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Page protected with pending changes

벨보잉 V-22 오스프리

Bell Boeing V-22 Osprey
V-22 오스프리
2014 Miramar Air Show에서 MAGTF 시연 중 사용된 MV-22
역할. 틸트로터 군 수송기
국가원산지 미국
제조자 벨 헬리콥터
보잉 디펜스, 스페이스 & 시큐리티
첫 비행 1989년 3월 19일
서론 2007년[1] 6월 13일
상황 근무중
주사용자 미국 해병대
미국 공군
미국 해군
일본 지상 자위대
제작 1988~현재
번호작성 2020년[2] 기준 400
에서 개발됨 벨 15-15

벨 보잉 V-22 오스프리는 수직이착륙(VTOL)과 단거리이착륙(STOL) 기능을 모두 갖춘 미국의 멀티미션 틸트로터 군용기입니다. 터보프롭 항공기의 장거리 고속 순항 성능에 기존 헬기의 기능을 결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980년 이란 인질극 당시 독수리 발톱 작전의 실패는 재래식 헬리콥터도 고정익 수송기도 적합하지 않은 군사적 역할이 있었음을 강조했습니다. 미국 국방부(DoD)는 장거리, 고속, 수직 이륙 능력을 갖춘 혁신적인 수송기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1981년 JVX(Joint-Service Vertical 이착륙 실험) 프로그램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벨 헬리콥터보잉 헬리콥터의 파트너십은 1983년 V-22 틸트로터 항공기에 대한 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벨보잉 팀은 공동으로 항공기를 생산합니다.[3] V-22는 1989년에 처음 비행을 시작했고, 비행 테스트와 설계 변경을 시작했습니다. 군복무를 위한 최초의 틸트로터라는 복잡함과 어려움으로 인해 여러 해 동안 개발되었습니다.

미국 해병대(USMC)는 2000년부터 MV-22B 오스프리에 대한 승무원 교육을 시작하여 2007년에 실전배치하였고, 이후 보잉 버톨 CH-46나이츠를 대체하였습니다. 미 공군은 2009년에 틸트로터의 버전인 CV-22B를 발사했습니다. 해병대와 공군에 입대한 이래, 오스프리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쿠웨이트 상공의 수송 및 의료 작전에 투입되어 왔습니다. 미국 해군은 2021년부터 CMV-22B를 항공모함 탑재 임무에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발전

Early concept illustrations of V-22 from late 1980s timeframe. The top view is an isometric view. Front, side and top views are shown below with a view of the wing folded.
V-22의 초기 개념 그림

오리진스

1980년 이란 인질 구출 임무인 독수리 클로 작전의 실패는 미군에게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투병력을 운반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항공기"의[4][5] 필요성을 보여주었습니다.[6] 또한 집중력은 핵무기 하나에 취약합니다. 빠른 속도와 범위를 가진 공중 솔루션은 이러한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빠른 분산을 가능하게 합니다.[7] 미 국방부는 이러한 전술적 역할을 채울 수 있는 항공기를 만들려는 의도로 [8] 육군 주도하에 1981년 JVX 항공기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citation needed]

USMC의 확립된 전술적 목적은 JVX 프로그램이 촉진하기로 약속한 수륙양용 상륙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USMC의 주요 헬리콥터 모델인 CH-46 나이트는 노후화되었고, 대체품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9] CH-46이 없으면 USMC의 수륙양용 능력이 크게 저하될 것이기 때문에, USMC 지도부는 해병대와 육군을 합병하자는 제안을 믿을 만한 위협으로 여겼습니다.[10][11] 이 잠재적 합병은 제2차 세계대전트루먼 대통령의 제안과 유사했습니다.[12] 국방부와 해군부는 틸트로터 프로젝트에 반대했지만, 의회의 압력이 프로그램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13]

해군과 USMC는 1983년에 선두를 차지했습니다.[8][14][15] JVX는 USMC, USAF, 육군 및 해군의 요구사항을 통합했습니다.[16][17] 예비 설계 제안서는 1982년 12월에 발행되었습니다. Aerospatiale, Bell Helicopter, Boeing Vertol, Grumman, Lockheed, Westland가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계약자들은 팀을 구성하도록 권장되었습니다. 1983년 2월 17일, 벨은 보잉 베르톨과 협력하여 벨 XV-15 시제품의 확대 버전을 제안했습니다. 이것이 JVX 프로그램이 받은 유일한 제안이었기 때문에 1983년 4월 26일에 예비 설계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18][19]

1985년 1월 15일, JVX 항공기는 V-22 오스프리로 지정되었고, 그 해 3월까지 최초 6대의 시제품이 생산되었으며, 보잉 버톨은 작업량을 처리하기 위해 확장되었습니다.[20][21] 생산 작업은 벨과 보잉이 분담하고 있습니다. 벨 헬리콥터는 날개, 나셀, 로터, 구동 시스템, 꼬리 표면 및 경사로를 제조 및 통합하고 롤스로이스 엔진을 통합하여 최종 조립을 수행합니다. 보잉 헬리콥터는 동체, 조종석, 항공전자, 비행 제어 장치를 제조하고 통합합니다.[3][22] USMC 변종은 MV-22, USAF 변종은 CV-22를 받았습니다. 이것은 USMC 오스프리가 항공모함과 충돌하는 CV 지정을 막기 위해 일반적인 절차에서 변경되었습니다.[23] 본격적인 개발은 1986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24] 1986년 5월 3일, 벨 보잉은 미국 해군으로부터 V-22에 대한 17억 1400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4개의 미군 부대는 모두 V-22에 대한 인수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25]

최초의 V-22는 1988년 5월에 공개적으로 출시되었습니다.[26][27] 그 해 미 육군은 보다 즉각적인 항공 프로그램에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는 이유로 프로그램을 떠났습니다.[8] 1989년, V-22는 취소될 수도 있었던 두 개의 상원 투표에서 살아남았습니다.[28][29] 상원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국방부는 해군에게 V-22에 더 많은 돈을 쓰지 말라고 지시했습니다.[30] 1988년 개발비 예상치가 크게 증가하자, 체니 국방장관은 1989년부터 1992년까지 개발비를 지원하려 했으나,[14][31] 요청하지 않은 프로그램 자금을 지원한 의회에 의해 기각되었습니다.[32] 대안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 V-22는 유사한 운영 비용으로 더 많은 기능과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3] 클린턴 행정부는 V-22를 지원하여 자금 지원에 도움을 주었습니다.[14]

비행시험 및 설계변경

최초의 원형은 1989년 3월 19일 헬리콥터 모드로[34] 비행했고, 1989년 9월 14일 고정익 모드로 비행했습니다.[35] 세 번째와 네 번째 시제품은 1990년 12월 USS 와스프에 대한 첫 번째 해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36]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프로토타입은 1991-92년에 추락했습니다.[37] 1992년 10월부터 1993년 4월까지 V-22는 빈 무게를 줄이고 제조를 단순화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재설계되었으며 V-22B로 명명되었습니다.[38] 1993년 6월 시제품에 안전성이 변경된 후 비행이 재개되었습니다.[39] 벨 보잉은 1994년 6월 엔지니어링 제조 개발(EMD) 단계에 대한 계약을 받았습니다.[38] 시제품도 V-22B 표준과 비슷하게 수정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테스트는 비행 봉투 확장, 비행 하중 측정 및 EMD 재설계 지원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초기 V-22를 사용한 비행 테스트는 1997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40]

Four U.S. Marine paratroopers jump from the rear loading ramp of an MV-22 Osprey.
미 해병대원들이 오스프리에서 뛰어내립니다.

4대의 본격적인 개발 V-22의 비행 시험은 메릴랜드주 패툭센트 리버에 있는 해군 항공전 시험 센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첫 EMD 비행은 1997년 2월 5일에 이루어졌습니다. 테스트가 곧 예정보다 늦어졌습니다.[41] 1997년 4월 28일에 주문된 4대의 저율 초기 생산 항공기 중 첫 번째는 1999년 5월 27일에 인도되었습니다. 두 번째 해상 시험은 1999년 1월 USS 사이판에서 완료되었습니다.[24] 1999년 4월 외부 하중 시험 중, V-22가 경량 M777 소총을 운반했습니다.[42][43]

2000년에는 두 차례의 치명적인 추락사고가 발생해 총 23명의 해병대원이 사망했고, 추락사고의 원인을 조사하고 다양한 부품을 재설계하는 과정에서 V-22는 다시 지상으로 추락했습니다.[31] 2005년 6월, V-22는 장거리 배치, 고고도, 사막 및 선상 운영을 포함한 최종 운영 평가를 완료했습니다. 이전에 확인된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44]

미국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NAVAIR)는 최고 속도를 250노트(460km/h, 290mph)에서 270노트(500km/h, 310mph)로 늘리고 헬리콥터 모드 고도 제한을 10,000피트(3,000m)에서 12,000피트(3700m) 또는 14,000피트(4,300m)로 늘리고 리프트 성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작업을 했습니다.[45] 2012년까지 나셀의 수압 화재, 와류 고리 상태 제어 문제, 착륙 반대 등에 대응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스가 변경되었으며,[46][47] 그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되었습니다.[48]

MV-22는 2012년 10월 평가에서 니미츠에 착륙하여 연료를 주입했습니다.[49] 2013년에 해리 S에 대한 화물 취급 시험이 발생했습니다. 트루먼.[50] 2015년 10월, NAVAIR은 항모에 착륙과 이륙을 시험했고 항모 탑재를 준비했습니다.[51]

논란

개발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논란이 많았는데,[52] 부분적으로 큰 비용 증가 때문에 일부는 배에 맞도록 날개와 회전기를 접어야 하는 요구사항 때문에 발생했습니다.[53] 개발 예산은 1986년에 25억 달러로 처음 책정되었으며, 1988년에 예상되는 300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31] 2008년까지 270억 달러가 지출되었고 계획된 생산 수치에 272억 달러가 더 필요했습니다.[24] 2008년과 2011년 사이에 V-22의 예상 수명 비용은 61% 증가했으며, 대부분 유지 보수 및 지원에 사용되었습니다.[54]

[V-22]의 생산 비용은 동등한 능력을 가진 헬리콥터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탑재량이 더 크고 무거운 장비를 운반할 수 있는 CH-53E보다 약 2배 더 큽니다. ... 오스프리 유닛의 생산 비용은 약 6천만 달러가 들 것입니다. 그리고 헬기에 해당하는 3,500만 달러입니다.[55]

Michael E. O'Hanlon, 2002
A V-22 with its wing rotated 90 degrees so it runs the length of the fuselage.
2002년 해군 평가에서 소형 저장장치 구성의 V-22

2001년, 해병대 비행장리버의 V-22 비행대대장인 오딘 레버먼 중령은 그의 부대에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유지 보수 기록을 위조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전역했습니다.[24][56] 세 명의 경찰관이 위조 사건에 연루되어 있었습니다.[52]

2007년 10월, 타임지의 기사는 V-22가 안전하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부적절하다고 비난했고,[57] USMC는 기사의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구식이고, 부정확하며, 새로운 항공기 분야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58] 2011년, 논란이 되고 있는 방산업계의 지원을 받는 렉싱턴 연구소[59][60][61] 지난 10년간 비행시간당 평균 사고율이 USMC 회전익기 중 가장 낮았다고 보고했습니다. 평균 비행편 사고율의 약 절반입니다.[62] 2011년, Wired 잡지는 안전 기록에 지상 사고는 제외되어 있다고 보도했고,[63] USMC는 MV-22 보고가 다른 해군 항공기와 동일한 기준을 사용했다고 응답했습니다.[64]

2012년까지 USMC는 함대 전체 준비율이 68%[65]로 증가했다고 보고했지만, DOD의 감사관은 나중에 200개 보고서 중 167개가 "부적절하게 기록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66] 리처드 울쉬 대위는 실수가 "악의적이지 않다"거나 고의적이었다고 말하며 무능의 탓으로 돌렸습니다.[67] 요구되는 임무수행능력 비율은 82%였지만, 2007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평균 53%였습니다.[68] 2010년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는 2018년까지 85%의 신뢰도를 목표로 했습니다.[69]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준비율은 25% 상승하여 "높은 80대"를 기록한 반면,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문제를 진단하는 데 중점을 둔 엄격한 유지 보수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비행 시간당 비용은 20% 하락한 9,520달러를 기록했습니다.[70] 2015년 기준으로 V-22는 기존 헬기에 비해 유지보수가 많이 필요하고 가용성(62%)도 낮지만 사고 발생률도 낮습니다. 시코르스키 CH-53E 슈퍼 스탤리온은 2007년 비행 시간당 평균 비용이 약 20,000달러(~2022년에는 약 27,331달러)인 [71]반면, 비행 시간당 평균 비용은 9,156달러입니다.[72] V-22 소유 비용은 2013년 시간당 83,000달러였습니다.[73] 2022년 미 국방부는 비행 시간당 비용을 23,941달러로 평가했습니다.[74]

헬리콥터 모드에서 두 엔진이 모두 고장나면 기술적으로 자동 회전이 가능하지만 안전한 착륙은 어렵습니다.[75] 2005년, 미 국방부 시험국 국장은 1,600피트(490m) 아래를 맴도는 동안 전력 손실로 인해 비상 착륙은 "생존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V-22 조종사 저스틴 "문" 맥키니 대위는 "우리는 그것을 C-130처럼 비행기로 바꾸어 활공할 수 있습니다."[57]하나의 엔진이 상호 연결된 구동축을 통해 양쪽 프로모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동력이 완전히[57] 손실되면 두 엔진 모두 고장이 발생합니다.[76] VRS(vortex ring state)가 치명적인 V-22 사고의 원인이 되었지만, 비행 테스트 결과 기존 헬리콥터보다 VRS에 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 GAO 보고서는 V-22가 VRS 동안 "기존 헬리콥터보다 덜 관대하다"고 말했습니다.[77] VRS 특성을 탐색하기 위한 여러 테스트 비행이 취소되었습니다.[78] USMC는 VRS를 인식하고 복구하는 조종사를 훈련시키고, VRS 조건을 피할 수 있도록 조작 포락선 제한과 계측을 도입했습니다.[31][79]

생산.

KC-130J 허큘리스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서 오스프리를 급유하고 있습니다.

2005년 9월 28일, 국방부는 정식으로 완전 생산을 승인했고,[80] 연간 11대의 V-22에서 2012년까지 연간 24대에서 48대 사이로 증가했습니다. 총 458대의 계획 중 360대는 USMC용, 50대는 USAF용, 48대는 해군용으로 개발비를 포함해 항공기 1대당 평균 1억 1천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됩니다.[24] V-22는 2008년에 항공기 한 대당 6,700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했으며,[81] 해군은 2013년에 5년간 생산 계약을 통해 약 1,0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기를 희망했습니다.[82] 2014 회계연도 예산에서 각 CV-22의 비용은 7,300만 달러(~2022년에는 8,930만 달러)입니다.[83]

2010년 4월 15일,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는 벨 보잉사에 항공전자 기술의 노후화에 대응하여 통합 프로세서를 설계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4,210만 달러(~2022년 5,540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84] 2014년에 레이시온은 상황 인식블루 포스 추적 기능을 포함하는 항공전자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85] 2009년에는 Bell Boeing사에 Block C 업그레이드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86] 2012년 2월, USMC는 새로운 레이더, 추가 임무 관리 및 전자전 장비를 갖춘 최초의 V-22C를 받았습니다.[87] 2015년에는 모든 항공기를 V-22C 표준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옵션을 검토했습니다.[88]

2013년 6월 12일, 미국 국방부는 2019년 9월 완공을 위해 미국 MC용 MV-22 92대를 포함한 생산 로트 17호와 18호에서 99대의 V-22에 대해 49억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89] 이 조항은 NAVAIR에 23대의 오스프리를 더 주문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90] 2013년 6월 기준으로 모든 계약의 가치를 합하면 총 65억 달러에 달합니다.[91] 2013년, 벨은 미국의 주문이 계획된 수의 절반 정도로 줄어들자 제작진을 해고했습니다.[92][93] 생산율은 2012년 40대에서 2015년 22대로 계획되었습니다.[94] 제조 로봇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오래된 자동화 기계를 대체했습니다. 큰 부품은 흡입 컵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고 전자적으로 측정됩니다.[95][96]

2014년 3월, 공군 특수작전사령부는 V-22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갑옷에 대한 전투 임무 필요성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NAVAIR는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복합 갑옷 회사 및 육군 항공 개발국과 협력하여 2014년 10월까지 첨단 탄도 정지 시스템(ABSS)을 개발 및 제공했습니다. 27만 달러의 비용이 드는 ABSS는 내부 격벽과 갑판을 따라 장착되는 66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공기 무게에 800파운드(360kg)를 추가하여 탑재물과 범위에 영향을 미칩니다. ABSS는 필요할 때 몇 시간 안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특정 부위를 부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조각으로 조립할 수 있습니다. 2015년 5월 현재 16개의 키트가 USAF에 전달되었습니다.[97][98]

2015년, 벨 보잉은 F-35의 자율 물류 정보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비행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항공기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주 리들리 파크에 V-22 준비 작전 센터를 설립했습니다.[99]

설계.

개요

A closeup of an MV-22B's rotor and engine tilted slightly upward.
MV-22B의 로터 및 엔진 클로즈업

오스프리는 세계 최초의 생산용 틸트로터 항공기로 [100]각 날개 끝에 3개의 블레이드로 된 프로모터, 터보샤프트 엔진, 변속기 나셀이 장착되어 있습니다.[101] 미국 연방항공청동력 리프트 항공기로 분류하고 있습니다.[102] 이착륙을 위해, 그것은 일반적으로 나셀이 수직이고 회전자가 수평인 헬리콥터로 작동합니다. 나셀은 공중에 뜨면 수평 비행을 위해 12초 만에 90° 전방으로 회전하여 V-22를 터보프롭 항공기처럼 보다 연료 효율적이고 고속의 항공기로 바꿉니다.[103] STOL 롤링 이착륙 기능은 나셀을 최대 45°[104][105]까지 전방으로 기울임으로써 달성됩니다. 다른 오리엔테이션도 가능합니다.[106] 조종사들은 비행기 모드에서 V-22를 C-130과 비슷한 느낌과 속도로 설명합니다.[107] 2,100nmi 이상의 페리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동 범위는 1,100nmi입니다.[108]

복합 재료기체의 43%를 구성하며 프로모터 블레이드도 복합 재료를 사용합니다.[104] 보관을 위해 V-22의 로터는 90초 만에 접히고 날개가 회전하여 동체와 앞뒤로 정렬됩니다.[109] 접이식 로터의 요구사항 때문에 직경이 38피트(11.6m)로 이 크기의 항공기가 수직 이륙을 수행하기에 최적인 것보다 5피트(1.5m) 적으므로 디스크 부하가 높아집니다.[106] 대부분의 임무는 고정익 비행을 75% 이상 사용하여 마모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합니다. 이 고정 날개 비행은 일반적인 헬리콥터 임무보다 더 높아 지휘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해 더 긴 거리의 가시선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24]

V-22의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열은 선박의 비행 갑판과 코팅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NAVAIR는 엔진 아래에 설치된 휴대용 열 차단막의 임시 고정 장치를 고안했고, 장기적인 해결책은 내열 코팅, 수동 열 차단막, 선박 구조 변경으로 갑판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F-35B 운영에도 비슷한 변화가 필요합니다.[110] 2009년 DARPA는 견고한 비행 갑판 냉각을 설치하기 위한 솔루션을 요청했습니다.[111] 써미온(Thermion)이라는 이름의 내열성 미끄럼 방지 금속 스프레이가 USS 와스프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112]

추진력

V-22의 Rolls-Royce AE 1107C 엔진 2개는 공통 중앙 기어박스에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어 엔진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하나의 엔진이 양쪽 프로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76] 어느 쪽 엔진이든 날개 구동축을 통해 양쪽 프로모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75] 그러나 V-22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엔진에서 맴돌 수 없습니다.[113] 프로모터 기어박스가 고장나면 해당 프로모터를 장착할 수 없으며 비상 착륙 전에 두 엔진을 모두 정지시켜야 합니다. 로터의 관성이 낮아 자동 회전 특성이 좋지 않습니다.[75] AE 1107C 엔진은 14단 압축기, 유출 냉각 환형 연소기, 2단 가스 발전기 터빈, 2단 동력 터빈을 갖춘 2축 축 설계입니다.[114]

회전자가 기울어진 V-22, 프로펠러 끝에서 응축 후행

2013년 9월, Rolls-Royce는 새로운 Block 3 터빈의 채택, 연료 밸브의 유량 증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AE-1107C 엔진의 출력을 17% 증가시켰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고고도, 고열 조건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탑재물의 최대 제한을 6,000~8,000ft(1,800~2,000ft)에서 증가시켜야 합니다.400m). 블록 4 업그레이드가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전력을 최대 26%까지 증가시켜 거의 10,000 shp(7,500 kW)를 생산하고 연료 소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15]

2014년 8월, 미군은 AE-1107C 엔진의 잠재적인 투하 교체를 위한 정보 요청을 발표했습니다. 제출물은 15,000rpm에서 6,100shp(4,500kW) 이상의 전력 정격을 가져야 하며, 화씨 130도(섭씨 54도)에서 최대 25,000ft(7,600m)에서 작동해야 하며, 최소한의 구조적 또는 외부 수정을 통해 기존 날개 나셀에 장착해야 합니다.[116] 2014년 9월, 이미 기체에 엔진을 별도로 구매하는 미 해군은 비용 절감을 위해 대체 엔진 공급업체를 검토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117] General Electric GE38Sikorsky CH-53K King Stallion과 공통성을 제공하는 하나의 옵션입니다.[118]

V-22의 최대 로터 다운워시 속도는 80노트(92mph; 150km/h) 이상으로 허리케인의 하한 64노트(74mph; 119km/h)[119][120]보다 높습니다. 로터 워시는 일반적으로 우현 도어의 호버링을 방지하며, 리어 램프는 래핑 및 호버링에 사용됩니다.[75][121] V-22는 날개의 기류 저항 때문에 헬리콥터 모드로 작동할 때 틸트윙 설계보다 수직 리프트가 10% 손실되는 반면 틸트로터 설계는 짧은 이착륙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122] V-22는 서로의 로터 웨이크를 피하기 위해 최소한 25ft(7.6m)의 수직 분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난류를 유발하고 잠재적인 제어 손실을 초래합니다.[98]

항전학

2012 Wings over Gillespie에 전시된 MV-22 조종석

V-22에는 4개의 다기능 디스플레이([75]MFD, 야간 투시경과 호환)와 1개의 공유 중앙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합된 유리 콕핏이 장착되어 있으며, 디지털 지도, Turreted 전방 적외선 시스템[123] 주 비행 계기의 이미지, 내비게이션(TACAN, VOR, ILS, GPS, INS), 그리고 시스템 상태. 조종석 관리 시스템의 비행 책임자 패널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외에 파일럿 상호 작용 없이 전방 비행에서 항공기를 50피트(15m) 상공으로 이동시키는 완전 결합(자동 조종) 기능을 허용합니다.[124] 동체는 가압되지 않으며, 작업자는 10,000피트 이상의 기내 산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75]

V-22에는 이중화된 플라이 바이 와이어 비행 제어 시스템이 있으며, 손상 부위를 자동으로 격리하기 위한 컴퓨터 손상 제어 시스템이 있습니다.[125][126] 나셀이 90° 변환 모드에서 똑바로 위로 향하게 되면 비행 컴퓨터는 헬리콥터처럼 비행하도록 명령하고, 회전자 허브에 있는 기존의 사판에 주기적인 힘을 가합니다. 나셀을 비행기 모드(0°)로 사용할 경우 비행기와 비슷한 비행기, 방향타, 엘리베이터가 날아갑니다. 이는 나셀의 회전 범위에 걸쳐 점진적인 전환으로, 나셀이 낮을수록 비행기 모드 제어 표면의 효과가 더 커집니다.[127] 나셀은 후방 비행을 위해 수직을 지나 97.5°까지 회전할 수 있습니다.[128][129] V-22는 이륙 시 80°의 나셀과 함께 "80 점프" 방향을 사용하여 높은 고도와 속도를 빠르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106] 컨트롤에 손을 대지 않아도 낮은 바람에서 공중을 맴돌 수 있는 정도로 컨트롤이 자동화됩니다.[106][75]

새로운 USMC V-22 조종사는 틸트로터 전에 헬리콥터와 다기관 고정익 항공기를 조종하는 법을 배웁니다.[130] 일부 V-22 조종사들은 헬리콥터 사용자들보다 전직 고정익 조종사들이 선호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조종사들은 공중에서 조종을 지속적으로 조정하는 훈련을 받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헬리콥터의 호버링과 정밀도에 대한 경험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106][75] 2021년 4월 현재 미군은 고정익 조종사나 헬리콥터 조종사가 V-22로 더 쉽게 전환하는지 추적하지 않는다고 V-22 프로젝트 매니저인 USMC 대령 매튜 켈리는 말했습니다. 그는 고정익 조종사들은 기구 비행에 더 능숙하고, 헬리콥터 조종사들은 기체가 느리게 움직일 때 밖에서 스캔하는 것에 더 능숙하다고 말했습니다.[107]

무장

V-22는 후방 적재 램프에 7.62×51mm NATO(.308 구경) M240 기관총 1발 또는 .50 구경(12.7mm) M2 기관총 1발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코 아래에 장착된 12.7 mm(.50 in) GAU-19 3-배럴 개틀링 건이 연구되었습니다.[131] BAE Systems는 배에 장착되고 원격으로 작동되는 포탑 시스템인 IDWS([132]Intermediate Defense Weapon System)를 개발했습니다.[133] 포병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되며, 컬러 텔레비전과 전방을 주시하는 적외선 이미지를 사용하여 별도의 포드를 통해 목표물을 획득합니다.[134] IDWS는 2009년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된 V-22의 절반에 설치되었으며,[133] 800파운드(360kg)의 무게와 제한적인 교전 규칙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135]

M240 machine gun mounted on V-22 loading ramp with a view of Iraq landscape with the aircraft in flight
2007년 이라크 V-22 적재 램프에 장착된 M240 기관총

2012년 6월에 32대의 IDWS가 USMC에 제공되었으며, V-22는 추가된 무게로 인해 화물 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이를 사용하지 않고 비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V-22의 속도는 기존의 지원 헬리콥터를 능가하기 때문에 장거리 독립 작전에서 자주적인 방어 능력이 필요했습니다. 적외선 총기 카메라는 정찰 및 감시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현재 경사로에 장착된 기관총과 IDWS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노즈건, 도어건, 치명적이지 않은 대응 수단을 포함한 모든 사분면의 화기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무기들이 연구되었습니다.[136]

2014년, USMC는 AGM-114 헬파이어, AGM-176 그리핀, 합동 공대지 미사일, GBU-53/B SDB II와 유사한 "전축, 스탠드오프, 정밀 능력"을 갖춘 새로운 무기를 연구했습니다.[137] 2014년 11월, 벨 보잉은 V-22를 전면 동체에 주탑을 장착하고, AN/AAQ-27A EO 카메라를 L-3 웨스캠 MX-15 센서/레이저 지정기로 교체하는 등 자체적으로 무기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유도되지 않은 히드라 70 로켓 26발과 유도된 APKWS 로켓 2발, 그리핀 B 미사일 2발이 5차례에 걸쳐 발사됐습니다. USMC와 USAF는 헬멧 장착 조준경과 연결된 횡단 가능한 코 장착 무기를 추구했습니다. 전방을 향하는 총을 통합하는 복잡한 반동입니다.[138] 주탑은 300파운드(140kg)의 군수품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139] 그러나 2019년까지 USMC는 새로운 무기를 채택하는 것보다 IDWS 업그레이드를 선택했습니다.[140]

급유능력

보잉은 V-22에 다른 항공기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롤온/롤오프 공중급유 키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와스프급 수륙양용 강습상륙함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공중급유 능력을 갖추면 F-35B의 타격력이 높아져 니미츠급 대형 항공모함이나 육상기지만을 기반으로 한 급유 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집니다. 롤온/롤오프 키트는 ISR(정보, 감시 정찰) 기능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141] 보잉은 2013년 9월 5일 F/A-18로 시제품 키트를 테스트하는 데 성공했습니다.[142]

호스/드로그 급유 시스템의 고속 버전은 185노트(213mph; 343km/h)로 전개할 수 있으며 최대 250노트(290mph; 460km/h)까지 작동할 수 있습니다. 탱크와 롤 온/롤 오프 블래더 하우스를 혼합하여 최대 12,000lb(5,400kg)의 연료를 공급합니다. 경사로가 열려 호스를 연장한 다음, 일단 연장되면 상승해야 합니다. 회전익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헬리콥터와 개조된 나셀에 의해 사용되는 별도의 드로그가 필요합니다.[143] 많은 USMC 지상 차량은 항공 연료로 운행할 수 있습니다. V-22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14년 말, 2017년까지 V-22 유조선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144] 계약 지연으로 인해 IOC는 2019년 말로 밀렸습니다.[145] 2016년 5월 26일 보잉과의 계약에 따라,[146] 코밤은 2016년 10월 KC-130에서 사용하는 FR-300 호스 드럼 유닛을 개조하기로 계약했습니다.[147] 해군이 이 능력에 관심을 표명하지는 않았지만 나중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148]

운영이력

2019년 10월, 미군이 운용하는 V-22 375대의 함대가 50만 비행시간대를 돌파했습니다.[149]

미 해병대

Ground crew refuel an MV-22 before a mission in central Iraq at night. The rotors are turning and the tips are green, forming green circles.
2008년 이라크에서 야간 임무를 수행하기 전 MV-22를 주유하고 있는 승무원들

VMMT-204는 2000년 3월부터 이 유형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2005년 12월, 제2해병원정군 사령관 제임스 아모스 중장은 MV-22의 첫 번째 배치를 수락했습니다. 이 부대는 2006년 3월 VMM-263으로 재지정된 최초의 MV-22 편대로 재활성화되었습니다. 2007년, HMM-266은 해병대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 266(VMM-266)[150]이 되어 초기 작전 능력에 도달했습니다.[1] 2007년에 CH-46 Sea Knight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CH-46은 2014년 10월에 퇴역했습니다.[151][152] 2007년 4월 13일, USMC는 이라크 알 아사드 공군기지에서 첫 번째 V-22 전투 배치를 발표했습니다.[153][154]

이라크 안바르 주에 있는 V-22는 수송 및 정찰 임무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라크 주둔 미군의 최고 사령관인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장군은 2007년 크리스마스에 군대를 방문할 때 사용했습니다.[155] 2008년 대통령 선거 유세에서 버락 오바마도 마찬가지였습니다.[156] USMC 콜. 켈리는 방문객들이 낯선 항공기를 타고 비행하는 것을 꺼렸지만, 지상에서 비행하는 속도와 능력을 본 후 "갑자기 비행 일정이 모두 예약되었습니다. V-22를 타고 비행할 수 없다면 아무도 가고 싶어하지 않았습니다."[107]라고 말했습니다. 예비군을 확보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157] 2008년 7월까지, V-22는 이라크에서 총 5,200시간동안 3,000여대의 비행을 하였습니다.[158] 조지 J. 트라우트만 3세 장군은 "그의 전투 공간을 텍사스 크기에서 로드 아일랜드 크기로 바꿨다"며 기존 헬리콥터보다 더 빠른 속도와 사거리를 칭찬했습니다.[159]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방공 시스템과 소형 무기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2009년 말까지 적의 공격으로 인해 아무도 잃지 않았습니다.[160]

미국 해병대 MV-22 2대 VMM-161 상륙 2012년 아프가니스탄 전방작전기지

2009년 1월까지 이라크에 있는 12대의 MV-22는 모든 임무를 완수했으며 임무 수행 가능률은 평균 57%에서 68%, 전체 임무 수행 가능률은 6%라고 정부 책임국 연구는 밝혔습니다. 또한 상황 인식, 유지 보수, 선박 운항 및 운송 능력의 약점에 주목했습니다.[161][162] 보고서는 "배치를 통해 V-22의 향상된 속도와 사거리가 기존 헬리콥터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빠르고 멀리 인력과 내부 화물을 수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161]고 결론지었습니다.

MV-22는 2009년 11월에 VMM-261함께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고,[163][164] 2009년 12월 4일에는 코브라의 분노 작전이라는 첫 공격적인 전투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V-22는 아프가니스탄 남부 헬만드주의 나우자드 계곡에 미군 1,000명과 아프간군 150명을 투입해 탈레반의 작전을 방해하는 데 도움을 줬습니다.[133] 제임스 아모스(James Amos) 장군은 아프가니스탄의 MV-22가 10만 회 비행 시간을 돌파했다고 밝히며, "가장 안전한 비행기, 또는 가장 안전한 비행기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165] V-22의 아프가니스탄 배치는 2013년 말에 전투 작전의 축소와 함께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VMM-261은 사상자 대피를 위한 작전을 연장하도록 지시되었습니다. 헬리콥터보다 빠르기 때문에 더 많은 사상자가 '골든 아워' 안에 병원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심장 모니터와 분류 용품과 같은 의료 장비가 장착되어 있었습니다.[166]

2010년 1월, MV-22는 아이티 최초의 인도주의적 임무인 지진통합 대응 작전 구호 활동의 일환으로 아이티에 파견되었습니다.[167] 2011년 3월, 오딧세이 여명 작전 중, Kearsarge에서 2대의 MV-22가 격추된 미 공군 F-15E 승무원을 구출하는 것을 도왔습니다.[168][169] 2011년 5월 2일, 넵튠의 작전 이후, 알카에다 테러 조직의 설립자인 오사마라덴의 시신은 MV-22에 의해 아라비아해에 있는 항공모함 칼빈슨에 의해 해상에 안장되기 전에 비행되었습니다.[170]

해병대원들이 2019년 캘리포니아주, 해병대 항공 지상 전투 센터 29 팜스 근처 MV-22에서 하선하고 있습니다.

2013년, 몇몇 MV-22는 아프가니스탄에서 CH-53E의 긴급한 필요성 때문에 마린 원 대통령 수송대를 지원하기 위해 통신과 좌석 변경을 받았습니다.[171][172] 2010년 5월, 보잉은 VXX 대통령 수송기 교체를 위해 V-22를 제출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173]

2013년 8월 2일부터 8월 5일까지, 두 대의 MV-22가 현재까지 가장 긴 거리의 오스프리 탱킹 임무를 완수했습니다. KC-130J 유조선 2대와 함께 오키나와의 해병대 공군기지 후텐마에서 8월 2일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로, 8월 3일 호주 다윈으로, 8월 4일 호주 타운스빌로, 8월 5일 마침내 본옴 리처드와 만남을 가졌습니다.[174]

2013년, USMC는 특수 통신 장비를 장착한 V-22를 [175]사용하여 대륙간 대응 팀인 특수 목적 해병대 지상 태스크 포스 위기 대응 아프리카를 구성했습니다.[176] 2013년 태풍 하이옌 이후, 제3해병원정여단의 MV-22 12대가 재난 구호 활동을 위해 필리핀에 배치되었고,[177] 그 능력은 "유일하게 관련이 있다"고 묘사되었고, 섬 군도를 통해 보급물자를 이동하는 동안 더 빠르게 비행하고 더 많은 탑재물을 탑재했습니다.[178]

미 공군

Two USAF CV-22s in a staggered pattern with their rotors vertical preparing to land at Holloman Air Force Base, New Mexico.
2006년 미 공군 CV-22 2대가 뉴멕시코주 홀로만 AFB에 착륙했습니다.

2006년 3월, 미국 공군의 첫 작전용 CV-22는 뉴멕시코주 커틀랜드 공군기지있는 제58특수작전비행단(제58SOW)에 전달되었습니다. 초기 항공기는 58번째 SOW에 인도되어 특수 작전용 인력 교육에 사용되었습니다.[179] 2006년 11월 16일, 미국 공군은 플로리다 헐버트 필드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CV-22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180] 미 공군의 첫 작전 배치는 2008년 11월 플린트록 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4대의 CV-22를 말리에 보냈습니다. CV-22는 플로리다 헐버트 필드에서 기내 급유와 함께 쉬지 않고 날았습니다.[4] AFSOC는 2009년 3월 제8특수작전비행대대가 초기 작전 능력에 도달했으며, 6대의 CV-22가 운용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181]

V-22 오스프리 USAF 비디오

2013년 12월, 2013년 남수단 정치 위기 당시 남수단 보르에서 미국 민간인들을 대피시키려다 CV-22 3대가 소형 무기 사격을 당했습니다. 이 항공기는 임무가 중단된 후 우간다 엔테베까지 500마일(800km)을 비행했습니다. 남수단 관리들은 공격자들이 반군이라고 말했습니다.[182][183] CV-22는 790 nmi (910 마일; 1,460 km)에 걸쳐 3개의 국가에 걸쳐 보르로 날아갔습니다. 대형은 119대에 부딪혀 승무원 4명이 부상을 입었고 항공기 3대 모두에서 비행 통제 실패와 유압 및 연료 누출을 야기했습니다. 연료 누출로 인해 여러 번의 공기 대 공기 연료가 공급되었습니다.[184] 그 사건 이후, AFSOC는 옵션의 갑옷 바닥 패널을 개발했습니다.[97]

미 공군은 "CV-22 웨이크 모델링은 선행 항공기로부터 안전한 분리를 정확하게 추정하기에는 후행 항공기에 부적합하다"고 밝혔습니다.[185] 2015년, 미국 공군은 장거리 특수 작전 수송 임무 외에 전투 수색과 구조를 수행할 CV-22를 구성하려고 했습니다. HH-60G 파베호크와 계획된 HH-60W 구조 헬기를 보완하여 빠른 속도가 더 빠르지만 느린 헬리콥터보다 수색과 구조에 더 적합한 시나리오에 사용될 것입니다.[186]

2023년 11월 29일 일본 야쿠시마섬 앞바다에서 미 공군 제353특수작전비행단 소속 CV-22B가 동중국해에 추락하여 탑승한 8명의 비행사 전원이 사망했습니다. 요코타 공군기지에 기지를 둔 오스프리는 맑은 날씨와 가벼운 바람을 타고 해병대 공군기지 이와쿠니에서 오키나와가데나 공군기지로 비행 중이었습니다. 추락 원인에 대한 공군의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187][188] 예비 조사 결과, "잠재적인 재료 고장"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189] 2023년 12월 6일, 미 해군(NAVAIR)과 공군(AFSOC)은 V-22 함대를 지상에 착륙시켰습니다. 일본(해양자위대)도 함대를 지상에 배치했습니다.[189]

미해군

2023년 칼빈슨호 비행갑판에 CMV-22B 2대 탑재

V-22 프로그램에는 원래 네이비 48 HV-22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주문된 것은 없었습니다.[24] 2009년에는 C-2 그레이하운드를 대체하여 COD(Carrier Onboard Delivery) 임무를 수행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V-22의 한 가지 장점은 헬리콥터 범위를 넘어 비운반선 사이에 물자와 사람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190][191] 지지자들은 C-2와 비슷한 속도, 탑재 용량, 리프트 성능이 가능하며, 정지된 외부 부하를 포함하여 최대 20,000파운드까지 단거리에 더 많은 탑재물을 운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2는 수송선에만 화물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통해 소형 선박에 추가적인 분배가 필요한 반면, V-22는 수륙양용선, 항공모함 및 물류선에 대한 운항 인증을 받았습니다. 또한 600lb 호이스트를 경사로에 장착하고 12명의 비화염 환자와 5명의 의료진을 위한 객실 구성을 장착하여 헬리콥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192] 벨과 P&W는 F-35의 프랫 & 휘트니 F135 엔진을 수송하기 위해 V-22의 프레임을 설계했습니다.[193]

2015년 1월 5일, 해군과 USMC는 COD 임무를 위해 V-22를 구매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194] 처음에 HV-22로 지정된 항공기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4대씩 구입했습니다.[195] 1,150 nmi(1,320 mi; 2,130 km)의 비연료 범위를 위한 확장 범위 연료 시스템, 수평을 넘는 통신을 위한 고주파 라디오, 그리고 승객들과 소통하기 위한 공공 주소 시스템을 포함합니다.[196][197] 범위 증가는 더 큰 외부 후원을 통한 추가 연료 블래더에서[198] 비롯됩니다. 다른 변종들과의 유일한 외적인 차이입니다. 주요 임무는 장거리 물류이며, 다른 가능한 임무로는 인력 복구 및 특수전이 있습니다.[199] 2016년 2월, 해군은 공식적으로 CMV-22B로 지정했습니다.[200] 해군의 기록 프로그램은 원래 48대의 항공기를 요구했지만, 나중에 44대만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018 회계연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고, 2020년부터 배송이 시작되었습니다.[201][202]

해군은 2018년 6월에 첫 39대의 CMV-22B를 주문했고, 2021년에 최초의 작전 능력을 달성했으며, 2020년대 중반까지 함대에 야전을 제공했습니다.[203][204] 첫 번째 CMV-22B는 2019년 12월에 첫 비행을 했습니다.[205] 첫 배치는 2021년 여름 USS 칼빈슨호에서 시작되었습니다.[206]

일본 자위대

2020년형 일본 V-22 오스프리

2012년 모리모토 사토시 전 방위상은 V-22 운용 비용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습니다. V-22의 능력은 사거리와 속도, 탑재량 면에서 현재 일본 자위대 헬기를 능가했습니다. 국방부는 미국과의 다국적 협력뿐만 아니라 난세이 제도센카쿠 열도에도 배치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014년 11월, 일본 방위성은 17대의 V-22를 구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본 최초의 V-22는[209] 2017년 8월에 첫 비행을 시작했고 2020년에 일본 군에 인도되기 시작했습니다.[210]

2018년 9월, 일본 방위성은 항공기 기지가 될 사가현에서 반대와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처음 5대의 MV-22B의 배치를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211] 2020년 5월 8일,[212] 사가 현 주민들과 합의에 실패한 후, 5대의 항공기 중 첫 2대가 기사라즈 에어필드에서 JGSDF에 인도되었습니다. 결국 일부 V-22를 이즈모급 헬기 구축함에 탑재할 계획입니다. 2023년 9월, 헬리콥터 운반선 이세호에 대한 첫 번째 V-22 착륙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항공기는 2025년부터 규슈 사가 공항에 기지를 두고 일본 남부 난세이 제도를 더 잘 방어하기 위해 V-22가 시코르스키 블랙호크, 아파치 롱보우 헬기와 함께 배치될 예정입니다.[213]

2023년 11월 29일 야쿠시마 섬에서 공군 CV-22가 추락하면서 일본은 MV-22 14대의 항공기 운항을 중단했습니다.[214]

잠재 연산자

인디아

2015년 인도 항공 연구 센터는 적대적인 상황에서 인력 대피, 물류 보급, 국경 지역에 특수 변경군을 배치하기 위해 4대의 V-22를 획득하는 데 관심을 보였습니다. 미국의 V-22는 2015년 4월 네팔 지진 이후 구호 활동을 수행했습니다.[215] 인도 해군은 또 단거리 카모프 Ka-31을 대체하기 위해 공중조기경보통제용 E-2D가 아닌 V-22를 연구했습니다.[216] 인도는 국경 지역에서 신속한 병력 투입을 위해 6대의 공격용 V-22를 구매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217][218]

인도네시아

2020년 7월 6일, 미국 국무부는 인도네시아에 8대의 블록 CMV-22 및 관련 장비를 약 20억 달러(2022년 ~ 22억 4천만 달러)의 비용으로 판매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 국방안보협력국은 의회에 매각 가능성을 통보했습니다.[219]

이스라엘

2013년 4월 22일,[220] 6대의 V-22를 이스라엘 공군에 판매하기로 합의했습니다. 2016년 말까지 이스라엘은 V-22를 주문하지 않았고 대신 C-47 치누크 헬리콥터나 CH-53K 헬리콥터를 구입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221] 2017년 현재 이스라엘은 V-22에 대한 평가를 동결했습니다. "고위 국방 소식통은 틸트로터가 현재 시코르스키 CH-53 수송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일부 임무를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222]

변종

A V-22 on a test flight with its rotors rotated almost to vertical.
V-22 오스프리가 테스트 미션을 수행합니다.
A front view of a U.S. Air Force CV-22 with its rotors facing forward flying over the Emerald Coast of Florida.
제8특수작전비행대대의 CV-22가 플로리다 에메랄드 해안 상공을 비행합니다.
V-22A
비행 테스트에 사용되는 사전 생산 본격 개발 항공기입니다. 이들은 1993년 재설계 이후 비공식적으로 A-변종으로 간주됩니다.[223]
CV-22B
미 공군 특수작전사령부의 변형 전투기입니다. 장거리 특수 작전 임무를 수행하며 여분의 날개 연료 탱크, AN/APQ-186 지형 추적 레이더 및 AN/ALQ-211,[224][225] AN/AAQ-24 네메시스 지향성 적외선 대응 조치와 같은 기타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226] 연료 용량은 588갤런(2,230L)이 증가하며, 2개의 인보드 윙 탱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3개의 보조 탱크(200 또는 430갤런)를 객실에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227] CV-22는 MH-53 페이브 로우를 대체했습니다.[24]
MV-22B
미 해병대 변종입니다. 해병대는 V-22 개발의 선두 서비스입니다. 해병대의 변종은 해안에서 선박이나 원정 비행장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병력, 장비 및 물자를 위한 공격 수송입니다. 해병대의 CH-46ECH-53D 함대를 대체했습니다.[228][229]
CMV-22B
C-2를 대체하는 항공모함 탑재 수송 역할을 위한 미 해군의 변형입니다. MV-22B와 유사하지만 확장 범위 연료 시스템, 고주파 라디오 및 공용 주소 시스템이 포함됩니다.[200]
EV-22
공중 조기 경보제어 변형을 제안합니다. 영국 해군은 항공모함을 기반으로 하는 Sea King ASaC.7 헬리콥터의 함대를 대체하기 위해 이 변형을 연구했습니다.[230]
HV-22
미 해군은 HV-22를 특수전팀의 전투 수색과 구조, 인도 및 수색과 함대 물류 지원 수송을 제공하는 것으로 검토했습니다. 2001년에 이 역할을 위해 MH-60S를 선택했습니다.[231][232]
SV-22
제안된 대잠전 변형입니다. 미국 해군은 1980년대에 S-3SH-2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SV-22를 연구했습니다.[233]

연산자

일본
An MV-22 Osprey with its rotors up to vertical with a HMMWV vehicle hanging by two sling wires.
MV-22가 USNS Sacagawea험비를 전달합니다.
칼빈슨호 갑판에 있는 CMV-22 lds (CVN 70)
미국
2015년 RIAT 대비 CV-22 오스프리

사고

V-22 오스프리는 2023년 11월 29일 현재 16건의 선체 손실 사고가 발생했으며 총 6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 테스트를 하는 동안, 30명의 사망자를 낸 4건의 충돌 사고가 있었습니다.[31] V-22는 2007년에 운행을 시작한 이후, 2023년까지 13번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32명의 사망자를 냈습니다.[265] 항공기의 사고 이력은 인식된 안전 문제에 대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266]

전시중인 항공기

미국 헬리콥터 박물관과 교육 센터의 V-22

사양 (MV-22B)

V-22의 이라크 전투반경, CH-46E의 전투반경 축소와 대조
V-22 좌석 배치

Norton,[273] [274]Boeing, Bell Guide,[104] Naval Air Systems Command [275]USAF CV-22 팩트시트[224] 데이터

일반적 특성

  • 승무원: 3~4명(조종사, 부조종사 및 1~2명의 승무원/승무원장/부하마스터/거너)
  • 용량:
    • 24명의 병력(seated), 32명의 병력(바닥 적재), 또는
    • 20,000lb(9,070kg)의 내부 화물 또는 최대 15,000lb(6,800kg)의 외부 화물(dual 후크)
    • 1x M1161 그롤러 경내운반형 지상차량[276][277]
  • 길이: 57피트 4인치(17.48m)
  • 접힌 길이: 62피트 7.6인치(19.091m)
  • 날개폭: 45피트 10인치(13.97m)
  • 폭: 로터 포함, 84피트 6.8인치(25.776m)
  • 접힘: 18피트 5인치(5.61m)
  • 높이: 22피트 1인치(6.73m) 엔진 나셀 수직
꼬리핀 상단까지 17피트 7.8인치(5m)
  • 높이 접힘: 18피트 1인치(5.51m)
  • 날개 면적: 301.4 평방 피트(28.00m2)
  • 빈 무게: 31,818파운드(14,432kg)
  • 작동 중량, 비어 있음: 32,623파운드(14,798kg)
  • 총중량: 39,500lb (17,917kg)
  • 전투중량: 42,712 lb (19,374 kg)
  • 최대 이륙중량 VTO: 47,500 lb (21,546 kg)
  • 최대 이륙중량 STO: 55,000lb (24,948kg)
  • 최대 이륙 중량 STO, 페리: 60,500 lb (27,442 kg)
  • 연료 용량:
    페리 최대 4,451 US gal(3,706 impgal; 16,850 L) JP-4 / JP-5 / JP-8 ~ MIL-T-5624
2,436 US gal (2,028 imp gal, 9,220 L) (옵션 캐빈 보조 탱크)
1,228 US gal (1,023 imp gal, 4,650 L) 3개의 스폰서 부분 자가 밀봉 탱크
10개 날개 자가 밀봉 탱크에 787 US gal (655 imp gal; 2,980 L)
1.93 US gal(1.61 imp gal; 7.3 L) 엔진 오일
25.375 US gal(21.129 imp gal; 96.05L) 변속기 오일
해수면 15,000rpm에서 최대 연속 5,890hp(4,392kW), 59°F(15°C)
  • 주 회전자 직경: 2 × 38ft(12m)
  • 주 회전자 면적: 2,268 평방 피트(2102.7 m) 3-블레이드

성능

  • 최고 속도: 275kn(316mph, 509km/h)
305 kn (565 km/h; 351 mph) at 15,000 ft (4,600 m)[279]
  • 정지 속도: 110kn(130mph, 200km/h)
  • Range: 879 nmi (1,012 mi, 1,628 km)
  • 전투거리 : 390 nmi (450 mi, 720 km)
  • 페리 항속거리: 2,230 nmi (2,570 mi, 4,130 km)
  • 서비스 천장: 25,000피트(7,600m)
  • g 한계:
  • 헬리콥터 모드의 경우:
+3 / 0.5 at 39,500 lb (17,917 kg)
+2.77 / 0.46 at 42,712 lb (19,374 kg)
+2.5 / 0.42 at 47,500 lb (21,546 kg)
  • 비행기 모드의 경우:
+4 /1 at 39,500 lb (17,917 kg)
+3.7 / 0.92 at 42,712 lb (19,374 kg)
+3.3 / 0.84 at 47,500 lb (21,546 kg)
+2.87 / 0.72 at 55,000 lb (24,948 kg)
+2.61 / 0.65 at 60,500 lb (27,442 kg)
  • 최대 활공비: 4.5:1[75]
  • 상승 속도: 2,320–4,000ft/min(11.8–20.3m/s)
  • 날개 하중: 47,500lb(21,546kg)에서 20.9lb/sqft(102kg/m2)
  • Power/mass: 0.259 hp/lb (0.426 kW/kg)

무장

항전학

미디어에 눈에 띄는 출연

참고 항목

관련발전

유사한 역할, 구성 및 시대의 항공기

관련 리스트

참고문헌

  1. ^ a b "Osprey Deemed Ready for Deployment". U.S. Marine Corps. 14 Jun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6. Retrieved 19 June 2019.
  2. ^ 형님, 에릭. "BBell Boeing은 2020년 6월 26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에서 400번째 V-22 오스프리 틸트로터 항공기를 제공합니다." 항공우주 제조 및 디자인, 2020년 6월 11일. 2020년 6월 22일 회수.
  3. ^ a b "V-22 오스프리 백그라운드" 2010년 2월 6일 Wayback Machine Boeing Defense, Space & Security, 2010년 2월 보관.
  4. ^ a b c 크레이셔, 오토. "드디어, 오스프리." 2009년 2월 11일 Wayback Machine Air Force Magazine, 2009년 2월에 보관.
  5. ^ Whittle 2010, 62쪽.
  6. ^ 매켄지, 리차드(작가). "V-22 오스프리의 비행" (텔레비전 제작). 2009년 2월 28일 Wayback Machine Mackenzie Productions for Military Channel, 2008년 4월 7일에 보관. 2009년 3월 29일 회수.
  7. ^ Whittle 2010, 55쪽.
  8. ^ a b c 노튼 2004, 35쪽.
  9. ^ Whittle 2010, 91쪽.
  10. ^ Whittle 2010, 페이지 87: "켈리가 본 것처럼 해병대의 미래는 그것을 타고 있었습니다."
  11. ^ Whittle 2010, 페이지 155.
  12. ^ Whittle 2010, pp. 53, 55–56.
  13. ^ "의회와의 군사적 관계: 두꺼운 갑옷, 둔검, 느린 말" 232쪽. 그린우드 프레스, 2000. ISBN 9780313019265.
  14. ^ a b c Moyers, Al (역사 및 연구 책임자). "먼 길: AFOTEC의 20년 이상의 V-22 참여" 2008년 12월 1일, 미국 공군 웨이백 머신 본부 공군 작전 시험 평가 센터에서 보관, 2007년 8월 1일.
  15. ^ "제9장: 연구, 개발 인수". 2009년 2월 10일 육군웨이백 기계부에서 보관역사 요약: FY 1982. 1988년, 미국 육군, 군사 역사 센터(CMH). ISSN 0092-7880.
  16. ^ 노튼 2004, 22~30쪽.
  17. ^ "AIAA-83-2726, 벨보잉 JVX 틸트 로터 프로그램" 2009년 2월 11일 웨이백 머신 미국 항공우주연구소(AIAA)보관, 1983년 11월 16일~18일.
  18. ^ 노튼 2004, 31-33쪽.
  19. ^ 기시야마, 데이빗. "군사민간용으로 개발 중인 하이브리드 항공기" Wayback Machine Los Angeles Times보관된 2012년 11월 7일, 1984년 8월 31일.
  20. ^ 아담스, 로레인 "벨 헬리콥터에 대한 세일즈 토크 휘어" Wayback Machine Dallas Morning News에 보관된 2012년 10월 24일, 1985년 3월 10일.
  21. ^ "보잉 베르톨, 3년 5천만 달러 확장 프로그램 출시" Wayback Machine The Philadelphia Inquirer, 1985년 3월 4일, 2012년 10월 24일 보관.
  22. ^ "군용 항공기: 벨-보잉 V-22". Wayback Machine Bell Helicopter, 2007년 3월 28일 보관. 2010년 12월 30일 회수.
  23. ^ 노튼 2004, 30쪽.
  24. ^ a b c d e f g h RL31384, "V-22 오스프리 틸트로터 항공기: 의회 배경과 쟁점" 2009년 2월 10일 Wayback Machine Congressal Research Service, 2009년 12월 22일 보관.
  25. ^ Goodrich, Joseph L. "벨보잉 팀은 새로운 틸트로터 항공기 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해군을 위한 17억 1,400만 달러 프로젝트에서 600개의 일자리가 예상됩니다." Wayback Machine Providence Journal, 1986년 5월 3일자 Wayback Machine Providence Journal에 보관되었습니다.
  26. ^ 벨든, 톰 "수직 이륙 비행기는 21세기 시외버스일지도 모릅니다." 2012년 11월 7일 웨이백 머신 토론토 스타에서 보관, 1988년 5월 23일.
  27. ^ "틸트-로터 크래프트는 헬리콥터처럼, 비행기처럼 날아갑니다." 웨이백 머신 스포츠 고다(Wayback Machine Sports Ghoda), 2023년 8월 28일 아카이브(archive).
  28. ^ "보잉사 V-22 오스프리의 운명의 열쇠인 상원의원 2명" 2012년 10월 24일 Wayback Machine The Philadelphia Inquirer, 1989년 7월 6일 보관.
  29. ^ Mitchell, Jim "Gram은 Osprey의 예산 비용을 방어합니다. 상원의원은 대통령이 B-2 폭격기를 공격할 때 V-22를 지지합니다." 2012년 10월 24일 Wayback Machine Dallas Morning News보관, 1989년 7월 22일.
  30. ^ "펜타곤은 V-22 오스프리에 대한 지출을 중단합니다." 2012년 11월 7일 웨이백 머신 시카고 트리뷴(Wayback Machine Chicago Tribune), 1989년 12월 3일 보관.
  31. ^ a b c d e 베를러, 론 "미 국방부 킬러 초퍼-플레인 구하기" 2012년 11월 6일 Wayback Machine Wired(CondéNet, Inc), Volume 13, 2005년 7월 7일호에 아카이브되었습니다.
  32. ^ 노튼 2004, 페이지 49.
  33. ^ 노튼 2004, 52쪽.
  34. ^ "혁명 비행기, 첫 시험 통과" 2020년 12월 22일 웨이백 머신보관 톨레도 블레이드, 1989년 3월 20일.
  35. ^ Mitchell, Jim "V-22, 완전 비행기 모드로 비행" 2012년 10월 24일 Wayback Machine Dallas Morning News에 보관, 1989년 9월 15일.
  36. ^ 존스, 캐스린. "V-22 틸트로터, 해상 시험 통과" 댈러스 모닝 뉴스, 1990년 12월 14일
  37. ^ "해군, V-22 시험비행 중단" 추락 조사 2012년 10월 24일 Wayback Machine Fort Worth Star-Telegram, 1991년 6월 13일 보관.
  38. ^ a b 노튼 2004, 52~54쪽.
  39. ^ 노튼 2004, 페이지 55.
  40. ^ 노튼 2004, 55-57쪽.
  41. ^ Schinasi 2008, 23페이지
  42. ^ "M777: He Ain't Heavy, He is my Howitzer." 2012년 9월 10일 Wayback Machine Defense Industry Daily(웨이백 머신 디펜스 인더스트리 데일리)에 보관, 2012년 7월 18일.
  43. ^ "V-22 Osprey에 타고 있는 Lots Riding on V-22 Osprey"Wayback Machine Defense Industry Daily, 2007년 3월 12일자에 아카이브되었습니다.
  44. ^ Castelli, Christopher J. (12 September 2005). "Pentagon Testing Office Concurs With Naval Testers, Supports MV-22". Naval Air Systems Command, United States Nav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6. Retrieved 19 June 2019 – via Inside the Navy.
  45. ^ 차반, 베티나 H. "V-22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해"[permanent dead link]2009년 6월 25일 항공주간
  46. ^ 파팔라르도, 조 "오스프리의 진짜 문제는 안전이 아니다 돈이다" 2012년 6월 17일 Wayback Machine Popular Mechanics, 2012년 6월 14일 보관.
  47. ^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V-22 조종사에게 더 많은 리프트 옵션 제공" 2011년 9월 25일 Wayback Machinethebaynet.com 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 2012년 4월 24일 회수.
  48. ^ 캐피시오, 토니 "V-22 오스프리 항공기, 펜타곤 테스트에서 신뢰성 향상" 블룸버그 뉴스, 2012년 1월 13일
  49. ^ Candelario, Renee (8 October 2012). "MV-22 Osprey Flight Operations Tested Aboard USS Nimitz". NNS121008-13. USS Nimitz Public Affai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y 2013.
  50. ^ Butler, Amy (18 April 2013). "Osprey on the Truman, Fishing for COD". Aviation Week. The McGraw-Hill Compan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3.
  51. ^ Tony Osborne (12 November 2015). "V-22 Osprey Testing Could Lead To Higher Takeoff Weights". Aviation 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15.
  52. ^ a b 브라이스, 로버트 "V-22 프로그램 형성에 도움을 준 정치세력 검토" 2007년 9월 27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텍사스 옵서버, 2004년 6월 17일
  53. ^ 뭐야, 리차드. "비행기 반, 헬기 반, 완전 나쁜 놈들" 뉴욕 포스트, 2015년 5월 24일 2015년 5월 25일 보관.
  54. ^ 캐피시오, 토니. "V-22의 수명 비용이 3년 만에 61% 상승했습니다."[permanent dead link] Bloomberg News, 2011년 11월 29일
  55. ^ 오핸런 2002, 119쪽.
  56. ^ 릭스, 토마스 E. "오스프리스 해양 소방 사령관; 조사된 데이터의 위조 혐의" 2012년 11월 7일 Wayback Machine The Washington Post에서 보관, 2001년 1월 19일.
  57. ^ a b 톰프슨, 마크 "V-22 오스프리: 비행하는 수치" 2008년 10월 11일 Wayback Machine Time, 2007년 9월 26일에 아카이브되었습니다. 2011년 8월 8일 회수.
  58. ^ 홀워스, 존. "지도자들, 전문가들은 오스프리에 대한 타임 기사를 맹비난합니다." 2007년 12월 10일 Wayback Machine Marine Corps Times (Army Times 출판사), 2007년 10월 16일 보관.
  59. ^ DiMascio, Jen (9 December 2010). "Playing defense – but at a price?". Politi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5.
  60. ^ Ackerman, Spencer (12 April 2012). "Defense Industry's Favorite Think Tank Daydreams of Obama Defeat". Wir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6.
  61. ^ Silverstein, Ken (1 April 2010). "Mad men – Introducing the defense industry's pay-to-play ad agency". Harper's Magazine.
  62. ^ "V-22는 해병대가 가지고 있는 가장 안전하고 생존 가능한 회전익선입니다." 2011년 3월 3일 Wayback Machine Lexington Institute에서 보관, 2011년 2월.
  63. ^ 액스, 데이빗. "마린즈: 사실, 당사의 틸트로터는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사고에 신경 쓰지 마세요). 2013년 12월 9일 Wayback MachineWired, 2011년 10월 13일에 보관되었습니다.
  64. ^ "해양 V-22 오스프리의 안전 기록에 관한 조항에 대한 USMC 성명서" 2012년 1월 16일 Wayback Machine USMC, 2011년 10월 13일 보관.
  65. ^ "Pentagon watchdog to release classified audit on V-22 Osprey". Marine Corp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13. Retrieved 6 April 2015.
  66. ^ Capaccio, Tony (25 October 2013). "Pentagon's Inspector General Finds V-22 Readiness Rates Flawed". Bloomberg BusinessWeek. Bloomberg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3.
  67. ^ Lamothe, Dan (2 November 2013). "Are the Marines faking the reliability record of their $79 million superplane?". Foreign Poli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13.
  68. ^ 샬-에사, 안드레아. "미국, 이스라엘, 캐나다, UAE에 V-22 항공기 판매에 눈독을 들입니다." 2015년 9월 24일 Wayback Machine Reuters에서 보관, 2012년 2월 26일.
  69. ^ 리드, 존. "새로운 다년간의 오스프리 제안을 하려고 합니다." 네이비 타임즈, 2010년 5월 5일
  70. ^ 호프만, 마이클 "5년간 25% 향상된 Osprey 준비율 2014-04-13을 Wayback Machine보관" DODbuzz, 2014년 4월 9일
  71. ^ 뭐야, 리차드. "오스프리, 2024년 1월 25일 웨이백 머신보관메틀을 보여줍니다." 23-26쪽. 미국 헬리콥터 학회 / Vertiflite 2015년 5월/6월, Vol. 61, No. 3
  72. ^ 뭐야, 리차드. USMC CH-53E의 가격 상승은 Op Tempo가 2014년 5월 2일, Aviation Today, Wayback Machine Rotor & Wing에서 보관됨따라 상승합니다. 견적: 군단은 매 시간 -53E를 비행하며 44시간의 정비 시간을 들여 수리합니다. 슈퍼 스탤리온은 매시간 비행하는데 약 2만 달러의 비용이 듭니다.
  73. ^ 매그너슨, 스튜. "V-22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틸트로터 항공기의 미래 불확실" 국방산업협회, 2015년 7월 보관
  74. ^ "Fiscal Year (FY) 2022 Depart of Defense (DoD) Fixed Wing and Helicopter Reimbursement Rates"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21. Retrieved 29 August 2023.
  75. ^ a b c d e f g h i j k 맥키니, 마이크. 2012년 3월 28일 "V-22" 수직 비행 2014년 4월 30일 보관.
  76. ^ a b 노튼 2004, 98-99쪽.
  77. ^ Schinasi 2008, 16페이지
  78. ^ Schinasi 2008, 11페이지
  79. ^ 그로스, 케빈, 미 해병대 중령, 톰 맥도널드, MV-22 시험 조종사, MV-22 수석 정부 기관사 레이 다겐하트. NI_Myth_0904,00.html "MV-22의 신화를 불식하다" 2024년 1월 25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절차: 해군 연구소. 2004년 9월.
  80. ^ "오스프리 OK'd." 2009년 12월 6일 웨이백 머신 디펜스 테크(Wayback Machine Defense Tech), 2005년 9월 28일 보관.
  81. ^ "2009 회계연도 예산 추계" 133쪽 2008년 10월 3일 웨이백 머신 미국 공군보관, 2008년 2월.
  82. ^ Christie, Rebecca (31 May 2007). "DJ US Navy Expects Foreign Interest In V-22 To Ramp Up Next Year". Naval Air Systems Command, United States Navy. Dow Jones Newswi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6.
  83. ^ John T. Bennett (14 January 2014). "War Funding Climbs in Omnibus Bill for First Time Since 2010". Defens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pril 2014.
  84. ^ 켈러, 존. "벨보잉, V-22 오스프리 틸트로터 항공기용 통합 항공전자 프로세서 설계" 2011년 7월 14일 Wayback MachineMilitaryearospace.com , 2010년 4월 18일에 보관.
  85. ^ "Raytheon, 미국으로부터 V-22 항공기 항공전자제품 2억 5천만 달러 수주". Wayback Machine defenseworld.net 에서 2011년 7월 23일 보관. 회수: 2010년 12월 30일.
  86. ^ 'DOD 계약'. 2010년 5월 29일 웨이백 머신 미국 국방부에서 보관. 2009년 11월 24일.
  87. ^ 맥헤일, 존. "새로운 레이더, 조종석 디스플레이 및 전자전 기능을 갖춘 CV-22 오스프리를 해병대에 전달합니다." 2013년 5월 22일 웨이백 머신보관되었습니다. 군사용 임베디드 시스템, 2012년 2월 15일.
  88. ^ "LTG Davis Talks To Boeing On Upgrading Half Of Marine V-22 Fleet". Breaking Defense. 13 August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5. Retrieved 31 October 2015.
  89. ^ Bell-Boeing 수상 V-22 다년 계약 2013년 10월 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Flightglobal.com , 2013년 6월 12일
  90. ^ 미군, 2014년 2월 1일 Wayback Machine에서 V-22 오스프리 추가 주문 – Shephardmedia.com , 2013년 6월 13일
  91. ^ 펜타곤,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2월 3일 V-22 계약 체결Aviationweek.com , 2013년 6월 13일
  92. ^ 베라드, 야밀. "벨, V-22 주문 감소로 325명 해고" 포트워스 스타-텔레그램, 2014년 5월 5일 2014년 5월 8일 회수.
  93. ^ Berard, Yamil (5 May 2014). "Bell to lay off 325 workers as V-22 orders decline". Fort Worth Star-Tele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4.
  94. ^ Huber, Mark (25 February 2015). "New Programs at Full Speed". Aviation International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15.
  95. ^ 레어드, 로빈. "하이브리드 비행기를 위한 하이브리드 제조사" 제조기술 뉴스 2015년 8월 27일 22권 제10호 보관
  96. ^ 레어드, 로빈. "필라델피아 인근 보잉 공장 방문에서 바라본 전망" SLD, 2015년 5월 28일 보관
  97. ^ a b 공군 특수 작전, Osprey에 갑옷, 화력 추가 예정Air Force Times, 2014년 9월 17일
  98. ^ a b 뭐야, 리차드. 2015년 5월 15일, "남수단에서 배운 고통스러운 교훈 후에 갑옷을 입은 아프리카축구연맹(AFC)" 격파 방어전. 보관
  99. ^ Batey, Angus (12 July 2016). "ALIS's Children: Networked Prognostics For The V-22".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Pen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ly 2016.
  100. ^ Mizokami, Kyle (8 February 2019). "The V-22 Osprey: How America's Controversial Tiltrotor Plane Works". Popular Mechan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y 2021. Retrieved 26 May 2021.
  101. ^ 크로프트, 존. '틸터즈'. 2008년 7월 25일 Wayback Machine Alternate 링크에서 보관 2015년 5월 6일 Wayback Machine Air & Space/Smithsonian에서 보관, 2007년 9월 1일. 2015년 5월 6일 회수.
  102. ^ Osprey 파일럿, 최초 FAA 동력 리프트 등급 획득 (1999년 보잉 아카이브)
  103. ^ Mahaffey, Jay Douglas (1991). "The V-22 tilt rotor, a comparison with existing Coast Guard aircraft" (PDF). Institutional Archive of the Naval Postgraduate School.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21. Retrieved 17 May 2021.
  104. ^ a b c "V-22 오스프리 가이드북, 2013/2014" 2014년 10월 20일 Wayback Machine Bell-Boing, 2013에 보관되었습니다. 2014년 2월 6일 회수. 2014년 보관.
  105. ^ Chavanne, Bettina H. "USMC V-22 Osprey Finds Groove [permanent dead link]
  106. ^ a b c d e 뭐야, 리차드. "오스프레이를 날리는 것은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저 다릅니다. 베테랑 조종사들Wayback Machine에서 보관한 2012-09-14" defense.aol.com , 2012년 9월 5일. 2012년 9월 16일 회수. 2013년 10월 3일 보관.
  107. ^ a b c Adde, Nick (14 April 2021). "V-22 Upgrades in Works as Aircraft Passes Milestones". National Defen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21. Retrieved 22 April 2021.
  108. ^ "V-22 오스프리 레인지와 천장" 2016년 3월 4일 웨이백 머신보관. AirForceWorld.com , 2015년 10월 6일.
  109. ^ 커리, 톰 P. 주니어 소령, 미 공군. "졸업 요건을 일부 충족하여 교수진에게 제출한 연구 보고서: CV-22 '오스프레이'와 공군 전투수색구조에 미치는 영향'. 2016년 3월 6일 웨이백 기계 항공 사령부 직원 대학(1999년 4월)에 보관되었습니다.
  110. ^ "Tenacious Efforts to Accomplish Another V-22 Milestone". U.S. Navy. 17 June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6. Retrieved 19 June 2019.
  111. ^ 레자로스, 애런. DARPA-BAA 10-10, 관리 시스템(TMS)은 2018년 1월 16일 Wayback Machine DARPA, 2009년 11월 16일에 보관되었습니다. 2012년 3월 18일 회수. 인용: "MV-22 오스프리는 엔진 배기가스 기둥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 충격으로 인한 선박 비행 갑판 좌굴을 초래했습니다. 해군 연구에 따르면 갑판 좌굴이 반복되면 계획된 선박 수명 전에 갑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12. ^ Butler, Amy (5 September 2013). "F-35B DT 2 Update: A few hours on the USS Wasp".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September 2014. Retrieved 4 April 2015.
  113. ^ 뭐야, 리차드. "치명적인 충돌로 해병대웨이백 머신보관된 2015-07-19 오스프리 비행 규칙을 변경해야 합니다." 브레이킹 디펜스, 2015년 7월 16일
  114. ^ Welt, Flying (14 May 2023). "Bell Boeing V 22 Osprey, the World's First Production Military Tiltrotor Aircraft". Flying Wel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23. Retrieved 24 November 2023.
  115. ^ "롤스로이스, V-22 엔진에 파워 강화" 디펜스 뉴스, 2013년 9월 16일
  116. ^ 대체용 V-22 엔진을 찾고 있는 미군,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9월 7일 보관Flightglobal.com , 2014년 8월 29일
  117. ^ Wall, Robert, "미국의 Osprey 항공기 엔진 옵션", The Wall Street Journal, 2014년 9월 2일, p.B3
  118. ^ "V-22 미드라이프 업그레이드를 위한 초기 계획을 수립 중인 미 해군" 2015년 4월 16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Flightglobal.com , 2015년 4월 15일)에 보관되었습니다.
  119. ^ 존 고든 4세 외 해군 중장비 항공기 옵션 평가 p39. RAND Corporation, 2005. 2012년 3월 18일 회수. ISBN 0-8330-3791-9. 2011년 보관.
  120. ^ "허리케인... 자연의 분노를 분출하다: 준비 가이드". 국립해양대기청, 기상청, 2006년 9월
  121. ^ 워터스, USMC Cpl. 라나 디. V-22 오스프리 패스트로프 1 USMC, 2004년 11월 6일 2005년 3월 21일 보관.
  122. ^ 트림블, 스티븐. "보잉은 'V-23' 오스프리를 기대합니다." 2009년 6월 25일 웨이백 머신 플라이트 글로벌, 2009년 6월 22일 보관. 2015년 1월 12일 보관.
  123. ^ "Boeing: V-22 Osprey" (PDF). Boeing.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7 November 2013. Retrieved 15 February 2014.
  124. ^ 링겐바흐, 다니엘 P, 스콧 브릭. "V-22 자동 조종 시스템의 개발 및 통합을 위한 하드웨어 인 더 루프 테스트, 페이지 28-36". 2007년 6월 28일 Wayback Machine Technical Papers(A95-39235 10–01)보관: AIAA 비행 시뮬레이션 기술 회의 기술 논문, 볼티모어, MD, 2008년 8월 3일.
  125. ^ 랜디스, 케네스 H. 외 "보잉 헬리콥터의 첨단 비행 제어 기술 성과" 2021년 4월 1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국제통제저널, 제59권, 1994년 1호, 263-290쪽.
  126. ^ "아프간 보고서: "오스프레이가 아프가니스탄에서 돌아오다, 2012". SLD, 2012년 9월 13일 2015년 1월 11일 보관.
  127. ^ 노튼 2004, 6-9쪽, 95-96쪽.
  128. ^ Markman and Holder 2000, 페이지 58.
  129. ^ 노튼 2004, 페이지 97.
  130. ^ Freedberg, Sydney J. Jr. (30 April 2021). "FVL: Don't Pick The Tiltrotor, V-22 Test Pilot Tells Army". Breaking Defen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21. Retrieved 3 May 2021.
  131. ^ "V-22 선택, 통합 개발을 위한 방어적 무장" 벨 헬리콥터와 제너럴 다이내믹스. 회수: 2010년 12월 30일.
  132. ^ "BAE Systems, 새로운 V-22 방어 무기 시스템 출시, 이동테스트 시작" 2018년 11월 18일 Wayback Machine BAE Systems, 2007년 10월 2일 보관.
  133. ^ a b c 맥컬러프, 에이미 "포스프리스, 화력 증강으로 아프가니스탄 진출" 해병대 타임즈, 2009년 12월 7일 24페이지
  134. ^ a b 뭐야, 리차드. "BAE 원격 수호대 오스프리 함대에 합류합니다." 2011년 6월 22일 Wayback Machine Rotor & Wing, 2010년 1월 1일 보관.
  135. ^ 라모테, 댄 "오스프리들이 새 배꼽총을 먼지 속에 놔둔다" 2012년 1월 8일 Wayback Machine Marine Corps Times에 보관, 2010년 6월 28일.
  136. ^ "Corps는 Ospreys에서 더 나은 무기를 추구합니다."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1월 2일 아카이브되었습니다. 해병대 타임즈, 2012년 2월 13일
  137. ^ 2014년 12월 18일 Wayback Machine보관된 무장 오스프리에 대한 군단의 항공 계획 요구Marine Corps Times, 2014년 11월 23일
  138. ^ Osprey, Wayback Machine에서 2015년 2월 12일 새로운 시험에서 유도 로켓과 미사일 발사Aviationweek.com , 2014년 12월 8일
  139. ^ V-22, 전진 firing 미사일 능력 입증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12월 27일 아카이브Flightglobal.com , 2014년 12월 23일
  140. ^ 군단은 2019년 5월 31일 웨이백 머신에서 MV-22 오스프리 아카이브뒷면에서 발사될 첨단 정찰 드론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해병대 타임즈 2019년 5월 14일
  141. ^ 2013년 8월 25일 Wayback Machine Flightglobal.com 에서 Osprey 공중 급유 키트개발 중인 보잉사.
  142. ^ "Bell Boeing V-22 Osprey Deploys Refueling Equipment in Flight Test". Boeing. 5 Sept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pril 2015. Retrieved 4 April 2015.
  143. ^ "새로운 사진: MV-22, 연료 주입 테스트 중인 호넷"2014년 1월 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습니다. Aviationweek.com , 2013년 9월 3일.
  144. ^ V-22,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12월 29일 보관유조선 옵션군사용타임즈, 2014년 12월 28일.
  145. ^ 미 해병대는 2017년 2월 7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에서 오스프리 탱커 핏(Osprey tanker fit)의 2019년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 Flightglobal.com , 2017년 2월 7일
  146. ^ Whittle, Richard (27 May 2016). "V-22 Refueling Contract Highlights Close Ties To F-35". breakingdefense.com. Breaking Media,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16.
  147. ^ Seck, Hope Hodge (26 October 2016). "New System Will Allow Ospreys to Refuel F-35s in Flight". dodbuzz.com. Militar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6.
  148. ^ 해군, 해병대의 V-22 오스프리 탱커 개발 주도권 따라가지 않음 2015년 5월 6일 웨이백 머신보관 - 뉴스USNI.org , 2015년 5월 4일
  149. ^ "Bell Boeing V-22 Osprey Fleet Surpasses 500,000 Flight Hours" (Press release). Boeing. 7 October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9. Retrieved 8 October 2019.
  150. ^ "해중 틸트로터 비행대 266 역사" 2012년 1월 22일 웨이백 머신 해병대에서 보관. 2011년 10월 16일 회수.
  151. ^ 카터, 첼시 J. "오스프리 중대를 데려오기 위한 미라마 기지" 2012년 3월 17일 Wayback Machine USA Today (Associated Press)에서 보관, 2008년 3월 18일.
  152. ^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12월 21일 작별 비행을 한 'Sea Knight' 경장님Military.com , 2014년 10월 3일
  153. ^ 마운트, 마이크. "이라크에 틸트로터 항공기 배치하는 해병들" 2007년 5월 31일 웨이백 머신 CNN에서 보관, 2007년 4월 14일.
  154. ^ "이라크로 향하는 논란의 소지가 있는 오스프리 항공기; 해병대는 과거의 사고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헬리콥터-비행기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2017년 12월 1일. MSNBC, 2007년 4월 13일
  155. ^ 마운트, 마이크. "악화된 항공기가 이라크에서 구원을 찾는다"고 군 당국은 밝혔습니다. 2009년 2월 10일 웨이백 머신 CNN에서 보관, 2008년 2월 8일.
  156. ^ 햄블링, 데이빗. "오스프리의 '훌륭한 사진전'." 2008년 8월 5일 Wayback Machine Wired(CondéNet, Inc.), 2008년 7월 31일 보관.
  157. ^ 워릭, 그레이엄 "미 해병대, V-22 오스프리 이라크서 선전" 2009년 2월 9일 웨이백 머신 플라이트 글로벌, 2008년 2월 7일 보관.
  158. ^ 호일, 크레이그. "USMC, 아프간 V-22 오스프리 도전 주목" 2008년 12월 7일 웨이백 머신 플라이트 인터내셔널(Wayback Machine Flight International), 2008년 7월 22일 보관.
  159. ^ "국방부 블로거들은 이라크로부터의 전화 회의를 통해 해병대 항공 부사령관 조지 트라우트만 중장과 원탁회의를 가졌습니다." 미국 국방부, 2009년 5월 6일. 2012년 1월 2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습니다.
  160. ^ Gertler, Jeremiah. (USMC Karsten Heckl 인용) "V-22 Osprey Tilt-Rotor 항공기: 의회의 배경과 이슈" Wayback Machine에서 2012년 11월 5일 보관, p. 30. 의회조사국 보고서, 2009년 12월 22일
  161. ^ a b "GAO-09-482: 미래 투자를 정의하기 위해 V-22 항공기 운영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국방 확보, 평가"(요약). 2009년 6월 24일 Wayback Machine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에서 보관. 회수: 2010년 12월 30일.
  162. ^ "GAO-09-482: 미래 투자를 정의하기 위해 V-22 항공기 운영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방위 인수, 평가"(전체 보고서). 2009년 6월 24일 Wayback Machine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09년 5월 11일 보관.
  163. ^ 맥리어리, 폴. "Trial By Fire".[permanent dead link] 2010년 3월 15일 항공주간
  164. ^ 샨즈, 마크 V. "V-22s는 안바에 더러워졌어요." 2012년 6월 16일 웨이백 머신 공군 잡지, 데일리 리포트, 2009년 2월 25일에 보관.
  165. ^ "MV-22 로그 100,000 비행 시간" 2011년 2월 21일 Wayback Machine Defense에서 보관테크, 2011년 2월.
  166. ^ Casevac,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새로운 오스프리 임무 2014년 6월 5일 Wayback Machine보관Marine Corps Times, 2014년 5월 17일
  167. ^ 탈튼, 트리스타. "아이티 구호활동에 동참한 24번째 MEU" 2012년 1월 18일 Wayback Machine Marine Corps Times에 보관, 2010년 1월 20일. 2010년 1월 21일 회수.
  168. ^ 물린, 애나. "MV-22 오스프리가 리비아에서 쓰러진 미군 조종사를 구출한 방법" 2011년 3월 25일 Wayback Machine Christian Science Monitor에서 보관, 2011년 3월 22일.
  169. ^ 라모테, 댄 "리포트: 해병대가 리비아에서 조종사를 구출했습니다." 네이비 타임즈, 2011년 3월 22일
  170. ^ Ki Mae Heussner (2 May 2011). "USS Carl Vinson: Osama Bin Laden's Burial at Sea". Technology. A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1.; Jim Garamone (2 May 2011). "Bin Laden Buried at Sea". NNS110502-22. American Forces Press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y 2012..
  171. ^ 레블로스, 앤드류. "HMX-1의 '슈퍼 스탤리온'이 작전군에 재배치되었습니다." 2012년 3월 23일 Wayback Machine USMC, 2011년 4월 15일 보관.
  172. ^ 무뇨스, 카를로 "2013년 백악관 수송 임무를 맡게오스프리" 2012년 5월 29일 Wayback Machine The Hill, 2012년 5월 24일 보관.
  173. ^ 리드, 존. "새로운 다년간의 오스프리 제안을 하려고 합니다." 2012년 3월 22일 Wayback Machine Marine Corps Times에 보관, 2010년 5월 5일. 2010년 5월 6일 검색.
  174. ^ MV-22B 오스프리 틸트로터 항공기 2대가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거리 비행을 완료했습니다. 2013년 8월 31일 웨이백 머신보관Airrecognition.com , 2013년 8월 8일
  175. ^ "Marines, Army form quick-strike forces for Africa". USA Today. 15 June 2013.
  176. ^ 2014년 4월 9일 접속: "마린들은 벵가지 사태 이후의 위기 대응 임무를 위한 새로운 기술을 원하고 있습니다.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2014-04-13"
  177. ^ 호일, 크레이그. [1]2013년 11월 25일 Wayback Machine Flight International, 2013년 11월 20일 보관.
  178. ^ 부사령관: 해병대 필리핀 임무의 MV-22 키 2013년 11월 13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군사타임즈, 2013년 11월 13일
  179. ^ "CV-22 도착" 2007년 11월 24일 미국 공군 웨이백 머신 헐버트 필드에서 보관, 2006년 4월 20일. 2006년 11월 20일 회수.
  180. ^ 시라크, 마이클. "오스프레이 전투 준비 완료" 2009년 5월 25일 Wayback Machine Air Force Magazine, Volume 92, 2009년 5월 5일 11-12쪽에 보관. 2009년 5월 10일 회수.
  181. ^ 고든, 마이클 R. "남수단의 미국 항공기에 대한 공격웨이백 머신보관된 2018-08-16" 뉴욕 타임즈, 2013년 12월 21일.
  182. ^ "남수단에서 4명의 미군들이 그들의 항공기 CV-22 오스프리가 공격을 받은 부상을 입었습니다." 웨이백 머신보관된 2013년 12월 24일. Armyrecognition.com , 2013년 12월 22일.
  183. ^ "CV-22 승무원들이 생명을 구합니다" 2014년 8월 12일 웨이백 머신보관되었습니다. Globalavaiationreport.com , 2014년 8월 4일.
  184. ^ "AFSOC 충돌 보고 Osprey Rotor Wake의 고장에 대한 이해" 2012년 9월 23일 Wayback Machine AOL Defense에서 보관, 2012년 8월 30일.
  185. ^ 공군, 수색 및 구조에 오스프리 사용 검토 중 – 군타임즈, 2015년 4월 22일
  186. ^ Yamaguchi, Mari (29 November 2023). "US military Osprey aircraft with 8 aboard crashes into the sea off southern Japan". AP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3. Retrieved 29 November 2023.
  187. ^ Yamagucci, Mari (4 December 2023). "Divers have found wreckage, 5 remains from Osprey aircraft that crashed off Japan, US Air Force says". AP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December 2023. Retrieved 4 December 2023.
  188. ^ a b Everstine, Brian (6 December 2023). "All V-22s Grounded, Probe Finds Materiel Failure Possible In USAF Crash". Aviation Week Intelligence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anuary 2024. Retrieved 25 January 2024.
  189. ^ 틸먼, 앤드류. "틸트로터 헬기는 여전히 임무를 찾고 있습니다." 네이비 타임즈, 2009년 9월 20일
  190. ^ 톰슨, 로렌 B. ""V"는 범용성: 오스프리가 새로운 임무를 위해 손을 뻗었습니다." 2010년 4월 10일 Wayback Machine Lexington Institute에서 보관, 2010년 3월 29일.
  191. ^ 미래의 COD 항공기 경쟁사: Bell Boeing V-22 2013년 8월 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Defensemedianetwork.com , 2013년 8월 2일
  192. ^ 이스라엘은 V-22 주문 규모를 두 로 늘릴 수 있다고 Bell은 말합니다.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3월 15일 보관Flightglobal.com , 2014년 2월 25일
  193. ^ Navy 2016 예산 기금 V-22 COD 구매, Wayback Machine에서 2015년 5월 10일 캐리어 연료 보관Breakingdefense.com , 2015년 2월 2일
  194. ^ 해군과 해병대, 2015년 1월 18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중인 벨보잉 오스프리 차기 항공모함 인도 항공기 MOU 체결 - 뉴스USNI.org , 2015년 1월 13일
  195. ^ "네이비 V-22 오스프리 변형의 NAVAIR 세부사항 변경". 2015년 4월 3일 Wayback Machine News에서 아카이브됨.USNI.org , 2015년 4월 2일.
  196. ^ Bell-Boing, CMV-22B 설계 시작 1억 5100만 달러 계약 2016년 4월 1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Flightglobal.com , 2016년 4월 1일
  197. ^ Bell-Boeing, CMV-22B 설계 시작 2016년 11월 7일 Wayback Machine에서 1억 5100만 달러 계약 보관Flightglobal.com , 2016년 4월 1일
  198. ^ 미국 해군, 2017년 7월 11일 웨이백 머신에서 벨 보잉으로부터 6CMV-22B 오스프리용리드 부품 주문Navyrecognition.com , 2016년 12월 29일
  199. ^ a b V-22 Navy 변종이 공식 지정을 받았습니다. 2016년 3월 3일 Wayback Machine – 미국 해군, 2016년 2월 3일 보관
  200. ^ a b 미국 해군은 CMV-22B를 2016년 2월 9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Flightglobal.com , 2016년 2월 4일)에 보관장거리 오스프리 명칭으로 공개합니다.
  201. ^ a b 해군의 오스프리는 CMV-22B로 불릴 예정입니다. 조달은 2018 회계연도Wayback Machine에서 2016년 2월 7일부터 보관예정입니다. - 뉴스USNI.org , 2016년 2월 5일.
  202. ^ 해군, 4달러에 V-22 COD 구매2018년 7월 4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벨보잉에게 2B 상을 수여합니다. USNI 뉴스 2018년 7월 2일
  203. ^ "CMV-22B Osprey". Naval Air Systems Comm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23. Retrieved 30 August 2023.
  204. ^ "Bell Boeing Host First Reveal Ceremony for CMV-22B Osprey". Press Release. News.bellflight.com. 7 February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21. Retrieved 9 February 2020.
  205. ^ "Navy's V-22 Achieves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Designation". United States Nav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2. Retrieved 23 June 2022.
  206. ^ "Defense Ministry studies Osprey use by Self-Defense Forces". AJW by The Asahi Shimbu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y 2015. Retrieved 6 April 2015.
  207. ^ 일본, Osprey 공식 선정, Global Hawk, E-2D Defensenews.com , 2014년 11월 21일
  208. ^ Cenciotti, David (26 August 2017). "Here Is Japan's First V-22: The First Osprey Tilt-Rotor Aircraft For A Military Outside Of The U.S." The Aviationi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18. Retrieved 14 October 2017.
  209. ^ "Japan receives its first V-22 Osprey tiltrotor aircraft". UP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20. Retrieved 19 December 2022.
  210. ^ Takahashi, Kosuke (24 September 2018). "Tokyo to delay deployment of Osprey tiltrotors amid local opposition". IHS Jane's 360. Toky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8. Retrieved 25 September 2018.
  211. ^ a b Adamczyk, Ed (11 May 2020). "Japan receives its first V-22 Osprey tiltrotor aircraft". United Press Intern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20. Retrieved 23 July 2020.
  212. ^ Inaba, Yoshihiro (11 September 2023). "Japanese V-22 Lands On JMSDF Vessel For The First Time". Naval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23. Retrieved 11 September 2023.
  213. ^ "Divers find wreckage and remains from Osprey aircraft that crashed off Japan". NPR. 4 December 20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23. Retrieved 8 December 2023.
  214. ^ "India; ARC mulls OV-22 Osprey bu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15. Retrieved 12 January 2019.
  215. ^ "India Outlines New Carrier Ambitions". Aviation International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14. Retrieved 31 October 2015.
  216. ^ "India sizes up V-22 Osprey". FlightGlobal. 18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ugust 2016.
  217. ^ "Bell Boeing to brief India on V-22 Osprey". stratpost.com. 5 Dec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6.
  218. ^ "Indonesia – MV-22 Block C Osprey Aircraft".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20. Retrieved 7 July 2020.
  219. ^ "Hagel, Yaalon, 새로운 이스라엘 군사 능력 확정" 2013년 4월 29일 Wayback Machine보관. 미국 법무부, 2013년 4월 22일
  220. ^ Yuval Azulai. 2016년 11월 25일 웨이백 머신보관"록히드, 이스라엘 헬리콥터 거래를 위한 보잉 뷰" 글로브스, 2016년 11월 24일.
  221. ^ Egozi, Arie Israel은 2017년 10월 18일 Wayback Machine에서 V-22 구매중단했습니다. 2017년 10월 13일 글로벌 항공편입니다.
  222. ^ 노튼 2004, 54쪽.
  223. ^ a b "CV-22 오스프리 팩트 시트" 2013년 8월 23일 웨이백 머신 미국 공군에 보관, 2006년 7월 7일. 2013년 8월 21일 회수.
  224. ^ 노튼 2004, 71-72쪽.
  225. ^ ""Bell-Boeing V-22 Guidebook – Bell Helicopter""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October 2014.
  226. ^ 노튼 2004, 페이지 100–01.
  227. ^ 노튼 2004, 페이지 77.
  228. ^ "미 해병대, CH-53D 퇴역" 2013년 12월 2일 웨이백 머신보관 로터허브, 2012년 2월 24일.
  229. ^ Richard Beedall (9 October 2012). "Maritime Airborne Surveillance and Control (MASC)". NNS121008-13. Naval Mat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1. Retrieved 9 October 2011.
  230. ^ 노튼 2004, pp. 26–28, 48, 83–84.
  231. ^ "V-22 오스프리 가이드북". 2012년 8월 11일 미국 해군 웨이백 머신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 2011/2012, 페이지 5.
  232. ^ 노튼 2004, 28-30, 35, 48쪽.
  233. ^ "Japan becomes first V-22 export customer". FlightGlob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5. Retrieved 14 July 2015.
  234. ^ Kim, Chloe. "US grounds entire Osprey fleet after fatal crash in Japan". B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23. Retrieved 9 December 2023.
  235. ^ a b 세계 공군 2014, Flight Global, 2014년 1월.
  236. ^ "352nd Special Operations Group". afsoc.af.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08. Retrieved 7 January 2014.
  237. ^ "팩트 시트: 8개 특수 작전 비행대" 2013년 2월 25일 웨이백 머신보관되었습니다. 미 공군, 2008년 8월 8일
  238. ^ "CV-22 운용 개시식 개최" 2014년 2월 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미 공군, 2010년 6월 21일
  239. ^ "공군 특수작전사령부, 일본 CV-22 편대 출격" 2019년 7월 1일 미 공군.
  240. ^ "팩트 시트: 71 특수 작전 비행대" 미 공군, 2012년 1월 3일
  241. ^ "AFSOC activates first FLANG CV-22 squadron". 28 August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anuary 2024. Retrieved 24 January 2024.
  242. ^ "418th FLTS tests CV-22 terrain-following radar in East Coast fog". af.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15. Retrieved 6 April 2015.
  243. ^ "USMC presidential helicopter squadron starts flying MV-22". 3 Ma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6. Retrieved 5 August 2016.
  244. ^ "VMX-22 Argonauts".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45. ^ "VMM-161".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15. Retrieved 5 November 2013.
  246. ^ "VMM-165".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47. ^ "VMM-163".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rch 2015. Retrieved 5 November 2013.
  248. ^ "VMM-165".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49. ^ "VMM-166".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0. ^ "VMMT-204".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1. ^ "VMM-261".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2. ^ "VMM-263". usmc.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3. ^ "VMM-264".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4. ^ "VMM-266".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5. ^ "VMM-268".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23. Retrieved 25 September 2023.
  256. ^ "VMM-362". 17 August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September 2018. Retrieved 31 August 2018.
  257. ^ "VMM-363". hel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8. ^ "VMM-365".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59. ^ "VMM-561". tripo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3. Retrieved 5 November 2013.
  260. ^ "U.S. Marine Corps Forces Reserve > Units > 4th Marine Aircraft Wing > Marine Aircraft Group 41 > Marine Medium Tiltrotor Squadron 764". www.marforres.marines.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23. Retrieved 24 January 2024.
  261. ^ "VMM-774". www.marforres.marines.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23. Retrieved 24 January 2024.
  262. ^ "Navy.mil - View Im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20. Retrieved 10 February 2020.
  263. ^ Fuentes, Gidget (2 August 2021). "First F-35C Fighters, CMV-22B Deploy with Carl Vinson Carrier Strike Group". USNI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ugust 2021. Retrieved 2 August 2021.
  264. ^ "Aviation Safety Database results". Aviation Safety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8. Retrieved 29 November 2023. 인시던트가 발생하면 업데이트됩니다.
  265. ^ 액스, 데이빗. "장군: 결함 있는 전투기를 비판할 때 '내 경력은 끝났다'." 2018년 12월 17일 Wayback Machine Wired에서 보관, 2012년 10월 4일.
  266. ^ Lingafelt, Jared (6 November 2014). "MV-22 dedicated to Aviation Memorial". The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8. Retrieved 18 July 2022.
  267. ^ "c/n D0015". hel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9. Retrieved 2 July 2019.
  268. ^ "Bell Boeing V-22 Osprey". American Helicopter Museum & Education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21. Retrieved 16 December 2021.
  269. ^ "c/n D0003". hel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9. Retrieved 2 July 2019.
  270. ^ "Bell-Boeing CV-22B Osprey". National Museum of the US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21. Retrieved 16 December 2021.
  271. ^ "Meet The Airplane - V-22 Osprey at the Pax Museum". Southern Maryland News. 24 August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22. Retrieved 18 July 2022.
  272. ^ 노튼 2004, 110-111쪽.
  273. ^ "V-22 오스프리: 기술 사양". 2015년 11월 8일 웨이백 머신 보잉 디펜스, 우주보안보관되었습니다. 회수: 2015년 11월 14일.
  274. ^ "V-22 특성". 2007년 8월 16일 웨이백 머신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에서 보관. 2008년 11월 25일 회수.
  275. ^ 핀커스, 월터 "해군의 새로운 탈것이 몇 년 에 출시됩니다." 2017년 7월 28일 Wayback Machine The Washington Post, 2009년 2월 3일 보관.
  276. ^ 화이트, 앤드류. "USAF, 특수 작전 CSAR 차량 모색" 셰퍼드 그룹, 2010년 6월 24일
  277. ^ 월, 로버트. "미 해병대 MV-22 개선 사항, 많은 것을 원합니다."(구독 필요) 2021년 10월 4일 Wayback Machine Aviation Week, 2010년 6월 24일 아카이브.
  278. ^ 노튼 2004, 페이지 111.
  279. ^ "RGS (Remote Guardian System) (미국), 총기 일체형장착형" 2012년 5월 3일 Wayback Machine Jane's Information Group에서 보관, 2010년 4월 28일.
  280. ^ Trevithick, Joseph (20 February 2020). "MV-22 Osprey Rear Ramps And Carrier Aircraft Elevators Make For Great Fast Rope Train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23. Retrieved 28 November 2023.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