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깃함
Frigate프리깃함(/fragfrɪɡət/)은 군함의 일종이다.시대마다 프리깃함으로 분류되는 선박의 역할과 역량이 크게 달라졌다.
17세기에, 프리깃함은 속도와 기동성을 위해 만들어진 어떤 군함이었는데, 묘사는 종종 "프레이지-빌트"로 사용되었다.이들은 하나의 갑판이나 두 개의 갑판(일반적으로 배의 예측선과 쿼터 갑판에 운반되는 더 작은 마차 탑재 총)에 대한 주요 배터리를 운반하는 군함일 수 있다.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너무 작은 배들이 전열을 갖추기 위해 건조될 때 흔히 프리깃(frigate)이라고 일컬어지지만, 너무 작은 배들이 전열을 갖추지 못하는 데 사용되었다.
18세기 프리깃함은 풀장식 선박으로, 세 개의 돛대에 모두 네모꼴로 고정되어 있으며, 속도와 손놀림을 위해 건조되었으며, 선의 배보다 무장이 가벼워 순찰을 하고 호위하는 데 사용되었다.영국 해군에 의해 채택된 정의에서, 그들은 최소 28발의 선박으로, 그들의 주요 군비를 상층 갑판인 하나의 연속 갑판에 실어 나르는 반면, 이 선의 선박들은 2개 이상의 연속 갑판 배터리를 가지고 있었다.
19세기 후반(영국과 프랑스 해군에 의한 시제품 제작으로 1858년경 시작) 장갑 프리깃함은 한때 가장 강력한 형태의 선박이었던 철갑함 전함의 일종이었다.이러한 배들은 오래된 항해 프리깃함의 방식으로 여전히 하나의 연속적인 상단 데크에 주요 군비를 탑재했기 때문에 여전히 "프레이그트"라고 묘사되었다.그러나 19세기 말에 이르러 철갑함 전함의 발전은 이런 종류의 배를 쓸모없게 만들었고, "난파선"이라는 용어는 쓸모없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코르벳과 구축함 사이의 사이즈를 중간크기로 하고 있는 호위함을 묘사하기 위해 'fregate'라는 이름이 다시 소개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양한 배들이 프리깃함으로 분류되었다.종종 사용법에 일관성이 거의 없었다.일부 해군은 프리깃함이 주로 대양 항행 대잠수함전(ASW) 전투원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다른 해군은 이 용어를 코벳, 구축함, 심지어 핵추진 유도탄 순양함으로 인식될 수 있는 선박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다.일부 유럽 해군은 구축함과 프리깃함 모두에 '선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난파선장"이라는 계급은 이런 종류의 배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돛의 나이
오리진스
frager(이탈리아어: fregata; 네덜란드어: fregat; fregat; 스페인어/카탈란어/포르투갈어/시칠리아어: fragata; 프랑스어: frégate)라는 용어는 15세기 후반 지중해에서 유래되었는데, 노와 돛, 가벼운 무장을 갖춘 가벼운 갤리형 군함을 말하며, 속도와 기동성을 위해 만들어졌다.[2]
하갑판이 없는 열린 배를 뜻하는 라틴어인 '아프랙터스'의 부패에서 비롯되었을지언정 그 어원은 여전히 불확실하다.아프랙토스는 다시 고대 그리스어 구절인 ἄααςςςς ααςς에서 유래하였다 - "방어되지 않은 배"[citation needed]1583년, 1568–1648년의 80년 전쟁 동안 합스부르크 스페인은 개신교 반군으로부터 네덜란드 남부 지역을 되찾았다.이것은 곧 점령된 항구를 사유지인 "덩키르커"들이 네덜란드와 그들의 동맹국들의 선적을 공격하기 위한 기지로 사용하는 결과를 낳았다.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던키르커스는 프레이그트라고 일컬어지는 작고 기동성이 좋은 범선들을 개발했다.이들 던커 선박의 성공은 그들과 경쟁하는 다른 해군의 선박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지만, 대부분의 정기 해군은 던커어 호위함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지구력을 지닌 선박을 요구했기 때문에, 이 용어는 곧 비교적 빠르고 우아한 돛 전용 군함에만 덜 적용되게 되었다.프랑스어에서는 "friger"라는 용어가 동사 – frégater를 낳았는데, 이는 '길고 낮게 짓는다'는 뜻이며, 형용사가 되어 혼란을 가중시켰다.1651년 갑판이 축소된 후, 한 현대인은 이 거대한 영국 소버린도 섬세한 프리깃함이라고 표현할 수 있었다.[3]
네덜란드 공화국의 해군은 더 큰 바다를 항해하는 프리깃함을 건설한 첫 번째 해군이 되었다.네덜란드 해군은 스페인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세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 즉, 해상의 네덜란드 상선을 보호하는 것, 무역을 해치고 적들의 사생활을 중단시키기 위해 스페인 소유의 플란더스 항구를 봉쇄하는 것, 그리고 스페인 함대와 싸우고 군대의 상륙을 막는 것이다.처음 두 가지 과제는 속도, 네덜란드 주변의 얕은 수역에 대한 드래프트의 얕음, 봉쇄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물자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했다.세 번째 과제는 스페인 함대에 대항하기에 충분한 중무장이 필요했다.더 큰 전투가 가능한 프리깃함 중 첫 번째 것은 1600년경에 네덜란드의 호른에 지어졌다.[4]80년 전쟁의 후반기까지 네덜란드인들은 영국과 스페인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무거운 배에서 약 40발의 총과 300톤의 무게가 나가는 가벼운 프리깃함으로 완전히 바꾸었다.
네덜란드 프리깃함의 효과는 1639년 다운스 전투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 다른 해군들, 특히 영국 해군들이 비슷한 디자인을 채택하도록 격려했다.
1650년대에 영국연방이 건설한 함대는 일반적으로 "선박"으로 묘사되는 배들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가장 큰 함대는 3류 중 2층 "위대한 프리깃함"이었다.60발의 총기를 탑재한 이 선박들은 당시 "위대한 배"만큼 크고 유능했지만, 당시 대부분의 다른 호위함은 "조종사" 즉 독립된 고속함으로 사용되었다.'조난선'이라는 용어는 긴 선체 설계를 의미했는데, 이는 속도와 직결되며(선체 속도 참조), 나아가 해군전에서의 넓은 측면 전술의 개발에 도움이 되었다.
이때 노를 재도입하여 1676년의 HMS 찰스 갈리와 같은 갈리 프리스트가 생겨났는데, 이는 32군 5류로 평가받았으나 상갑판 아래에 40개의 노로 된 둑을 세팅하여 바람의 호락호락함이 없을 때 배를 떠밀 수 있었다.
덴마크어에서는 영국이 구렁텅이로 분류한 HMS팔콘과 같이 16개 정도의 총을 적게 실은 군함에 '프레갓'이라는 단어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18세기 중반까지 영국 해군의 등급제 하에서, 소형 28척의 호위함은 6등급으로 분류되었지만, "선박"이라는 용어는 기술적으로 5등급의 단일 갑판 선박으로 제한되었다.[2]
클래식 디자인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역할로 오늘날 잘 알려진 고전적인 항해 프리깃함은 18세기 2/4분기에 프랑스의 발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740년의 프랑스제 메데는 종종 이런 유형의 첫 사례로 간주된다.이 배들은 네모난 철조망으로 모든 주포를 연속적인 상갑판에 실었다.'총 갑판'으로 알려진 하부 갑판은 이제 무장을 하지 않고, 선원들이 생활하는 '버스 갑판'의 기능을 했으며, 사실상 새로운 프리지어들의 수선 아래에 놓여 있었다.전형적인 초기의 순양함에는 부분적으로 무장한 아랫갑판이 있었는데, 이 갑판에서 '반전지' 또는 데미배터리로 알려져 있었다.이 갑판에서 포를 제거하면 선체 상부 작업장의 높이가 낮아져 결과적으로 훨씬 개선된 항해 품질을 얻을 수 있었다.무장을 하지 않은 갑판은 호위함의 총이 비교적 높은 수선 위로 운반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 결과, 바다가 너무 거칠어서 2층 갑판 포구를 열 수 없을 때, 호위함은 여전히 모든 총으로 싸울 수 있었다(예를 들어, 이것이 결정적인 경우 1797년 1월 13일의 행동 참조).[5][6]
영국 해군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1748) 동안 메데를 포함한 많은 새로운 프랑스 프리깃함을 포획했고, 특히 근해 처리 능력 때문에 그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그들은 곧 타이그르라는 이름의 프랑스 민간인을 바탕으로 (1747년에 주문) 복제본을 만들고, 다른 프레이그들의 기준을 해군 주도국으로 정하면서 그들 자신의 필요에 맞게 활자를 수정하기 시작했다.첫 번째 영국 프리깃함은 9파운드포 24문의 상갑판 배터리(남은 4개의 소형포를 쿼터데크에 실었다)를 포함한 28개의 총기를 실었으나 곧이어 12파운드포 26문의 상갑판 배터리를 포함한 32개 또는 36개의 포의 5류 함정으로 발전했고, 나머지 6개 또는 10개의 소형포를 실었다.e 쿼터 갑판과 [7]예지선기술적으로 총기가 28개 미만인 '정격 선박'은 프리깃함이 아니라 '포스트 배'로 분류할 수 있었지만, 일반적인 말로 표현하면 대부분의 포스트 배들은 종종 "프레이지트"라고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용어는 너무 작아서 전투 선상에 서 있을 수 없는 작은 2층 배까지 확대되는 것이었다.
1777년에서 1790년 사이에 총 59척의 프랑스 항해 프리깃함이 건설되었으며, 표준 설계는 평균 135피트(41m)의 선체 길이와 평균 13피트(4.0m)의 드레이크를 가지고 있다.새로운 frights는 최대 14노트(26km/h; 16mph)의 항해 속도를 기록했는데, 이는 이전 선박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였다.[5]
헤비 프리깃함
1778년 영국 해군사령부는 주 배터리의 18파운드 포(쿼터 갑판과 포렌틀에 운반되는 소형 포와 함께) 26 또는 28발의 대형 "무거운" 프리깃함을 도입했다.이러한 움직임은 프랑스와 스페인 양쪽의 적국으로서, 영국이 선박 수에서 더 이상 우세하지 않았고 영국이 개별적으로 더 큰 힘을 가진 순양함을 생산해야 한다는 압력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해군 상황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이에 대한 답장으로, 1781년에 최초의 18파운드짜리 프랑스 프리깃함이 내려졌다.18파운드의 이 프리깃함은 결국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전쟁의 표준 프리깃함이 되었다.영국은 더 크고, 38-건, 약간 작은 36-건 버전을 생산했고, 또한 32-건 디자인으로 '경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32척의 프리깃함은 또한 그들이 더 작고 덜 전문화된 많은 조선업자들이 건설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8][9]
프리게이트는 쿼터 데크와 포렌틀(상부 데크 위의 상부 구조체)에 소형 캐리지 장착 총을 추가로 휴대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그랬다).1778년 스코틀랜드의 Carron Iron Company of Scotland는 프리깃함을 포함한 작은 해군 함정의 무장에 혁명을 일으킬 해군 총을 생산했다.캐로나드는 가볍고 재장전 속도가 빠르고 기존의 장총보다 더 작은 선원이 필요한 큰 칼리브레이션의 짧은 철갑 함포였다.그것의 가벼움 때문에 그것은 프리지트의 전망대와 쿼터 데크에 장착될 수 있었다.그것은 이들 함정의 금속 무게(한 쪽 측면으로 발사되는 모든 발사체의 결합 무게)로 측정되는 화력을 크게 증가시켰다.카로네이드의 단점은 사거리가 훨씬 짧고 장총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점이었다.영국은 그 새로운 무기의 장점을 재빨리 보고 곧 대대적으로 채용했다.미 해군도 등장 직후 이 디자인을 베꼈다.프랑스와 다른 나라들은 결국 수십년에 걸쳐 그 무기들의 변형을 채택했다.전형적인 중형 호위함은 18파운더 긴 총과 32파운드의 캐로나드를 상갑판에 장착하는 주 무장을 갖추고 있었다.[10]
초 헤비 프리깃츠
24파운드의 장포로 무장한 최초의 '초강습 프리깃터'는 1782년 해군 건축가 F H 채프먼이 스웨덴 해군을 위해 만들었다.선적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웨덴인들은 이러한 프레이즈인 벨로나 계급이 비상시에 전투선에 설 수 있기를 원했다.1790년대에 프랑스는 포르테나 이집트인 등 24파운드의 대형 프리깃함을 소량 건조시켰고, 그들은 또한 초중량 프리깃트를 생산하기 위해 선체의 높이를 줄였다(연속적인 총 갑판 1개만 주기 위해 선체의 높이를 줄였다). 그 결과 생긴 배는 라세(rasé)로 알려져 있었다.프랑스인들이 매우 강력한 순양함을 생산하려고 했는지 아니면 단지 오래된 배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이러한 강력한 육중한 프리깃함의 전망에 놀란 영국인들은 인데파티게이블을 포함한 소규모 64군 전함 중 세 척을 라세잉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 전함들은 프리깃함으로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이때 영국도 24파운드로 무장한 대형 프리깃함을 몇 개 만들었는데, 그중 가장 성공한 것은 HMS Endimion(1,277t)이었다.[11][12]
1797년 미 해군의 첫 6척 중 3척은 44척의 프리깃함으로 평가되었는데, 운용상 56~60척의 24파운드짜리 장포와 32파운드나 42파운드짜리 카로나드를 2개의 갑판에 실었다. 그들은 예외적으로 위력이 있었다.이 배들은 약 1,500톤으로 매우 크고, 무장도 잘 되어 있어 종종 선의 배와 맞먹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1812년 전쟁 발발 시 일련의 패배를 당한 후, 영국 해군 전투지시는 영국 프리깃함(보통 38발의 총 이하)들에게 2:1의 어드밴던 이하에서는 결코 대형 미국 프리깃함들과 교전하지 말라고 명령했다.tage. 미 해군이 박물관 함정으로 보존하고 있는 USS 헌법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임관 군함으로, 돛의 시대부터의 호위함으로서 살아남은 예다.헌법과 그녀의 여동생 배들은 바바리 해안의 해적들을 다루기 위한 대응과 1794년의 해군법과 함께 만들어졌다.조슈아 험프리스는 오직 미국에서만 자란 나무인 살아있는 오크나무만이 이 배들을 만드는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13]
단일 함정의 반복된 패배로 부상을 입은 영국인들은 미국 44대의 성공에 3가지 방법으로 대응했다.그들은 엔디미온 선에 전통적인 40-건, 24-파운드짜리 무장 프리깃함을 만들었다.그들은 세 개의 오래된 74포선박들을 라세로 자르고 32파운드의 주 무장을 가진 프리깃함을 생산하고 42파운드의 캐로나이드로 보완했다.이들은 미국 함정의 위력을 훨씬 능가하는 무장을 하고 있었다.마침내 1500t급 스파링 데크 프리깃(허리가 밀폐된 채 쿼터 데크/예측 수준의 활에서 후미까지 연속적으로 총선을 부여)인 레안더와 뉴캐슬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미국의 44군 프리깃함과는 규모와 화력이 거의 정확히 일치했다.[14]
역할
프리깃함은 아마도 돛의 시대 동안 가장 열심히 일했던 군함 종류일 것이다.함선보다 작기는 하지만 사병이나 장사꾼은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수의 슬루와 포선에 대해서는 만만치 않은 상대였다.6개월의 점포를 운반할 수 있는 그들은 매우 긴 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프리지어보다 큰 선박들은 독립적으로 운영하기에는 너무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프리깃스는 함대를 정찰하고, 상거래 임무와 순찰에 나섰으며, 메시지와 고관들을 전달했다.보통 프리지어는 적은 수로 싸우거나 혼자서 다른 프리지들과 싸우곤 했다.그들은 선단과의 접촉을 피하려고 했다; 선단이 교전하는 와중에도 선단이 먼저 발사하지 않은 적의 호위함에 발포하는 것은 나쁜 예의였다.[15]Frigates는 종종 "반복적인 Frigates"로서 함대 전투에 관여했다.연기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기함이 전투의 늪에 빠질지도 모르는 함대장의 신호는 함대의 다른 함선들이 놓칠지도 모른다.[16]따라서 프리깃함은 본선의 바람이나 위쪽으로 배치되어 지휘관의 기함까지 시야를 확보해야 했다.그 후 기함에서 오는 신호는 선 밖으로 나와 연기와 전투의 무질서에서 벗어난 프리깃함들에 의해 반복되었는데, 이 프리깃함들은 함대의 다른 함선들에 의해 더욱 쉽게 볼 수 있었다.[16]돛대가 파손되거나 유실돼 기함대가 명확한 재래식 신호를 내지 못하면 반복적인 프리깃함은 이를 해석해 정확한 방법으로 스스로 호이스트할 수 있어 사령관의 지시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16]
영국 해군의 장교들에게는 프리깃함이 바람직한 게시물이었다.프리깃스는 종종 액션을 보았는데, 그것은 영광, 승진, 상금의 더 큰 가능성을 의미했다.
통상적으로 배치된 대형 선박과는 달리, 경비절감 조치로서 평시에는 호위함장과 장교들에게 전시 시 유용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호위함들이 취항했다.프리깃함은 또한 적 함선에 탑승하거나 해안에서 작전을 위해 해병대를 태울 수 있다; 1832년, 미 해군의 첫 번째 수마트라 원정에 282명의 해군과 해병대를 상륙시켰다.
프리깃함은 19세기 중반까지 해군에서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었다.첫 번째 철갑판은 소지한 총기의 수 때문에 "프레이그"로 분류되었다.그러나 철과 증기가 표준이 되면서 용어가 바뀌었고, 호위함의 역할은 먼저 보호 순양함, 그 다음에 경 순양함 순으로 상정되었다.
프리깃함은 선상(함대 행동의 첨병)과 소형함(일반적으로 본항에 배정되고 범위가 덜 넓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역사 해군 소설에서 종종 선택의 함선이다.예를 들어 패트릭 오브리안 오버리-마투린 시리즈, C. S. 포레스터의 호라티오 혼블로이어 시리즈, 알렉산더 켄트의 리처드 볼리토 시리즈 등이 있다.영화 마스터 및 커맨더: The Far Side of the World는 오버리의 호위함 HMS 서프라이즈를 묘사하기 위해 재구성된 역사적인 호위함 HMS Rose를 특징으로 한다.
증기발생기
프리지어로 분류된 선박들은 19세기 증기력 도입으로 해군에서 큰 역할을 계속하였다.1830년대에 해군은 한 데크에 대형포를 장착한 대형 패들 기선을 실험했는데, 이를 '패들 프리깃트'라고 불렀다.
1840년대 중반부터, 전통적인 항해 프리깃함과 더 흡사하게 닮은 프리깃함은 증기 엔진과 나사 프로펠러로 만들어졌다.처음에는 나무로, 나중에는 철로 만든 이 "스크루 프리지트"는 19세기 후반까지 프리지트의 전통적인 역할을 계속하였다.
장갑 프리깃함
1859년부터는 기존의 프리깃함과 라인 디자인을 바탕으로 선박에 무장을 추가했다.이들 첫 번째 철갑함에 갑옷의 무게를 더하면 총갑판 하나만 가질 수 있다는 뜻이었고, 기존 함선보다 힘이 세고 같은 전략적 역할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으로는 냉혹했다."기갑 프리깃함"이라는 문구는 돛을 달고 넓은 측면으로 발사하는 철갑함을 나타내기 위해 한동안 계속 사용되어 왔다.
1880년대에는 군함 디자인이 철에서 강철로 바뀌고 돛을 달지 않은 순항하는 군함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조난함'이라는 용어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갑옷 옆면이 있는 선박은 '갑옷선' 또는 '갑옷 순양함'으로 지정됐고, '보호 순양함'은 갑옷갑판만 보유하고 있었으며, 프리깃함, 슬루프 등 무갑옷 선박은 '보호되지 않은 순양함'으로 분류됐다.
모던 에이지
제2차 세계 대전
현대의 프리깃함은 이름만으로 이전의 프리깃함과 관련이 있다.2차 세계대전 때 영국 왕실 해군이 초계함보다 크지만 구축함보다는 작은 대잠 호위함을 설명하기 위해 다시 쓴 용어다.미국 구축함 호위함과 크기와 능력이 같기 때문에, 프리깃함은 보통 건설하고 유지하는 데 비용이 덜 든다.[17]대잠수함 호위함은 이전부터 왕실 해군에 의해 슬루로 분류되어 왔으며, 1939~1945년의 블랙 스완급 슬루프는 신형 호위함만큼이나 규모가 컸으며, 더욱 중무장을 갖추고 있었다.이 중 22개는 전쟁 후 프레이그로 재분류되었는데, 나머지 24개의 작은 캐슬급 옥수수도 마찬가지였다.
프리깃함은 플라워급 코르벳 설계에 내재된 일부 단점, 제한적인 무장력, 오픈오션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선체 형태, 속도와 기동성을 제한하는 단일 샤프트, 사정거리 부족 등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됐다.프리깃함은 코르벳과 같은 상업용 건설기준(스캔틀링)에 따라 설계 및 건조돼 군함 건설에 사용되지 않는 야드 단위로 제조가 가능했다.리버 등급의 첫 프리깃함(1941)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큰 선체에 최신형 대잠무기로 무장한 두 세트의 코르벳 기계였다.
호위함은 구축함보다 공격용 화력과 속도가 낮았지만 대잠전에서는 그런 자질이 필요치 않았다.잠수함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속도가 느렸고, ASDIC 세트는 20노트(23mph; 37km/h) 이상의 속도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오히려 이 프리깃함은 대량건설에 적합한 엄격하고 기상천외한 선박이었으며 대잠전의 최신 혁신기술을 탑재하고 있었다.호위함은 순전히 호위 임무를 위한 것이었고, 함대와 함께 배치하지 않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사거리와 속도가 제한되어 있었다.
1944년 영국 해군의 베이 클래스에 이르러서야, 비록 여전히 제한 속도에 시달렸지만, 함대용으로 '프레이저'로 분류된 영국식 디자인이 제작되었다.불완전한 로치급 호위함 선체에 구축된 이들 대공 프리깃함은 미 해군의 구축함 호위함(DE)과 유사했지만, 함대 배치에 더 잘 맞는 속도와 공격 무장은 더 컸다.구축함 호위 개념은 1940년 미국 해군 총사령부가 미국의 전쟁 진입 전인 1941년[18] 영국 위원회가 정한 요건에 따라 수심 호위 임무를 위한 설계 연구에서 비롯됐다.영국 왕실 해군에서 복무하는 미국 구축함 호위함은 함장급 호위함으로 평가되었다.미 해군이 캐나다에서 건조하는 아셰빌급 2척과 영국에서 영향을 받은 96척의 타코마급 프리깃함은 원래 미 해군의 '패트롤 건보트'(PG)로 분류됐으나 1943년 4월 15일 모두 순찰 프리깃트(PF)로 재분류됐다.
모던 프리깃함
유도-미사일 역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대공 미사일의 도입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배들이 대공전에 효과적이게 된 것은 '유도 미사일 호위함'이다.USN에서는 이들 선박을 "해양 에스코트"라고 부르며 1975년까지 "DE" 또는 "DEG"로 지정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구축함 에스코트 또는 "DE"의 홀드오버였다.캐나다 왕립 해군과 영국 왕립 해군은 '프레게이트'라는 이름으로 최대 순양함(서프렌, 투르빌, 호라이즌급)까지 미사일 장착 선박을 지칭하는 등 '프레이저'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했다.소련 해군은 호위함(сррооо)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 해군은 유도탄 프리깃함(hull 분류 기호 DLG 또는 DLGN, 문자 그대로 유도탄 구축함 리더라는 뜻)으로 분류된 함정을 위탁했는데, 실제로는 구축함 스타일의 선체에 건조된 대공 순양함이었다.이들은 1980년대 RIM-67 표준 ER 미사일로 개량된 RIM-2 테리어 미사일의 경우 선박당 1~2개의 쌍둥이 발사대를 보유하고 있었다.이 종류의 선박은 주로 대함 순항미사일로부터 항공모함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순양함(CAG/CLG/CG)을 증축하여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유도탄 프리깃함도 2차대전 순양함 전환이 대부분 부족했던 대잠수함 능력을 갖췄다.베인브리지와 트룩스턴, 캘리포니아, 버지니아급과 함께 이들 선박 중 일부는 원자력(DLGN)이었다.[19]이들 '냉장고'는 순양함과 구축함 사이사이에서 대략 중간 규모였다.이는 중형 군함을 지칭하는 항해 시대 때 '조난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과 비슷했지만, 호위함을 구축함보다 작다고 여기는 다른 현대 해군들이 사용하는 관습과 일치하지 않았다.1975년 선박 재분류 과정에서 미국의 대형 호위함은 유도탄 순양함 또는 구축함(CG/CGN/DDG)으로 재설계되었고, 해양 호위함(구축함보다 작은 선박에 대한 미국 분류, 선체 기호 DE/DEG(대상 호위함)이 있는 경우, 때로는 "빠른 호위함"으로 재분류되었다.1970년대 후반 미 해군은 51척의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유도탄 프리깃함(FFG)을 도입했는데, 이 중 마지막은 2015년 해체됐지만 일부는 다른 해군에서 복무하고 있다.[20]1995년까지 구형 유도탄 순양함과 구축함은 티콘데로가급 순양함과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으로 대체되었다.[21]
1945년 이후의 가장 성공적인 설계 중 하나는 영국의 레안더급 호위함이었는데, 이 호위함은 여러 해군에 의해 사용되었다.1959년에 배치된 레안데르 계급은 이전의 12형 대잠 호위함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대공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장착되었다.그것들은 1990년대에 영국에 의해 사용되었고, 그 때 몇몇은 다른 해군에 팔렸다.Leander 설계 또는 그것의 개선된 버전은 다른 해군에게도 면허가 부여되었다.
거의 모든 현대 프리깃함은 어떤 형태의 공격형 또는 방어형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유도 미사일 프리깃(FFG)으로 평가된다.지대공 미사일(예: Eurosam Aster 15)의 개선은 현대 유도 미사일 프리깃함이 많은 현대 해군의 핵심을 형성하고 특수화된 대공 프리깃함 없이도 함대 방어 플랫폼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용도
영국 해군 61형 솔즈베리 클래스는 항공기를 추적할 수 있는 "항공 방향" 프리깃함이었다.이를 위해 그들은 같은 선체에 세워진 41식 레오파드급 방공 프리깃함에 비해 무장을 줄였다.
MEKO 200, Anzac, Halifax급과 같은 다중역할 프리깃함은 일반 호위함급이 수행할 수 없는 다양한 상황에서 배치되는 군함을 필요로 하는 해군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구축함 배치의 필요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대잠 역할
스펙트럼의 반대쪽 끝에는 일부 프리깃함이 대잠전에 특화돼 있다.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잠수함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독일식 XXI 잠수함 참조) 잠수함에 대한 호위함의 속도 우위성을 크게 줄였다.프리깃함은 더 이상 느리고 상업적인 기계에 의해 가동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휘트비 계급과 같은 전후의 프리깃함들은 더 빨랐다.
이런 배에는 가변 깊이 음파탐지기나 견인장치 등 개량형 음파탐지기기가 탑재돼 있고, 어뢰, 임보 등 전진포함, ASROC나 이카라 등 미사일 탑재 대잠수함 어뢰 등 전문화된 무기들이 탑재돼 있다.영국 해군의 22형 호위함은 대잠전투 전문 호위함의 예로서, 포인트 방어용 시 울프 지대공 미사일과 제한된 공격 능력을 위한 엑소켓 지대공 미사일도 갖추고 있다.
특히 대잠전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식 호위함은 헬기를 운용하기 위해 상륙갑판과 격납고를 탑재하고 있어 알 수 없는 해저위협으로 호위함이 폐쇄할 필요가 없고, 고속 헬기를 이용해 해상함정보다 속도가 빠를 수 있는 핵잠수함을 공격한다.이 임무를 위해 헬리콥터에는 소노부이, 가능한 위협을 식별하기 위한 전선 장착형 디핑 소나 및 자기 이상 탐지기와 같은 센서와 그들을 공격할 수 있는 어뢰 또는 심층 충전기가 장착되어 있다.
그들의 탑재된 레이더 헬리콥터는 또한 수평이 넘는 목표물을 재조명하고 펭귄이나 씨 스쿠아 같은 대함 미사일을 장착할 경우 그들을 공격할 수 있다.헬리콥터는 또한 수색과 구조 작업에 매우 중요하며, 배 사이 또는 해안으로 인력, 우편물, 화물을 옮기는 임무를 위해 소형 보트나 잭스테이 장비를 주로 대체했다.헬리콥터를 이용하면 이러한 임무를 더 빠르고 덜 위험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호위함이 속도를 늦추거나 항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방공 역할
미 해군의 녹스급 프리깃함, 서독의 브레멘급 프리깃함, 영국 해군의 22형 프리깃함 등 1960~70년대 설계한 프리깃함에는 포인트 방어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Sea Sparrow 또는 Sea Wolf)이 소량 탑재됐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프리깃함은 전투기와 탄도 미사일의 주요 개발로 인해 "지역방위" 방공용으로 특화되었다.최근의 예로는 네덜란드 왕립 해군의 드 제븐 프로빈급 방공함과 지휘 프리깃함이 있다.이 배들은 VL 표준 미사일 2블록 IIIA로 무장되어 있는데, 골키퍼 CIWS 시스템은 하나 또는 두 개다(HNLMS 에버츠엔 골키퍼 2명이 있고, 나머지 배들은 다른 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특수 SMAR-L 레이더와 탈레스 액티브 단계별 어레이 레이더(APAR)인 VL 진화된 Sea Sparrow 미사일은 모두 방공용이다.또 다른 예는 덴마크 왕립 해군의 Iver Huitfelt급이다.[23]
추가 개발


스텔스 기술은 프랑스 라 파예트급 디자인에 의해 현대 프리깃 디자인에 도입되었다.[24]프리깃함 모양은 최소한의 레이더 단면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공기 침투도 양호하다. 이들 프리깃함의 기동성은 범선들의 기동성과 비교되어 왔다.Examples are the Italian and French Horizon class with the Aster 15 and Aster 30 missile for anti-missile capabilities, the German F125 and Sachsen-class frigates, the Turkish TF2000 type frigates with the MK-41 VLS, the Indian Shivalik, Talwar and Nilgiri classes with the Brahmos missile system and the Malaysian Maharaja Lela class with the해군 타격 미사일.
현대 프랑스 해군은 1급 호위함과 2급 호위함이라는 용어를 구축함과 운용 중인 호위함 모두에 적용하고 있다.페넌트 수는 국제적으로 프리지어로 인식된 선박의 F시리즈 번호와 전통적으로 구축함으로 인식된 선박의 D시리즈 페넌트 번호로 구분된다.이것은 프랑스 서비스에서 특정 계층을 프리깃함이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해군의 유사한 배들을 구축함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약간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이것은 또한 호라이즌급과 같은 프랑스 선박의 최근 등급이 호위함의 등급을 운반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등급에 속하게 한다.
중간 크기의 프리깃함을 뜻하는 프레게이트 드 타일레 인테르디아아르(FTI)는 프랑스 해군이 사용할 프리지트의 계획된 클래스를 설계하고 제작하기 위한 프랑스의 군사 프로그램이다.현재 이 프로그램은 5척의 선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부터는 커미셔닝이 계획되어 있다.[25]
독일 해군에서는 노후화된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프리깃함이 사용되었지만, 규모와 역할 면에서 새로운 독일 프리깃함은 이전 등급의 구축함을 능가한다.향후 독일 F125급 프리깃함은 배수량이 7200t을 넘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프리깃함이 될 것이다.첫 이지스 프리깃함인 알바로 데 바잔급 프리깃함 배치를 강행한 스페인 해군도 마찬가지였다.
미얀마 해군은 Kyan Sitta급 호위함으로 알려진 축소 레이더 단면으로 현대식 프리깃함을 생산하고 있다.콴시타급에 앞서 미얀마 해군은 아웅제야급 호위함도 생산했다.미얀마 해군의 규모는 상당히 작지만 러시아, 중국, 인도의 도움으로 현대식 유도탄 프리깃함을 생산하고 있다.그러나 미얀마 해군의 함대는 135m(442ft 11인치), 수직 미사일 발사 시스템을 갖춘 4000t급 호위함 1척 등 여러 가지 조선 프로그램을 통해 여전히 확장되고 있다.[26]
연근 전투함(LCS)
코벳과 유사한 일부 새로운 등급의 선박들은 동등한 상대들 간의 전투보다는 고속 배치와 작은 우주선과의 전투에 최적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연골 전투함(LCS)이다.2015년 현재 미국 해군의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은 모두 퇴역했으며, 그들의 역할은 부분적으로 새로운 LCS에 의해 떠맡기고 있다.LCS급 선박은 대체될 호위함급보다 작지만, 비슷한 수준의 무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승무원의 절반도 채 안 되는 보완장치를 필요로 하며 최고 속도가 40노트 이상이다. 74km/시 46mph)가 넘는다.LCS 선박의 주요 장점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임무 모듈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이다.모듈형 시스템은 또한 대부분의 업그레이드가 해안에서 수행되고 나중에 선박에 설치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선박이 최대 시간 동안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미국의 비활성화 계획은 미 해군이 1943년(기술적으로 USS 헌법은 프리깃함으로 평가되며 아직 집행 중이지만 해군력 수준에는 반영되지 않음) 이후 처음으로 함정의 호위함급이 없는 것이다.[27]
2019년부터 획득할 나머지 20척의 LCS는 프리깃으로 지정되며, 기존 개조 선박도 FF로 분류 변경될 수 있다.[28]
보존 중인 프리깃스
몇몇 프리스트들은 박물관 배로서 살아남았다.다음 구성 요소:
오리지널 항해 프리깃함
- 미국 보스턴의 USS 헌법.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임관함, 가장 오래된 임관함.[29]미 해군의 주력 기종으로 활동한다.
- 포르투갈 알마다의 NRP 돔 페르난도 2세 에 글로리아.
- 영국 하틀풀에 있는 HMS Trincomalee.
- 스코틀랜드 던디에 있는 HMS 유니콘.
복제본 항해 프리깃스
- 헤르미온느는 라파예트를 미국으로 운반한 1779년 헤르미온느의 항해 복제품이다.
- 원래 그랜드 투르크라고 이름 붙여진 에토일 뒤 로이는 1997년 TV 시리즈 Hornblower를 위해 만들어졌다.2010년 프랑스로 팔려가 '에토일 뒤 로이'로 개명했다.
- 러시아 최초의 군함을 복제한 러시아 호위함 Shtandart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 미국 샌디에이고의 HMS 서프라이즈, 영화에서 사용된 HMS 로즈의 복제품, 마스터와 커맨더: 세계의 저편.
스팀 프리깃스
- 네덜란드 덴 홀더에 있는 HNLMS 보니어.
- 덴마크 에벨토프트에 있는 덴마크 호위함 얄란트.
- 일본 호위함 카이요마루, 일본 에사시에 있는 복제품.
- 영국 포츠머스의 HMS 전사.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ARA 사미엔토 대통령.
현대는 냉전시대다양한 시대
- 덴마크 코펜하겐의 HDMS 페더 스카람.
- 호주 브리즈번의 HMAS 디아만티나.
- TCG Ege(F256)는 터키 아이즈미트에 있던 전 USS 아인스워스호였다.
- ROKS 대동(PF-63), 과거 대한민국의 USS 타코마.
- 울산(FF-951)은 대한민국 울산에 있다.
- ROKS 서울 (FF-952)은 한국의 서울에 있다.
- THMS 타친(PF-1)은 태국의 나콘나옥에 있던 USS 글렌데일호였다.
- THMS 프라사세(PF-2)는 과거 태국 라용성의 USS 갤럽이었다.
- 태국 사타읍의 HTMS 푸탈로에틀라 나팔라이.
- HTMS Phutthayotfa Chulalok, 태국 Sattahip.
- 중국 칭다오에 있는 CNS 난청(FF-502)이다.
- 중국 칭다오에 있는 CNS 잉탄(FFG-531).
- 중국 타이저우에 있는 CNS 샤먼(FFG-515).
- 영국 런던의 HMS 사장.
- 영국 런던의 HMS 웰링턴.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HMS 앰버서이드(계획)[30]
- 노르웨이 호텐의 HNoMS 나르빅.
- 말레이시아 루무트에 있는 KD항 투아.
- 미얀마 양곤의 UBS 마유
구 박물관
- 도미니카 프리깃함 멜라는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에 전시되어 있었는데, 당시 상태가 악화되어 폐기되었다.
- KD Rahmat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말레이시아 루무트에서 전시되었다.그녀는 열악한 환경 때문에 계류장에서 침몰했고, 후에 폐기되었다.
- RFS Druzhnyy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전시되었고, 박물관 계획이 무산되어 고철용으로 판매되었다.
- HMS 플리머스(F126)는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영국 비르켄헤드에 전시돼 있었는데, 이때 그녀를 운영하던 박물관이 강제로 문을 닫게 됐다.그녀는 이후 2012년에 폐기되었다.
연산자
알제리 해군은 코니급 프리깃함 3척, 아드하퍼급 프리깃함 3척, MEKO 200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해군은 에스포르라급 프리깃함/코벳 6대를 운용하고 있다.
호주 해군은 8척의 안작급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해군은 페티아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영국 바레인 해군은 미국에서 기증받은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해군은 중국에서 구매한 울산급 호위함 1척과 장웨이2급 호위함 2척, 장후급 호위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벨기에 해군은 네덜란드에서 구입한 카렐 도만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브라질 해군은 영국에서 구매한 니테로이급 프리깃함 6척과 22형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불가리아 해군은 벨기에에서 구입한 비엘링겐급 프리깃함 3척과 코니급 프리깃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캐나다 왕립 해군은 12척의 핼리팩스급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다.
칠레 해군은 영국으로부터 구매한 23식 프리깃함 3척과 22식 프리깃함 1척, 호주에서 구매한 아델라이드급 프리깃함 2척, 네덜란드에서 구매한 카렐 도먼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인민해방군 해군은 장카이 2급 프리깃함 31척, 장카이 1급 프리깃함 2척, 장웨이 2급 프리깃함 7척, 장후급 프리깃함 6척을 운용하고 있다.
중국 해안경비대는 해군으로부터 이관받은 장웨이 1급 호위함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중화민국 해군은 미국 올리버 아자르 페리급의 대만계 변종인 청궁급 프리깃함 10척, 미국으로부터 구매한 녹스급 프리깃함 6척, 프랑스 라파예트급의 대만계 변종인 강딩급 프리깃함 6척을 운용하고 있다.
콜롬비아 국가 해군은 알미란테 파딜라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덴마크 왕립해군은 테티스급 프리깃함 4척, 이버 후이트펠트급 프리깃함 3척, 압살론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에콰도르 해군은 칠레에서 구입한 콘델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집트 해군은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 2척과 녹스급 프리깃함 2척을 미국에서 구입했다.
적도 기니의 해군은 Wele-Nzas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프랑스 해군은 라파예트급 프리깃함 5척과 플로레알급 프리깃함 6척을 운용한다.
독일 해군은 브란덴부르크급 프리깃함 4척과 브레멘급 프리깃함 1척을 운용한다.
그리스 해군은 네덜란드에서 구입한 엘리급 프리깃함 9척과 하이드라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인도 해군은 시발릭급 프리깃함 3척, 탈와르급 프리깃함 6척, 브라흐마푸트라급 프리깃함 3척, 고다바리급 프리깃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마르타디나타급 프리깃함 2척과 네덜란드에서 구매한 반스피크급 프리깃함 5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란 해군은 알반드급 프리깃함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탈리아 해군은 베르가미니급 프리깃함 10척과 마에스트랄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조선인민군 해군은 나진급 호위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은 인천급 호위함 6척, 울산급 호위함 4척, 대구급 호위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리비아 해군은 코니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해군은 레키우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멕시코 해군은 미국에서 구입한 녹스급 프리깃함 4척과 레포르마도르급 프리깃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몬테네그린 해군은 코토르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프랑스로부터 주문받은 로얄 모로코 해군 플로레알급 프리깃함 2척과 타리크 벤 지야드급 프리깃함 3척.
미얀마 해군은 콴시타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이 배들은 러시아, 중국, 인도의 도움으로 만들어졌다.이 은밀한 배들은 C-802 대함 미사일로 무장되어 있다.[31]미얀마 해군은 길이 135m(442ft 11인치)에 4000t을 대체하는 프리깃함을 새로 건조 중이다.[26]미얀마도 아웅제야급 호위함 1척과 중국에서 구입한 053형 호위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네덜란드 왕립해군은 카렐 도먼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뉴질랜드 왕립해군은 안작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해군은 작전상황이 의심스럽지만 아라두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파키스탄 해군은 미국에서 구입한 중국제 줄피쿼리급 프리깃함 4척과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페루 해군은 7척의 루포급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4척은 이탈리아에서 이양되고 있다.
페루 해안경비대는 해군에서 이송된 루포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필리핀 해군은 호세 리잘급 호위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32]이들의 디자인은 한국 해군의 인천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한다.
폴란드 해군은 미국에서 구매한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포르투갈 해군은 네덜란드에서 구매한 바스코 다 가마급 프리깃함 3척과 카렐 도먼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루마니아 해군 부대는 영국으로부터 구매한 2개의 22식 호위함을 운용하고 있다.
러시아 해군은 스테레구시치(Steregushchiy)급 프리깃함/코벳 8척, 그리고로비치급 프리깃함 3척, 고르슈코프급 프리깃함 2척, 게파드급 프리깃함 2척, 크리박급 프리깃함 2척, 네우스트라시미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FSB 접경국 해안경비대는 Krivak급 프리깃함 2척을 운용하고 있다.
사우디 왕립해군은 프랑스 라파예트급의 사우디 변종인 알 리야드급 프리깃함 3척과 알 마디나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싱가포르 해군은 6척의 만만치 않은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배들은 프랑스 라 파예트급의 싱가포르 변종이다.
남아공 해군은 MEKO A200 디자인을 바탕으로 독일에서 제작된 발루르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스페인 해군, 산타 마리아급 프리깃함 5척 운영, 이 배들은 미국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의 스페인 변종이다.
스리랑카 해군은 중국에서 구매한 장웨이 1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시리아 아랍 해군은 작전상황이 의심스럽지만 페티아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태국 왕립해군은 중국에서 구매한 푸미폰 아둘랴데즈급 호위함 1척과 나레수안급 호위함 2척, 장후급 호위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터키 해군은 미국에서 구매한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 8척, 야부즈급 프리깃함 4척, 바르바로스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영국 해군은 12형식 대잠수함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다.영국의 이름을 딴 이 배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건조되었고 그들의 일생 동안 수많은 리피트와 업그레이드를 받아왔다. 비록 이 중 3척은 나중에 칠레 해군에 팔려서 다시 판매되었고 4번째는 그 후 퇴역했지만, 총 16척의 프리깃함이 건설되었다.그들은 타입 26, 타입 31, 타입 32 프리깃터로 대체될 예정이고, 마지막 타입 23은 2036년에 은퇴할 예정이다.[33][34][35]
우크라이나 해군은 Krivak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우루과이의 내셔널 해군은 포르투갈에서 구매한 주앙벨로급 호위함 1척을 운용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볼리바리안 해군은 루포급 프리깃함 6척을 운용하고 있지만, 3척만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인민해군은 페티아급 프리깃함 5척과 게파드급 프리깃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분쟁계층
이들 선박은 각국이 프리깃함으로 분류되지만 규모와 무장, 역할 등으로 국제적으로 구축함으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해군은 삭센급 프리깃함 3척과 바덴뷔르템베르크급 프리깃함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란 해군은 마우지급 호위함 3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함정은 국제적으로 호위함 또는 구축함 호위함으로 간주되고 있다.
네덜란드 왕립해군은 4대의 드제벤 프로빈급 프리깃함을 운용하고 있다.
노르웨이 왕립 해군은 난센급 호위함 4척을 운용하고 있다.
루마니아 해군은 2001년까지 구축함으로 분류된 루마니아 호위함 M măești를 운용하고 있다.
스페인 해군은 알바로 데 바잔급 프리깃함 5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전 연산자
쿠바 혁명 해군은 1998년 마지막 코니급 호위함을 해체했다.
도미니카 해군은 1998년 마지막 리버급 호위함을 해체했다.
에티오피아 해군은 1991년 에리트레아 독립에 이어 페티아급 프리깃함 2척과 훈련 호위함 에티오피아 등 전 함대를 잃었다.
에스토니아 해군은 2013년 EML 제독 피트카를 해체했다.
핀란드 해군은 1985년 마지막 리가급 호위함을 해체했다.
폴크스마린은 1990년 독일 통일과 관련해 리가급 4개 전역을 해제했다.
이스라엘 해군은 1959년에 마지막 리버급 호위함을 해체했다.
세르비아 해군과 몬테네그로는 2006년 독립과 동시에 코토르급 2척의 프리깃함을 몬테네그로로 이양했다.
스웨덴 해군은 1982년 국방 검토에 따라 비즈비급 마지막 두 척의 프리깃함을 해체했다.
미 해군은 2015년 마지막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호위함을 해체했다.
베트남 해군은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남은 트란 꽝 흐지(Tr frn Quang Khi)급 6척의 프리깃함을 필리핀으로 이양했다.일곱 번째 배는 북베트남에 포획되어 베트남 인민해군에 재입항했다.
미래발전
알제리 해군은 스테레구시치급 프리깃함 3척을 러시아에 발주했다.
호주 해군은 9척의 헌터급 프리깃함을 주문했다.이 배들은 26형 호위함의 호주 변종으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탑재하게 된다.
벨기에 해군은 현재의 카렐 두만급 프리깃함을 대체할 대잠수함전 프리깃함 2척을 건조할 계획이다.네덜란드와 공동 프로젝트다.
브라질 해군이 타만다레급 프리깃함 4척을 발주했다.이 배들은 브라질의 노령화된 니테로이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캐나다 왕립 해군은 캐나다 해상 전투기의 설계로 26형 호위함 15대를 주문할 계획이다.이 배들은 퇴역한 이로쿼이급 구축함과 핼리팩스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된다.
인민해방군 해군은 장카이 2급 프리깃함을 계속 건조하고 있다.
중화민국 해군은 노후화된 녹스급과 청궁급을 대체할 10~15척의 새로운 프리깃함을 건설할 계획이다.[36]
이집트 해군은 최근 건설 중인 베르가미니급 프리깃함 2척을 이탈리아로부터 인수했다.그들은 최근에 해체된 이집트의 장후급 프리깃함 두 개를 대체할 것이다.
핀란드 해군은 포흐잔마(Pohjanma)급 코벳 4개를 만들 계획이다.이러한 선박들은 분류에도 불구하고 핀란드 국방부에 의해 프레이그로 묘사되어 왔고 핀란드 의회에서의 분류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프랑스 해군은 현재 아미랄 로나르크급 프리깃함 5척을 건조 중이다.이 배들은 라파예트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독일 해군은 바덴뷔르템베르크급 프리깃함 1척을 추가로 취역할 예정이며 현재 브란덴부르크급 프리깃함을 대체할 MKS 180 프리깃함 4척을 건조할 계획이다.
인도 해군은 러시아로부터 불완전한 그리고로비치 장군급 프리깃함 3척을 획득할 예정이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가스터빈 엔진이 건설되고 있기 때문에 선박을 완공할 수 없었다.우크라이나는 2014년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에 엔진 공급을 거부했다.인도도 고다바리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기 위해 닐기리급 프리깃함 7척을 건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노후화된 반스피크급 프리깃함을 대체할 마르타디나타급 프리깃함을 추가로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인도네시아도 베르가미니급 프리깃함 6척과 마에스트랄급 프리깃함[37] 2척을 주문할 예정이다.
헬레닉 해군은 노후화된 엘리급 프리깃함을 교체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벨하라급 프리깃함 3척을 건조할 계획이다.네 번째 배에는 선택권이 있다.[38]
이탈리아 해군은 16개의 타온 디 리벨급 프리깃함을 건설하고 있다.이 선박들은 해체된 루포급 프리깃함과 미네르바급 코벳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이탈리아도 베르가미니급 프리깃 2명을 추가로 위촉할 계획이다.
이란 해군은 현재 무드게급 호위함 4척을 추가로 건조 중이다.
- 일본 해상자위대는 현재 모가미급 호위함 4척을건조 중이다.이 배들은 아부쿠마급 구축함 호위함을 대체하게 된다.
대한민국 해군은 현재 대구급 호위함 6척을 추가로 건조 중이다.이 배들은 노후화된 울산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된다.
멕시코 해군이 레포르마도르급 호위함 1척을 추가로 취역한다.
말레이시아 해군은 현재 마하라자 렐라급 프리깃함 6척을 건조 중이며, 현재 12척의 선박을 건조할 계획이다.
네덜란드 해군은 현재의 카렐 두만급 프리깃함을 대체할 대잠전 프리깃함 2척을 건조할 계획이다.벨기에와 공동 프로젝트다.
파키스탄 해군이 중국으로부터 장카이 2급 호위함 4척을 발주했다.이 배들은 노후화된 파키스탄의 타리크급 구축함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폴란드 해군이 미에츠니크 프리깃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했다.[39]
러시아 해군은 현재 고르쉬코프급 프리깃함 8척과 스테레구시치/그레시시치급 프리깃함/코벳 18개 이상을 추가로 건조 중이다.러시아도 슈퍼 고르쉬코프급으로 알려진 프로젝트 22350M 프리깃 1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40]
사우디 왕실 해군은 미국으로부터 자유급 연근교 전투함의 업그레이드된 네 가지 버전을 주문했다.이 배들은 노후화된 알 마디나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스페인 해군은 현재 F110급 호위함 5척을 건조할 계획이다.이 배들은 스페인의 산타 마리아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태국 왕립 해군은 현재 푸미폰 아둘랴데즈급 호위함을 추가로 건조 중이다.
터키 해군은 현재 MILGE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스탄불급 프리깃함을 건조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해군은 현재 볼로디미르 벨리키급 프리깃함 4척을 건조 중이다.이 배들은 2014년 러시아 크림반도 합병 이후 자국 해군 대부분이 포획된 이후 고갈된 우크라이나 해군 재건에 도움이 될 것이다.또한 미국은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터 2명을 우크라이나로 이양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여전히 고려 중에 있다.
영국 해군은 현재 8개의 26식 호위함을 건설하고 있다.이 배들은 계획된 31형 호위함 5척과 함께 현재 운항 중인 23형 호위함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또한 32형 호위함 5척도 왕해군의 전력을 보충할 계획이다.
미 해군은 현재 20개의 별자리급 프리깃함을 건조하고 있다.이 배들은 FREMM 다목적 프리깃함의 변종으로 해체된 올리버 아자드 페리급 프리깃함을 대체하게 된다.
참고 항목
- 프리깃함 36, 범선 디자인, 군함급 경의를 표하여 명명함
- 우달로이급 구축함, 구축함 설계가 공식적으로 프로젝트 1155 Fregat(프로젝트 1155 Fregat)로 명명되어 호위함 또는 프리깃버드(frigate bird)로 번역된다.
- 프랑스 해군의 호위병 목록
- 프리깃 클래스 목록
- 나라별 호위함 계급 목록
- 제2차 세계 대전의 프리스트
- 미국 해군 1975 선박 재분류
참조
인용구
- ^ Husseini, Talal (24 April 2019). "Frigate vs destroy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rships?". www.naval-technolog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pril 2021. Retrieved 30 March 2021.
- ^ a b 헨더슨, 제임스:프리지츠 슬롭스 & 브릭스.2005년 런던 펜앤스웨드북스.ISBN 1-84415-301-0
- ^ 로저(2004), 페이지 216.
- ^ 제프리 파커, 군사 혁명: 군사 혁신과 서부 1500–1800, 페이지 99
- ^ a b Breen, Colin; Forsythe, Wes (2007). "The French Shipwreck La Surveillante, Lost in Bantry Bay, Ireland, in 1797". Historical Archaeology. 41 (3): 41–42. doi:10.1007/BF03377053. JSTOR 25617454. S2CID 162814509.
- ^ 가디너 & 래버리(1992년), 페이지 36~37.
- ^ 가디너 & 래버리(1992년), 페이지 37.
- ^ 가디너 & 래버리(1992년), 페이지 39.
- ^ 가디너(2000), 페이지 19.
- ^ 가디너 & 래버리(1992년), 페이지 153.
- ^ 가디너(2000), 페이지 40~42.
- ^ 가디너 & 래버리(1992년), 페이지 40.
- ^ 아치발트, 로저 1997세상을 뒤흔든 여섯 척의 배.미국 발명기술 유산 13, (2) : 24.
- ^ 가디너(2000), 페이지 48~56.
- ^ Lavery (1989), 페이지 49, 298–300.
- ^ a b c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7. p. 469.
- ^ ARG. "Top 10 Frigates Military-Today.com". www.military-toda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7. Retrieved 13 July 2017.
- ^ 가디너(1980), 페이지 149.
- ^ 바우어 & 로버츠(1991), 페이지 215–217.
- ^ 바우어 & 로버츠(1991), 페이지 251–252.
- ^ 가디너 & 처블리(1995), 페이지 580–585.
- ^ "Type 23 Frigates". Royal Navy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0.
- ^ "De Zeven Provinciën classe (LCF)". Jaime Karre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8. Retrieved 24 September 2018.
- ^ "Navy Frigate Warshi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17. Retrieved 13 July 2017.
- ^ "Update to French Military Planning Law Means New Capabilities for Lafayette Class Frigates". navyrecognitio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21. Retrieved 19 December 2020.
- ^ a b Mohammad Abdur Razzak (5 February 2021). "Myanmar navy's quick m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21. Retrieved 4 January 2021.
- ^ Larter, David (2 July 2014). "Decommissioning plan pulls all frigates from fleet by end of FY '15". Militarytim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4. Retrieved 25 July 2015.
- ^ SNA: 2017년 8월 6일 웨이백 머신 뉴스에서 지정된 연근 전투함 지정USNI.org, 2015년 1월 15일
- ^ USS 헌법은 1797년에 출범했다.HMS Victory는 1778년부터 21년까지 가장 오래된 임관(현역) 선박이지만 1922년부터 건조부두에 몸담고 있다.
- ^ "HMS Ambuscade is Coming Ho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22. Retrieved 11 January 2022.
- ^ "Myanmar commissions first frigate with reduced RCS - IHS Jane's 360". Janes.com. 1 April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February 2022. Retrieved 18 June 2014.
- ^ "PH's 2nd missile frigate certified 'ready for delivery'". Philippine News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anuary 2021. Retrieved 29 January 2021.
- ^ Staff, Naval News (29 May 2019). "Lockheed Martin details Chilean Navy Type 23 frigates upgrade". Naval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21. Retrieved 25 February 2021.
- ^ "City Class Royal Navy". www.royalnavy.mod.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21. Retrieved 25 February 2021.
- ^ "Duke Class Royal Navy". www.royalnavy.mod.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21. Retrieved 25 February 2021.
- ^ Hsu, Tso-Juei (12 December 2020). "Taiwan's CSBS Unveils New Frigate Design For ROC Navy". Naval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21. Retrieved 25 June 2021.
- ^ "WILL PROVIDE 8 VESSELS TO INDONESIA". Fincantieri. 10 June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22. Retrieved 14 February 2022.
- ^ "Greece Signs MOU with Naval Group and MBDA for FDI Frigates". 28 Septem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21. Retrieved 28 September 2021.
- ^ "Poland Signs Agreement for Miecznik Frigates". Defence24.com. 27 Jul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21. Retrieved 20 August 2021.
- ^ "Russia to Start Construction of New Project 22350M Frigate in 2024". 24 Septem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21. Retrieved 28 September 2021.
원천
- Bauer, K. Jack; Roberts, Stephen S. (1991).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ISBN 978-0-313-26202-9.
- 베넷, G.(2001)반즐리 (2004) 트라팔가 전투.ISBN 1-84415-107-7
- Constam, Angus & Bryan, Tony, British Napoleonic Ship-of-the-Line, Osprey 출판, 184176308X
- Gardiner, Robert (2000). Frigates of the Napoleonic Wars. London: Chatham Publishing.
- Gardiner, Robert, ed. (1980).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22–1946. New York: Mayflower Books. ISBN 0-8317-0303-2.
- Gardiner, Robert; Chumbley, Stephen, eds. (1995).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47–1995. London: Conway Maritime Press. ISBN 978-1-55750-132-5.
- Gardiner, Robert; Lambert, Andrew, eds. (2001). Steam, Steel and Shellfire: The Steam Warship, 1815–1905. Conway's History of the Ship. Book Sales.
- Gardiner, Robert; Lavery, Brian, eds. (1992). The Line of Battle: The Sailing Warship 1650–1840. London: Conway Maritime Press.
- Gresham, John D. (February 2002). "The swift and sure steeds of the fighting sail fleet were its dashing frigates". Military Heritage. Vol. 3, no. 4. pp. 12–17, 87.
- 램버트, 앤드류 (1984) 트랜지션 중인 전함, 증기 배틀플릿 1815–1860의 창조, 콘웨이 해상통신, ISBN 0-85177-315-X를 발행했다.
- Lavery, Brian (1989).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sation 1793–1815. Annapolis, MD: Naval Institute Press. ISBN 978-1-59114-611-7.
- 래버리, 브라이언. (1983) 선의 배, 제1권: 배틀플릿의 개발, 1650–1850.아나폴리스, MD: 해군 연구소 프레스, ISBN 0-87021-631-7.
- Lavery, Brian. (1984) 선의 배, 제2권: 설계, 시공 및 부속품.아나폴리스, MD: 네이비 Institute Press, ISBN 0-87021-953-7.
- Lavery, B. (2004) Ship, Dorling Kindersley, Ltd. ISBN 1-4053-1154-1.
- A.T. (2007) 해양 동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660–1783, 코시모, 주식회사.
- 메리어트, 레오.영국 해군 프리깃스 1945–1983년, 이안 앨런, 1983년 ISBN 0-710-1322-5.
- 맥파르쿠하르, 콜린 & 글리그, 조지(eds), (1797)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또는, 예술, 과학, 잡문학 사전, 런던, 제17권 제3판.
- Rodger, N.A.M. (2004). The Command of the Ocean, a Naval History of Britain 1649–1815. London. ISBN 0-7139-9411-8.
- 손다이오스, L. 해전, 1815–1914.
- 윈필드, 리프(1997) 50군함.런던: 콕스턴 에디션, ISBN 1-84067-365-6, ISBN 1-86176-025-6.
외부 링크
![]() | 무료 사전인 Wiktionary에서 프리깃함을 찾아 보십시오.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프리게이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battleships-cruisers.co.uk의 프리깃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프리깃대의 역사와 사진
- 구축함 온라인의 프리깃함 – 1963년 이후 미국 프리깃함의 사진, 역사, 승무원
- 카랙에서 풀리거로 이어지는 풀리브 선박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