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도프단
Vidovdan비도프단 | |
---|---|
가지메스탄 기념비에서의 비도브단 기념식 (2009년) | |
관찰 대상 | 세르비아어 (세르비아 정교회) |
관측 | 잔치날 |
날짜 | 6월 28일 (그리거 달력) 6월 15일 (줄리안 달력) |
빈도 | 연간의 |
관련 | Slava |
비도브단(세르비안 키릴어: идооа, lit lit, light. "성 비투스의 날")은 세르비아의 민족적이고 종교적인 명절로, 줄리앙 달력에 따르면 6월 28일(그렉토리안 달력) 또는 6월 15일에 기념되는 슬라바(feast day)이다. 세르비아교회는 1389년 6월 15일(줄리앙 달력에 따르면) 코소보 전투 중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떨어진 성 라자르 왕자와 세르비아의 거룩한 순교자들에게 이 날을 기념일로 지정했다. 그것은 세르비아 민족과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다.[1]
이벤트
![]() |

제1차 세계대전의 세르비아 캠페인 기간 중 세르비아 동맹국과의 연대 및 친선을 도모하는 영국 전시 포스터
비도브단(Vidovdan, 15 June Julian, 20세기와 21세기의 그레고리안 6월 28일과 동일)은 세르비아인(Serbs)에게 특별히 중요한 날로 여겨지며, 비도브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만, 여기 그레고리력으로 표현된다.
- 1389: 오스만군은 코소보 전장에서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군과 싸웠다[2][3][4][5][6]. 술탄 무라드와 라자르 왕자 모두 전투에서 전사했다. 코소보 신화는 세르비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해졌다.[7]
- 1876: 오스만 제국과의 세르비아 전쟁 선언 (세르비아-오토만 전쟁 (1876–1878)).[citation needed]
- 1914년: 가브릴로 프린세스에 의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드 암살; 제1차 세계대전을 촉발한다. 그날 대두가 사라예보를 방문한 것은 우연이었지만 비도프단에게 떨어진 암살은 이 행사에 민족주의적 상징성을 더했다.[8]
- 1916년: 라도미르 베쇼비치와 다른 유명한 몬테네그랭 장교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군에 대항하여 몬테네그로에서 봉기를 계획했다.[9]
-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은 제1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서명되었다.[10][dubious ]
- 1921년: 세르비아 왕 알렉산더 1세는 세르비아 왕국,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왕국의 새로운 헌법을 선포하고, 이후 비도브단 헌법(비도브단스키 우스타브)으로 알려져 있다.[11]
- 1948년:코민포름의 소련 대표단 즈다노프, 말렌코프와 최고의Yugoslavian 공산 지도자들의"미국 공산당의 결의는 유고 슬라비아의"[12]그들의 비난 – 이 행사는 스탈린의 소련과 티토의 Yugoslavi의 결승 분할이 되는 해이는 전환점으로 여기지는 곳에서 이 계획에 발표한다.a 그 날은 중요한 기념일이었기 때문에 소련에 의해 신중하게 선택되었다.[13]
- 1989년 코소보 전투 600주년을 맞아 세르비아의 지도자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역사적인 전투 현장에서 가지메스탄 연설을 하고 있다.[14]
- 2001: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재판을 받기 위해 ICTY로 추방된다.[15]
- 2006년: 몬테네그로는 유엔의 192번째 회원국으로 발표되었다.[16]
- 2008년: 코소보와 메토히자 지역사회의회의 창립총회가 개최된다.[17]
- 2018년: 15년간의 보수공사 끝에 베오그라드에 있는 세르비아 국립박물관의 공식 재개관.[18]
참조
인용구
- ^ 조르제비치 1990.
- ^ 에머트, 토마스 앨런(1990). 세르비아 골고타: 코소보, 1389. 동유럽 모노그래프. ISBN978-0-88033-175-3.
- ^ 다니엘 월리; 피터 덴리(2013년). 중세 후기 유럽: 1250–1520. 루트리지. 페이지 255. ISBN 978-1-317-89018-8."
- ^ 이언 올리버(2005년). 발칸 반도의 전쟁과 평화: 구 유고슬라비아 분쟁의 외교. I.B.Tauris. 페이지 7. ISBN 978-1-85043-889-2
- ^ 존 빈스(2002년). 기독교 정교회 소개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7쪽. ISBN 978-0-521-66738-8. "이번 전투는 영웅적 패배로 기억되지만 역사적 증거는 결론에 이르지 못한 무승부를 시사한다."
- ^ 존 K. 콕스(2002년). 세르비아의 역사. 그린우드 출판 그룹 30페이지 ISBN 978-0-313-31290-8 "오만트군은 아마 3만에서 4만 사이였을 겁니다. 그들은 1만 5천 명에서 2만 5천 명 정도의 동방 정교회 병사들과 맞닥뜨렸다.[...] 전투 후 시기의 진술은 코소보에서의 약혼을 무승부에서부터 기독교의 승리에 이르는 어떤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 ^ Isabelle Dierauer (16 May 2013). Disequilibrium, Polarization, and Crisis Model: A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Explaining Conflict. University Press of America. p. 88. ISBN 978-0-7618-6106-5.
- ^ Manfried Rauchensteiner, Der Erste Weltkrieg und das Ende der Habsburgermonarchie 1914–1918, 2013, 페이지 87
- ^ (라코체비치 1997, 페이지 313)
- ^ 베르사유 조약
- ^ 로버트 J. 도니아, 존 반 앤트워프 파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배신당한 전통.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1995. (126쪽)
- ^ "Resolution of the Information Bureau Concerning the Communist Party of Yugoslavia, June 28, 1948". Modern History Sourcebook. Fordham University. Retrieved 26 June 2017.
- ^ Ramet 2006, 페이지 ?.
- ^ 코소보 분쟁과 국제법 : 1974–1999년 분석 문서. 하이케 크리거, 10-11페이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1; ISBN 0-521-80071-4. 밀로셰비치 공식 웹사이트의 온라인 버전
- ^ "Milosevic extradited". BBC News. 28 June 2001. Retrieved 3 March 2014.
- ^ "GENERAL ASSEMBLY APPROVES ADMISSION OF MONTENEGRO TO UNITED NATIONS, INCREASING NUMBER OF MEMBER STATES TO 192". United Nations. 28 June 2006. Retrieved 26 June 2017.
- ^ "Kosovo Serbs launch new assembly". BBC News. 28 June 2008. Retrieved 28 June 2008.
- ^ "Reopening of national museum in Belgrade". The Associated Press. 28 June 2018. Retrieved 28 June 2018.
원천
- Đorđević, Dimitrije (Spring 1990). "The role of St. Vitus Day in modern Serbian history" (PDF). Serbian Studies. North American Society for Serbian Studies. 5 (3): 33–40.
- 시자코비치, 보골주브. "대전쟁, 비도브단의 윤리, 기억" 즈보닉 마티체 스르프스키 자 드루스트베네 나우케 150(2015) : 1~42.
- Rakočević, Novica (1997). Crna Gora u prvom svjetskom ratu, 1914–1918. Unireks. ISBN 9788642705835.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비도브단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뉴스 기사
- "What is Vidovdan, and why is it so important to Serbs?". B92. 22 June 2012.
- "Serbian War Vets Celebrate Vidovdan". Balkan Insight. 29 June 2012.
- Graham, Stephen (1930). St. Vitus Day. E. Be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