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판 칸국

Turpan Khanate
투르판 칸국
1487–1660?
Yarkent and Turpan khanates in 1517
1517년 야르켄트 투르판 칸국
자본의터판
공용어차가타이어
종교
수니파 이슬람교
정부군주제
• 1487-1504 (최초)
아흐마드 알라크
• 1570 (마지막)
무함마드 칸 이븐 만수르 칸
역사
• 성립됨
1487
• 설정 안 됨
1660?
앞에
승계인
모굴리스탄
야르켄트 칸국
오늘의 일부중국

투르판 칸국동방 모굴리스탄,[1] 위구르스탄[2] 왕국 또는 투르판 칸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3] 차가타이 칸의 후손들에 의해 통치된 수니파 무슬림 투르코-몽골 칸국이었습니다.1487년 투르판에 근거지를 둔 아마드 알라크에 의해 차가타이 칸국의 동부 분파인 모굴리스탄의 동부 분파로 설립되었습니다.투르판 칸국의 대부분의 영토는 1570년에 야르켄트 칸국(모굴리스탄의 서쪽 분파)에 의해 정복되었습니다.

역사

1487년, 아흐마드 알라크는 그의 형 마흐무드로부터 독립했고,[4] 동쪽의 투르판(오늘날의 신장 투르판 가오창 구)으로부터 타림 분지의 북부를 지배했습니다.[5]아흐마드 아라크와 그의 장남 만수르 치하에서 투르판은 더욱 이슬람적이 되었습니다.[6]

아흐마드 알라크는 아버지 유누스 칸 때부터 하미카라 델 지배권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중국 명나라와 화해하고 사절을 교환했습니다.[4]1500년대 초, 아흐마드 알라크는 부하라 칸국무함마드 샤이바니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습니다.[4]

아흐마드 아라크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만수르는 투르판과 악수를 점령했습니다.[7][8]만수르는 서부 모굴리스탄을 통치하던 그의 형제 술탄 사이드 칸을 무찌르고 그를 추방했습니다.만수르는 하미에 근거지를 둔 카라델 왕국을 놓고 명나라와 다시 싸웠고, 만수르는 1513년에 그 왕국을 정복하고 그 지역을 그의 통치하에 두었습니다.[9]정복과 함께 하미 지역의 불교도들은 명나라 지배 지역으로 이주했고 하미 서쪽 지역의 불교도들은 사라졌습니다.[10]역사학자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는 만수르가 하미를 두고 명나라와 싸운 것을 "신성한 전쟁"이라고 묘사했습니다.[10]

1656년 베이징에서 네덜란드 방문객들이 본 '무굴 대사관'.Lach & Kley (1993)에 따르면, 현대 역사학자들은 묘사된 선교사들이 모굴 인디아에서 온 것이 아니라 투르판에서 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11]

만수르가 명나라와 싸우는 동안 술탄 사이드 칸은 카불에서 사촌인 티무르 왕조의 바부르보호를 받고 있었습니다.[5]바부르가 사마르칸트를 함락시킨 것에 대응하여, 두글라트의 미르는 페르가나 계곡을 함락시켜 술탄 사이드 칸에게 바쳤습니다.[5]이것을 발판으로 술탄 사이드 칸은 모굴리스탄으로 돌아와 두글라트에서 미르자 아부 바크르 두글라트를 물리쳤고, 1514년 자신을 칸이라고 선언했습니다.[4][12]두글라트 사단에도 아부 바크르를 반대하는 파벌이 있었고,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등은 술탄 사이드 칸을 지지했습니다.[8]

처음에는 만수르 칸과 술탄 사이드 칸 형제가 대립했지만 결국 화해했고,[13] 모굴리스탄의 칸은 동서로 나란히 존재했습니다.[12]술탄 사이드는 서쪽으로 스텝 지역으로 진격을 시도했으나 우즈베크족카자흐족에게 막혀 카슈가르와 야르칸드를 중심으로 한 서쪽 타림 분지를 손에 넣게 되었습니다.결과적으로 술탄 사이드 칸과 그의 후손들의 정부는 야르켄트 칸국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14]

1656년 중국 궁정에 있던 튀르판 '무굴 대사관'(그룹 '3')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홀란드 주재 대사관('바타보룸', 그룹 '2').

16세기부터, 코하스의 지도자들은 전통적으로 모굴리스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두글라트파를 대체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4][15]

투르판 칸국은 만수르 사후 샤의 치세에 급격하게 쇠퇴하였고, 1570년에는 야르칸드 칸국의 호탄 총독 압두라임 술탄([16]압둘 카림 칸의 형제)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투르판 칸국이 침략당했습니다.군주 무함마드 이븐 만수르 칸은 포로로 잡혔고, 투르판 칸국은 역사적 문헌에서 희미해졌습니다.반란을 일으켰던 쿠라이시는 압둘 카림 칸이 보낸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투르판은 야르칸드 칸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습니다.[8][16]투르판 칸국에 대해 마지막으로 들은 것은 1647년과 1657년 투르판에서 베이징으로 파견된 대사관들이었습니다.중국 청나라는 그들을 진짜 차가타이 왕조의 대사관으로 여겼습니다.[17]

통치자 목록

# 이름. 재위
1 아흐마드 알라크 1487-1504
2 만수르 칸 1503–1543
3 바버차크 1543
4 샤 칸 1545–1570
5 무함마드 칸 이븐 만수르 칸 1570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Carrington, Luther (1976).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2.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037. ISBN 9780231038331.
  2. ^ Jeong, Su-il (2016).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p. 908. ISBN 9781624120763.
  3. ^ Carrington, Luther (1976).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2.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028. ISBN 9780231038331.
  4. ^ a b c d e 丸山 2009, p. 158
  5. ^ a b c 丸山 2014, p. 51
  6. ^ 中見, 濱田 & 小松 2000, p. 299
  7. ^ 佐口 1962, pp. 54–55
  8. ^ a b c 江上 1987, p. 425
  9. ^ Jonathan D. Spence; John E. Wills, Jr.; Jerry B. Dennerline (1979). From Ming to Ch'ing: Conquest, Region, and Continuity in Seventeenth-Century China. Yale University Press. p. 177. ISBN 0-300-02672-2.
  10. ^ a b 濱田 1998, p. 101
  11. ^ Lach, Donald F. (Donald Frederick) (1965).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238. ISBN 978-0-226-46733-7. Nieuhof's report of a Mughul embassy to Peking was taken at face value by C. B. K. Roa Sahib, "Shah Jehan's Embassy to China, 1656 a.d.," Quarterly Journal of the Mythic Society, Silver Jubilee Number XXV (1934-35), 117-21. By examination of the Chinese sources, Luciano Petech concluded that Nieuhof was mistaken in this identification. He argues, quite convincingly, that these were probably emissaries from Turfan in central Asia. See Petech, "La pretesa ambascita di Shah Jahan alia Cina," Rivista degli studi orientali, XXVI (1951), 124-27.
  12. ^ a b 中見, 濱田 & 小松 2000, p. 300
  13. ^ 丸山 2014, p. 52
  14. ^ 中見, 濱田 & 小松 2000, p. 301
  15. ^ 川口 2005, pp. 334–335
  16. ^ a b 丸山 2014, p. 53
  17. ^ Grousset 1970, p. 499. CITEREFGrousset (

서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