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Yugoslav Partisans민족해방군과 유고슬라비아 빨치산 분견대 | |
---|---|
리더스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에드바르드 카델지 이반 리바르 블라디미르 나조르 라데 콘차르 이보 롤라 리바르 아르소 요바노비치 안드리야 헤브랑 스베토자르 부크마노비치 코스타 나지 페코 답체비치 코차 포포비치 페타르 드랍신 미하지로 아포톨스키 이반 고슈냐크 알렉산다르 란코비치 밀로반 질라스 모샤 피자데 사바 코바체비치 보리스 키드리치 프랑 로스만 |
가동일 | 1941–1945 |
얼리전스 |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
본사 | 모바일, 주요 운영 그룹에 연결 |
활성 지역 | 추축국 점령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난민 목적)[1] 이탈리아(이스트리아, 크레스와 로신즈의 섬, 피우메, 자라,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의 일부, 특히 트리에스테) 독일(1945년 5월 카린시아 일부만 해당) |
이데올로기 | |
정치적 위치 | 극좌 |
크기 | 80,000 ~ 800,000 (아래 참조) |
연합군 |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이전 Axis 파워: 기타 연합 지원:
|
대항마 | Axis 전원: 기타 Axis 공동작업자: 기타 반대자:
|
전투와 전쟁 | 몬테네그로 봉기 Srb 봉기 우지체 공화국 비하치 공화국 네레트바 전투 수테스카 전투 코자라 전투 Drvar에 대한 습격 베오그라드 전투 시리아 전선 트리에스테 연산 (가장 주목해야 할 것)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note 1][11]또는 민족해방군은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의 [note 3][12]민족해방군 [note 2]및 빨치산 분견대이며, 제2차 세계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에서 점령한 추축국에 대한 공산주의 주도의 반파시스트 저항군이었다.Josip Broz [13]Tito가 이끄는 Partisans는 [14][15][16]2차 세계대전 중 유럽에서 가장 효과적인 반추축 저항 운동으로 여겨진다.
초기 게릴라 부대였던 파르티잔은 1944년 말 약 65만 명으로 4개 야전군과 52개 사단으로 조직된 재래식 전쟁에 참여하는 대규모 전투 부대로 발전했다.파르티잔의 주요 목표는 점령군으로부터 유고슬라비아 땅을 해방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다민족 사회주의 연방국가를 만드는 것이었다.
파르티잔은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티토 주도로 조직됐으며,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점령군에 대한 게릴라 운동을 시작했다.이후 드라자 미하일로비치의 체트니크에 의해 7월에 대규모 봉기가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단기간의 우지체 공화국이 탄생하게 되었다.추축군은 이에 대응하여 일련의 공세를 펼쳤지만 기동성이 높은 빨치산들과 그들의 리더십을 완전히 파괴하지는 못했다.1943년 후반, 연합군은 체트니크의 협력 범위가 명확해지자 미하일로비치에서 티토로 지지를 옮겼고, 파르티잔은 테헤란 회의에서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1944년 가을, 파르티잔과 소련 적군은 베오그라드 공세에 이어 베오그라드를 해방시켰다.전쟁이 끝날 무렵, 파르티잔은 트리에스테와 카린티아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다.전쟁 후, 파르티잔은 새롭게 설립된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의 정규군으로 재편성되었다.
목적
이 운동의 두 가지 목적 중 하나는 유고슬라비아 [2]공산당이 이끌고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반파시스트 평의회가 대표하는 통일민족해방전선(UNOF) 연합군의 군사력이었다.유고전국해방반파시스트 평의회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의 숙고적 투쟁이었다.1944년 영국의 보급품들이 상당한 양으로 도착하기 시작할 때까지 점령자들은 유일한 [17]무기 공급원이었다.또 다른 목표는 유고슬라비아에 [18]연방 다민족 공산주의 국가를 만드는 것이었다.이를 위해 KPJ는 각 그룹의 권리를 보존함으로써 유고슬라비아 내의 다양한 민족집단에 호소하려고 시도했다.
경쟁 저항 운동인 체트니크족의 목표는 유고슬라비아 왕정 유지, 세르비아계 [19][20]민족의 안전 보장, 세르비아계가 아닌 민족을 정당하고 역사적으로 [22][23][24][25]세르비아계로 간주하는 영토에서 인종 청소함으로써 대세르비아의[21] 확립이었다.두 운동의 관계는 시작부터 불안했지만 1941년 10월부터는 전면적인 분쟁으로 전락했다.체트니크인들에게 티토의 범민족적 정책은 반세르비아적으로 보였지만,[7] 체트니크인들의 왕정주의는 공산주의자들에게 혐오스러운 것이었다.전쟁 초기에 빨치산은 주로 세르비아계로 구성되었다.그 기간 동안 이슬람과 크로아티아 빨치산 군대의 지휘관들의 이름은 그들의 지배적인 세르비아 [26]동료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바뀌어야 했다.
1944년 가을 소련-불가리아의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코소보 공세에 의해 강제 퇴각한 이후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코소보계 알바니아인의 징집 규모는 크게 증가했다.1944년 후반까지 파르티잔의 총 병력은 재래식 전쟁을 [27]벌이는 4개 야전군과 52개 사단으로 구성된 65만 명의 남녀였다.1945년 4월까지 파르티잔은 80만 명이 넘었다.
이름.
그 운동은 전쟁 내내 "유격대"로 불렸습니다.그러나 잦은 규모 변경과 구조 개편으로 파르티잔은 역사상 4개의 공식 명칭을 갖게 되었다.
- 유고슬라비아[note 4] 민족해방 빨치산 부대(1941년 6월~1942년 1월)
- 유고슬라비아[note 5] 민족해방 빨치산·의용군(1942년 1월~11월)
- 유고슬라비아의 민족해방군과 빨치산 부대(1942년 11월 - 1945년 2월).1942년 11월부터 빨치산군은 국민해방군(Narodnooslobilacca vojska, NOV)으로 불리게 되었고, 반면 "유격대"라는 용어는 저항파(AVNOJ 포함) 전체를 지칭하는 데 있어 더 넓은 의미를 갖게 되었다.
- 유고슬라비아[note 6] 육군 – 1945년 3월 1일 민족해방군은 유고슬라비아의 정규군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운동은 원래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 빨치산단(Narodnooslboodilacci partizanski odredi Jugoslavije, NOPOJ)으로 명명되었고 1941년 6월부터 1942년 1월까지 그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이 때문에, 그들의 짧은 이름은 단순히 "유고슬라브" (대문자로 표기)가 되었고, 그래서 붙여졌다(유고슬라브라는 형용사는 다른 당파 운동과 구별하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이외의 자료에서만 사용된다.
1942년 1월부터 1942년 11월 사이에 이 운동의 정식 명칭은 잠시 유고슬라비아의 민족해방 빨치산 및 의용군(Norodnooslobelacca partizanska i dobrovolja vojska Jugoslavije, NOP i DVJ)이었다.그 변화는 "지원군"으로서의 그 운동의 성격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1942년 11월 이 운동은 유고슬라비아의 민족해방군과 빨치산 분견대로 개명되었다(Narodnooslobelacca vojska i partizanski odredi Jugoslavije, NOV i POJ).이 이름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이 성의 공식 이름은 파르티잔과 가장 관련이 많은 이름이고, 프롤레타리아 여단과 다른 기동 부대가 민족해방군으로 조직되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명칭 변경은 또한 후자가 당파적 분리독립 자체를 대체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종전 직전인 1945년 3월, 모든 저항군은 유고슬라비아의 정규군으로 재편성되어 유고슬라비아 육군으로 개명되었다.1951년까지 이 이름을 유지하다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으로 개명되었다.
배경 및 출처
1941년 4월 6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주로 독일군에 의해 추축국의 침략을 받았고 이탈리아, 헝가리, 불가리아 진영도 마찬가지였다.침공 중에 베오그라드는 루프트바페의 폭격을 받았다.침공은 10일 정도 지속되었고, 4월 17일 유고슬라비아 왕립군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이 났다.독일군에 비해 장비가 형편없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육군은 모든 국경을 방어하려 했지만, 사용 [28]가능한 제한된 자원을 간신히 분산시킬 수 있었다.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를 분할하는 과정에서 항복 조건은 매우 엄격했다.독일은 드라바 바노비나 북부(오늘날의 슬로베니아)[29]를 점령하고 괴뢰 [30][31]정부와 함께 세르비아 영토의 군부를 직접 점령했다.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은 독일의 지시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크로아티아 영토의 대부분을 확장하고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및 세르비아의 시리아 지역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무솔리니의 이탈리아는 드라바 바노비나(루비아나주로 합병되어 개명)의 나머지 지역, 제타 바노비나(Zeta Banovina)의 상당 부분과 해안 달마티아(Adria의 거의 모든 섬들과 함께)의 많은 부분을 점령했다.몬테네그로의 이탈리아 총독도 장악하고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도 왕권을 부여받았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거의 행사하지 않았다.헝가리는 헝가리 제3군을 파견하여 유고슬라비아의 바라냐, 바치카, 메지무르예, 프레크무르예 지역을 점령하고 합병하였다.한편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의 거의 모든 지역과 세르비아 [32]동부와 코소보의 작은 지역을 합병했다.유고슬라비아의 해체, 몬테네그로와 네딕 세르비아의 이탈리아 지사 신설,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영토 합병 등은 당시 [33]시행 중인 국제법과 양립할 수 없었다.
점령군은 지역민들에게 매우 심각한 부담을 안겨주었고, 파르티잔들은 광범위한 지지를 누리기 위해 왔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게 생존을 위한 유일한 선택이었다.점령 초기에 독일군은 여성, 어린이, 노인 등 무차별적으로 목을 매거나 총격을 가했다. 독일군 병사 [34]1명당 최대 100명의 현지 주민을 사살했다.공산주의 주도의 저항을 진압하기 위한 이러한 조치들이 독일 점령 전 지역에서 발표되었지만,[35] 세르비아에서만 엄격하게 시행되었다.독일군이 저지른 가장 큰 잔혹행위 중 두 가지는 크랄예보의 민간인 2,000명과 크라구예바크의 민간인 3,000명의 학살이었다.독일군 전사자 1명당 100명, 독일군 부상자 1명당 50명의 인질을 쏜다는 공식은 1943년 2월 절반으로 잘려 같은 [35]해 가을에 모두 제거됐다.
게다가, 유고슬라비아는 협력주의 민병대가 시골 지역을 배회하는 등 법과 질서의 붕괴를 경험했다.괴뢰 독립국 크로아티아 정부는 점령 초기에 자국 영토를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결과 우스타셰 민병대와 독일군에 [citation needed]의해 엄중한 탄압을 받았다.
뒤이은 비교적 혼란 속에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반파시스트 파벌과 정치세력을 조직화해 전국적인 폭동을 일으켰다.Josip Broz Tito가 이끄는 이 정당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선거에서 큰 성공을 거둔 후 금지되었고 그 이후 지하에서 활동하였다.그러나 티토는 소련의 지원 없이는 공개적으로 행동할 수 없었고,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 여전히 유효했기 때문에 그는 [citation needed]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편대와 초기 반란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공산당 지도부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함께 자그레브에 있었다.한 달 후, 그들은 베오그라드로 떠났다.독일과 소련 간의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 발효되는 동안 공산주의자들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새로운 정권과의 공공연한 충돌을 자제했다.점령 후 첫 두 달 동안 그들은 지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36]무기를 모으기 시작했다.1941년 5월 초 자그레브에서는 점령자들에 대한 저항을 조직하기 위해 전국에서 온 공산당 간부들의 소위 5월 협의가 열렸다.1941년 6월에는 KPJ 중앙위원회도 열렸고, [37]이 회의에서 봉기 준비에 착수하기로 결정했다.
소련에 대한 추축국의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은 1941년 [38]6월 22일에 시작되었다.
빨치산 운동에 대한 지지의 정도는 지역 및 국적에 따라 달랐고, 이는 지역 주민과 당국의 실존적 관심을 반영했다.최초의 빨치산 봉기는 1941년 6월 22일 크로아티아에서 발생했으며, 당시 40명의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들이 시사크와 자그레브 사이의 브레조비차 숲에서 봉기를 일으켜 제1시사크 빨치산 [39]분대를 결성했다.
티토가 주도한 첫 봉기는 2주 후 [39]세르비아에서 일어났다.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7월 4일에 무장 봉기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 날은 나중에 SFR 유고슬라비아의 공휴일인 투사의 날로 지정되었다.7월 7일 벨라 크르크바 사건에서 지키카 요바노비치 슈파나크 1명이 캠페인의 첫 번째 총알을 쐈다.
최초의 자그레브-세베테 빨치산 단체는 1941년 7월 두브라바에서 결성되었다.1941년 8월, 달마티아에서 봉기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7개의 빨치산 분견대가 결성되었다.1941년 8월 26일, 제1분열 빨치산 분견대의 21명이 이탈리아군과 [40][41]우스타셰군에 붙잡힌 후 총살형에 처해졌다.1941년 여름 모슬라비나 칼니크를 포함한 많은 빨치산 부대가 결성되었다.우지체공화국이 탄생한 여름 티토가 이끄는 세르비아에서 봉기가 일어났지만 1941년 12월 추축국에 패해 세르비아의 파르티잔에 대한 지지가 떨어졌다.
추축국의 세르비아인들이 다민족 파르티잔, 즉 세르비아 왕당파 체트니크로 [42]눈을 돌린 것은 다른 이야기였다.저널리스트 팀 유다는 전쟁 초기에 파르티잔에서 세르비아인이 우세한 것은 사실상 세르비아 내전이 [43]발발했다는 것을 의미했다고 지적합니다.유사한 내전이 우스타슈와 파르티잔에 의해 제공된 경쟁적인 국가 서술과 함께 크로아티아 국가 말뭉치 내에 존재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역 내에 국외 추방, 강제 변환과 Serbs,[44]의 대량 학살처럼 다른 지역이 NDH.[45][46]가anti-Ustasha 반란의 세르비아는 보스니아에서 오는 체트니크 movemen의 형태로 개발된 사이에서 공산주의 지도부에 때의, 세르비아 반란의 원인은 Ustaše 정책이다.t및 autono드라고르주브 미하일로비치가 [47]지휘하던 마우스 밴드세르비아의 지도하에 있는 빨치산들은 다양한 국적의 구성원들에게 개방적인 반면, 체트니크족들은 이슬람교도들에게 적대적이었고 세르비아인들만을 배타적이었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세르비아인들이 일으킨 폭동은 무슬림에 대한 보복으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48]1941년 6월 헤르체고비나에서 [46]반란이 시작되었다.1941년 7월 27일, Drvar와 Bosansko Grahovo [44]지역에서 빨치산 주도의 봉기가 시작되었다.리카 남동쪽과 보산스카 남서쪽의 우나 강 양쪽에서 연합하여 주요 NDH 영토를 반군 [49]통제 하에 이양하는 데 성공했다.
8월 10일, 산골 마을인 스타눌로비치에 파르티잔은 코파오니크 빨치산 분견대를 결성했다.인근 마을들로 구성된 그들이 지배한 지역은 "마이너스 공화국"이라고 불렸고 42일간 지속되었다.저항군은 나중에 공식적으로 파르티잔 대열에 합류했다.
1941년 9월 스톨리체 회의에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이끄는 모든 전사에 대해 통일된 이름인 빨치산과 식별 기호로 붉은 별이 채택되었다.
1941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빨치산군은 약 55,000명의 전투원을 보유하고 있었지만,[50] 4,500명만이 보스니아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1941년 12월 21일 그들은 지역 밖에서 활동할 수 있는 최초의 정규 빨치산 부대인 제1프롤레타리아 돌격여단(1. 프롤레타리아 우다나 브리다)을 결성했다.1942년 빨치산 분견대는 1942년 [51]12월 약 236,000명의 군인과 함께 공식적으로 인민해방군과 유고슬라비아 빨치산 분견대로 통합되었다.
세르비아로부터의 빨치산 숫자는 빨치산 운동이 [52]축에 대한 싸움을 확산시킴으로써 상승한 1943년까지 줄어들 것이다.세르비아의 파르티잔의 증가는 다른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1944년 8월 17일 티토가 모든 협력자들에게 사면을 제안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이루어졌다.그 시점에 수만 명의 체트니크인들이 파르티잔으로 [citation needed]편을 바꿨다.사면은 1944년 11월 21일과 [53]1945년 1월 15일 독일이 베오그라드에서 철수한 후 다시 실시될 것이다.
운용
1943년 중반까지 독일군과 그들의 동맹국에 대한 당파적 저항은 단순한 성가신 수준에서 일반적인 상황의 주요 요인으로 확대되었다.점령된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적은 그가 감당할 수 없는 빨치산들의 손에 의해 손실을 입고 있었다.유고슬라비아만큼 큰 손실은 없었다.[54]
--
저항과 보복
빨치산들은 게릴라 운동을 벌여 점차 성공과 일반 민중의 지지를 얻었고, 유고슬라비아 영토의 넓은 부분을 장악하는데 성공했다.이들은 공산당이 장악한 지역에서 민간 정부로 활동하기 위해 조직된 "인민 위원회"를 통해 관리되었고, 심지어 제한된 무기 산업도 설립되었다.처음에 빨치산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무장이 부실하며, 기반시설이 전혀 없었다.그들은 구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군사 및 준군사 조직보다 두 가지 큰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 스페인 내전 당시 다른 누구와도 달리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와 비슷한 환경에서 싸운 현대전 경험이 있는 작지만 귀중한 유고슬라비아 지원병 간부
- 그들은 민족성이 아닌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나 세르비아계 다수당이 있는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다른 준군사 조직과는 달리, 파르티잔들은 국가 어느 구석에서도 최소한 어느 정도의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이를 통해 그들의 부대는 기동성을 높이고 더 많은 잠재적 신병들로 대열을 채울 수 있었다.
그러나 점령군과 분쟁군은 빨치산의 위협을 잘 알고 있었고, 유고슬라비아 역사학자들이 7대 적군의 공세로 정의한 저항군을 파괴하려고 시도했다.다음과 같습니다.
- 제1차 적 공세, 1941년 가을 추축국이 "우지체 공화국"에 대해 벌인 공격.우지체 공화국은 파르티잔이 세르비아 서부에 세운 해방 영토이다.1941년 11월, 독일군이 이 지역을 공격하여 점령하였고, 대부분의 빨치산군은 보스니아로 [55]도망쳤다.파르티잔과 왕당파 쳇니크 운동 사이의 미미한 협력이 결렬되어 공공연한 [56]적대감으로 변질된 것은 이 공세 동안이었다.
- 제2차 적 공세, 1942년 1월 보스니아 동부의 빨치산 세력에 대해 행해진 추축국 연합 공격.빨치산군은 다시 한 번 포위망을 피해 [57]사라예보 인근 이그만산 너머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 1942년 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동부, 산작, 헤르체고비나에서 벌어진 빨치산 세력에 대한 공격이다.그것은 독일인들에게 TRIO 작전이라고 알려졌고, 다시 적시에 빨치산 [58]탈출로 끝이 났다.이 공격은 1942년 [citation needed]여름에 일어난 코자라 전투로 잘못 알려져 있다.
- 네레트바 전투 또는 폴 바이스(케이스 화이트)라고도 알려진 비하치 공화국에 대한 제4차 적 공세는 보스니아 서부와 헤르체고비나 북부 지역에 걸친 분쟁으로, 네레트바 강을 둘러싼 빨치산 퇴각으로 끝이 났다.그것은 1943년 [59]1월부터 4월까지 열렸다.
- 수트제스카 전투 또는 폴 슈바르츠 전투(케이스 블랙)라고도 알려진 제5차 적 공세입니다.이 작전은 제4차 공세 직후 1943년 [citation needed]5월과 6월에 보스니아 남동부와 몬테네그로 북부에서 빨치산군을 완전히 포위하는 것을 포함했다.
- 제6차 적 공세, 아드리아 해안을 확보하기 위해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독일군과 우스타슈군이 수행한 일련의 작전.그것은 1943년 말과 1944년 초에 일어났다.
- 1944년 2분기 보스니아 서부에서의 마지막 공격인 제7차 적 공세는 티토를 제거하고 빨치산 운동의 지도력을 전멸시키려는 실패한 로셀스프룽 작전(기사단 도약 작전)을 포함했다.
대(對)공작전이 이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잠재적으로 이전보다 더 강하게 방치해야 하는 것은 당파적 저항의 성격이었다.이것은 이전의 다섯 가지 공세의 후속편에서 보여졌었다.이 공격에서 당파 여단과 사단은 죽음, 투옥 또는 굶주림 외에는 저항의 대안이 없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차례로 이전보다 경험과 무장이 강화되었다.반쪽짜리 대책은 있을 수 없다. 독일군은 파멸의 흔적만 남겼기 때문이다.다른 상황에서는 해외의 반동파가 (그리고 독일의 선전은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한 순수한 이념전쟁으로 남아있을지도 모르는 것이 국가보전을 위한 전쟁이 되었을 것이다.이것은 지방주의를 위한 여지가 없다는 것이 너무나 분명했다;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 마케도니아인, 보스니아인, 기독교인과 이슬람교도, 정교회와 가톨릭교도들은 생존을 위해 [60]분투하는 순수한 절박함에 그들의 차이를 가라앉혔다.
--
파르티잔은 점령된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기동성이 높은 정규군으로 활동하였다.빨치산 부대는 노골적인 저항행위에 참여했고, 이는 추축군에 [61]의해 민간인에 대한 상당한 보복으로 이어졌다.민간인 학살은 체트니크인들이 공공연한 저항을 감행하는 것을 단념시켰지만, 파르티잔들은 당황하지 않고 계속 공공연한 저항을 계속하여 추축군을 교란시켰지만, 상당한 민간인 [62]사상자로 이어졌다.
연합군의 지원
이후 분쟁에서 파르티잔은 서부 연합군의 제한된 물질적 지원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지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들은 그때까지 라자 미하일로비치 장군의 쳇트니크 군대를 지원했지만,[63] 마침내 전쟁 기간 동안 양측에 파견된 많은 군사 임무에 의해 그들의 협력 전투를 확신했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서방 연합군의 요원들은 파르티잔과 쳇니크 양쪽에 침투했다.저항 단체와의 연락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보급 임무의 성공에 결정적이었고 유고슬라비아에서 연합군의 전략에 주요한 영향을 끼쳤다.지성에 대한 탐구는 결국 쳇니크족의 종말과 티토의 빨치산에 의한 일식을 가져왔다.1942년, 비록 공급이 제한되었지만, 명목상의 지원은 각자에게 똑같이 보내졌다.새해가 되면 변화가 올 것이다.독일군은 저항군을 겨냥한 일련의 공세 중 하나인 슈바르츠 작전(제5차 반당파 공세)을 수행하고 있었다.디킨은 정보를 [citation needed]수집하기 위해 영국에 의해 보내졌다.1941년 4월 13일, 윈스턴 처칠은 유고슬라비아 사람들에게 그의 안부를 전했다.인사말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은 엄청난 역경에 맞서 영웅적인 저항을 하고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당신의 위대한 전통에 충실함을 증명하고 있습니다.세르비아인, 우리는 당신을 안다.지난 전쟁에서 당신은 우리의 동맹이었고 당신의 군대는 영광으로 가득합니다.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 우리는 당신의 군사를 알고 있다.수세기 동안 당신은 기독교의 방벽이었다.전사로서의 당신의 명성은 대륙에 널리 퍼졌습니다.크로아티아 역사상 가장 큰 사건 중 하나는 프랑스 혁명 훨씬 전인 16세기에 농민들이 인간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봉기하여 수세기 후에 세계에 민주주의를 가져다 준 원칙을 위해 싸운 사건이다.유고슬라비아, 당신들은 오늘날 그 원칙을 위해 싸우고 있다.대영제국은 여러분과 싸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뒤에는 거대하고 끊임없이 증가하는 자원을 가진 미국의 위대한 민주주의가 있습니다.아무리 싸워도 우리의 승리는 [60][64]확실하다.
--
그의 보고서에는 두 가지 중요한 관찰이 포함되어 있었다.첫 번째는 파르티잔이 독일 제1산악사단과 104광사단과 싸우는 데 용감하고 공격적이었고, 상당한 사상자를 냈고, 지원이 필요했다는 것이다.두 번째 관측은 독일 제1산악사단 전체가 러시아에서 철도로 쳇니크가 지배하는 지역을 통과했다는 것이다.독일 메시지 트래픽의 영국 가로채기(ULTRA)는 쳇니크의 소심함을 확인했다.전반적으로, 정보 보고는 유고슬라비아의 항공 작전에 대한 연합군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정책을 전환시켰다.1943년 9월, 처칠의 요청으로, 준장 피츠로이 맥클린은 낙하산으로 Drvar 근처의 티토의 사령부로 파견되어 파르티잔에 대한 영구적이고 공식적인 연락책으로 일하게 되었다.쳇니크족은 여전히 가끔 공급받았지만, 파르티잔족은 미래의 모든 [65]지원의 대부분을 받았다.
따라서 테헤란 회의 후, 파르티잔은 연합군으로부터 합법적인 민족 해방군으로 공식 인정받았고, 이후 티토 원수의 파에 대한 보급과 전술적인 공중 지원을 목적으로 (피츠로이 맥클린 준장의 영향과 제안 아래) RAF 발칸 공군을 창설했다.리산 세력프랭클린 D와의 미팅에서요 루스벨트와 1943년 11월 24일 연합참모본부는 윈스턴 처칠이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티토의 추종자 22만2천 명에게 해상 물자가 거의 전달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사실이었다.이 종유들은 영미 연합군이 로마 남쪽 이탈리아에서 억류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고슬라비아에 많은 독일인들을 수용하고 있었다.이탈리아가 붕괴되고 애국자들이 해안의 넓은 지역을 장악하자 독일군은 혼란에 빠졌다.그러나 우리는 그 기회를 잡지 못했다.독일군은 회복되어 조금씩 빨치산을 몰아내고 있었다.그 주된 이유는 발칸반도를 관통하는 인위적인 책임선이었다.(...) 파르티잔이 우리에게 거의 아무런 대가 없이 후한 지원을 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들의 저항이 유지되고 수그러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
활동 증가(1943~1945)
빨치산군은 전술적 기술, 야전술, 리더십, 전투정신,[67] 화력 등에서 다른 소국 군대에 필적하는 정규 전투 편대로 성장한 지 오래다.
--
연합군의 공중 지원(플로삼 작전)과 붉은 군대의 지원으로, 1944년 후반, 파르티잔은 1941년 우지체 공화국이 무너진 이후 상대적으로 전투를 거의 겪지 않았던 세르비아에 관심을 돌렸다.10월 20일, 붉은 군대와 빨치산은 베오그라드 공세로 알려진 합동 작전에서 베오그라드를 해방시켰다.겨울이 시작되었을 때, 파르티잔은 세르비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와 달마티아 [citation needed]해안과 같은 유고슬라비아의 전체 동부를 효과적으로 지배했다.
1945년 80만 명이[27] 넘는 파르티잔은 크로아티아 독립국가군과 독일군을 격파하고 늦겨울 시리아 전선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으며 4월 초 사라예보와 5월 중순까지 나머지 NDH와 슬로베니아를 점령했다.전쟁 전에 이탈리아의 일부였던 리예카와 이스트리아를 점령한 후,[68] 그들은 연합군을 제치고 트리에스테에 도착했다.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전투인 폴랴나 전투는 1945년 [citation needed]5월 14일부터 15일까지 카린시아의 프레브제 근처의 폴랴나에서 파르티잔과 후퇴하는 독일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전후 공화국별 개요
세르비아
추축국의 침공은 추축국과 크로아티아 독립국 사이의 유고슬라비아 분열을 가져왔다.세르비아의 가장 큰 부분은 세르비아의 군 통수권자의 영토로 조직되었고,[69] 따라서 그것은 점령된 유럽에서 군사 정권의 유일한 사례였다.세르비아 공산당 지방위원회 군사위원회는 1941년 5월 중순에 결성되었다.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5월 말 베오그라드에 도착했으며, 이는 유고슬라비아 내 저항세력의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그들이 도착한 후 중앙위원회는 지방 당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었다.세르비아에서의 투쟁 준비 결정은 1941년 6월 23일 세르비아 지방 위원회 회의에서 발표되었다.7월 5일,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침략자들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하는 공산당 선언이 나타났다.서부 세르비아는 나중에 세르비아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봉기의 근거지로 선택되었다.유럽 최초의 해방 영토인 해방된 서부에 단명 공화국이 탄생했다.봉기는 1941년 11월 29일까지 독일군에 의해 진압되었다.세르비아 민족해방위원회는 1941년 11월 17일 우지체에서 창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것은 세르비아 영토에 있는 빨치산 저항의 조직이었다.
세르비아 민족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집회는 1944년 11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렸다.
티토의 전후 정부는 전후 세르비아에 수많은 기념물과 기념비를 세웠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빨치산 분견대는 세르비아 폭동이 진압된 우지체 작전 이후 보스니아 영토에 진입했다.보스니아 파르티잔은 보스니아 [citation needed]동부에서의 저항으로 인한 트리오 작전(1942)에서 크게 줄었다.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민족해방운동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혁명공산주의자들이[13] 주도한 가장 효과적인 반나치 저항운동이었던[14][15] 추축 점령 유고슬라비아 내 반파시스트 민족해방운동의 일부였다.NOP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KPJ)의 지도 하에 있었으며, 크로아티아 농민당 당원들이 상당한 기여를 했다.NOP 부대는 크로아티아의 많은 부분을 점령군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해방시킬 수 있었다.NOP에 근거해 크로아티아 연방공화국은 민주연방유고비아의 구성원으로 설립되었다.
서비스
지상군을 제외하고,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점령된 유럽에서 상당한 공군과 [citation needed]해군을 고용한 유일한 저항 운동이었다.
1942년 9월 19일 달마티아에 있는 파르티잔이 어선으로 구성된 첫 해군 부대를 창설하면서 저항군은 이탈리아 해군과 크리그스 해군에 교전하고 복잡한 수륙양용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부대로 발전했다.이 행사는 유고슬라비아 해군의 기틀로 여겨진다.제2차 세계대전 중 최고조에 달했을 때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해군은 9-10척의 무장 선박, 30척의 경비정, 200척에 가까운 지원 선박, 6개의 해안 포대, 그리고 몇몇 빨치산 부대, 약 3,000명의 병력을 [citation needed]섬들에서 지휘했다.1943년 10월 26일, 처음에는 네 개의 해안 구역으로, 나중에는 여섯 개의 해안 구역으로 조직되었다.해군의 임무는 해상 패권을 확보하고, 해안과 섬 방어를 조직하며, 섬과 연안의 [citation needed]적 해상 교통과 병력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빨치산 공군
파르티잔은 1942년 5월 크로아티아 독립국 공군 소속 항공기 2대(프랑스 설계 및 유고슬라비아 제작 포테즈 25, 브레게 19 복엽기, 과거 유고슬라비아 왕립 공군 소속), 프란조 클루즈, 루디 차베의 조종사들이 망명하면서 실효적인 공군을 얻었다.나중에, 이 조종사들은 제한된 작전에서 추축군에 맞서 그들의 항공기를 사용했다.기반시설 부족으로 수명이 짧았지만 자체 공군을 보유한 저항운동은 이번이 처음이다.이후 공군은 상설기관이 될 때까지 여러 차례 재창설되고 파괴될 것이다.파르티잔은 나중에 생포된 Axis 항공기, 영국 왕립 공군(BAF 참조), 그리고 나중에는 소련 [citation needed]공군으로부터 항공기, 장비, 훈련을 받아 상설 공군을 창설했다.
구성.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1943년 [71][26]당시 세르비아계 사람들이 주를 이뤘다.또한 전쟁 중반까지 파르티잔은 [71]보스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만 비교적 넓은 해방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1977년부터의 빨치산 연금 수급자 기록에 따르면, 전체 전쟁 기간 동안 파르티잔 민족 구성은 세르비아인 53.0%, 크로아티아인 18.6%, 슬로베니아인 9.2%, 몬테네그로인 5.5%, 보스니아 무슬림 3.5%, 마케도니아인 [72][73]2.7%였다.NOP의 나머지 회원 대부분은 알바니아인, 헝가리인,[72][74][75]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자칭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이탈리아가 연합군에 항복하는 순간,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유고슬라비아 [76]전체에서 각자의 인구 규모에 따라 동등하게 참여하고 있었다.티토에 따르면 1944년 5월까지 파르티잔 민족 구성은 세르비아계 44%, 크로아티아계 30%, 슬로베니아계 10%, 몬테네그로계 5%, 마케도니아계 2.5%, 보스니아계 [77]2.5%였다.이탈리아인 또한 군대에 있었다: 40,000명 이상의 이탈리아 전사들이 나중에 9군단, 빨치산 대대 피노 부디신, 빨치산 사단 "가리발디" 그리고 다른 [78][79]이탈리아 사단 그리고 기타와 같은 여러 군사 편대에 있었다.1944년 가을 세르비아와 북마케도니아에 대한 소련-불가리아의 공세 이후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그리고 결국 코소보 알바니아인에 대한 빨치산군의 대규모 징병이 증가했다.세르비아 빨치산 여단의 수는 1944년 6월 28개에서 올해 말까지 60개로 증가했다.따라서 지역적으로 볼 때, 빨치산 운동은 불균형적으로 서부 유고슬라비아, 특히 크로아티아 출신이었지만, 1944년 가을까지 세르비아의 기여는 불균형적으로 [80]적었다.1941년부터 1943년 9월까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1,064명의 유대인이 파르티잔에 가입했고 1943년 이탈리아 항복 이후 유대인의 대부분이 파르티잔에 가입했다.전쟁이 끝날 무렵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2,339명의 유대 빨치산들이 살아남았고 [81]804명이 사망했다.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합류한 유대인 대부분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이며 로마노에 따르면 1,318명이 살해된 반면 [82]이 숫자는 4,572명이다.
미국 홀로코스트 백과사전에 의하면
분할된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독일과 합병한 슬로베니아에서 슬로베니아인들 사이에 당파적 저항이 전개되어 대부분 소규모 파괴 공작에 가담했다.세르비아에서는 전직 유고슬라비아 육군 대령 Draja Mihalovic이 이끄는 쎄트니크 저항 조직이 개발되었다.1941년 6월 봉기에서 참패한 후, 이 조직은 추축국 점령군과의 대결에서 물러나는 경향이 있었다.요제프 티토의 지도하에 공산주의가 지배하는 빨치산 조직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유대인, 슬로베니아인을 포함한 다민족 저항세력이었다.주로 보스니아와 세르비아 북서부를 근거지로 하는 티토의 파르티잔은 독일군과 이탈리아군과 가장 일관되게 싸웠고 [83]1945년 독일군을 유고슬라비아에서 몰아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45년 4월까지, 빨치산 군대에는 약 80만 명의 군인들이 있었다.1941년 말부터 1944년 말까지 지역별 구성(인종은 고려되지 않음)은 다음과 같다.[84]
1941년 말 | 1942년 말 | 1943년 9월 | 1943년 말 | 1944년 말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000 | 60,000 | 89,000 | 108,000 | 100,000 |
크로아티아 | 7,000 | 48,000 | 78,000 | 122,000 | 150,000 |
세르비아(Kosovo) | 5,000 | 6,000 | 6,000 | 7,000 | 20,000 |
마케도니아 | 1,000 | 2,000 | 10,000 | 7,000 | 66,000 |
몬테네그로 | 22,000 | 6,000 | 10,000 | 24,000 | 30,000 |
세르비아(적절) | 23,000 | 8,000 | 13,000 | 22,000 | 204,000 |
슬로베니아[85][86][87] | 2,000 | 4000 | 6000 | 34,000 | 38,000 |
세르비아(Vojvodina) | 1,000 | 1,000 | 3,000 | 5,000 | 40,000 |
총 | 81,000 | 135,000 | 215,000 | 329,000 | 648,000 |
1944년 여름 파비잔 트르고에 따르면 민족해방군은 12개 군단으로 구성된 39개 사단 35만 명의 병사를 거느렸다.1944년 9월 17개 사단 약 10만 명의 병사가 세르비아 해방을 위한 전투의 막바지 단계에 진입할 준비를 마쳤으며, 유고슬라비아 전 지역에서 국민 해방군은 약 40만 명의 무장한 병사를 보유하고 있었다.즉, 15개 군단, 즉 50개 사단, 2개 작전 그룹, 16개 독립 여단, 130개 빨치산 부대, 해군 및 최초의 항공 편대이다.1945년 초, 군인의 수는 약 60만 명이었다.3월 1일, 유고슬라비아 육군은 63개 [88]사단으로 구성된 80만 명 이상의 병사를 거느렸다.
쳇니크족은 주로 세르비아계 중심의 집단이었고 그들의 세르비아 민족주의는 많은 비세르비아인들을 모집하거나 호소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했다.빨치산들은 공산주의를 경시하여 모든 유고슬라비아인들에게 어필하는 인민 전선 방식을 지지했다.보스니아에서 빨치산 집회의 외침은 세르비아인도 크로아티아인도 무슬림도 아닌 모든 집단의 완전한 평등이 [89]보장되는 자유롭고 형제적인 국가를 위한 것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인들은 전쟁 [90][91]내내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지배적인 민족 집단으로 남아있었다.달마티아 북부에서 이탈리아와 체트니크인들의 협력은 잔혹행위로 이어졌고 달마티아 크로아티아인들 사이에서 파르티잔에 대한 지지를 더욱 자극했다.스플릿 인근 가타에 대한 쳇니크의 공격으로 약 200명의 크로아티아 [92]민간인이 학살당했다.
특히, 무솔리니의 강제 이탈리아화 정책은 1941년 말 처음으로 상당수의 크로아티아인들이 파르티잔에 가입하는 것을 보장했다.다른 지역에서는 세르비아인들이 조직을 세르비아계 조직으로만 보고 비세르비아계 조직원을 거부하고 크로아티아인 이웃의 [42]마을을 습격하는 바람에 크로아티아인 모집에 차질이 빚어졌다.사라예보 출신의 유대인 청년들은 칼리노브니크에 있는 빨치산 분견대에 합류하려고 시도했지만 세르비아 빨치산들은 그들을 사라예보로 돌려보냈고, 많은 청년들은 그 곳에서 추축군에 붙잡혀 죽었다.[93]세르비아인들에 대한 크로아티아인 우스타슈의 공격은 게릴라 활동의 증가의 중요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졌고, 따라서 계속 증가하는 빨치산 저항을 [94]도왔다.이탈리아의 항복과 그에 이은 베오그라드 공세 이후, 우스타슈의 많은 회원들이 빨치산에 [95]합류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초기 크로아티아와 이슬람 민간인의 잔혹행위와 살해를 일삼았던 빨치산 [96]계급과 체트니크족과의 동맹으로 크로아티아인과 무슬림은 보스니아 파르티잔에 가입하지 않을 수 없었다.1942년 초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빨치산들은 거의 전적으로 세르비아계였고, 동부 헤르체고비나 서부 보스니아에 있는 일부 빨치산들은 이슬람교도들을 그들의 대열에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했다.많은 이슬람교도들에게, 세르비아 파르티잔들의 그들에 대한 행동은 그들에게 파르티잔과 체트니크 사이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그러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 지역에서는 처음부터 무슬림과 크로아티아인을 모두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으며, 특히 보스니아 북서부의 코자라 산과 사라예보 근처의 로마니자 산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코자라 지역에서는 1941년 [97]말까지 무슬림과 크로아티아인이 빨치산 세력의 25%를 차지했다.
Hoare에 따르면 1943년 후반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빨치산 중 70%가 세르비아인이었고 30%가 크로아티아인과 [98]무슬림이었다.1977년 말 보스니아 전쟁연금의 수령자는 세르비아계 64.1%, 무슬림 23%, 크로아티아계 [99]8.8%였다.
크로아티아
1941-42년에는 크로아티아의 파르티잔 대부분이 세르비아인이었지만 1943년 10월에는 크로아티아인이 대다수였다.이러한 변화는 1943년 6월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핵심 당원인 Bojidar Magovac이 파르티잔에 합류하기로 결정한 것과 이탈리아의 [100]항복에 의한 것이었다.이탈리아가 연합군에 항복할 당시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유고슬라비아 전체 [76]인구 규모에 따라 동등하게 참여하고 있었다.Goldstein에 따르면 1941년 말 크로아티아 빨치산 중 77%가 세르비아인, 21.5%가 크로아티아인 등 국적 불명이었다.파르티잔의 크로아티아인 비율은 1942년 8월까지 32%로 증가했고, 1943년 9월까지 34%로 증가했다.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그것은 더욱 증가했다.1944년 말 크로아티아 [77][101]빨치산에는 크로아티아인 60.4%, 세르비아인 28.6%, 기타 민족 11%(이슬람인, 슬로베니아인, 몬테네그로인, 이탈리아인, 헝가리인, 체코인, 유대인, 폴크스도이체)가 있었다.이보 바나크에 따르면 1944년 후반 크로아티아 빨치산 운동은 약 15만 명의 전투원이 무장해 있었고, 10만70명이 크로아티아인 60,703명(60.66%), 세르비아인 24,528명(24.51%), 슬로베니아인 5,113명([102]5.11%) 등의 공작부대에 있었다.세르비아계가 크로아티아 파르티잔에 기여한 비율은 지역 [42][103][104][105]인구의 비율보다 많았다.
크로아티아 파르티잔은 전쟁 초기부터 크로아티아 민족이 운동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전체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들에게 필수적이었다; 코헨과 같은 1990년대에 쓴 몇몇 연구자들에 따르면, 1943년 말까지 유고슬라비아 인구의 24%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보다 더 많은 파르티잔을 제공했다.ia와 마케도니아를 합친 것(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42]이하).1943년 초, 파르티잔은 모든 크로아티아를 위한 의회 기구로서 활동하기 위해 ZAVNOH (크로아티아 인민해방의 국가 반파시스트 평의회)를 설립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였다. - 그것은 유럽에서 유일하게 점령된 종류이다.ZAVNOH는 전쟁 중 추축군에 의해 포위된 지역에서 3번의 전체 회의를 열었다.1945년 7월 24일부터 25일까지 자그레브에서 열린 네 번째이자 마지막 회의에서 ZAVNOH는 크로아티아 의회 또는 [106]사보르라고 선언했다.
1941년 말까지 NDH의 영토에서 세르비아인은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전체 파르티잔의 [107]약 95%를 차지했다.이 수적 우세는 나중에 줄어들었지만 1943년까지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달마티아 [107]포함)의 파르티잔인 대다수를 형성했다.세르비아계 주민(리카, 바니자, 코르둔)이 다수 거주하는 크로아티아의 영토는 파르티잔에게 [80]가장 중요한 인력 공급원이 되었다.1941년 5월 우스타샤 정권은 북부 달마티아를 파시스트 이탈리아에게 양도했고, 이는 달마티아 크로아티아인들 사이에서 파르티잔에 대한 대규모 지지를 야기했다.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우스타샤와 추축국의 폭력과 잘못된 통치로 인해 빨치산에 대한 크로아티아인들의 지지가 점차 증가했지만 달마티아보다 훨씬 [76]더 느렸다.1943년 6월 수테스카 강 전투에서 티토의 주요 작전부대의 파르티잔 22,148명 중 세르비아 출신은 1,492명뿐이었고 크로아티아 출신은 8,925명(이 중 5,195명은 달마티아 출신), 세르비아 출신은 11,851명이 세르비아인 [76]520명이었다.1943년 말에는 13개의 달마티아 빨치산 여단이 모두 크로아티아인 다수를 차지했지만, (달마티아를 제외한) 크로아티아 출신 25개 빨치산 여단 중 7개만이 크로아티아인 다수를 차지했다(17개는 세르비아인 다수, 1개는 체코인 [76]다수).역사학자 티브르트코 야코비나와 다보르 마리잔에 따르면 1943년 6월 크로아티아인들이 수트제스카 전투에 대거 참여한 주된 이유는 이탈리아 [108]파시스트들의 공포를 부추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티토에 따르면, 자그레브 인구의 4분의 1이 2만 명 이상이 사망한 빨치산 투쟁에 참여했다.[109]빨치산 전투원이 4,709명의 자그레브 시민이 살해된 가운데 우스타샤와 나치 교도소, 강제수용소 등에서 1만5,129명이 살해됐고, 또 다른 6,500명이 반정부 시위 [80]과정에서 사망했다.
유고슬라비아 해방을 위한 마지막 공세에서는 크로아티아에서 165,000명의 병사가 크로아티아 해방을 위해 투입되었다.1944년 11월 30일 이후 적과의 전투로 크로아티아 영토에는 5개 군단, 15개 사단, 54개 여단, 35개 빨치산 부대가 참여했으며, 1944년 말에는 총 121,341명의 군인(남 117,112명, 여 4239명)이 참여했으며, 이는 민족해방군 전체 군대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동시에 크로아티아 영토에는 독일군 34만 명, 우스타샤군 15만 명, 홈 가드군 15만 명이 주둔했고 1945년 초 체트니크군은 슬로베니아로 철수했다.파르티잔 민족구성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이 7만3327명으로 60.40%로 가장 많았고 세르비아인 3만4753명(28.64%), 무슬림 3316명(2.75%), 유대인 284명(0.25%), 슬로베니아인 몬테네그로인 9671명(7.96%) 순이었다.
세르비아
1941년 9월 말까지, 24개의 부대가 약 14,000명의 [111]군인들과 함께 설립되었다.1943년 말까지 97개의 빨치산 여단이 전체적으로 존재했고, 유고슬라비아 동부에는 18개의 빨치산 여단이 [112]존재했다.1944년 봄과 여름 세르비아에서는 많은 쳇니크 탈영병들과 죄수들이 파르티잔 [113]부대에 입대했다.1944년 말 소련이 세르비아를 해방시켰을 때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그리고 결국 코소보 알바니아인의 대규모 빨치산 동원이 시작되었고, 이는 동부와 서부 유고슬라비아 빨치산 운동 사이의 지리적인 균형을 이루는 기여로 이어졌다.1944년 가을 이전까지 세르비아의 빨치산 운동에 대한 기여는 불균형적으로 적었다.[114]1944년 9월 말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본진의 지휘하에 약 7만 명의 병사를 거느렸고, 13군단은 약 3만 명, 14군단은 32,463명, 프롤레타리아 제2사단은 4,600명의 [115]병사를 거느렸다.
슬로베니아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슬로베니아는 유럽에서 독특한 상황에 있었다.오직 그리스만이 3분할의 경험을 공유했다; 그러나 슬로베니아는 이웃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116] 헝가리로의 흡수 합병이라는 추가적인 단계를 경험한 유일한 나라였다.슬로베니아 국가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으면서, 슬로베니아는 크로아티아나 [99]세르비아보다 빨치산 운동에 대한 지지가 훨씬 더 확고했다.민족 정체성의 방어를 강조하는 것은 이반 칸카르 [117]대대의 예를 따라 슬로베니아의 중요한 시인과 작가들의 이름을 따서 군대를 명명함으로써 나타났다.
처음에 빨치산군은 규모가 작고, 무장이 허술했으며, 기반 시설도 없었지만, 그들 중 스페인 내전 참전 용사들은 게릴라전에 대한 경험이 있었다.슬로베니아 빨치산 운동은 1941년 4월 26일 류블랴나주에 설립된 반파시스트 저항 강령인 슬로베니아 민족해방전선의 군대로 기능했다.이 강령들은 원래 좌익 성향의 여러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공산당과 기독교 사회주의자들이다.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슬로베니아 공산당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고 1943년 [118]3월 1일 돌로미티 선언에서 슬로베니아 공산당의 패권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해방전선과 빨치산 중 일부는 TIGR 저항운동의 전 멤버였다.
슬로베니아에서 저항 활동을 주도한 해방전선 최고 플레넘에는 해방전선 내 모든 정치단체의 대표들이 참여했다.최고 플레넘은 1943년 10월 3일 코체예에서 열린 슬로베니아 국가 대표자 회의에서 120명으로 구성된 해방 전선 플레넘이 슬로베니아 해방 전선의 최고 조직으로 선출될 때까지 활동하였다.프레넘은 슬로베니아 최고 권력기관인 슬로베니아 민족해방위원회 역할도 했다.일부 역사학자들은 코체베 의회가 슬로베니아에서 선출된 최초의 의회이며 슬로베니아 파르티잔의 대표들도 AVNOJ의 제2차 회기에 참가하여 새로운 연방 유고슬라비아 설립 결의안에 자결 조항을 추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해방전선 플레넘은 1944년 2월 19일 체르노멜지에서 열린 회의에서 슬로베니아 민족해방평의회로 개칭되어 슬로베니아 [citation needed]의회로 바뀌었다.
슬로베니아 파르티잔은 제2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몇 달 동안 슬로베니아어를 지배적인 언어로 유지하다가 그들의 언어가 지배적인 언어로 없어졌다.1942년부터 1944년 이후까지 그들은 Triglavka 모자를 썼고,[119] 그 후 점차 유니폼의 일부로 Titovka 모자로 대체되었다.1945년 3월, 슬로베니아 빨치산 부대는 유고슬라비아 육군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고, 따라서 별도의 [citation needed]편대로서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슬로베니아에서의 빨치산 활동은 1941년에 시작되었고 남쪽의 티토의 빨치산으로부터 독립되었다.1942년 가을, 티토는 슬로베니아 저항 운동을 처음으로 통제하려고 시도했다.티토의 유고슬라비아 당파 저항군 최고사령부에서 파견된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지도자인 아르사 요바노비치는 1943년 4월 슬로베니아 빨치산에 대한 중앙 통제권을 확립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종료했다.슬로베니아 파르티잔과 티토의 군대는 1944년에 [120][121]합병되었다.
1943년 12월, 프랑자 빨치산 병원은 오스트리아와 독일 중부 지역에서 불과 몇 시간 거리에 있는 어렵고 험한 지역에 지어졌다.빨치산들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수신 안테나를 [citation needed]압수당했지만 점령군에 알려지지 않은 라디오 크리차치라는 자신들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
그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파르티잔들은 전쟁 내내 많은 사상자를 냈다.이 표는 1941년 7월 7일부터 1945년 [103][104][105]5월 16일까지의 빨치산 손실을 묘사하고 있다.
1941 | 1942 | 1943 | 1944 | 1945 | » | |
---|---|---|---|---|---|---|
18,896 | 24,700 | 48,378 | ,650 | 72,925 | 245,549 | |
중 부상 | 29,300 | 31,200 | 61,730 | 147,650 | 130,000 | 399,880 |
로 죽다 | 198 | ,480 | 923 | 8,066 | 7,800 | 31,200 |
3,800 | 6,300 | 5,423 | 5,600 | 7,800 | 28,925 |
이보 골드스타인에 따르면 세르비아인 8만2천명과 크로아티아인 4만2천명이 NDH 영토에서 빨치산 [122]전투원으로 사망했다.
파르티잔은 발칸반도에서 추락한 연합군 공군 병사들을 성공적이고 지속적으로 대피시키는 데 책임이 있었다.예를 들어 1944년 1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미 공군 승무원 구조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에서 공수된 미국 공군 병사는 1,152명, 빨치산의 지원으로 795명, 체트니크의 [123]도움으로 356명이었다.슬로베니아 영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303명의 미국 공군, 389명의 영국 공군 및 전쟁포로, 120명의 프랑스 및 기타 전쟁포로와 노예 [124]노동자를 구출했다.
파르티잔은 또한 전쟁 기간 내내 독일 포로 수용소 (대부분 오스트리아 남부)에서 탈출하는데 성공한 수백 명의 연합군 병사들을 도왔으나, 특히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지원했다.이것들은 슬로베니아를 가로질러 운반되었고, 많은 것들이 세미치에서 공수되었고, 다른 것들은 이탈리아 바리로 가는 보트 통로를 위해 크로아티아를 통해 더 긴 육로를 걷게 했다.1944년 봄, 슬로베니아에 있는 영국군 사절단은 이들 수용소에서 "안정적이고 느린" 탈출이 있었다고 보고했다.그들은 지역 민간인들의 도움을 받고 있었고, 드라바 강의 일반 선상에서 파르티잔과 접촉하면서, 그들은 빨치산 [citation needed]가이드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갈 수 있었다.
오즈발트에서의
총 132명의 연합군 전쟁 포로가 1944년 8월 오즈발트 공습으로 알려진 한 번의 작전으로 독일로부터 구출되었다.1944년 6월, 연합군의 탈출 조직은 오스트리아 남부의 수용소에서 수감자들을 돕고 유고슬라비아를 통해 그들을 대피시키는 데 적극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북부 슬로베니아에 있는 연합군 임무소는 오스트리아 국경 바로 옆에 있는 오즈발트에는 마리보르에서 약 50km(31마일) 떨어진 곳에 슬로베니아 파르티잔의 습격으로 모든 죄수를 석방할 수 있는 허술한 경비 작업 캠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00명 이상의 포로들은 매일 아침 마리보르의 스탈라그 XVIII-D에서 오즈발트로 이송되어 철도 정비 작업을 했다가 저녁에 그들의 숙소로 돌아왔다.파르티잔과 죄수들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8월말에는 7명의 그룹이 잠든 경비병을 지나쳐 달아났고, 21시에는 남자들이 유고슬라비아 [125]국경에서 8km(5.0m) 떨어진 마을에서 파르티잔과 축하를 축하하고 있었다.
7명의 탈주자들은 야영지의 나머지 사람들을 다음 날 석방하기 위해 파르티잔과 함께 준비했다.다음 날 아침, 7명은 약 100명의 빨치산들과 함께 보통 기차로 노동자 일행이 도착하기를 기다렸다.작업이 시작되자마자, 뉴질랜드 목격자의 말을 인용하자면, "산비탈을 쓸어내리고 18명의 경비병을 무장 해제했다."짧은 시간 안에 죄수, 경비원, 민간 감독관들은 전날 저녁 처음 7명의 죄수들이 사용한 경로를 따라 호송되었다.첫 번째 본부 수용소에서, 132명의 탈옥수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무선으로 영국으로 전송되었다.독일군의 순찰이 매우 활발했기 때문에 남쪽으로의 대피 경로의 진행은 어려웠다.그러한 순찰대원 한 명의 야간 매복으로 죄수 두 명과 호위병 두 명이 목숨을 잃었다.결국 그들은 포로들을 위한 빨치산 기지였던 슬로베니아 화이트 카르니올라에 있는 세미치에 도착했다.그들은 1944년 9월 21일 그라닥 [125]근처의 오토크 공항에서 바리로 날아갔다.
전후
SFR 유고슬라비아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자국군에 의해 대부분 해방된 두 개의 유럽 국가 중 하나였다.세르비아 해방 기간 동안 소련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고, 1944년 중반부터 발칸 공군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지만, 1944년 이전에는 주로 영국으로부터만 제한적인 지원을 받았다.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외국 군대가 그 땅에 주둔하지 않았다.그 결과, 냉전이 시작되었을 때, 그 나라는 두 진영의 중간을 발견했다.
1947-48년, 소련은 주로 외교 정책에 관한 문제에서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복종을 명령하려고 시도했고, 이로 인해 티토-스탈린이 분열되어 무력 충돌에 불을 붙일 뻔했다.소련과의 관계가 매우 냉랭했던 시기가 뒤따랐고, 그 기간 동안 미국과 영국은 유고슬라비아를 새로 결성된 나토에 가입시키는 것을 고려했다.그러나 1953년 트리에스테 위기, 유고슬라비아-이탈리아 국경을 둘러싼 유고슬라비아와 서방 연합국 간의 팽팽한 분쟁, 1956년 유고슬라비아-소련 화해와 함께 이것은 바뀌었다.냉전이 시작될 때의 이 양면적인 입장은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될 때까지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비동맹 외교 정책으로 성숙되었다.
잔학 행위
파르티잔은 전쟁 [126]중과 후에 민간인들을 학살했다.1941년 7월 27일, [127]NDH에 대한 드르바 봉기 동안 빨치산 주도의 부대는 보산스코 그라호보에서 약 100명의 크로아티아 민간인을, 트루바에서 300명을 학살했다.1941년 9월 5일부터 8일까지, 100명의 크로아티아인을 포함한 약 1,000~3,000명의 이슬람 민간인과 군인들이 빨치산 드르바르 [128]여단에 의해 학살당했다.많은 빨치산 부대와 일부 지역의 지역 주민들은 전쟁 직후 전쟁포로와 다른 추축국의 동조자, 협력자 및/또는 그들의 친척들과 아이들을 포함한 파시스트들에 대해 대량 살인에 가담했다.이러한 악명 높은 대학살에는 포이베 대학살, 테즈노 대학살, 마셀지 대학살, 코체프스키 로그 대학살, 바바라 피트 대학살, 그리고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세르비아에서의 공산주의 숙청이 포함된다.
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군, 체트니크, 슬로베니아 홈 가드 부대의 후퇴하는 대열, 수천 명의 민간인들이 서부 연합군에 항복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향하거나 후퇴하는 것을 본국으로 송환하여 대량 사형을 초래했다.포이베 학살은 8달마티아 군단의 크로아티아 파르티잔들이 이탈리아 파시스트들과 협력자 및/또는 분리주의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총살한 "포이베" 구덩이에서 유래했다.뿐만 어느 곳 현대의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에 포함되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수사한 혼성Slovene-Italian 역사적 commission[129]93년 설립된에 따르면, 범행은 노력 사람들 파시즘(상관 없이 개인의 책임)로 연결되어 제거할에서 진행되고 노력 질량 executi을 수행하는 것 같았다.ons공산주의 정부의 실제, 잠재적, 또는 유일한 반대자로 여겨지는 사람들.1944-1945년 바치카에서의 살인은 성격상 비슷했으며 개인적 책임과는 무관하게 헝가리, 독일, 세르비아 파시스트로 의심되는 사람들과 그들의 측근들을 살해했다.이 숙청 과정에서 관련 민족 집단의 민간인들도 대거 목숨을 [130][page needed]잃었다.
파르티잔은 적을 숙청한다는 공식 의제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그들의 기본 이상은 모든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의 "형제와 단결"이었다.이 나라는 [131]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90만 명에서 115만 명의 민간인과 군인의 목숨을 잃었다.마르쿠스 태너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전쟁 중 위조된 국가"라는 작품에서 8만 명에서 10만 명의 사람들이 당파 숙청으로 사망했고, 적어도 3만 명의 사람들이 블라이부르크 학살로 목숨을 잃었다.
이 빨치산 역사의 장은 1980년대 후반까지 SFR 유고슬라비아에서 대화의 금기시되었던 주제였고, 그 결과, 수십 년간의 공식적인 침묵은 민족주의적 [132]선전을 위한 수많은 데이터 조작의 형태로 반작용을 일으켰다.
★)
파르티잔을 위한 최초의 소형 무기는 M24 마우저 소총과 같이 패배한 유고슬라비아 왕립군으로부터 획득되었습니다.전쟁 내내 파르티잔은 독일, 이탈리아, NDH, 우스타슈, 체트니크로부터 탈취한 무기들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카라비너 98k 소총, MP 40 기관총, MG 34 기관총, 카르카노 소총, 카빈, 베레타 기관총이다.파르티잔이 무기를 획득한 또 다른 방법은 각각 PPSh-41과 Sten MKII 서브머신건 등 소련과 영국이 제공한 보급품이었다.게다가 빨치산 공방들은 소위 "당파 소총"과 대전차 "당파 박격포"를 포함하여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장에서 제조된 무기를 모델로 한 그들만의 무기를 만들었다.
.
유고슬라비아 빨치산들은 많은 여성들을 [133]동원했다.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운동은 600만 명의 민간 지지자를 확보했고, 200만 명의 여성이 여성반파시스트전선을 결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혁명은 전통과 공존했다.AFJ는 학교, 병원, 심지어 지방 정부까지 관리했다.티토의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군에는 약 10만 명의 여성이 60만 명의 남성과 함께 복무했다.여성의 권리와 양성평등을 위한 헌신을 강조했고, 전통적인 민속 [133][134]여주인공의 이미지를 이용해 당파를 끌어들이고 정당화했다.전후 여성들은 전통적인 성 역할로 돌아갔지만 유고슬라비아는 1990년대 해체되기 전까지 역사학자들이 저항에서 여성의 역할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점이 특이하다.그 후 여군들에 대한 기억은 [135][136]희미해졌다.
빨치산의 유산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137][138]초반 민족주의의 부상 때문에 상당한 논쟁과 논란의 대상이다.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의 역사 수정주의는 공산주의 이후의 사회정치적 틀 안에서 이 운동을 이념적으로 양립할 수 없게 만들었다.이 수정주의 역사학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르티잔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무시되거나 폄하되거나 후속 [139][140][141][142][143][144]국가 내에서 공격당했다.
구유고에서는 여전히 빨치산 투쟁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재향군인회, 후손, 티토이스트, 좌파,[145][146] 동조자들이 참석하고 있다.
구 인민해방전 참전용사협회(SUBNOR)의 후속 지부는 각 공화국의 빨치산 참전용사를 대표하며 거리와 공공광장을 개명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전쟁 협력자들의 정치 및 법적 복원에 반대하는 로비를 벌이고 있다.이들 단체는 또한 각 [147][148][149][150]국가의 인민해방전쟁과 반파시즘을 기리는 기념비와 기념비를 관리하고 있다.
문화적.
블라디미르 데디저에 따르면, 4만 점 이상의 민속시 작품들이 [151]파르티잔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각주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마케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파르티자니어, пртт ser ser ser ser ser ser ser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Narodnooslobodilačka vojska (NOV), Народноослободилачка војска (НОВ); Macedonian: Народноослободителна војска (НОВ); Slovene:나로드누스보빌나보이스카 (NOV)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Narodnooslobodilačka vojska i partizanski odredi Jugoslavije (NOV i POJ), Народноослободилачка војска и партизански одреди Југославије (НОВ и ПОЈ); Macedonian: Народноослободителна војска и партизански одреди на Југославија (НОВ и ПОЈ); Slovene:Partizanski odredi Jugoslavije의 Narodnoosvobodilna vojska (POJ의 NOV)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나로드노슬로보딜라치키 파르티잔스키 오드레디 주고슬라비예(NOPOJ)나로드누스보빌니 파르티잔스키오드레디쥬고슬라비예(NOPOJ)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나로드누슬로보딜라치카 파르티잔스카 이 도브로볼랴치카 보이스카 주고슬라비예(NOP i DVJ)프로스토볼지나 보즈카쥬고슬라비예의 나로드누스보빌나 파르티잔스카(PVJ의 NOP)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Jugoslavenska armija (JA), Југословенска армија (ЈА); Macedonian: Југословенска армија (ЈА); Slovene:주고슬로반스카 무적함대 (JA)
메모들
- ^ 제3축 제4동맹: Mark Axworthy, Cornel Scafeish 및 Christian Crciunoiu에 의한 1941-1945년 유럽전쟁 루마니아군, 159페이지
- ^ a b Fisher, Sharon (2006). Political change in post-Communist Slovakia and Croatia: from nationalist to Europeanist. Palgrave Macmillan. p. 27. ISBN 978-1-4039-7286-6.
- ^ Jones, Howard (1997). A new kind of war: America's global strategy and the Truman Doctrine in Greece. Oxford University Press. p. 67. ISBN 978-0-19-511385-3.
- ^ Hupchick, Dennis P. (2004).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p. 374. ISBN 978-1-4039-6417-5.
- ^ Rosser, John Barkley; Marina V. Rosser (2004). Comparative economics in a transforming world economy. MIT Press. p. 397. ISBN 978-0-262-18234-8.
- ^ Chant, Christopher (1986).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 Routledge. p. 109. ISBN 978-0-7102-0718-0.
- ^ a b "Partisans: War in the Balkans 1941–1945".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11. Retrieved 19 November 2011.
- ^ 프로글라스 포크라진스코그 코미테타 KPJ ZA SRBIJU
- ^ 프로글라스 포크라진스코그 코미테타 KPJ ZA VOJVODINU
- ^ 프로글라스 오크루즈노그 코미테타 KPJ ZA 크라구제박
- ^ Curtis, Glenn E. (1992). Yugoslav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p. 39. ISBN 978-0-8444-0735-7.
- ^ Trifunovska, Snežana (1994). Yugoslavia Through Documents:From Its Creation to Its Dissoluti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p. 209. ISBN 978-0-7923-2670-0.
- ^ a b Rusinow, Dennison I. (1978). The Yugoslav experiment 1948–197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2. ISBN 978-0-520-03730-4.
- ^ a b Jeffreys-Jones, R. (2013):신뢰할 수 있는 스파이: The Story of Western Intelligenc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80972, 87페이지
- ^ a b Adams, Simon (2005) :발칸반도, 검은토끼북스, ISBN 9781583406038, 1981 페이지
- ^ "Partisan Yugoslavian military forc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6 March 2021.
- ^ "Basil Davidson: PARTISAN PIC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4 February 2016.
- ^ 토마세비치 2001, 96페이지
- ^ 밀라초 1975, 페이지 30-31
- ^ 로버츠 1973, 페이지 48
-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166~178.
- ^ 바나크 1996, 페이지 43: "1941년 여름부터, 체트니크족은 세르비아 반군을 점점 더 통제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의 이슬람교도들에 대해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다.보통 희생자들의 목을 자르고 시신을 다양한 수로에 던져넣는 방식으로 무슬림들의 대량학살이 특히 보스니아 동부, 포차, 고라즈데, 차이니체, 로가티카, 비셰그라드, 블라세니카, 스레브레니차에서 일어났지만, 그녀의 개별적인 마을들에서도 또한 저항했다.1942년까지 그것은 맹렬한 결의였다.예를 들어 1942년 6월 코토르 바로시 지역 자보린에서 열린 쳇니크 회의록은 '세르비아인이 아닌 모든 것을 말살하겠다'는 결의를 말한다.이 원래의 인종 청소로 인한 무슬림 희생자의 수를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수만 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 ^ 허쉬 2002, 페이지 76
- ^ Mulaj 2008, 페이지 71
- ^ 벨리코냐 2003, 페이지 166
- ^ a b Mark Pinson (1996). The Muslims of Bosnia-Herzegovina: Their Historic Development from the Middle Ages to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Harvard CMES. pp. 143, 144. ISBN 978-0-932885-12-8. Retrieved 2 October 2013.
- ^ a b Perica, Vjekoslav (2004).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p. 96. ISBN 978-0-19-517429-8.
- ^ 토마세비치 1975, 64-70페이지
- ^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08. Retrieved 15 February 2010.
- ^ 크로너, 뮐러 & 움브레트 2000, 94페이지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78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61-63
- ^ "Commentary on Convention (IV)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Civilian Persons in Time of War, Part III Status and treatment of protected persons, Section III, Occupied territories, Article 47 Inviolability of Rights".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Geneva. 19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11. Retrieved 26 December 2011.
- ^ Glenny, Misha (1999). The Balkans: Nationalism, War, and the Great Powers, 1804–1999. p. 485.
- ^ a b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69
- ^ 골드스타인 1999, 페이지 140
- ^ Davor Marijan,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5월 심의, Hrvatski Institut za povijest, 2003, 페이지 325-331, ISBN 953-6324-35-0
- ^ Higgins, Trumbull (1966). Hitler and Russia. The Macmillan Company. pp. 11–59, 98–151.
- ^ a b 코헨 1996, 94페이지
- ^ 코바치 & 보이노비치 1976, 367-372페이지.
- ^ 크베시치 1960, 135-145페이지.
- ^ a b c d 코헨 1996, 95페이지
- ^ 유다 2000, 페이지 119
- ^ a b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506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412
- ^ a b Alonso, Miguel; Kramer, Alan (2019). Fascist Warfare, 1922–1945: Aggression, Occupation, Annihilation. Springer Nature. p. 253. ISBN 978-3-03027-648-5.
Through ethnic cleansing, the Ustasha Corps and the irregular 'wild Ustashe' groups murdered over 100,000 Serbs in the countryside by the end of summer 1941. The pogroms of the 'wild Ustashe' were the main cause for the eruption of large-scale rebellion against the Ustasha regime.
- ^ Hoare, Marko Attila (2013). The Bosnian Muslims in the Second Wor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p. 10. ISBN 978-0-19936-543-2.
- ^ Redžić, Enver; Donia, Robert (2004).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Routledge. p. 180. ISBN 1135767351.
- ^ Goldstein, Slavko (2013). 1941: The Year That Keeps Returning. New York Review of Books. p. 158. ISBN 978-1-59017-700-6.
- ^ Ramet, Sabrina P. (2006).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p. 153. ISBN 978-0-253-34656-8.
In 1941 Partisans had some 55,000 fighters in Serbia and Montenegro, but barely 4,500 Partisans had escaped to Bosnia.
- ^ "Foreign News: Partisan Boom". Time. 3 January 194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September 2009. Retrieved 15 February 2010.
- ^ Hart, Stephen. "BBC History". Partisans: War in the Balkans 1941 – 1945.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1. Retrieved 12 April 2011.
- ^ 코헨 1996, 페이지 61
- ^ "Basil Davidson: PARTISAN PIC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16. Retrieved 4 February 2016.
- ^ 로버츠 1973, 페이지 37
-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151-155
- ^ 로버츠 1973, 페이지 55
- ^ 로버츠 1973, 페이지 56~57
- ^ 로버츠 1973, 페이지 100-103.
- ^ a b Basil Davidson: PRIPATIA PICTure 2013년 4월 26일 Wayback Machine, znaci.net에서 보관, 2015년 7월 16일 액세스.
- ^ 1946년 마틴 페이지 174
- ^ 1946년 마틴 페이지 175
- ^ Barnett, Neil (2006). Tito. London, UK: Haus Publishing. pp. 65–66. ISBN 978-1-904950-31-8.
- ^ Gilbert, Martin (1993). The Churchill War Papers: The ever-widening war, 1941. W. W. Norton & Company. p. 490.
- ^ 마틴 1946, 페이지 34
- ^ 월터 R. 로버츠, 티토, 미하일로비치, 연합국 듀크 대학 출판부, 1987; ISBN 0-8223-0773-1, 165페이지
- ^ "Basil Davidson: PARTISAN PIC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4 February 2016.
- ^ 로버츠 1973, 페이지 319
- ^ 페트라노비치 1992년
- ^ Đonlagić, Ahmet; Atanacković, Žarko; Plenča, Dušan (1967). Yugoslavia in the Second World War. Međunarodna štampa Interpress. p. 85.
- ^ a b 1975년 밀라초, 186페이지
- ^ a b 2011년, 페이지 207
- ^ Lenard J Cohen, Paul V Warwick(1983) 연약한 모자이크 속 정치적 결속: 유고슬라비아 경험 페이지 64; 미시간 대학교 아발론 출판사; ISBN 0865319677
- ^ 칼릭 2019, 페이지 463
- ^ 2002년, 페이지 4
- ^ a b c d e 2002년, 페이지 30
- ^ a b Ramet 2006, 페이지 153
- ^ 자코모 스콧티 벤티밀라 카두티 1943-45년 밀라노의 무르시아에 의해 인쇄된 Iugoslavia의 이탈리아어: 492페이지에는 분할 이탈리아에 관한 텍스트가 있다.
- ^ "article by Giacomo Scotti" (PDF).
- ^ a b c 2002년, 페이지 28
- ^ "Spasonosni bijeg u antifašističke odrede: Moj tata je partizan!".
- ^ 토마세비치 2001, 671쪽
- ^ "Encyclopedia of the Holocaust,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Ushmm.org. 6 Januar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11. Retrieved 19 November 2011.
- ^ 코헨 1996, 페이지 96
- ^ Griesser-Pečar, Tamara (2007). Razdvojeni narod: Slovenija 1941–1945: okupacija, kolaboracija, državljanska vojna, revolucija [Divided Nation: Slovenia 1941–1945: Occupation, Collaboration, Civil War, Revolution] (in Slovenian). Mladinska knjiga. pp. 345–346. ISBN 978-961-01-0208-3.
- ^ Slovensko in italijansko odporniško gibanje – strukturna primerjava: diploma thesis [Slovene and Italian Resistance Movement – Structural Comparison: diploma thesis] (PDF) (in Slovenian). Facult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Ljubljana. 2008. pp. 59–62. COBISS 2750473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3. Retrieved 2 March 2012.
- ^ Guštin, Damijan. "Slovenia". European Resistance Archive. ERA Proje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3. Retrieved 2 March 2012.
- ^ Fabijan Trgo; (1975) Oslobojenje Jugoslavije (1944-1945) 유고슬라비아 해방 (1944-1945) p. 30-36, [1]
- ^ 유다 2000, 페이지 120
- ^ 대량학살의 세기: 비판적인 수필과 목격자 진술, 사무엘 토튼, 윌리엄 S.파슨스, 430페이지
- ^ 빌자나 방코브스카, 호칸 비버그, 과거와 미래 사이: 공산주의 이후 발칸의 민군관계, 197페이지.
- ^ 유다 2000, 페이지 128
- ^ 코헨 1996, 페이지 77
- ^ 유다 2000, 페이지 127~128
- ^ 1946년 마틴 페이지 233
- ^ 2013년, 페이지 23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506-07.
- ^ 2006년, 페이지 10
- ^ a b 2002년.
- ^ 토마세비치 2001, 362-363페이지.
- ^ 골드스타인.크로아티아에서 일어난 민족해방전쟁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페이지 266-267.
- ^ Ivo Banac; (1992) 전쟁의 무서운 비대칭성: 유고슬라비아의 종말의 원인과 결과 페이지 154;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를 대표한 MIT 프레스, doi: 10.2307/20025437
- ^ a b Strugar, Vlado (1969). Jugoslavija 1941–1945. Vojnoizdavački zavod.
- ^ a b 아니치, 요크시모비치 & 구티치 1982년.
- ^ a b Vuković, Božidar; Vidaković, Josip (1976). Putevim Glavnog štaba Hrvatske.
- ^ Jelic, Ivan (1978). Croatia in War and Revolution 1941–1945. Zagreb: Školska knjiga.
- ^ a b 2002년, 페이지 27
- ^ "Bitka na Sutjesci bila je 'hrvatska bitka'. Tu je poginulo 3000 Dalmatinaca". www.vecernji.hr (in Croatian). Retrieved 5 January 2020.
- ^ 크로아티아 노동자운동사연구소(Institut za historiju radnichog pokreta Hrvatske, 1982년) Zbornik sjechanja Jagreg 1941년-1945년(민중영웅훈장이 자그레브에게 이관된 것에 대한 티토 대통령의 연설, 1975년 9월 pborba)
- ^ 니콜라 아니치;(1985) Orujane snagage NOP-a Hrvatske u vrijeme njezina oilbojnja portkraj 1944.i na p. godine p. 103-104, 136-138; Vojno istorijski sstori ski unitut, Bervis, Za, Za.
- ^ 아니치, 요크시모비치 & 구티치 1982, 페이지 25-27.
- ^ Marko Attila Hoare. "The Great Serbian threat, ZAVNOBiH and Muslim Bosniak entry into the People's Liberation Movement" (PDF). anubih.ba. Posebna izdanja ANUBiH. p. 122. Retrieved 21 December 2020.
- ^ 밀란 라다노비치; (2015) 카즈나 이즐로친: 스나지 콜라보라시예 우 스르비지: odgovornost za ratne zlocchine (1941-1944) i vojni gubici (세르비아어) 페이지 205, 로사 룩셈부르크 스티프퉁 ISBN8687453
- ^ 2002년, 페이지 6
- ^ 아니치, 족시모비치 & 구티치 1982, 369-378페이지.
- ^ Gregor Joseph Kranjc(2013).To Walk with the Devil, Toronto University Press, 학술출판부, 5페이지 (개요)
- ^ Sshtih, P.; Simoniti, V.; V.; Vodopivec, P. (2008) 슬로베니아 역사: 사회, 정치, 문화 2013년 10월 20일 Wayback Machine, Inshtitut za novjo zgodovino에서 보관.류블랴나, 426페이지
- ^ Gow & Carmichael 2010, 페이지 48
- ^ 부크시치 2003, 페이지 21
- ^ 스튜어트 2006, 페이지 15
- ^ 클레멘치 & 자가르 2004, 167-168페이지.
- ^ Bidleux, Robert; Jeffries, Ian (2017) 발칸반도: 공산주의 이후의 역사 페이지 191; Routledge, ISBN 978-13458-328-7
- ^ 1995년, 페이지 34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115
- ^ a b 메이슨 1954, 페이지 383
- ^ Jonassohn & Björnson 1998 페이지 285: "Partisans가 전쟁 중과 후에 민간인 학살에 참여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 ^ Matkovich, Blanka (2017). Croatia and Slovenia at the End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1944-1945): Mass Crim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by the Communist Regime. BrownWalker Press. p. 34. ISBN 978-1-62734-691-7.
- ^ 2006년, 페이지 106-108.
- ^ "Slovene-Italian historical commission". Kozina.com. Retrieved 19 November 2011.
- ^ 마투스카 1991년
-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737
- ^ 2002년 맥도날드.
- ^ a b Batinic, Jelena (2015). Women and Yugoslav Partisa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316118627. ISBN 9781316118627. OCLC 910964614.
- ^ Jancar, Barbara (1981). "Women in the Yugoslav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 Overview". Studies in Comparative Communism. 14 (2): 143–164. doi:10.1016/0039-3592(81)90004-1.
- ^ Drapac, Vesna (2009). "Resistance and the Politics of Daily Life in Hitler's Europe: The Case of Yugoslavia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Aspasia. 3: 55–78. doi:10.3167/asp.2009.030104.
- ^ 얀카-웹스터 1990년
- ^ Đureinović, Jelena (19 November 2019). The Politics of Memory of the Second World War in Contemporary Serbia: Collaboration, Resistance and Retribution. Routledge. ISBN 978-1-000-75438-4.
- ^ "Ko je za Srbiju pobedio, četnici ili partizani?". amp.dw.com. Retrieved 13 June 2020.
- ^ "How Serbia Changed its Mind about World War II History". Balkan Insight. 6 February 2020. Retrieved 13 June 2020.
- ^ "Serbian Courts Reinterpret History to Forgive Chetniks' Crimes". Balkan Insight. 6 June 2017. Retrieved 13 June 2020.
- ^ "Kad četnici slave Dan pobjede nad fašizmom". Al Jazeera Balkans (in Bosnian). 10 May 2020. Retrieved 13 June 2020.
- ^ "Sutjeska – ogledalo apsurda ovdašnjih antifašizama". Al Jazeera Balkans (in Bosnian). 7 June 2020. Retrieved 13 June 2020.
- ^ "Šta je Hrvatskoj Bleiburg, a šta bitka na Sutjesci?". Al Jazeera Balkans (in Bosnian). 13 May 2020. Retrieved 13 June 2020.
- ^ "Kosovo Partisans Set to Lose Their Memorial". Balkan Insight. 28 March 2013. Retrieved 13 June 2020.
- ^ "Obilježena 75. godišnjica Bitke na Neretvi". www.slobodnaevropa.org. Retrieved 13 June 2020.
- ^ Radiosarajevo.ba. "Spuštanjem 76 karanfila u Neretvu obilježena godišnjica Bitke za ranjenike". Radio Sarajevo (in Bosnian). Retrieved 13 June 2020.
- ^ "The Struggle to Save Croatia's Vanishing Anti-Fascist Monuments". Balkan Insight. 21 May 2019. Retrieved 13 June 2020.
- ^ "SUBNOR osudio imenovanje ulice u Kragujevcu po Draži Mihailoviću". N1 Srbija (in Serbian). 5 November 2019. Retrieved 13 June 2020.
- ^ "Socijalisti glasali za Dražinu ulicu pa se predomislili, sada "u klinču" s POKS". N1 Srbija (in Serbian). 17 November 2019. Retrieved 13 June 2020.
- ^ "Partizani i antifašisti iz bivše Jugoslavije protiv nacionalnih podjela i povampirenja fašizma". portalnovosti.com. Retrieved 13 June 2020.
- ^ Dedijer 1980, 페이지 929
레퍼런스
- Anić, Nikola; Joksimović, Sekula; Gutić, Mirko (1982). "Narodnooslobodilačka Vojska Jugoslavije. Pregled razvoja oružanih snaga Narodnooslobodilačkog Pokreta 1941-1945" [People's Liberation Army of Yugoslavi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armed forces of the People's Liberation Movement 1941-1945] (PDF). znaci.net (in Serbo-Croatian). Vojnoistorijski Institut.
- Banac, Ivo (1996). "Bosnian Muslims: From Religious Community to Socialist Nationhood and Post-Communist Statehood 1918–1992". In Pinson, Mark (ed.). The Muslims of Bosnia-Herzegovina: Their Historic Development from the Middle Ages to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932885-12-8.
- Calic, Marie-Janine (2019). The Great Cauldron: A History of Southeastern Europ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8-392-2.
- Cohen, Philip J.; Riesman, David (1996). Serbia's Secret War: Propaganda and the Deceit of History.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978-0-89096-760-7.
- Dedijer, Vladimir (1980). Novi prilozi za biografiju Josipa Broza Tita (in Croatian). Zagreb: Mladost. OCLC 8046985.
- Gow, James; Carmichael, Cathie (2010) [2000]. Slovenia and the Slovenes : a small state and the new Europe. London: Hurst & Company. ISBN 978-1-85065-944-0. OCLC 696720605.
- Haskin, Jeanne M. (2006). Bosnia And Beyond: The "Quiet" Revolution That Wouldn't Go Quietly. Algora Publishing. ISBN 978-0-87586-429-7.
- Hirsch, Herbert (2002). Anti-Genocide: Building an American Movement to Prevent Genoc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7676-7.
- Hoare, Marko Attila (2002). "Whose is the partisan movement? Serbs, Croats and the legacy of a shared resistance". 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 Informa UK Limited. 15 (4): 24–41. doi:10.1080/13518040208430537. ISSN 1351-8046. S2CID 145127681.
- Hoare, Marko Attila (2006). Genocide and Resistance in Hitler's Bosnia: The Partisans and the Chetnik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726380-8.
- Hoare, Marko Attila (2011). "The Partisans and the Serbs". In Ramet, Sabrina P.; Listhaug, Ola (eds.). Serbia and the Serbs in World War Two. London, England: Palgrave Macmillan. pp. 201–224. ISBN 978-0-23034-781-6.
- Jancar-Webster, Barbara (1990). Women &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Denver: Arden Press. ISBN 978-0-912869-09-4. OCLC 19553066.
- Jonassohn, Kurt; Björnson, Karin Solveig (1998). Genocide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Transaction Publishers. ISBN 978-1-4128-2445-3. OCLC 47008422.
- Judah, Tim (2000).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8507-5.
- Klemenčič, Matjaž; Zagar, Mitja (2004). "Histories of the Individual Yugoslav Nations".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 a reference sourcebook. Santa Barbara, CA, US: ABC-CLIO. ISBN 9781849723152. OCLC 436851074.
- Kovač, Tatjana; Vojnović, Mijo (1976). U Spomen Revoluciji [In Commemoration of the Revolution] (in Croatian). Split: Institut za Historiju Radnickog Pokreta Dalmacije. OCLC 442814475.
- Kroener, Bern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ed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5: 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Part I.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Vol. 5.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2887-5.
- Kvesić, Sibe (1960). Dalmacija u Narodnooslobodilackoj Borbi [Dalmatia in the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in Croatian). OCLC 440318980.
- Leary, William M (1995). Fueling the fires of resistance : Army Air Forces special operations in the Balkans during World War II.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OCLC 605026973.
- MacDonald, David Bruce (2002). Balkan holocausts? : Serbian and Croatian victim-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PDF). Manchester University Press. ISBN 978-1-5261-3725-8. JSTOR j.ctt155jbrm. OCLC 1125885327.
- Mason, W. Wynne (1954). Prisoners of War : official history of New Zealand in the Second World War 1939-45. War History Branch, 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OCLC 101683107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20.
- Martin, David (1946). Ally betrayed, the uncensored story of Tito and Mihailovich. New York: Prentice-Hall. ISBN 978-1-2585-0874-6.
- Matuska, Márton (1991). A megtorlás napjai : ahogy az emlékezet megőrizte [Days of Revenge: As Preserved by Memory] (in Hungarian). Újvidék: Forum Magyar Szo. ISBN 978-86-323-0312-6. OCLC 27642440.
- Milazzo, Matteo J. (1975). The Chetnik Movement & the Yugoslav Resista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8-1589-8.
- Mulaj, Klejda (2008).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Nation-State Building and Provision of In/Security in Twentieth-Century Balkans. Lexington Books. ISBN 9780739117828.
- Petranović, Branko (1992). Srbija u Drugom Svetskom Ratu : 1939-1945 [Serbia in World War II: 1939-1945] (in Serbian). Vojnoizdavacki i novinski centar. OCLC 454984864.
- Ramet, Sabrina P. (2006).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4.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71-01629-0.
- Roberts, Walter R. (1973). Tito, Mihailović and the Allies 1941–1945.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0822307731.
- Stewart, James (2006). Slovenia. London: Cadogan Guides. ISBN 978-1-86011-336-9. OCLC 65204021.
- Tomasevich, Jozo (1975).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The Chetniks. Vol. 1. San Francisco: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0857-9.
- Tomasevich, Jozo (2001).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Vol. 2. San Francisco: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615-2.
- Velikonja, Mitja (2003).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College Station: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978-1-58544-226-3.
- Vukšić, Velimir (2003). Tito's partisans 1941-45. Oxford: Osprey. ISBN 9781841766751. OCLC 51992441.
- Goldstein, Ivo (1999). Croatia: A History. London: C. Hurst & Co. ISBN 978-1-85065-525-1.
- Hoare, Marko Attila (2013). The Bosnian Muslims in the Second World War: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27850.
추가 정보
- Bokovoy, Melissa (1998). Peasants and Communists: Politics and Ideology in the Yugoslav Countrysid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978-0-8229-4061-6.
- Brown, Alec, ed. (November 1946). "Diaries from Yugoslav Liberation".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25 (64): 181–205. JSTOR 4203806.
- Irvine, Jill (1992). The Croat Question: Partisan Politics in the Formation of the Yugoslav Socialist State. Westview Press. ISBN 978-0-8133-8542-6.
- Jakiša, Miranda (2015). Partisans in Yugoslavia. Literature, Film and Visual Culture. transcript Verlag. ISBN 978-3-8376-2522-6.
외부 링크
- 발칸반도에서의 독일 전역(1941년 봄)은 미국 육군역사센터에 의해 전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