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충돌

Water conflict
의 저수지를 메우려는 에티오피아의 움직임은 나일강의 흐름을 25%나 줄이고 이집트 [1]농경지를 황폐화시킬 수 있다.

갈등은 수자원 [2][3]접근권둘러싼 국가, 주 또는 단체 간의 갈등을 설명하는 용어이다.유엔은 물 분쟁이 공공적이든 [4]민간적이든 간에 물 사용자의 이익에 반하는 결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인정한다.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물갈등이 나타나지만, [5]물만을 놓고 전통적인 전쟁을 벌이는 경우는 드물다.대신에, 물은 역사적으로 긴장의 원천이었고 다른 이유로 인해 시작되는 갈등의 요인이었다.물 갈등은 영토 분쟁, 자원 쟁탈전, 전략적 이점 [6]등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한다.

물 갈등은 주내 및 주내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주 간 충돌은 강, 바다 또는 지하수 분지와 같은 국경을 넘는 수원을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인접 국가 간에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중동에는 세계 인구의 5%[7]가 공유하는 담수의 1%만이 있습니다.주내 충돌은 같은 국가에서 두 개 이상의 정당 간에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농업인과 산업(농업용과 산업용 물의 사용) 간의 갈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은 담수소금물, 그리고 국가 간과 국가 내에서 모두 발생한다.분쟁은 주로 민물을 둘러싸고 발생한다; 민물 자원은 필요하지만 부족하기 때문에, 그들은 식수, 관개, 에너지 [8]생성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하는 물 분쟁의 중심이다.담수는 필수적이지만 불균등하게 분포된 천연자원이기 때문에, 그 가용성은 종종 국가나 지역의 생활 및 경제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중동과 [9]같은 지역에서 비용 효율적인 물 공급 옵션이 부족하고, 특히 물 위기의 다른 요소들은 기업, 정부 또는 개인에 관계없이 모든 물 사용자에게 심각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긴장과 가능한 [10]공격성을 초래할 수 있다.

주로 국가 이하의 수준에서 해결되지 않는 물 분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물이 부족해지고, 기후 변화가 지역 수문학을 바꾸고,[11][12] 세계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위험해질 것이다.광범위한 물 분쟁으로 인해 대처가 어렵지만, 그러한 분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이 이용 가능하다.지역 및 국제법과 협정은 국제 하천과 대수층의 공유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개선된 기술과 시설은 물 부족 지역의 물 가용성과 물 공유를 개선할 수 있다.

원인들

부족은 종종 지역 [13]및 지역 수준에서 갈등을 야기해 왔다.물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인간의 활동은 [14]물의 가용성과 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물은 한정된 자원이다.물 갈등은 수자원 및 음용수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수 있거나, 물의 접근 및 할당에 대한 통제가 논란이 될 수 있거나, 물 관리 기관이 취약하거나 누락되어 발생할 수 있다. 위기의 요소들은 영향을 받는 당사자들에게 더 많은 공유 수자원을 얻도록 압력을 가하여 외교적 긴장이나 노골적인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물을 둘러싼 긴장과 갈등은 이제 초국가적인 수준이 아니라 하위국가적인 수준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목가들과 농부들 사이의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예멘, 시리아,[15] 이라크와 같은 다른 이유로 시작된 전쟁 동안 민간 물 시스템에 대한 공격이 증가했습니다.물 부족은 또한 물로 인해 직접적으로 야기되지 않는 갈등과 정치적 긴장을 악화시킬 수 있다.담수의 질 및/또는 양에 대한 점진적인 감소는 인구의 건강을 저하시키고 경제 발전을 방해하며 더 큰 [16]갈등을 악화시킴으로써 지역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킬 수 있다.

기후 변화와 증가하는 세계 인구는 또한 제한된 수자원에 새로운 압력을 가하고 [17]물 갈등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위해 결합된다.

예측

지난 25년 동안, 정치인들, 학자들 그리고 언론인들은 물을 둘러싼 논쟁이 미래의 전쟁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자주 표명해 왔다.흔히 인용되는 인용문에는 "중동에서의 다음 전쟁은 정치가 아닌 물을 두고 싸울 것"이라고 예측한 전 이집트 외무장관과 전 유엔 사무총장 부트로스-갈리, 2001년 유엔에서 그의 후임자인 코피 아난은 "민물 쟁탈전이 치열하다"고 말했다.미래에는 분쟁과 전쟁의 근원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스마일 세라겔딘세계은행 부총재는 통치체제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한 다음 세기의 전쟁은 물로 끝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게다가, 레스터 R은 "앞으로 중동에서의 전쟁은 석유보다는 물 때문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흔히들 말한다"고 말했다. 이전 스톡홀름 수상 [18]회의에서 브라운은

물전쟁 가설은 인더스, 요르단, 나일강과 같은 소수의 국경을 넘는 강에서 수행된 초기 연구에 뿌리를 두고 있다.이 특정한 강들은 물과 관련된 분쟁을 겪었기 때문에 초점이 되었다.증거로 인용된 구체적인 사건으로는 이스라엘이 요르단 원류를 우회시키려는 시리아의 시도에 대한 폭격과 나일강 상류에 댐을 건설하는 국가에 대한 이집트의 군사적 위협이 있다.

물 갈등의 위험을 높이는 또 다른 요인은 사람이 사용하는 물, 식량 생산, 생태계 및 기타 용도를 위한 물 공급의 필요성이 물 부족 지역에서 증가하는 물 경쟁이다.홍수와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수문학적 사건 또한 물 갈등의 위험을 악화시키고 있다.인구와 경제 발전이 증가함에 따라 물 수요도 증가할 수 있으며, 일부 지역이나 국가, 특히 가뭄 기간 또는 공유 국제 [12]유역에서의 제한된 물의 할당과 통제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악화될 수 있다.

국경을 넘는 수자원은 전쟁보다 협력과 협력의 원천이 될 가능성이 높다.국제관리 연구소에서 일하는 과학자들은 물 전쟁 예측의 이면에 있는 증거를 조사해왔다.그들의 연구 결과는 소수의 국제 분지에서 물과 관련된 분쟁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나머지 약 300개의 공유 분지에서 그 기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이것은 수자원을 공유하는 국가들 간에 공평한 물 사용을 안내하는 수백 개의 조약이 시행되고 있는 것에서 예시된다.이들 협정에 의해 만들어진 기관들은 사실 [19]충돌보다는 협력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분류

물과 관련된 갈등은 다음과 [20]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트리거:분쟁의 촉발제 또는 근본 원인으로서의 물, 물 또는 물 시스템의 제어에 대한 분쟁이 있거나, 물에 대한 경제적 또는 물리적 접근 또는 물 부족이 폭력을 촉발하는 경우.
  • 무기: 분쟁의 무기로서의 물, 즉 수자원이나 수계 자체가 폭력적인 분쟁의 도구나 무기로 사용된다.
  • 부상자:수자원 또는 수시스템이 의도적이거나 우발적인 사상자 또는 폭력의 표적이 되는 경우 분쟁의 희생자로서의 수자원 또는 수자원.

경제 및 무역 문제

어업, 농업, 제조업, 레크리에이션, 관광을 포함한 상업 자원으로서의 물의 생존성은 식수 접근이 반드시 문제가 되지 않을 때에도 논쟁을 일으킬 수 있다.자원으로서, 어떤 사람들은 물을 석유만큼 가치 있고, 거의 모든 산업에 필요하고,[21] 거의 매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한다. 부족은 인구를 마비시킬 수 있는 것처럼 산업을 완전히 마비시킬 수 있고, 물 인프라가 덜 발달된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선진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수자원 산업은 물 분쟁에서 더 잘 나타나지만, 모든 수준의 상업은 물 부족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낚시

역사적으로, 어업은 국가들이 바다와 바다의 일부를 확장하고 '국내' 상업적 조업을 위한 영토라고 주장함에 따라 주요 질문의 원천이었다.베링 해와 같은 돈벌이가 되는 지역은 분쟁의 역사가 있다; 1886년 영국미국은 봉인 어업 [22]문제로 충돌했고, 오늘날 러시아는 베링 해 도넛 구멍으로 알려진 국제 물의 한 주머니를 둘러싸고 있다.낚싯길과 구멍에 대한 접근을 둘러싼 갈등은 1995년 도넛 홀 [23]협정이라고 불리는 협약으로 해결되었다.

오염

기업의 이익은 종종 반대되는 상업적 이익과 환경적 관심사를 교차시켜 또 다른 형태의 분쟁을 일으킨다.1960년대에 이리 호수, 그리고 그보다 더 적은 규모로 다른 오대호들은 물고기 떼죽음을 당할 정도로 오염되었다.1972년 [24]미국 의회가 청정수법을 통과시키기 전까지 지역 사회는 암울한 수질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수질 오염은 특히 중국과 같이 고도로 산업화된 인구 밀집 지역에서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도시 전체가 안전한 식수가 부족한 상황이 악화되자, 중국은 개정된 수질오염방지 및 [25]관리법을 통과시켰다.오염된 물이 국경을 넘어 퍼질 가능성, 그리고 더 가난한 나라 내에서 인정되지 않는 수질 오염은, 수질 오염에 대한 국제적인 입력을 가능하게 하면서, 인권 문제를 제기한다.한 국가의 공해 분쟁에 대처하기 위한 단일 틀은 없다.

응답

협력.

국경을 초월한 기관들은 협력을 촉진하고, 초기 분쟁을 극복하고, 기후 [26]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이러한 기관의 효과도 [26]감시할 수 있다.

인더스강위원회1960년 인더스수역조약은 양국의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인도와 파키스탄의 두 의 전쟁에서 살아남아 협의, 조사, 데이터 교환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분쟁 해결의 성공적인 메커니즘을 입증했다.메콩 위원회는 1957년부터 기능했고 1955-1975년의 베트남 전쟁보다 오래 지속되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나일강댐을 건설하려는 이집트의 계획과 같이 국가들이 지역 협력에 협력할 기관이 부족할 때 지역 불안정이 초래된다.2019년 현재, 국경을 넘는 수원의 관리를 감독하는 글로벌 기관은 없으며, 유니세프와 미국 재생국제휴에 의해 결성된 메콩 위원회 등, 기관간의 임시 제휴에 의한 국제 공조가 행해지고 있다.강력한 국제기구의[original research?] 형성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하는 것 같다.그것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분쟁 해결 과정을 회피하면서 조기 개입과 [citation needed]관리를 장려한다.

거의 모든 해결된 분쟁의 한 가지 공통적인 특징은 협상이 "권리 기반" 패러다임이 아닌 "요구 기반"이라는 것입니다.프로젝트의 과민한 토지, 인구 및 기술성에 따라 "요구"가 정의됩니다.니즈에 근거한 패러다임의 성공은 요르단강 유역에서 협상된 유일한 물 협정에 반영되어 있다.요르단강 유역에서는 니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인도 아대륙에서는 방글라데시의 관개 요건에 따라 갠지스 [citation needed]강의 물 할당량이 결정됩니다.필요 기반의 지역적 접근법은 최소한의 정량적 요구가 충족되도록 보장하면서 물 수요를 개인에게 만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그것은 국가들이 이 조약을 국익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발생하는 갈등을 제거하고 제로섬 접근법에서 물과 그 [citation needed]이익을 공평하게 배분하는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법으로 옮겨간다.이는 물 사용 시스템의 형평성과 효율성 모두 특히 물 부족 상태에서 중요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두 가지 성과 요소의 조합은 학습 모드에서 모든 이해당사자들 간의 지속적인 협력이 [27]매우 바람직한 지속가능성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수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스위스 및 스웨덴 정부와 손잡고 전략적 선견지명 그룹이 개발한 블루피스의 틀은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촉진하고 평화를 위한 협력을 촉진하는 독특한 정책 구조를 제공한다.국가 간 배분이 아닌 협력을 통해 공유된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평화의 기회를 [28][need quotation to verify]높일 수 있다.블루피스의 접근법은 중동과[29][30] 나일강 [29][31]유역에서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국제 연합에 의한 프로그램

UNESCO-IHP 지하수 포털은 수자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물 관리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 물 분쟁 해결에서 가장 적극적인 유엔 프로그램은 중동에서 물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다른 [32]곳에서 교육 활동을 조직하는 3단계에 있는 잠재적 협력 가능성(PCCP)이다.그것의 목표 그룹은 외교관, 국회의원, 시민 사회, 그리고 물 연구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물 분쟁에 대한 지식을 넓힘으로써, 그것은 분쟁을 다루는데 있어서 국가들 간의 협력을 장려하기를 희망한다.

유네스코는 국경을 넘는 대수층 [33]지도를 발간했다.물 분쟁에 초점을 맞춘 학술사업은 국내 분쟁은커녕 국제분쟁을 중재하는 일관된 방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그러나 유네스코는 물 갈등이 더욱 공공연해지고 심각성이 높아지면서 완고한 이해관계가 강화됨에 따라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에 직면해 있다.

국제기구에 의한 중재

물 분쟁 조정과 물 관리 개선에는 국제기구가 가장 큰 역할을 한다.수질오염을 정량화하기 위한 과학적 노력부터 국가 간 무역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세계무역기구의 노력까지, 많은 종류의 물 분쟁은 현재의 틀과 제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회원국들이 제기한 물 분쟁을 본질적으로 상업적인 경우에 중재할 수 있다.WTO는 수자원 분쟁에 대한 권한은 아니지만 수산센터와 같은 특정 단체가 관련 사례를 감시하고 판결을 내리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 일어나는 물 분쟁이나, 본질적으로 상업적이지 않을 수 있는 분쟁은 WTO의 중재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물은 농산물 무역에 매우 중심적이기 때문에 WTO의 경우 물 분쟁은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에 사용되는 가상 [34][35]물, 즉 국가 간 직접 거래되지 않는 형태로 미묘하게 관련될 수 있다.물 공급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국가는 위기에 직면한 국가보다 경제적 관점에서 더 나을 수 있으며, 이는 분쟁의 가능성을 야기한다.국내산 농산물을 대체하는 농업 보조금에 격분하여 물 부족에 직면한 국가들은 WTO에 제소하고 있다.

WTO는 특정 수원을 둘러싼 분쟁과 관련된 농업 기반 분쟁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물이 미래의 경제 분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한 학파는 물을 둘러싼 전쟁, 해결되지 않은 물 분쟁의 궁극적인 진행-수자원 부족과 인구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압력은 무역 문제에 [36]있어 WTO의 시민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능가할 수 있다.

월경수 충돌

국경을 넘는 해역은 두 개 이상의 다른 주가 같은 수역에 접해 있는 해역입니다.물 갈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국경을 넘는 물 배치나 협정이 종종 협상되지만, 많은 공유 국제 하천은 여전히 그러한 [37]조약이 없다.유엔에 따르면, 이러한 협력은 각 주가 물을 남용하는 것이 아니라 [38]물을 보호하고 보존하면서 그들의 이익을 위해 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평하고 지속가능해야 한다.

한 국가가 [39]공유 수원에서 더 많은 물을 끌어오기 시작하면 물을 둘러싼 국제적인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이것은 종종 필요한 물을 얻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물을 과도하게 끌어오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5개 대륙의 50개국 이상이 [40]물을 둘러싼 분쟁의 위험에 처해 있다고 한다.게다가, 국제 수도법은 때때로 분쟁의 가능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우선 도용""리파리아니즘"의 법적 원칙은 둘 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행운이 물을 풍부하게 가진 국가들과 스카를 가진 국가들로 합법적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국경을 넘는 물 분쟁에 관련된다.도시

현재 준국제 주로 중동(분쟁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 강 터키, 시리아, 이라크 중에서 비롯된었고, 이스라엘, 레바논, 요르단과 팔레스타인 간의 요르단 강 갈등), 아프리카(이집트, 에티오피아와 수단 사이에서 나일 강 River-related 갈등)[3]뿐만 아니라 중앙 아시아의 자세한 내용은에서 발생한다.아르곤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간의 해상 분쟁).

물과 관련된 분쟁에 대한 포괄적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물 충돌 연대기'는 태평양 [41]연구소에 의해 개발되었다.이 데이터베이스는 약 4,500년 전 물에 대한 폭력을 나열하고 수자원에 대한 폭력의 1290개 이상의 예를 포함합니다.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

역사적으로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42]같은 강에서 나오는 물의 사용을 놓고 많은 갈등이 있었다.터키의 유프라테스강 남동 아나톨리아 프로젝트(GUneydogu Anatolu Projesi, GAP)는 시리아와 이라크의 물 [citation needed]공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950년대에 특히 하류 [43]국가에 대한 물 공유 우려의 결과로 여러 댐과 다른 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메콩 분지(중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

메콩 분지에서는, 가장 상류인 중국메콩의 원류 지역에 댐을 건설하느라 바쁜 가운데, 하류 국가인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이 물을 [44][45]적게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2020년 현재 중국은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는 메콩강에 11개의 댐을 건설했다.전문가들은 메콩강의 흐름을 통제하는 중국의 능력이 중국의 [46]호의에 의존하는 하류 국가들에 영향력을 줄 것이라고 우려한다.2018년 메콩강의 수위는 매년 [47]장마철에도 10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2020년 1월 현재 태국 국경 상류에서 가장 가까운 중국 댐인 징홍댐은 하천 수위에 큰 변동을 일으켜 하천의 자연 [48]순환을 방해함으로써 하류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랄해 위기

또 다른 유명한 사례로는 중앙아시아의 관개 농업(특히 목화)의 소련 시대의 과잉 개발로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공유하는 아무르다리아강이 거의 말라버려서 지금은 [49]아랄해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1979년, 이집트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는 이집트가 다시 전쟁을 한다면 그것은 물 위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와는 별도로 이집트-에티오피아 관계 속에서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는 "이집트인들이 갑자기 에티오피아를 침공할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그런 시도를 해본 사람은 아무도 살아서 [50]그 이야기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집트에티오피아의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을 둘러싼 갈등은 2020년 [51][52][53]고조됐다.아비 아흐메드 에티오피아 총리는 "어떤 힘도 에티오피아가 댐을 건설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전쟁을 해야 한다면 수백만 명이 대비할 [52]수 있을 것이다.

이집트는 댐이 [53]나일강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의 양을 줄일 것을 우려하여 댐을 실존적 위협으로 보고 있다.인구 증가, 도시화 증가, 경제성장의 추구에 따라 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양국은 물 부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물의 권리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의 차이로 인해 긴장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집트는 역사적 관행에 근거해 나일강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반면, 에티오피아는 [55]국토 내의 고원 수원에서 물의 85%가 나오는 [54]지리학에 근거해 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다.나일강 유역 이니셔티브[56]강습국가의 협력을 통해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보장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지만,[57] 협동 프레임워크 협정은 현재까지 11개국 중 6개국만이 비준했다.

2005년 여름의 기록적인 저우량 때문에, 사메우라 댐의 후방에 있는 저수지는 고갈되고 있다.이 저수지는 일본 시코쿠 섬의 다카마쓰에 물을 공급한다.

인도-파키스탄 물 분쟁

1948년 인도와 파키스탄은 인더스강과 그 [58][59]지류에 대한 물 권리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5주 후에 합의가 이루어졌고 1960년 [58][59]인더스 워터 조약이 체결되면서 분쟁이 이어졌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경우처럼 국가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국경을 넘는 수원에 대한 경쟁도 악화될 수 있다.두 나라 모두 1960년에 체결된 인더스 워터 조약에 의해 주로 지배되는 인더스 강 유역에 물을 많이 의존하고 있다.2019년 2월, 인도는 카슈미르 [60]군사 충돌에 대응하여 파키스탄에 대한 물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했고, 대신 잠무, 카슈미르, 펀자브와 같은 지역으로 물을 돌렸다.상류에 댐을 건설하는 것도 물이 너무 [61]빨리 방류되면 하류에 홍수가 날 수 있다.

두 나라가 인더스 수역의 자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도와 파키스탄은 인더스 수역 조약이라고 불리는 주목할만하고 영향력 있는 조약을 결정했다.이 조약은 세계은행이 중재하며, 분지의 여러 강들의 물 사용과 흐름을 국가별로 규제한다.이 조약은 세 번의 전쟁에서 살아남았지만 양국간 [62]긴장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2019년 긴장감이 고조된 후 인도 총리는 이 지역에서 파키스탄으로의 물 흐름을 제한하겠다고 위협했는데, 이는 파키스탄이 전쟁 [63]행위로 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경수 분쟁과 그 환경영향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

1960년대 [64]이후 터키, 시리아, 이라크에서 을 둘러싼 분쟁이 있었다.터키는 수년 동안 메소포타미아 습지와 수백만 명의 [65]개체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으로 초당 약 500입방미터의 물이 흐르도록 한 1987년 협정을 따르지 않기로 계속해서 결정했다.터키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양쪽에 물이 없는 하류에 사는 수력 발전기 19기와 함께 1200억 입방 미터까지 수용할 수 있는 20개의 댐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터키와 GAP 프로젝트.

(170만 [66]헥타르)로 구성된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GAP 프로젝트는 상황을 격화시켰고 주변국뿐만 아니라 터키에도 돌이킬 수 없는 미래 환경 피해를 초래했다.GAP 프로젝트는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에서 주변 하류 국가인 시리아와 이라크까지 물을 50% 줄였다.하류의 물이 부족하여 많은 쿠르드인들이 집을 잃게 되었고, 유프라테스 강의 염도가 1,000ppm에 달하며, 이라크가 농업에 사용되는 비옥한 유기 토양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게다가, 하류의 물의 부족은 또한 자연적으로 제거된 소금과 오염을 포함한 자연 배수를 방해하고,[66] 수백만 명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2월 초에 걸쳐 메소포타미아 늪지대의 수위가 매년 낮아지는 것.

메소포타미아 습지에 미치는 영향

이라크 습지로도 알려진 메소포타미아 습지는 1980-1988년 이란과의 전쟁 동안 이라크의 5대 대통령 사담 후세인이 아랍 주민들을 배신자라고 비난하고 물을 습지 밖으로 [67]밀어내기 위해 무기로 사용했을 때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이라크 정부는 수천 명의 주민을 대피시키기 위해 9,000 평방 킬로미터(3,500 평방 마일)에서 760 평방 킬로미터까지 10%의 물을 빼냈고, 2005년에는 원래 [66][67]커버리지의 40%만 확보했다.제3강은 1992년에 시작된 172킬로미터의 프로젝트이다.그것은 티그리스 강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포착하여 습지와 알 쿠르나 근처의 유프라테스 강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수로를 포함했다.이 프로젝트는 50만 명의 습지 사람들을 이주시키고, 주변 마을을 불태우고, 주변의 농지와 물을 오염시켜 수천 종의 생물과 인간이 [66]살 수 있는 땅으로 만들었다.

모술과 하디타 저수지

모술댐 상류 저수지 수위.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에서의 충돌은 저수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985년과 1986년,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에 위치한 두 개의 가장 큰 저수지인 모술과 하디타가 수력 발전 및 하류 [68]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990년과 1991년 [69]제1차 걸프전 당시 372km에서 346km로 낮아진 모술댐은 하루 3.3km2의 수면적이 유실됐다.1991년 1월 25일과 2월 10일, 저수지는 호수 표면의 하루 약 3.4km2를 계속 잃었고, 최종 표면적은 215km2, 부피는 3.3km3가 [68]되었다.이는 1991년 2월 여러 의 영국 폭격기가 여러 대의 미사일을 이라크 남부와 서부에 있는 다리에 발사해 각 공격에서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위에 영향을 미친 것과 같은 시기였다.같은 시기 1991년 1월 17일부터 2월 10일까지 이라크에 위치하디타 저수지는 하루 평균 2.5km2의 호수 표면을 잃었고, 3주 동안 총 21%의 호수 표면을 잃었다.2014년 8월 반정부 단체인 IS는 쿠르드족 소식통들이 하류 국가들을 범람시키는 데 사용될 것으로 우려한 모술댐을 점령하여 수천 명의 [71]사망자를 발생시켰다.미국은 이라크 [72]북부IS로부터 댐을 탈환하는 것을 돕기 위해 130회 이상의 공습을 보냈다.미국은 또한 IS가 수백만 [73]명의 자원이 되는 또 다른 중요한 댐을 점령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디타 저수지 주변 지역에 공습을 가했다.이 지역의 자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모술하디타 저수지 모두 하루 2.[68]0km2의 속도로 수면적이 감소했습니다.

기타 주목할 만한 충돌

  • 물을 둘러싼 실제 국가 간 분쟁의 가장 오래된 예는 수메르 라가시움마 사이에서 기원전 2500년에서 2350년 [74]사이에 일어났다.
  • 지역 차원에서 볼 때 주목할 만한 예는 2010년 이시아르 볼라인의 스페인 영화 이븐 더 레인에서 묘사된 2000년 볼리비아의 코차밤바 시위이다.
  • 러시아의 크림 합병 이후 우크라이나는 크림 반도의 식수 [75]85%를 공급하는 북크림 운하를 봉쇄했다.당시 우크라이나 최고 관개 관리였던 바실리 스타슈크는 그것이 인도주의적인 "대격변"[76]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2021년 4월 말, 물을 둘러싼 갈등이 1991년 [77]독립 이후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사이의 가장 심각한 국경 충돌로 확대되었다.
  • 물과의 전쟁(요르단) - 1960년대 후반 요르단 강 유역으로부터의 물 공급을 둘러싼 이스라엘과 아랍 연맹 사이의 긴장
  • 캘리포니아 물 전쟁 - 로스앤젤레스 시, 동부 캘리포니아의 오웬스 밸리의 농부들과 목장주들, 그리고 환경 운동가들 사이의 일련의 분쟁이었다.
  • 플로리다의 물 전쟁 - 플로리다의 물 위기
  • 테네시-조지아 분쟁 - 진행 중인 영토 분쟁
  • 3개 주 물 분쟁 - 조지아, 앨라배마, 플로리다 주 간의 물 사용 분쟁으로, 애팔래치콜라-차타후치-플린트 강 유역과 앨라배마-쿠사-탈라푸사 강 유역을 둘러싼 분쟁입니다.

조사.

국제관리 연구소와 오리건 주립 대학의 일부 연구는 수백 개의 조약과 협정이 체결되어 있는 가운데 국가 간의 물 갈등이 협력보다 덜하다는 것을 발견했다.물 갈등은 다른 사회적 [78]이슈의 결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반대로, 태평양 연구소는 주(즉, 국가 대 국가) 간 물 갈등이 점차 줄어들지만, 물 사용자, 지역, 민족 집단 및 경쟁하는 경제적 이해관계 사이의 국가 이하의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물갈등 연대기'의 데이터는 이러한 주내 갈등이 모든 물갈등에서 더 크고 커지는 요소이며, 양자간 또는 다자간 조약과 같은 그것들을 다루기 위한 전통적인 국제 메커니즘은 [79]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일부 분석가들은 수자원의 인간의 소비 증가로 인해, [80][81]가까운 미래에 물 갈등이 점점 더 흔해질 것이라고 추정한다.

나호 미루마치와 존 앤서니 앨런은 2007년에 물 갈등과 [82]협력에 대한 2차원적 방법으로 TWIN(Transboundary Water Interaction Nexus) 접근법을 제안했다.이 모델은 갈등과 협력의 전통적인 선형 연속체를 무시하고 두 가지를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공존한다고 본다.그들은 모든 협력이 좋은 것은 아니며 모든 갈등이 [83]나쁜 것은 아니라고 가정한다.TWINS 접근법은 분리 후 유용한 최종 단계로 작용할 수도 있다.협력 방법 및 [84]갈등 강도 조치에 대한 분석.모델은 수평 척도(조치 협력 강도)와 수직 척도(조치 충돌 강도)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In Africa, War Over Water Looms As Ethiopia Nears Completion Of Nile River Dam". NPR. 27 February 2018.
  2. ^ Tulloch, James (August 26, 2009). "Water Conflicts: Fight or Flight?". Allian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8-29. Retrieved 14 January 2010.
  3. ^ a b Kameri-Mbote, Patricia (January 2007). "Water, Conflict, and Cooperation: Lessons from the nile river Basin" (PDF). Navigating Peac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7-06.
  4. ^ 2008년 11월 21일에 접속된 유엔 잠재적 충돌과 협력 가능성
  5. ^ 피터 글릭, 1993년"물과 분쟁"국제보안 제18권, 제1호, 페이지 79-112(1993년 여름).
  6. ^ 하이델베르크 국제분쟁연구연구소(하이델베르크 대학 정치학부)컨플릭트 바로미터 2007:위기 – 전쟁 – 쿠데타 – 나고티온 – 중재 – 평화 정착, 제16회 연례 분쟁 분석, 2007년
  7. ^ Sutherland, Ben (March 18, 2003). "Water shortages 'foster terrorism'". BBC News. Retrieved 14 January 2010.
  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1-07-31. Retrieved 2010-04-01.{{cite web}}: CS1 maint: 아카이브된 복사본 제목 (링크) 담수: 지구의 생명선, 2008년 11월 21일 액세스
  9. ^ 무라카미, 마사히로, 1995년중동 평화를 위한 물 관리: 대안 전략, 뉴욕: 유엔 대학 출판부.2008년 11월 16일에 온라인으로 액세스.
  10. ^ [1] 2008년 11월 21일에 접속된 유엔 잠재적 충돌과 협력 가능성
  11. ^ [2] 브룩스, 니나알링턴 연구소는 "중국의 물 위기를 초래한다"고 말했다.2008년 11월 28일에 액세스.
  12. ^ a b Gleick, Peter (17 March 2022). "Water Conflicts Continue to Worsen Worldwide". Pacific Institute. Pacific Institute. Retrieved March 17, 2022.
  13. ^ Wolf, Aaron T (2001). "Water and Human Security". Journal of Contemporary Water Research and Education. 118: 29.
  14. ^ ICWE(1992)물과 환경에 관한 국제회의--21세기 개발문제, 1992년 1월 26일~31일 아일랜드 더블린: 회의의 더블린 성명보고서, 스위스 제네바, ICWE 사무국, 세계기상기구
  15. ^ Gleick, Peter (2019). "Water as a weapon and casualty of armed conflict: A review of recent water-related violence in Iraq, Syria, and Yemen". WIREs Water. 6 (4): 1–15. doi:10.1002/wat2.1351. S2CID 195514316.
  16. ^ Postel, S. L.; Wolf, A. T. (2001). "Dehydrating Conflict". Foreign Policy. 126 (126): 60–67. doi:10.2307/3183260. JSTOR 3183260.
  17. ^ "The Coming Wars for Water". Report Syndication. October 12, 2019.
  18. ^ "EPI Releases - How Water Scarcity Will Shape the New Century - EPI". www.earth-policy.org. Retrieved 9 January 2018.
  19. ^ 국경을 넘는 수자원 관리를 통한 협력 추진, 성공사례, 제8호, 2010년 IWMI
  20. ^ "The Water Conflict Chronology". Pacific Institute. Retrieved March 17, 2022.
  21. ^ [3] 펜트랜드, 윌리엄"The Water-Industrial Complex", Forbes, 2008년 5월 14일.2008년 11월 21일에 액세스.
  22. ^ 콜롬비아 전자 백과사전 제6판Copyright © 2007, Columbia University Press.
  23. ^ 던랩, 윌리엄 W.국제해양법 저널, 제10권, 1995년 제1호, 114-135(22)
  24. ^ 33 U.S.C. § 1251 et seq.
  25. ^ [4] China Daily, 2008년2월 29일 갱신.2008년 11월 21일에 액세스.
  26. ^ a b Sadoff, C.; et al., eds. (2008). Share: managing Water across Boundaries (PDF). IUCN. ISBN 978-2-8317-1029-7.
  27. ^ Haie, Naim (2020). Transparent Water Management Theory: Sefficiency in Sequity (PDF). Springer.
  28. ^ 터키어 리뷰, 2013년 3월
  29. ^ a b "Strategic Foresight Group - Anticipating and Influencing Global Future" (PDF). www.strategicforesight.com.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8. Retrieved 31 August 2018.
  30. ^ eda.base.components.templates.base.accessKeys 아카이브 2013년 9월 26일 오늘.Deza.admin.ch 를 참조해 주세요.2015-11-24에 취득.
  31. ^ "Blue Peace: New Solution for Averting Water Wars in the Nile Basin - Yahoo Finance". 28 Sept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13.
  32. ^ "UNESCO-IHP Groundwater Portal". Retrieved 2019-10-19.
  33. ^ [5] 유네스코는 2008년 11월 21일에 접속된 지하 경계 대수층의 세계 지도를 최초로 발행한다.
  34. ^ Morrisette, Jason J. 그리고 Douglas A.Borer. "석유와 물이 섞이는 곳: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환경 부족과 미래 분쟁"매개변수, 제34권, 2004년 겨울 페이지 94-96.
  35. ^ Piotr Szwedo, '물 발자국과 WTO의 법칙' (2013) 47 세계무역저널, 제6호, 1259-1284페이지
  36. ^ 모리스엣, 99페이지
  37. ^ Zeitoun, Mark; Mirumachi, Naho; Warner, Jeroen; Kirkegaard, Matthew; Cascão, Ana (2019-05-24). "Analysis for water conflict transformation". Water International. 45 (4): 365–384. doi:10.1080/02508060.2019.1607479. ISSN 0250-8060. S2CID 182388253.
  38. ^ "Article 5: Equitable and reasonable utilisation and participation - UN Watercourses Convention". www.unwatercoursesconvention.org. Retrieved 2021-10-08.
  39. ^ Grover, Velma I. (2007). Water : a source of conflict or cooperation?. Enfield, N.H.: Science Publishers.
  40. ^ Paul, James. "Water in Conflict". www.globalpolicy.org.
  41. ^ "Water Conflict Chronology". Pacific Institute. Retrieved March 17, 2022.
  42. ^ www.stormingmedia.us http://www.stormingmedia.us/75/7593/A759324.html. Retrieved 2009-01-19. {{cite web}}: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43. ^ Çarkoğlu, Ali; Eder, Mine (2001). "Domestic Concerns and the Water Conflict over the Euphrates-Tigris River Basin". Middle Eastern Studies. 37 (1): 41–71. doi:10.1080/714004364. ISSN 0026-3206. JSTOR 4284138. S2CID 144773147.
  44. ^ "China's dams exacerbated extreme drought in lower Mekong: Study". Al Jazeera. 25 April 2020.
  45. ^ "Science Shows Chinese Dams Are Devastating the Mekong". Foreign Policy. 22 April 2020.
  46. ^ Chellaney, Brahma (28 October 2019). "China is weaponizing water and worsening droughts in Asia". Nikkei Asian Review.
  47. ^ "Damming the Mekong Basin to Environmental Hell". Project Syndicate. 2 August 2019.
  48. ^ Bainbridge, Amy (20 January 2020). "China's Mekong River dams are generating renewable energy, but are costing locals their livelihoods". ABC News.
  49. ^ Prokurat, Sergiusz (2015), Drought and water shortages in Asia as a threat and economic problem (PDF), Józefów: "Journal of Modern Science” 3/26/2015, pp. 235–250, retrieved 13 August 2016
  50. ^ Malone, Barry. "Next on Egypt's to-do: Ethiopia and the Nile". www.aljazeera.com. Retrieved 9 January 2018.
  51. ^ Walsh, Decian (9 February 2020). "For Thousands of Years, Egypt Controlled the Nile. A New Dam Threatens That".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20.
  52. ^ a b "Are Egypt and Ethiopia heading for a water war?". The Week. 8 July 2020.
  53. ^ a b "Row over Africa's largest dam in danger of escalating, warn scientists". Nature. 15 July 2020.
  54. ^ "Nile Basin Water Wars: The Never-Ending Struggle Between Egypt, Ethiopia, and Sudan". Geopolitical Monitor. 2019-11-04. Retrieved 2020-11-20.
  55. ^ Gleick, Peter; Iceland, Charles (2018). Water, Security and Conflict. Washington, DC. USA: World Resources Institute.
  56. ^ "Who we are Nile Basin Intitative (NBI)". nilebasin.org. Retrieved 2020-11-20.
  57. ^ "CFA Nile Basin Intitative (NBI)". nilebasin.org. Retrieved 2020-11-20.
  58. ^ a b Salman, Salman M. A.; Uprety, Kishor (2002), Conflict and Cooperation on South Asia's International Rivers: A Legal Perspective, World Bank Publications, pp. 42–44, ISBN 978-0-8213-5352-3
  59. ^ a b Gilmartin, David (2020), Blood and Water: The Indus River Basin in Modern History, Univ of California Press, pp. 210–211, ISBN 978-0-520-35553-8
  60. ^ Dasgupta, Mehr Nadeem, Saad Sayeed, Neha (2019-08-19). "Pakistan, India spar over using water as a weapon in Kashmir dispute". Reuters. Retrieved 2020-11-20.
  61. ^ "Pakistan accuses India of using water as weapon in Kashmir conflict". South China Morning Post. 2019-08-19. Retrieved 2020-11-20.
  62. ^ Qamar, Muhammad Uzair; Azmat, Muhammad; Claps, Pierluigi (2019). "Pitfalls in transboundary Indus Water Treaty: a perspective to prevent unattended threats to the global security". NPJ Clean Water. 2 (1): 1–9. doi:10.1038/s41545-019-0046-x. ISSN 2059-7037.
  63. ^ Nadeen, Mehr; Sayeed, Saad; Dasgupta, Neha (2019-08-19). "Pakistan, India spar over using water as a weapon in Kashmir dispute". Reuters. Retrieved 2021-03-26.
  64. ^ "Turkey, Syria and Iraq: Conflict over the Euphrates-Tigris Climate-Diplomacy". climate-diplomacy.org. Retrieved 2022-06-23.
  65. ^ "Turkey is reportedly depriving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of water". openDemocracy. Retrieved 2022-06-23.
  66. ^ a b c d Abdulrahman, May F. (2021-08-31). "Effect of Discharge on Water Quality in Euphrates River Between Hit and Ramadi, Iraq". Iraqi Geological Journal. 54 (2B): 101–111. doi:10.46717/igj.54.2b.9ms-2021-08-29. ISSN 2414-6064.
  67. ^ a b "Iraq's marshes, once drained by Saddam, named world heritage site". Reuters. 2016-07-17. Retrieved 2022-06-23.
  68. ^ a b c Hasan 1, Mejs; Moody, Aaron 2; Benninger, Larry 1; Hedlund, Heloise 2 1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March 2019). "How war, drought, and dam management impact water supply in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s". Proquest: 264–279. doi:10.1007/s13280-018-1073-4.
  69. ^ "Persian Gulf War Summary, Dates, Combatants, Casualties, Syndrome, Map, & Facts Britannica". www.britannica.com. Retrieved 2022-06-23.
  70. ^ "The airstrike in Mosul was potentially one of the worst U.S.-led civilian bombings in 25 years".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Retrieved 2022-06-23.
  71. ^ "Kurdish forces 'break IS hold on Mosul dam'". BBC News. 2014-08-17. Retrieved 2022-06-23.
  72. ^ "US strikes Islamic State militants at Iraq's Haditha dam". BBC News. 2014-09-07. Retrieved 2022-06-23.
  73. ^ "US launches airstrikes around Iraq's Haditha Dam". popularmilitary.com. Retrieved 2022-06-23.
  74. ^ Rasler, Karen A.; Thompson, W. R. (2006). "Contested Territory, Strategic Rivalries, and Conflict Escala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0 (1): 145–168. doi:10.1111/j.1468-2478.2006.00396.x.
  75. ^ "Pray For Rain: Crimea's Dry-Up A Headache For Moscow, Dilemma For Kyiv".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9 March 2020.
  76. ^ "Dam leaves Crimea population in chronic water shortage". Al-Jazeera. 4 January 2017.
  77. ^ Reuters Staff (29 April 2021). "Kyrgyz, Tajik security forces clash at border in water dispute". Reuters.
  78. ^ "Promoting cooperation through management of trans-boundary water resources, Success Stories, Issue 8, 2010". IWMI. Retrieved 9 January 2018.
  79. ^ "Water Conflict Chronology". Pacific Institute. Retrieved June 21, 2013.
  80. ^ "Worldwide battle for water (video)". BBC. August 19, 2008. Retrieved 2009-03-24.
  81. ^ http://news.bbc.co.uk/2/hi/africa/7959814.stm%7Cpublisher=BBC date=2008-08-19 access date=2009-03-26
  82. ^ 미리마치, 나호, 그리고 존 앤서니 앨런."경계수 거버넌스 재방문:권력, 갈등, 협력, 정치경제"라고 말했다.CAIWA Conference Paper, 2007년 [6]에서 2014년 1월에 액세스
  83. ^ 자이툰, 마크, 나호 미루마치."국경수역 상호작용 I: 분쟁과 협력 재검토"국제환경협정, 2008년 8월 4, 페이지 297~316
  84. ^ 라인, 말렌"메콩강 유역의 힘의 비대칭성:수력-헤지모니가 국경수 공유에 미치는 영향"비엔나 동아시아 연구 저널 제8권 ed.루디거 프랭크, 이나 하인, 루카스 포코니, 아그네스 쉬크첸.비엔나: Praesens Verlag, 2016, 페이지 127–162.https://doi.org/10.2478/vjeas-2016-000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