르베르비리코타
클래스: 레브트라비케테스
주문: 오르테빌라스
패밀리: 레트로바이러스과
속: 델타레트로바이러스
종류:
영장류 T림프트로픽바이러스1

인간 T세포 림프종 바이러스 타입 1 또는 인간 T-림프종 바이러스(HTLV-I)는 성인 T세포 림프종 바이러스 타입 1이라고도 불리며, 인간 T-림프종 바이러스(HTLV) 패밀리레트로 바이러스로서 매우 공격적인 성인 T세포 림프종(ATL HTLVi)과 관련된 여러 종류의 질병에 관련되어 있다.Loides stercoralis hyper-coralis와 다른 질병들.감염자의 약 1~5%가 [1]평생 HTLV-I 감염의 결과로 암에 걸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 T세포 림프종(ATL)은 1977년 일본에서 발견됐다.ATL의 증상은 당시 알려진 다른 림프종과 달랐다.ATL은 [2]ATLV라고 불리는 레트로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고 제안되었다.놀랍게도 ATLV는 [3]체외에서 형질전환 활성을 보였다.이 연구들은 레트로바이러스 감염이 ATL의 원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ATLV가 버나드 포에즈와 프란시스 러세티와 그들의 동료들이 로버트 C의 연구실에서 발견한 HTLV라고 불리는 최초의 인간 레트로 바이러스와 동일하다는 것이 나중에 증명되었기 때문에 레트로바이러스는 현재 일반적으로 HTLV-I로 불린다. 국립[4]연구소의 갈로입니다.HTLV-I 감염은 다른 레트로바이러스 감염과 마찬가지로 평생 발생할 수 있습니다.혈청에서 [1]HTLV-1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면 HTLV에 감염된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바이러스학

HTLV-1은 레트로바이러스과 델타레트로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레트로바이러스이다.그것은 DNA로 역전된 후 세포 DNA로 통합되는 양감각 RNA 게놈을 가지고 있다.일단 통합되면 HTLV-1은 바이러스 시냅스를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확산될 수 있는 프로바이러스로만 계속 존재한다.비록 바이러스가 생식기 분비물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유 바이러스들이 거의 생성되지 않고 보통 혈장에는 검출 가능한 바이러스가 없다.HTLV-1은 HIV와 마찬가지CD4+[1]T세포에 주로 감염됩니다.

바이러스 RNA는 단백질 내부 외피 안에 포함된 20면체 캡시드에 채워집니다.지질 외피는 숙주 세포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바이러스성 막 통과 단백질과 표면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비리온은 직경이 [1]약 100nm인 구형이다.

7개의 HTLV-1 유전자형이 인식된다.HTLV-1a ~[1]HTLV-1g전 세계적으로 1천만에서 2천만 명의 사람들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중 3백만에서 8백만 [5]명이 아프리카에 있다.가장 광범위한 유전자 타입 Atype은유형 B, D, E, F와 G만 중앙 아프리카에서 외부와 단절시켰다.C형 오직 아시아에 존재한다.진원류 HTLV-1 유전자의 유전자 빈번한 animal-human과 인간 동물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값 사이에 있다.[1]는 원숭이 친척이 있지 않는 유일한 인간 유전자 타입은 A형입니다.그것은 아시아 유전자형 C거기에 존재하는 독립적으로 인도네시아에 있는 simians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는 유전자 타입 B, D, E, F와 G아프리카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STLV에 대해 3만년 전부터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1]두가지 일본 대륙 횡단 서브와 일본의 한 서브 그룹 발견된다.[6]

역학

HTLV-1 역학에 대해 지식은 제한되어 있다.[표창 필요한]

어떤 나라의 가장 높은 유행 일본에서(남서쪽에서), 2007년에 일본 인구의 1%감염돼 검출되고 있다.[7]1988년과 2006-07년에 혈액 샘플의 두 자료는 통신사의 높은 수의 사람들이 1927년 1937년(사람들 18에서 1945년에 8나이)에서 태어나에서 발견되었다 보여 주었다.[7]극단적으로 높은 유행을 그 이유도 알려지지 않았다.

대만, 이란, 푸젠(대만 근처의 중국 지방)에서 발병률은 0.1-1%이다.유전자형 C가 우세한 파푸아뉴기니, 솔로몬제도, 바누아투에서 감염률은 약 1%다.유럽에서는 HTLV-1이 이민자와 정맥주사 약물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고위험군에 존재하지만 여전히 드물다.아메리카 대륙에서 이 바이러스는 원주민과 아프리카 조상의 후손들에게서 발견됩니다.일반 유병률은 0.1~1%이다.아프리카에서는 발병률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1] 일부 국가에서는 1% 정도 됩니다.

미국에서 HTLV-I 감염은 IV 약물 사용자들 사이에서 약 절반 정도, HIV 감염자들 사이에서 약 10분의 1 정도 퍼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혈청학적 데이터는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감염의 유병률은 남동부에 사는 흑인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뉴저지의 흑인 정맥 내 약물 사용자들 사이에서 30%의 유병률이 발견되었고 뉴올리언스에서도 [8]유사한 그룹에서 49%의 유병률이 발견되었습니다.

호주의 HTLV-I 감염은 호주 중부와 북부 원주민들 사이에서 매우 높으며, 유병률은 10-45%이다.HTLV-1은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이주로 인해 9,000년 동안 호주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호주 중부 앨리스 스프링스 주변에서는 약 5,000명이 [9]감염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캐나다 북부, 일본,[10] 이란 북동부의 이누이트족들 사이에서 높다.페루,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의 태평양 연안, 그리고 카리브해입니다.

전송

HTLV-1에는 3개의 주요 전송 경로가 있습니다.수직 전염은 가장 흔하며, 감염된 엄마가 그녀의 아이에게 바이러스를 전염시킨다.흥미롭게도, 인간의 혈장에 바이러스 입자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때, 자궁 안에 있는 태아의 위험은 미미하다.대부분의 수직 감염은 모유 수유를 통해 발생한다.감염된 산모에게 모유를 먹인 영아의 약 25%가 감염된 반면, 감염된 산모에게 모유를 먹이지 않은 아이는 5% 미만이 감염된다.성적 전염은 두 번째로 흔한 것으로, 체액의 교환을 통해 다른 사람을 감염시킨다.일부 증거는 남성 대 여성 전염이 여성 대 남성 전염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예를 들어 일본의 한 연구에서는 남성 대 여성 전염률이 61%인 반면 여성 대 남성 전염률은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가장 흔하지 않은 것은 수혈을 통한 비경구 전염으로, 한 연구에서 감염률이 44-63%로 추정되며 정맥 내 약물 사용자들 간에 바늘이 공유된다.적절한 예방(예: 산모 수유 상담, 콘돔 사용, 기증자 혈액 검사)을 통해 전염률을 효과적으로 [11]낮출 수 있습니다.다양한 전염 경로의 중요성은 지리적으로 다양하다고 여겨진다.불화 커플에 대한 연구는 성병 전염 확률이 100명당 [1]약 0.9명임을 보여주었다.

  • 일본에서는 감염의 지리적 집계에 의해 바이러스가 모자간 전염에 [12]더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카리브해에서는, 바이러스의 지리적 분포가 보다 균일하고, 성적인 파트너가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 성적인 전염이 더 [13]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로피즘

바이러스성 대류증이라는 용어는 어떤 종류의 세포가 HTLV-I에 감염되는지를 의미한다.HTLV-1은 주로 CD4+ T세포에서 발견되지만 CD8+ T세포, 수지상세포, B세포를 포함한 감염자의 말초혈액 내 다른 세포 유형은 HTLV-1을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HTLV-I 진입은 비리온 외피당단백질(SU)의 표면 단위와 그 세포수용체 GLUT1의 상호작용을 통해 [14]표적세포상에서 매개된다.

관련 질병

악성 종양

성인T세포백혈병/림프종

HTLV-1은 성인의 T세포 백혈병/림프종과도 관련이 있어 일본에서는 꽤 잘 연구되고 있다.감염에서 암 발병까지의 시간은 지리적으로도 다르다.일본에서는 약 60년, 카리브해에서는 약 40년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 암은 숙주 림프구 DNA에 포함된 바이러스 RNA의 전유전성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사이토카인 수준에서 림프구의 만성 자극은 악성종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림프종은 매우 나태하고 천천히 진행되는 유형에서 매우 공격적이고 거의 균등하게 치명적인 증식 [citation needed]유형까지 다양하다.

피부T세포림프종

HTLV-1이 피부 T세포 [1]림프종의 원인물질이라는 증거가 있다.

염증성 질환

HTLV 골수증/열대성 경련성 파라파리스

HTLV-1은 HTLV-1 관련 골수증/열대성 경련성 파라파레시스(HAM/TSP)로 알려진 진행성 탈수성 상부 운동 뉴런 질환과도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하지, 요실금 및 [15]발기부전이 특징이다.감염자의 0.3~4%만이 HAM/TSP에 감염되지만 이는 지리적 위치에 [1]따라 달라집니다.

HTLV 골수증의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HTLV에서 발견될 수 있는 다른 신경학적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절염

HTLV-1은 증거는 모순되지만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관련이 있다.이 경우 환자들은 음의 류마티스 [1]인자를 가지고 있다.

포도막염

일본으로부터의 연구는 HTLV-1 감염이 중간 포도막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시작 시 시야가 흐릿하고 부유물이 있는 환자.예후는 좋다. 그 상태는 보통 몇 [1]주 안에 해결된다.

기회주의 감염

HTLV-1에 감염된 개인은 바이러스 자체가 아니라 숙주의 면역 [1]기능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인 기회주의적 감염의 위험에 처해 있다.

HTLV-1은 원위 관계에 있는 레트로바이러스 HIV와 달리 면역 억제 효과가 있어 실제로 면역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그 바이러스는 Th1 세포라고 불리는 T-헬퍼 세포의 일부를 활성화시킨다.그 결과 Th1 세포의 증식과 Th1 관련 사이토카인(주로 IFN-γTNF-α)의 과잉생산이 이루어진다.이들 사이토카인의 피드백 메커니즘은 Th2 림프구를 억제하고 Th2 사이토카인 생산량(주로 IL-4, IL-5, IL-10 IL-13)을 감소시킨다.그 결과 주로 Th2 의존적 반응을 필요로 하는 침입 유기체에 대해 적절한 면역 반응을 하는 감염 숙주의 능력이 감소한다(이것들은 기생 감염과 점막 및 체액 [citation needed]항체의 생산을 포함한다.

호주 중부 원주민 집단에서 HTLV-1은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그것은 또한 재발성 폐렴에 걸리기 쉬운 만성 폐 질환인 기관지 확장증과 특히 관련이 있다.그것은 또한 종종 황색포도상구균과 겹치는 만성 감염 피부염과 다균성 패혈증으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과잉 감염이라고 불리는 심각한 형태의 Strongyloides stercoralis 감염과도 관련이 있습니다.HTLV-1 감염은 [1]결핵과도 관련이 있다.

치료

기회성 감염의 치료는 질병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신중한 관찰에서부터 적극적인 화학요법,[citation needed] 항레트로바이러스제까지 다양하다.성인 T세포 림프종은 HTLV 감염의 일반적인 합병증이며 일반적으로 R-CHOP과 같은 적극적인 화학요법이 필요하다.HTLV 감염환자의 ATL에 대한 다른 치료법으로는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알파를 사용하는 디도부딘, 삼산화비소를 사용하는 CHOP 등이 있다.HTLV 골수증의 치료는 더욱 제한적이며 주로 증상 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연구된 치료법에는 골수병증 [16]증상의 일시적인 증상 개선을 일으킬 수 있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플라스마페레시스, 시클로포스파미드, 그리고 인터페론이 포함된다.

발프로산은 바이러스 부하를 줄임으로써 HTLV 질환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한 인체 연구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임상적 이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최근 디도부딘과 결합된 발프로산 연구는 HTLV-1에 감염된 개코원숭이의 바이러스 부하가 크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HTLV 환자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히스토플라스마증, 딱지,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감염과 같은 기회성 감염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부 환자는 두 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citation needed]HIV 테스트도 수행해야 합니다.

HTLV-1 질환의 치료에서 동종 골수이식을 연구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한 사례 보고서는 만성 난치성 습진, 각막 손상 및 성인 T세포 백혈병에 걸린 HTLV-1 감염 여성을 묘사하고 있다.그 후 그녀는 알로겐 줄기세포 이식을 받았고 증상도 완전히 해결되었다.이식 후 1년이 지나도 아무런 증상이 재발하지 않고 있으며 프로바이러스 [citation needed]부하도 감소했습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Verdonck, K.; González, E.; Van Dooren, S.; Vandamme, A. M.; Vanham, G.; Gotuzzo, E. (2007). "Human T-lymphotropic virus 1: Recent knowledge about an ancient infection".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7 (4): 266–281. doi:10.1016/S1473-3099(07)70081-6. PMID 17376384.
  2. ^ Hinuma, Yorio; Nagata, Kinya; Hanaoka, Masao; Nakai, Masuyo; Matsumoto, Tadashi; Kinoshita, Ken-Ichiro; Shirakawa, Shigeru; Miyoshi, Isao (1981). "Adult T-cell leukemia: antigen in an ATL cell line and detection of antibodies to the antigen in human ser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78 (10): 6476–80. Bibcode:1981PNAS...78.6476H. doi:10.1073/pnas.78.10.6476. JSTOR 11091. PMC 349062. PMID 7031654.
  3. ^ Miyoshi, Isao; Kubonishi, Ichiro; Yoshimoto, Shizuo; Akagi, Tadaatsu; Ohtsuki, Yuji; Shiraishi, Yukimasa; Nagata, Kinya; Hinuma, Yorio (1981). "Type C virus particles in a cord T-cell line derived by co-cultivating normal human cord leukocytes and human leukaemic T cells". Nature. 294 (5843): 770–1. Bibcode:1981Natur.294..770M. doi:10.1038/294770a0. PMID 6275274. S2CID 4361348.
  4. ^ Poiesz, Bernard J.; Ruscetti, Francis W.; Reitz, Marvin S.; Kalyanaraman, V. S.; Gallo, Robert C. (1981). "Isolation of a new type C retrovirus (HTLV) in primary uncultured cells of a patient with Sézary T-cell leukaemia". Nature. 294 (5838): 268–71. Bibcode:1981Natur.294..268P. doi:10.1038/294268a0. PMID 6272125. S2CID 262992.
  5. ^ Zanella L, Otsuki K, Marin MA, Bendet I, Vicente AC (201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entral Africa 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subtype 1b". J Virol. 86 (22): 12451. doi:10.1128/JVI.02258-12. PMC 3486502. PMID 23087114.
  6. ^ Otani M, Honda N, Xia PC, Eguchi K, Ichikawa T, Watanabe T, Yamaguchi K, Nakao K, Yamamoto T (2012). "Distribution of Two Subgroups of Human T-Lymphotropic Virus Type 1 (HTLV-1) in Endemic Japan". Trop Med Health. 40 (2): 55–8. doi:10.2149/tmh.2012-02. PMC 3475314. PMID 23097620.
  7. ^ a b Satake, Masahiro; Yamaguchi, Kazunari; Tadokoro, Kenji (February 2012). "Current prevalence of HTLV-1 in Japan as determined by screening of blood donors". J Med Virol. 84 (2): 327–35. doi:10.1002/jmv.23181. PMID 22170555. S2CID 23764653. Retrieved 2020-09-11.
  8. ^ Cantor KP, Weiss SH, Goedert JJ, Battjes RJ (1991). "HTLV-I/II seroprevalence and HIV/HTLV coinfection among U.S. intravenous drug users". J. Acquir. Immune Defic. Syndr. 4 (5): 460–7. PMID 2016683.
  9. ^ 호주 외진 곳에 잠복해 있는 고대 바이러스, 수천 명의 원주민 성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브리짓 브레넌, ABC 뉴스 온라인, 2018-04-24
  10. ^ Sabouri, AH.; Saito, M; Usuku, K; Bajestan, SN; Mahmoudi, M; Forughipour, M; Sabouri, Z; Abbaspour, Z; et al. (2005). "Differences in viral and host genetic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type 1 (HTLV-1)-associated myelopathy/tropical spastic paraparesis between Iranian and Japanese HTLV-1-infected individuals". J Gen Virol. 86 (3): 773–81. doi:10.1099/vir.0.80509-0. PMID 15722539.
  11. ^ Verdonck, K, González, E, Dooren, SV, Vandamme, AM, Vanham, G, Gotuzzo, E (2007). "Human T-lymphotropic virus 1: recent knowledge about an ancient infection".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7 (266): 266–81. doi:10.1016/S1473-3099(07)70081-6. PMID 17376384.
  12. ^ Tajima, K. (1988). "The third nationwide study on adult T-cell leukaemia/lymphoma (ATL) in Japan: characteristic patterns of HLA antigen and HTLV-I infection in ATL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The T- and B-cell Malignancy Study Group". Int J Cancer. 41 (4): 505–12. doi:10.1002/ijc.2910410406. PMID 2895748. S2CID 24275659.
  13. ^ Clark J, Saxinger C, Gibbs W, Lofters W, Lagranade L, Deceulaer K, Ensroth A, Robert-Guroff M, Gallo R, Blattner W (1985). "Seroepidemiologic studies of human T-cell leukemia/lymphoma virus type I in Jamaica". Int J Cancer. 36 (1): 37–41. doi:10.1002/ijc.2910360107. PMID 2862109. S2CID 9790144.
  14. ^ Manel N, Kim FJ, Kinet S, Taylor N, Sitbon M, Battini JL (November 2003). "The ubiquitous glucose transporter GLUT-1 is a receptor for HTLV". Cell. 115 (4): 449–59. doi:10.1016/S0092-8674(03)00881-X. PMID 14622599. S2CID 14399680.
  15. ^ Osame, M.; Usuku, K; Izumo, S; Ijichi, N; Amitani, H; Igata, A; Matsumoto, M; Tara, M (1986). "HTLV-I associated myelopathy, a new clinical entity". Lancet. 327 (8488): 1031–2. doi:10.1016/S0140-6736(86)91298-5. PMID 2871307. S2CID 5095354.
  16. ^ Goncalves, D. U.; Proietti, F. A.; Ribas, J. G. R.; Araujo, M. G.; Pinheiro, S. R.; Guedes, A. C.; Carneiro-Proietti, A. B. F. (2010). "Epidem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uman T-Cell Leukemia Virus Type 1-Associated Disease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3 (3): 577–589. doi:10.1128/CMR.00063-09. PMC 2901658. PMID 206108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