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수

Peak water
대수층 [1]지하수 생산을 위한 잠재적 피크 수 곡선.

피크 워터는 담수 자원의 가용성, 품질 및 사용에 대한 증가하는 제약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피크 워터는 피터 글릭과 미나 팔라니아판의 [2]2010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기사에서 정의되었다.그들은 지구에 엄청난 양의 물이 있지만 지속가능하게 관리되는 물은 부족해지고 [3]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재생가능한 피크, 비재생가능한 피크, 생태학적 피크수를 구분한다.

레스터 R. 지구정책연구소의 브라운 소장은 2013년에 석유 피크에 관한 방대한 문헌이 있었지만, "우리의 [4]미래에 진짜 위협적인 것은 석유 피크였다"고 썼다.평가는 2011년 8월에 스톡홀름 국제연구소[5]저널에 발표되었습니다.지하 대수층[6] 호수에 있는 세계의 물의 많은 부분이 고갈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한정된 [7]자원과 유사하다.피크워터라는 말피크오일에 대한 논쟁과 비슷한 논란을 불러일으킨다.2010년, 뉴욕 타임즈는 "올해의 단어"[8] 33개 중 하나로 "피크 워터"를 선택했습니다.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피크 수량이 임박한 것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피크 재생 가능 용수로, 전체 재생 가능 흐름이 인간의 사용을 위해 소비되고 있다.
  • 피크 비재생수로 지하수 대수층이 자연 재충전 속도보다 빠르게 펌프(또는 오염)되고 있습니다(이 예는 피크 오일 논쟁과 가장 유사합니다).
  • 생태학적, 환경적 제약이 물[2]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압도하는 피크 생태적 물

현재[which?] 추세대로라면 2025년까지 18억 명의 인구가 절대적인 물 부족과 함께 살게 될 것이고, 세계의 3분의 2가 물 스트레스[9]받게 될 것이다.궁극적으로, 피크 워터는 담수가 고갈되는 것이 아니라, 물에 대한 인간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물리적, 경제적, 환경적 한계에 도달하는 것과 그에 따른 물의 가용성과 사용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피크오일과의 비교

허버트 곡선은 과학계에서 다양한 천연자원의 고갈을 예측해 인기를 끌고 있다.M. King Hubbert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10] 우라늄과 같은 다양한 유한 자원에 대해 1956년에 이 측정 장치를 만들었습니다.물은 재생 가능한 자원이기 때문에 Hubbert의 곡선은 원래 물과 같은 자원에 적용되지 않았다.그러나 화석수와 같은 일부 형태의 물은 석유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며, 이론적으로 오버펌핑(지하수의 자연 재충전 속도보다 빠름)은 허버트형 피크를 초래할 수 있다.변경된 Hubbert 곡선은 교체할 [1]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수집할 수 있는 모든 리소스에 적용됩니다.피크 오일과 마찬가지로, 피크 물은 특정 수계의 추출 속도를 고려할 때 불가피합니다.현재의 주장은 증가하는 인구와 물 수요는 불가피하게 수자원의 [11]재생 불가능한 사용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이다.

급수

민물은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깨끗하고 신선한 물의 세계 공급은 인간 [12]활동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받고 있다.세계에는 약 13억 4천만 입방 킬로미터의 물이 있지만, 그 중 96.5%가 [13]짜다.거의 70%의 민물이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의 만년설에서 발견될 수 있다.지구상에 있는 이 물의 1% 미만이 인간이 접근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토양 수분이나 깊은 지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접근 가능한 담수는 호수, 강, 저수지 및 얕은 지하수원에 있다.빗물과 은 많은 지하 자원을 [14]보충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담수원(상위 15개국)[15]
총 담수 공급량
나라 (km3/년) 연도
브라질 8,233 2000
러시아 4,508 2011
미국 3,069 1985
캐나다 2,902 2011
중국 2,739 2008
콜롬비아 2,132 2000
인도네시아 2,019 2011
페루 1,913 2000
인도 1,911 2011
DR 콩고 1,283 2001
베네수엘라 1,233 2000
방글라데시 1,227 1999
미얀마 1,168 2011
칠리 922 2000
베트남 884 2011

(i) 빙하 후퇴, 하천 및 하천 흐름 감소, 호수의 축소, (ii) 인간 및 산업 폐기물에 의한 물의 오염, (ii) 비재생 지하수 대수층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담수 공급량이 감소하고 있다.많은 대수층이 과다하게 펌핑되어 재충전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비록 총 담수 공급이 다 쓰이지 않았지만, 많은 것들이 오염되거나, 소금에 절이거나, 부적합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식수, 산업, 농업에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물 수요

물 수요는 이미 세계 많은 지역에서 공급을 초과하고 있으며, 세계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더 많은 지역이 이러한 불균형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은 전 [16]세계 민물 사용의 70%를 차지한다.

농업, 산업화, 도시화는 모두 물 소비를 증가시킨다.

국가별 담수 유출량

물의 가장 큰 총 사용량은 인도, 중국, 미국, 인구가 많은 나라, 광범위한 농업 관개, 그리고 식량 수요입니다.다음 표를 참조하십시오.

국가별, 부문별 담수 유출량(상위 20개국)[17]
나라 총 담수 유출량(km3/yr) 1인당 철수(m3/p/yr) 국내사용(m3/p/yr)(%) 산업용도(m3/p/yr)(%) 농업용도(m3/p/yr)(%)
인도 761 627 46 (7%) 14 (2%) 567 (90%)
중국 578.9 425 52 (12%) 99 (23%) 272 (64%)
미국 482.2 1,518 193 (13%) 699 (46%) 626 (41%)
파키스탄 183.5 993 52 (5%) 8 (1%) 933 (94%)
인도네시아 113.3 487 58 (12%) 34 (7%) 400 (82%)
이란 93.3 1,243 85 (7%) 12 (1%) 1143 (92%)
일본. 90 709 135 (19%) 127 (18%) 446 (63%)
베트남 82 921 9 (1%) 37 (4%) 875 (95%)
멕시코 80.4 727 102 (14%) 67 (9%) 557 (77%)
러시아 76.68 546 109 (20%) 328 (60%) 109 (20%)
이집트 68.3 923 74 (8%) 55 (6%) 794 (86%)
이라크 66 2,097 147 (7%) 315 (15%) 1657 (79%)
호주. 59.84 2,782 445 (16%) 306 (11%) 2058 (74%)
브라질 58.07 297 83 (28%) 52 (17%) 162 (55%)
태국. 57.31 841 40 (5%) 41 (5%) 760 (90%)
우즈베키스탄 56 2,015 141 (7%) 60 (3%) 1813 (90%)
이탈리아 45.4 755 151 (20%) 272 (36%) 332 (44%)
캐나다 45.08 1,330 260 (20%) 913 (69%) 157 (12%)
터키 40.1 530 74 (15%) 58 (11%) 393 (74%)
방글라데시 35.87 253 25 (10%) 5 (2%) 222 (88%)

인도

인도에는 지구 인구의 20%가 있지만 물의 4%만이 있다.인도의 주요 농업 지역들 중 일부에서 수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인도는 세계 모든 나라 중에서 가장 많은 물을 빼내는 나라이다.그 물의 86%가 [17]농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그 과도한 사용은 주로 사람들이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좌우된다.인도 사람들은 쌀을 많이 소비한다.인도의 쌀 농가는 보통 단위 면적당 수확량의 절반도 안 되는 반면 중국 농가에 비해 10배나 많은 물을 사용합니다.경제 발전은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하기 위해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 고기를 더 많이 먹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곡물 1t을 재배하려면 1000t의 물이 필요하고 쇠고기 1t을 생산하려면 1만5000t의 물이 필요하다.햄버거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 4,940리터의 [18]물이 필요합니다.오렌지 주스 한 잔을 만들기 위해서는 850리터(225갤런)의 [19]담수가 필요합니다.

중국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인 중국은 두 번째로 많은 물을 빼내고 있습니다. 68%가 농업을 지지하고 있고, 증가하는 산업 기반은 26%[17]를 소비하고 있습니다.중국은 수자원이 과잉 배치되고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며 인적 및 산업 폐기물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되는 수자원 위기에 직면해 있다.중국 인구의 3분의 1이 안전한 식수를 얻지 못하고 있다.강과 호수는 죽어가고 있고 지하수 대수층은 과잉 펌프로 채워져 있으며, 무수한 수생 생물종들은 멸종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인간과 생태계 건강에 직접적인 악영향은 널리 퍼지고 있다.

황하의 본류가 흐르는 중국 서부의 칭하이성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2,000개 이상의 호수가 사라졌다.한때는 4,077개의 [20]호수가 있었다.지구 기후 변화는 지난 수십 년 동안 황허의 흐름을 감소시킨 원인이다.황하의 발원지는 빙하가 급격히 [21]후퇴하고 있는 칭하이-시짱 티베트 고원이다.

베이징을 둘러싼 허베이성의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허베이성은 중국의 주요 밀과 옥수수 재배 성 중 하나이다.허베이성 전역에서 수위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그 지역은 1,052개의 호수 [20]중 969개를 잃었다.약 50만 명의 사람들이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식수 부족의 영향을 받고 있다.수력 발전도 [22]영향을 받는다.베이징과 톈진은 양쯔강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해 허베이성에 의존하고 있다.베이징은 새로 건설된 남북수송사업[23]통해 물을 공급받는다.이 강은 티베트 고원 동부의 빙하에서 발원한다.

미국

운하 종착역

미국은 세계 인구의 약 5%를 가지고 있지만, 인도(세계의 1/5 정도)나 중국(세계의 1/5 정도)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을 사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많은 양의 물은 전 세계에 수출되는 식량을 재배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미국의 농업 부문은 산업 부문보다 더 많은 물을 소비하지만 발전소 냉각 [17]시스템의 경우 상당한 양의 물이 회수된다(소비되지는 않는다).50명 중 40명은 향후 10년 [24]이내에 어느 정도의 물 스트레스를 받을 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남부 고원지대(텍사스와 뉴멕시코)의 오갈랄라 대수층은 보충량을 훨씬 초과하는 속도로 채굴되고 있습니다. 이는 비재생수 피크 시의 전형적인 예입니다.지표면과 수성층 사이의 점토층, 그리고 강우량이 단순히 [25]관개용 추출 속도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대수층의 일부는 자연적으로 재충전되지 않는다.화석수라는 용어는 때때로 수세기에서 수천 년 동안 저장되었던 대수층의 물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충전 속도가 지하수 추출 속도보다 느릴 경우 이 물을 사용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도 센트럴 밸리 지하수 대수층에서 대량의 지하수가 [26]유출되고 있다.캘리포니아의 센트럴 밸리는 미국 전체 관개지의 6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 생산과 수출에서 캘리포니아 주를 앞서고 있습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하수 유출을 지속할 수 없는 것은 지역의 농업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Central Arizona Project(CAP)는 콜로라도 강에서 연간 4890억 갤런9(1.85×10m3)을 돌려 30만 에이커(1200km2) 이상의 농지를 관개하는 336마일(541km) 길이의 운하입니다.CAP 프로젝트는 피닉스와 투싼에도 식수를 제공한다.콜로라도 강을 댐으로 막고 있는 미드 호수[27]2021년까지 고갈될 가능성이 50 대 50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스턴 근처의 입스위치 강은 관개용 지하수의 대량 펌프로 인해 몇 년 만에 고갈된다.메릴랜드, 버지니아, 콜롬비아 특별구는 포토맥 강을 두고 싸워왔다.1999년 또는 2003년과 같은 가뭄의 해와 더운 여름날 이 지역은 강 [28]유량의 85%를 소비합니다.

1인당 취수량

투르크메니스탄, 호주, 가이아나는 1인당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아래 표를 참조하십시오.

국가별, 부문별 담수 유출량(1인당 상위 15개국)[29]
1인당 철수 총 담수 회수량 국내용 산업용 농업용
나라 (km3/년) (m3/p/yr) (%) (%) (%)
투르크메니스탄 5,409 28 3 3 94
호주. 2,782 59.84 16 11 74
가이아나 2,154 1.64 2 1 98
이라크 2,097 66 7 15 79
우즈베키스탄 2,015 56 7 3 90
타지키스탄 1,625 11.5 5 4 91
칠리 1,558 26.7 4 10 86
미국 1,518 482.2 13 46 41
키르기스스탄 1,441 8 3 4 93
아제르바이잔 1,367 1,489 4 20 76
에스토니아 1,344 1.8 3 96 1
캐나다 1,330 45.08 20 69 11
수리남 1,278 0.67 4 3 93
이란 1,243 93.3 7 1 92
뉴질랜드 1,115 4.8 22 4 74
우루과이 1,097 3.7 11 2 87
티모르-레스테 1,064 1.17 8 1 91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아랄 인근 옛 아랄해의 고아선

투르크메니스탄은 대부분의 물을 아무다리야 강에서 얻는다.카라쿰 운하는 아무다리야 강에서 물을 끌어와 과수원 농작물과 [30]목화를 관개하기 위해 사막에 물을 분배하는 운하 시스템이다.투르크메니스탄은 밭에 공급되는 물의 55%만이 실제로 [17][31]농작물에 도달하기 때문에 세계에서 1인당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

아랄해를 먹여 살리는 두 강은 댐으로 막혔고 사막에 물을 대는 데 사용되어 목화가 생산되었다.그 결과, 아랄해의 물은 훨씬 더 짜졌고 해수면은 60% 이상 감소했습니다.식수는 현재 살충제와 다른 농약에 오염되어 있으며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다.주변 [32]지역의 기후는 더욱 극심해졌다.

국가별 물 부족

사우디아라비아, 리비아, 예멘, 아랍에미리트(UAE)는 물 생산량이 최고조에 달해 물 공급을 줄이고 있다.아래 표를 참조하십시오.

국가별 담수 부족량(상위 15개국)[33]
총 담수 회수량 총 담수 공급량 총 담수 부족량
지역 및 국가 (km3/년) (km3/년) (km3/년)
사우디아라비아 17.32 2.4 14.9
리비아 4.27 0.6 3.7
예멘 6.63 4.1 2.5
아랍에미리트 2.3 0.2 2.2
쿠웨이트 0.44 0.02 0.4
오만 1.36 1.0 0.4
이스라엘 2.05 1.7 0.4
카타르 0.29 0.1 0.2
바레인 0.3 0.1 0.2
조던 1.01 0.9 0.1
바베이도스 0.09 0.1 0.0
몰디브 0.003 0.03 0.0
앤티가 바부다 0.005 0.1 0.0
몰타 0.02 0.07 -0.1
키프로스 0.21 0.4 -0.2

사우디아라비아

1980-2000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물 공급량(단위: 수백만 입방 미터).[34]

왈리드 A에 따르면사우디아라비아의 물 수요 관리(Abderrahman, 2001), 사우디아라비아는 1990년대 초 연간 300억 입방미터 이상의 최고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다.허버트 [35]곡선의 예상대로 피크는 중간 지점에 도달했다.오늘날, 물의 생산량은 최고 속도의 약 절반이다.사우디 아라비아의 식량 생산은 "화석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고대 대수층의 물은 아주 천천히 재충전되고 있다.화석수는 석유와 마찬가지로 재생이 불가능하며 언젠가는 고갈될 이다.사우디아라비아는 자급자족하는 식량 생산을 포기하고 사실상 모든 [34]식량을 수입하고 있다.사우디 아라비아는 담수화 시설을 건설하여 자국 담수의 절반 가량을 공급하고 있다.나머지는 지하수(40%), 지표수(9%), 재생 폐수(1%)에서 나온다.

리비아

1975-2000년 리비아의 물 공급량은 수백만 입방 [36]미터입니다.

리비아그레이트 인메이드 강이라고 불리는 물을 수입하기 위한 송수관망을 구축하고 있다.그것은 사하라 사막의 화석수를 파내는 우물에서 트리폴리, 벵가지, 시르테 의 도시로 물을 운반한다.그들의 물은 또한 담수화 [37]시설에서 나온다.

예멘

예멘에서 [38][39]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2005-2009년 [40]정부의 5개년 물 계획에 따르면 예멘에서는 더 이상 지속가능성을 달성할 수 없다.예멘의 수도 사나에서 공급되는 대수층이 이르면 2017년에 고갈될 수도 있다."Sana'a running out of water with no plan to save it". The Global Urbanist. Retrieved 3 October 2017. 예멘 정부는 분지의 물을 찾기 위해 석유 산업과 관련된 2km 깊이의 시험 유정을 뚫었지만 물을 찾지 못했다.예멘은 곧 도시를 이전하는 것과 해안 담수화 [41]설비에 송유관을 건설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송유관 선택은 사나 고도가 2,250m(7,380ft)이기 때문에 복잡하다.

2010년 현재, 물 부족의 위협은 알카에다나 불안정보다 더 큰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예멘인들이 사나 등 산악 도시를 버리고 해안으로 이주해야 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정부의 카트 재배와 부족한 물 조절이 부분적으로 [42]비난받았다.

아랍에미리트

UAE 라스 알 카이마의 담수화 공장

아랍에미리트는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할 물이 거의 없다.UAE는 자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고조에 달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UAE는 루와이스 인근에 담수화 시설을 갖추고 송유관을 통해 아부다비로 물을 수송하고 있다.[43]

결과들

기근

물 부족은 파키스탄에 [44][45]기근을 일으킬 수 있다.파키스탄에는 운하와 관정으로 관개된 약 3500만 에이커(140,000km2)의 경작지가 있으며, 대부분 인더스 강의 물을 사용합니다.차슈마, 망라, 타르벨라에 댐을 건설하여 관개 시스템을 공급하였다.1976년 타르벨라 댐이 완공된 이후 천문학적인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수용력은 추가되지 않았다.3개의 댐의 총용량은 침전, 즉 지속적인 과정으로 인해 감소하였다.1951년 관개용 1인당 지표수 가용량은 연간 5,260입방미터였다.2006년에는 연간 1100입방미터로 줄었다.

건강상의 문제

식수의 질은 인간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다.물이 최고조에 달하면 사람들은 기본적인 개인 위생을 위해 안전한 물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설사, 장티푸스, 콜레라같은 전염성 수인성 질병은 개발도상국의 질병과 사망의 80%를 차지하며, 그 중 대부분은 어린이입니다.8초마다 한 명의 어린이가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하고,[46] 연간 1500만 명의 어린이가 사망합니다."

모든 곳의 활력소 대수층이 독소로 오염되고 있다.대수층이 한번 오염되면, 그것은 결코 회복될 수 없을 것 같다.오염물질은 만성적인 건강상의 영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과 같은 병원균으로부터 오염될 수 있다.또한 유독성 유기 화학 물질이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무기 오염 물질에는 비소, 바륨, 크롬, , 수은, 과 같은 독성 금속이 포함됩니다.질산염은 무기 오염의 또 다른 원천이다.마지막으로, 방사성 원소를 용출시켜 [47]수도를 오염시킬 수 있다.

물을 둘러싼 인간의 갈등

미래의 몇몇 분쟁들은 물의 가용성, 품질, 그리고 통제를 두고 싸울 수 있다.물은 또한 분쟁의 도구 또는 다른 [48]이유로 시작된 분쟁의 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물 부족은 이 귀중한 [49]자원에 대한 물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서아프리카와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갠지스 델타 등), 페루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강의 큰 변화가 앞으로 몇 년 동안 폭력 충돌의 심각한 위험을 야기한다.물 관리와 통제는 부족한 [50]자원을 둘러싼 미래의 자원 전쟁에 한 몫을 할 수 있다.

솔루션

담수 사용은 거의 모든 곳에서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더 나은 보존과 관리를 위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부족이 닥칠 때까지 사람들은 담수에 대한 접근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물 절약

물의 [51]사용을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예를 들어, 대부분의 관개 시스템은 물을 낭비한다. 일반적으로 관개 농업을 위해 회수된 물의 35~50%만이 농작물에 도달한다.대부분의 경우 들판에 도달하기 전(또는 도포 후)에 라인 없는 운하로 스며들거나 파이프에서 새어나오거나 증발합니다.빗물저수조는 과도한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산업에서는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산업에서는 가능하면 폐쇄된 물 순환을 사용해야 합니다.또한, 산업계는 오염수가 물 순환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오염수를 방지해야 한다.가능하면 회색 폐수를 사용하여 나무나 잔디밭을 세척해야 합니다.대수층에서 끌어온 물은 폐수를 처리하여 대수층으로 [52]되돌려 충전해야 한다.

골프장과 같은 사치품을 세척하기 위해 담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다.담수가 고갈된 지역에서는 명품을 생산해서는 안 된다.예를 들어, 컴퓨터 [53]한 대와 모니터 한 대를 제조하는 데 평균 1,500리터의 물이 사용됩니다.

히말라야 강 뒤편의 고원 라다크에서는 기술자와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 빙하가 물러나는 봄철에 물을 얻기 위해 얼음 스투파를 저수지로 건설하고 있다.[54]

물 관리

지속 가능한 물 관리는 정의된 물 정책과 규정에 따라 수자원의 과학적 계획, 개발, 분배 및 최적화를 수반한다.물 관리를 개선하는 정책의 예로는 효율성 모니터링 및 물 사용, 혁신적인 물 가격과 시장, 관개 효율성 기술 등을 [55]들 수 있습니다.

경험에 따르면 물값 상승은 경제, 가격, 시장에서의 고전적인 주장인 사용 효율성 개선으로 이어진다.를 들어, 네바다의 클라크 카운티는 2008년에 [56]보존을 장려하기 위해 수도 요금을 인상했다.경제학자들은 사용된 물의 단위당 가격이 매우 작게 시작되어 사용된 물의 단위당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점진적 가격 체계를 채택함으로써 보존을 장려할 것을 제안한다.이 계층형 어프로치는 오랜 세월 동안 많은 곳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점점 [57]더 널리 보급되고 있습니다.뉴욕타임스프리코노믹스 칼럼은 사람들이 휘발유 [58]가격 상승에 반응하는 것처럼 물 가격 상승에 반응하는 것을 적게 사용할 것이라고 시사했다.Christian Science Monitor는 또한 높은 물 가격이 낭비와 [59]소비를 억제한다는 주장을 보도했다.

그의 책 "최종 자원 2"에서, 줄리안 사이먼은 정부부패와 안전하고 깨끗한 물의 충분한 공급 부족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Simon은 다음과 같이 썼다.물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부유한 나라의 가정뿐만 아니라 농업에 충분한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물법과 시장가격의 합리적인 구조가 있다는 것에 완전히 동의하고 있다.문제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아니라 오히려 결함이 있는 법과 관료적 개입이다; 물 속의 시장을 자유롭게 하면 모든 물 문제를 영원히 없앨 수 있을 것이다.물이 부족한 가난한 나라에서는 다른 많은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부의 부족이 문제입니다.이들 국가가 부유해지면 물 문제도 덜 어려워질 것이다.[60]그러나 이 이론적인 주장은 개방된 물 시장에 대한 강력한 장벽,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물 이동의 어려움, 일부 인구의 물 비용 지불 불능, 그리고 물 사용에 대한 매우 불완전한 정보를 포함한 실제 상황을 무시한다.일부 부유하지만 물 부족 국가 및 지역의 피크 물 제한에 대한 실제 경험은 여전히 물 [citation needed]문제를 줄이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시사한다.

기후 변화

광범위한 연구는 수자원, 수문학적 순환, 그리고 기후 변화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여주었다.기후 변화에 따라, 물의 수요, 강수 패턴, 폭풍의 빈도와 강도, 적설량과 융설량 등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입니다.IPCC에서 작업 그룹 II에 대한 증거는 기후 변화가 이미 동물, 식물, 수자원 및 시스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2007년 정부간기후변화패널(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의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전역에서 2020년까지 [61]물 부족에 직면할 수 있는 인구가 7,500만 명에서 2억 5,000만 명으로 추산된다.작물 수확량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20% 증가할 수 있지만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는 최대 30% 감소할 수 있다.2020년까지 [62]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 강우로 공급되는 농업이 50% 감소할 수 있다.다양한 다른 충격이 피크 물 제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생물다양성의 손실은 주로 농림을 위한 토지 전용과 기후 변화의 영향에서 기인한다.2008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은 장기 가뭄과 극단적인 날씨가 주요 서식지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가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1,226종의 조류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하고 있는데, 이는 모든 조류의 [63][64]8분의 1에 해당하는 것이다.

백스톱 수원

"백스톱" 자원의 개념은 재생 불가능한 자원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풍부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입니다.따라서 태양광과 기타 재생 에너지원은 지속 불가능한 화석 연료에 대한 "백스톱" 에너지 옵션으로 간주된다.마찬가지로 Gleick과 Palaniappan은 "백스톱 상수원"을 일반적으로 더 높은 비용이 [2]들지만 지속 불가능하고 재생 불가능한 물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정의했다.전형적인 백스톱 수원은 바닷물의 담수화이다.한 지역에서 물 생산 속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또 다른 "백스톱"은 물이 풍부한 곳에서 물이 [51]필요한 지역으로 담수를 운반하는 파이프라인과 같은 유역 간 이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급수차를 [51]이용해 지역에 물을 들여올 수 있다.담수화, 물 이동과 같은 지역사회에 물을 공급하는 가장 비싸고 마지막 수단인 수단은 "백스톱" [1]수원으로 불린다.포그 캐처는 백스톱 방법 중 가장 극단적인 방법입니다.

담수를 생산하기 위해 바닷물에서 담수화 [51]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2008년 1월 17일자 월스트리트 저널에 실린 기사는 "국제 담수화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3,080개의 담수화 시설이 하루에 120억 갤런(4,500,000m3) 이상의 물을 생산한다"[65]고 밝혔다.이스라엘은 현재 입방미터 [66]당 미화 0.53달러의 비용으로 물을 담수화시키고 있다.싱가포르[67]물을 세제곱미터당 0.49달러에 담수화 하고 있다.사우디 아라비아의 주바일에서 담수화 된 후, 물은 수도 [68]리야드로 가는 송유관을 통해 내륙으로 200마일(320km)의 물을 퍼 올린다.

그러나 담수화 작용이 [69]물 부족의 만병통치약이 되는 것은 몇 가지 요인이 있다.

  • 담수화 플랜트 건설에 드는 높은 자본 비용
  • 생산되는 물의 높은 비용
  • 물을 담수화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 그 결과 발생하는 브라인의 폐기에 관한 문제
  • 높은 물 수송 비용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인과 같은 일부 국가들은 기술의 비용이 계속 [70]떨어지기 때문에 담수화 기술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몇몇 특정 지역에서는 그물을 사용하여 안개로부터 물을 채취할 수 있다.그물에서 물이 튜브로 떨어진다.몇 개의 그물에서 나온 튜브는 저장 탱크로 이어진다.이 방법을 사용하여 사막 가장자리에 있는 작은 지역사회는 식수, 정원 가꾸기, 샤워, [71]빨래를 위한 물을 얻을 수 있다.비평가들은 포그캐쳐가 이론적으로는 작동하지만 실제로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말한다.이것은 그물과 파이프의 높은 비용, 높은 유지보수 비용, 낮은 [72]수질 때문이다.

다른 접근법은 태양열 에너지로 움직이는 증발과 응결이용하여 온실 안의 바닷물을 담수화시키는 해수 온실이다.성공한 조종사들은 사막 지역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훈련을 받아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기타 자원 피크

레퍼런스

  1. ^ a b c Meena Palaniappan & Peter H. Gleick (2008). "The World's Water 2008-2009, Ch 1" (PDF). Pacific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3-20. Retrieved 2009-01-31.
  2. ^ a b c Gleick, P.H., M. Palaniappan. (June 2010). "Peak Water: Conceptual and Practical Limits to Freshwater Withdrawal and Us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7 (25): 11155–11162. doi:10.1073/pnas.1004812107. PMC 2895062. PMID 20498082.{{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3. ^ "The World's Water 2008-2009: The Biennial Report of Freshwater Resources (Pacific Institute)".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9. Retrieved 2009-01-26.
  4. ^ 브라운, 레스터 R. "피크 워터: 웰스가 마르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지구 정책 연구소, 2013년 7월 9일
  5. ^ Gleick, P. & M. Palaniappan. (August 2011). "On the Waterfront" (PDF). Water Resources. 2: 41–49.
  6. ^ "World's largest aquifer going dry". US Water News. Febr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3, 2006. Retrieved 2009-01-26.
  7. ^ "Disappearing Lakes, Shrinking Seas: Selected Examples". Earth Policy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 2006. Retrieved 2009-01-26.
  8. ^ Sifton, Sam & Grant Barrett. (2010-12-18). "The Words of the Year". The New York Times.
  9. ^ "Global Environmental Outlook - GEO4 environment for development" (PD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7. p. 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7-10-31. Retrieved 2009-02-01.
  10. ^ M. King Hubbert (June 1956). "Nuclear Energy and the Fossil Fuels 'Drilling and Production Practice'" (PDF). API. p. 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05-27. Retrieved 2008-04-18.
  11. ^ "Peak Water".[영구 데드링크]
  12. ^ 세계은행 지역이 국제선물로 분류한 재생수자원의 비율에 따른사용량 예측
  13. ^ Igor Shiklomanov (1993). Peter H. Gleick (ed.). World fresh water resources, in Water in Crisis: A Guide to the World's Fresh Water Resourc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13–24.
  14. ^ Van Ginkel, J. A. (2002). Hum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Challenges for the United Nations in the New Millennium.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pp. 198–199. ISBN 978-9280810691.
  15. ^ "The World's Water". Pacific Institute. 2014. pp. tables 1. Retrieved 2019-11-10.
  16. ^ Pimentel, D., B. Berger, D. Filberto, M. Newton, B. Wolfe, E. Karabinakis, S. Clark, E. Poon, E. Abbett, and S. Nandagopal. (October 2004). "Water Resources: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BioScience. 54 (10): 909–918. doi:10.1641/0006-3568(2004)054[0909:WRAAEI]2.0.CO;2.{{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7. ^ a b c d e Peter H. Gleick (2008). "The World's Water 2008-2009". Island Press, Washington, D.C. pp. Table 2. Retrieved 2009-01-28.
  18. ^ Vince Beiser (2007-11-07). "Earth: Worldwide Water Worries". PBS Wired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5, 2008. Retrieved 2009-02-01.
  19. ^ Lewis, Leo (2009-01-22). "Ecologists warn the planet is running short of water". Times Online. London. Retrieved 2009-02-01.
  20. ^ a b Lester R. Brown (2006). Plan B 2.0: Rescuing a Planet Under Stress and a Civilization in Trouble. W. W. Norton &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31. Retrieved 2009-01-29.
  21. ^ David Cowhig (November 2006). "Research information bearing on the Yellow River ecological crisis". China Digital Times. Retrieved 2009-01-29.
  22. ^ staff (2007-04-21). "Hebei province hit by drinking water shortage". China Daily. Retrieved 2009-01-29.
  23. ^ staff (2008). "Hebei water to help Beijing tackle shortage". gs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1, 2009. Retrieved 2009-01-29.
  24. ^ "Freshwater: Supply Concerns Continue, and Uncertainties Complicate Planning" (PDF). www.gao.gov.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May 2014. p. 33/100. Retrieved March 9, 2015. Specifically, 40 of 50 state water managers responding to our 2013 survey expected shortages in some portion of their states under average conditions in the next 10 years
  25. ^ Nativ, Ronit (January 1992). "Recharge into Southern High Plains aquifer—possible mechanisms, unresolved questions". Environmental Geology. 19 (1): 21–32. Bibcode:1992EnGeo..19...21N. doi:10.1007/BF01740574. ISSN 0943-0105. S2CID 129219597.
  26. ^ "NASA Data Reveal Major Groundwater Loss in California". NASA. 2009-12-19. Retrieved 2010-01-09.
  27. ^ Matthew Power (2008-04-21). "Peak Water: Aquifers and Rivers Are Running Dry. How Three Regions Are Coping". Wired. Retrieved 2009-01-27.
  28. ^ Bill McKibben (2006-01-01). "The End of Plenty - Getting Resourceful About Resources".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2009-01-27.
  29. ^ "Freshwater Withdrawal, by Country and Sector (2013 Update)" (PDF).
  30. ^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UNEP/GRID-Arendal. Retrieved 2009-02-01.
  31. ^ "Turkmenistan Agriculture". Country-Studies.com. Retrieved 2009-02-01.
  32. ^ "History of the Aral Sea". Oriental Express Central Asia. Retrieved 2009-01-27.
  33. ^ "The World's Water". Pacific Institute. 2008. pp. tables 1 and 2. Retrieved 2009-01-28.
  34. ^ a b Walid A. Abderrahman (2001). "Water demand management in Saudi Arabia". IDR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10. Retrieved 2009-02-01.
  35. ^ "The Oil Drum: Europe Peak water in Saudi Arabia".
  36. ^ Jim Kundell (2007-06-20). "Water profile of Libya". The Encyclopedia of Earth. Retrieved 2009-02-16.
  37. ^ Omar Salem (April 2007).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Libya" (PDF). Global Water Partnership Mediterranean. Retrieved 2009-02-06.
  38. ^ Qahtan Yehya A.M. Al-Asbahi (2005-06-20). "Water Resources Information in Yemen" (PDF). United Nations. Retrieved 2009-02-01.
  39. ^ "Water Resources available in Yeme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8, 2008. Retrieved 2009-03-24.
  40. ^ staff (2006-01-24). "YEMEN: Water shortages a looming disaster, say experts". IRIN - humanitarian news and analysis, 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Retrieved 2009-02-01.
  41. ^ Lester R. Brown (2002-08-09). "Water deficits growing in many countries - Water Shortages May Cause Food Shortages". Great Lakes Direc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3, 2009. Retrieved 2009-02-07.
  42. ^ "Yemen's water crisis eclipses al Qaeda threat". Reuters. 2010-02-17.
  43. ^ "Shuweihat Water Transmission Scheme, United Arab Emirates". water-technology.net. Retrieved 10 December 2017.
  44. ^ "Water shortage may cause famine in Pakistan: STWC". Pakistan Def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2-23. Retrieved 2009-03-07.
  45. ^ Altaf A. Memon (2004-07-01). "Evaluation of Impacts on the Lower Indus River Basin Due to Upstream Water Storage and Diversion". Proceedings, World Water & Environmental Resources Congress 2004,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Institute, Salt Lake City, Utah. Archived from the original (Word) on 2009-03-20. Retrieved 2009-03-07.
  46. ^ Hillary Mayell (2003-06-05). "UN Highlights World Water Crisis". National Geographic News. Retrieved 2009-02-07.
  47. ^ Sandra A. Zaslow & Glenda M. Herman (March 1996). "Health Effects of Drinking Water Contaminant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1-17. Retrieved 2008-02-08.
  48. ^ "Water Conflict Chronology: maps, list, chronology, sources". Pacific Institute. 2010. Retrieved 2010-10-04.
  49. ^ http://news.bbc.co.uk/2/hi/africa/7959814.stm publisher = access date =2008-08-19 access date =2009-03-26
  50. ^ Leo Lewis (2009-01-22). "Ecologists warn the planet is running short of water". Times Online. London. Retrieved 2009-01-27.
  51. ^ a b c d Michael Milstein (November 2009). "Radical Solutions for U.S. Southwest's Peak Water Problem". Popular Mechan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23. Retrieved 2009-01-31.
  52. ^ "Artificial recharge of aquifers".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Retrieved 2009-01-31.
  53. ^ Martyn Williams (2004-03-07). "UN Study: Think Upgrade Before Buying A New PC". IDG News Service. Retrieved 2009-02-03.
  54. ^ Arati Kumar-Rao (2020-06-16). "One way to fight climate change: Make your own glaciers". National Geographic. Retrieved 2020-06-16.
  55. ^ Gleick, P.H. (2003-11-28). "Global Freshwater Resources: Soft-Path Solution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302 (5650): 1524–1528. Bibcode:2003Sci...302.1524G. CiteSeerX 10.1.1.362.9670. doi:10.1126/science.1089967. PMID 14645837. S2CID 46191102.
  56. ^ "Water: The more you use, the more you'll have to pay". Las Vegas Sun. 2008-04-08. Retrieved 2009-03-24.
  57. ^ "The Water Shortage Myth". Forbes. 2008-07-15. Retrieved 2009-03-24.
  58. ^ "Is Water Too Cheap?". The New York Times. 2008-07-17. Retrieved 2009-03-24.
  59. ^ "Is water becoming 'the new oil'?".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8-05-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12. Retrieved 2009-03-24.
  60. ^ 궁극의 자원 2, 10장 줄리안 사이먼의
  61.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Parry, M. L.; Canziani, O. F.; Palutikof, J. P.; van der Linden, P. J.; Hanson, C. E. (eds.).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 "Billions face climate change risk". BBC News. 2007-04-06. Retrieved 2010-05-22.
  63. ^ Kinver, Mark (2008-05-19). "Climate 'accelerating bird loss'". BBC News. Retrieved 2010-05-22.
  64. ^ "Climate 'hitting Europe's birds'". BBC News. 2009-03-04. Retrieved 2010-05-22.
  65. ^ Kranhold, Kathryn (2008-01-17). "Water, Water, Everywhere..."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2009-03-24.
  66. ^ Sitbon, Shirli (2005-12-28). "French-run water plant launched in Israel". European Jewish Press via ejpres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2-13. Retrieved 2009-03-24.
  67. ^ "Black & Veatch-Designed Desalination Plant Wins Global Water Distinction (Press release)". Black & Veatch Ltd., via edie.net. 2006-05-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3-24. Retrieved 2009-03-24.
  68. ^ "Desalination is the Solution to Water Shortages". redOrbit. 2008-05-02. Retrieved 2009-03-24.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69. ^ H. Cooley; P.H. Gleick; G. Wolff (2006). "Desalination, With a Grain of Salt". Pacific Institute, Oakland, Califor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17. Retrieved 2010-10-04.
  70. ^ J. Martínez Beltrán and S. Koo-Oshima Eds. (2004-04-26). "Water desalination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PD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07-06. Retrieved 2009-03-24.
  71. ^ "People living on desert edge catch water from fog clouds". CNN. 1996-08-27. Retrieved 2009-02-03.
  72. ^ David Brooks (2002). "Water / Part 2. The Approaches". IDR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01. Retrieved 2009-02-03.

외부 링크

책들

오디오북

  • Maude Barlow (2008). Peak Water. Boulder, CO : Alternative Ra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