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의 신조

Apostles' Creed
중세 크레도 아포스톨로룸, 1300년 (Bibliothèque Mazarine ms. 0924 f. 150v). 사도들에게 귀속되는 순서는 1입니다. 베드로, 2. 앤드류, 3. 요한, 4. 야고보, 스베디의 아들, 5. 토마스, 6.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7. 빌립, 8. 바르톨로뮤, 9. 마태오, 10. 열한 살의 사이먼. 주드 타드대우스, 12살. 마티아스.

사도의 신조 (라틴어: 사도 신조 또는 사도의 상징(Symbolum Apostolorum)은 기독교신조 또는 "신앙의 상징"입니다.

이 신조는 5세기 갈리아에서 고대 로마 상징인 4세기의 옛 라틴어 신조의 발전으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것은 8세기부터 라틴 전례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더 나아가 가톨릭 교회, 루터교, 성공회, 장로교, 모라비아교, 감리교, 회중 교회의 현대 전례와 교리를 포함한 서양 기독교의 다양한 현대 분파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381년에 채택된 전체 니케노콘스탄티노폴리스 크리드보다 짧지만, 여전히 명백하게 삼위일체적인 구조이며,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믿음을 긍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1] 그것은 Nicene Creed에 정의된 일부 기독교 문제를 다루지 않습니다. 따라서 예수님이나 성령님의 신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중세 라틴 전통에서 니케네 크리드보다 앞서 개최되었습니다.

"아포슬레스의 신조"라는 표현은 서기 390년 밀라노 시노드의 편지에서 처음 언급되는데, 당시 열두 사도 각각이 신조의 12개 조항에 글을 기고했다는 믿음을 언급합니다.[2][3]

역사

그리스어 σύμβ ολον에서 "식별에 사용되는 기호 또는 토큰"이라는 의미로 "크레"를 뜻하는 라틴어 기호가 사용된 것은 3세기 중엽에 성(聖)의 서신에서 처음 발생했습니다. 키프리아누스와 성. 특히 후자삼위일체 공식을 "삼위일체의 상징"으로 언급하고, 세례 의식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합니다.[4] 사도행전이라는 용어는 아마도 암브로즈가 서기 390년경 밀라노의 한 공의회에서 교황 시리키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으로 등장합니다. "로마 교회가 항상 더럽히지 않고 간직하고 보존해온 사도행전의 상징을 그들이 인정하도록 하라."[5][6] 앰브로즈의 용어는 오늘날 사도의 신조로 알려진 것의 바로[7] 전신인 구 로마의 신조를 지칭하는 것입니다.[8][9] 이 신조는 사도들이 공동으로 만든 것으로, 12개의 각 12개의 글 중 하나를 기고한 것으로, 당시에는 이미 최신의 것이었습니다.[6]

13세기 원고에서 나온 이 조명은 사도들이 성령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크리드를 쓰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고대 로마 신조[6]대위원회의 일부인 마태오 28장 19절에 근거한 더 단순한 텍스트에서 발전해 왔으며, 이 초기 텍스트는 이미 2세기 후반(c. 180)까지 문자 형태로 되어 있었다고 주장되어 왔습니다.[6][10][11]

가장 초기의 공식은 Galilaca D[ominus]에 있는 테스타멘툼에서 발견됩니다. N[기타] 저[에수] 크리스티는 150년에서 180년 사이에 썼습니다. 이 공식은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와 우리의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과 부락과 성스러운 교회와 죄의 경감에서"라고 말합니다. 알 수 있듯이, 그것은 구 로마 신조의 기독교적인 부분이 부족합니다.[12]

사도들의 신조에 포함된 개별적인 믿음의 진술들은 – 심지어 고대 로마 상징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들도 – 이레나이우스, 테르툴리아누스, 노바티아누스, 마르켈루스, 루피누스, 암브로세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니케타스, 그리고 에우세비우스 갈루스의 다양한 저술들에서 발견됩니다.[13] 우리가 사도의 신조라고 알고 있는 것의 가장 초기의 등장은 성 베드로 대성전의 데싱굴리스 경서(개별 교회서에서 발췌)에 있었습니다. 피르미니우스 (Migne, Patrologia Latina 89, 1029 ff.), 710년에서 714년 사이에 쓰여진.[14] Bettenson과 Maunder는 그것이 Dicta Abbatis Pirminii de singulis libris canonicis scarapsus (idem quod excarpsus, 발췌), c. 750에서 처음이라고 말합니다.[15]

오늘날 사도의 신조로 알려진 텍스트는 5세기 중반쯤 갈리아 남부에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16] 현재와 사실상 동일한 신조가 리에즈의 파우스투스에 의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파우스트가 쓴 원문은 확실하게 재구성될 수 없기 때문에 파우스트가 동일한 텍스트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5세기 후반에 인페로스 대신 인페로스를 제외한 인페로스를 사용한 현재의 것과 동일한 버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구 로마 신조는 4세기에서 7세기 동안 로마 교회의 표준 전례 텍스트로 남아있었습니다. 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샤를마뉴의 지배하에 "갈릭" 형태의 사도 신조로 대체되었습니다.[17][6]

Nicene Creed에는 descendit adineros ("지옥으로 내려왔다")라는 문구가 없습니다. 에페소스 4장 9절 "έρη τῆς γῆςα τέβ η εἰς τὰ κα τώτερα μ κ" ("그는 지구 하부 지역으로 내려왔다")를 메아리칩니다. 이 구절은 아퀼레이아의 신조인 루피누스(d. 411)의 두 가지 버전 중 하나에서 처음 등장했고, 그 다음 AD 650년까지 그 어떤 버전의 신조에도 다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20] 마찬가지로, 성인들의 성찬에 대한 언급은 고대 로마 상징이나 니케네 신조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신을 "하늘과 땅의 창조자"라고 지칭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325년의 니케네 크리드에는 없지만, 381년의 니케네 크리드(니케노-콘스탄티노폴리스 크리드)의 확장판에도 존재합니다.

동방정교회는 사도 신조를 사용하지 않는데, 어떤 조항에 대한 반대 때문이 아니라 니케네 기독교의 정의에 필요한 누락 때문입니다. 피렌체 공의회의 정교회 대표들은 사도 신조를 열두 사도에게 귀속시키는 서양의 전통에 대해 노골적으로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전통은 로렌조 바야에 의해서도 역사적으로 지켜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1] 로마 교회는 본문이 사도들 자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언급하지 않고, 대신 로마 교리서는 "사도들의 신조는 사도들의 신앙에 대한 충실한 요약으로 옳은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고 설명합니다.[22]

본문

다음은 라틴어 원문에 영어 번역과 [23][24]함께 12개의 글로 구성된 전통적인 텍스트를 제공합니다. 밑줄 친 구절은 Tyrannius Rufinus가 기록한 고대 로마 상징에는 없는 구절들입니다.

1. 크레도 인 데움 파트렘 만능템, 크레도렘 케일리에 테라,

나는 하늘과 땅을 만드신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을 믿습니다.

2. 이숨 그리스도 안에서, 필륨 아이우스 유니쿰에서, 도미눔 노스트럼에서,

그리고 그의 외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주님,

3. qui conceptus est de Spiritu Sancto, natus ex Maria Virgine,

그는 성령을 잉태하고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사람입니다.

4. passus sub Pontio Pillato, crucifixus, mortuus, et sepultus,

그들은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통을 받았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혔습니다.

5. 디센타 디페로, 삼차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디센타,

지옥으로 내려갔다가 사흘째 되던 날에 죽은 자에게서 다시 일어섰습니다.

6. 승천하다 카엘로스, 세데다 덱스터담 데이 패트리스 만능주의,

하늘로 올라가셔서,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7. 불요불급의
iudicare vivos et mortuos.

다음에 또 올 사람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를 판단하기 위해서요

8. 크레도 인 스피릿엄 생텀,

는 성령을 믿습니다.

9. Sanctam Ecclesian Catholicam,
Sanctorum congem
,

거룩한 카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10. 방출 페카토룸,

죄의 용서,

11. 카르니스 부활,

육체의 부활,

12. 영원의 정을 품다 아멘.[25]

영원한 생명. 아멘.

또한 그리스어로 된 문서도 있는데, 라틴어와 함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잘못으로 인해 팔테리움 æ쿠메트 로마눔에서 발견됩니다. 그것은 1647년 우셔 대주교에 의해 캠브리지의 코퍼스 크리스티 컬리지 도서관에 보존된 원고를 바탕으로 처음 편집되었습니다. 라틴어 본문은 샤를 아벨 휴틀리(De Fide Symbolo, 1900, 페이지 71)가 편집한 "피르미니우스의 창조"와 일치합니다. 약간의 변형이 있는 다른 네 개의 그리스어 번역본은 Carl Paul Caspari에 의해 발견되었고, 1879년에 출판되었습니다(Alte und nue Quellen zur Geschichte des Taufsymbols, vol. 3, pp. 11 sqq.).[26]

구체적으로 사도 중 한 명에게 각 글을 할당하는 전통은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서양의 성물 예술에서 크레도 아포스톨로룸은 12명의 사도들을 각각 기사들 중 하나와 함께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예술적 전통은 중세에서 바로크 시대까지 확장됩니다.

본문의 정확한 구분과 사도에의 귀속 순서가 완전히 정해진 적은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테메스바르의 펠바르투스 라디슬라우스(Pelbartus Ladislaus of Temesvar)는 15세기 후반에 저술한 제5조를 두 개로 나누지만, 제11조와 제12조를 하나로 결합하는데, 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습니다.

서양 기독교에서의 전례적 사용

사도 신조는 서양 기독교 공동체들이 전례 의식, 특히 세례성체 의식에서 직접적인 형태로 사용합니다.

세례 의식

현재 형태가 3~4세기 로마에서 사용된 세례 신조와 유사한 사도 신조는 실제로 세례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발전했습니다.[28] 가톨릭 교회는 오늘날에도 세례 의식(어린이와 성인 모두를 위한)에서 그것의 의문적인 형태를 사용합니다. 공식 영어 번역(ICEL, 1974)에서 세례 장관은 다음과 같이 묻습니다.

당신은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전능하신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믿습니까?
성모 마리아에서 태어나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고 죽은 자에서 일어나 지금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아 있는 그의 외아들 우리 주님,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십니까?
성령님, 거룩한 천주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몸의 부활, 생명이 영원하다고 믿습니까?

각각의 질문에, 요리사, 혹은 유아의 경우, 부모와 후원자(대부모)는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합니다. 그리고 나서 유명인은 말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믿음입니다. 이것이 교회의 신앙입니다. 우리 주님,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두 다음과 같이 응답합니다. 아멘.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 장로회는 "성모 마리아의 탄생"이라는 문구에 대해 일부 회원들의 유보에도 불구하고 세례 의식에서 사도 신조를 사용합니다.[29]

미국 성공회는 침례 의식을 받을 사람들을 위해 사도 강령을 침례 언약의 일부로 사용합니다. 사도의 강령은 후보자, 후원자, 신도들에 의해 암송되며, 강령의 각 부분은 "당신은 아버지 하나님(아들의 하나님, 성령의 하나님)을 믿습니까?"[30]라는 미사 참석자의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그것은 세례 서약 갱신의 부활절 자경회에서 심문 형식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31]

잉글랜드 교회도 마찬가지로 후보자와 후원자, 신도들에게 비슷한 심문에 대한 답변으로 사도신경을 암송할 것을 요청합니다. 대신 "당신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믿습니까?", "당신은 성령을 믿고 믿습니까?"라고 묻습니다. 더욱이 "목회적인 이유가 강한 곳"에서는 "아들의 하나님"과 "성령의 하나님"을 말하면서 심문이 더 정교하지만 사도의 강령에 근거하지 않은 대체 공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각 경우의 반응은 "나는 그를 믿고 신뢰한다"입니다.[32] 공동기도문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책은 세례 의식에서 목사가 사도의 신조를 의문의 형태로 암송하도록 합니다. 대부모님들에게 묻거나, "강아지 시대와 같은" 경우에, 후보자는 "당신은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믿습니까?"라고 물었고, 그 대답은 "내가 믿었던 이 모든 것들은 빠르게 믿었습니다."[33]입니다.

루터교 예배서(루터교회-미주리 시노드루터교회-캐나다)를 따르는 루터교 신자들은 가톨릭 신자들과 성공회 신자들처럼 세례 성찬 기간에 사도신경을 사용합니다.

당신은 하늘과 땅을 만드신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을 믿습니까?
당신은 그의 하나뿐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까? 성모 마리아가 낳은 성령이 잉태하신 우리 주님은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통받으셨습니다. 그는 죽어서 묻히고, 지옥으로 내려갔으며, 사흘째 되던 날에 그는 죽은 자에게서 다시 일어섰고, 하늘로 올라가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았습니다. 그 때부터 그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온 것일까요?
성령님, 거룩한 기독교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몸의 부활, 영원한 생명을 믿습니까?

각 질문이 끝나면 후보자는 "네, 저는 믿습니다"라고 답합니다. 만약 후보자들이 스스로 답할 수 없다면, 후원자들은 질문에 답해야 합니다.[34]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서를 사용하는 ELCA(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터교인들에게 사도신경은 하드커버 퓨판 229쪽에 있는 거룩한 세례 의식의 성찬 중에 나타납니다.

미국 감리교회는 사도신앙을 세례의식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교회의 성찬 행위의 맥락 안에서 신앙을 찬양하는 방법으로 세례를 받는 후보자와 교인 전체에게 보내는 심문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유아의 경우, 부모, 후원자, 회중이 후보자를 대신하여 신앙을 선포하는 것이고, 확인자의 경우, 회중 이전과 회중 사이에서 신앙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신도들에게, 그것은 그들이 공언한 믿음을 재확인하는 것입니다.

신을 믿나요?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을 믿습니다.
당신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까?
성령에 의해 잉태된 우리 주님, 성모 마리아가 태어나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통받다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신 그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사흘째 되던 날에, 그는 하늘로 올라와서,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아,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다시 올 것입니다.
당신은 성령을 믿습니까?
성령님, 거룩한 가톨릭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몸의 부활, 영원한 생명을 믿습니다.[35]

성체제

2002년판 이후, "니체노-콘스탄티노폴리스 크리드 대신에, 특히 사순절과 부활절 기간에, 사도 크리드로 알려진 로마 교회의 세례적 상징이 사용될 수 있다"는 표시와 함께, 사도 크리드가 대안으로 로마 미사에 포함됩니다.[36] 이전에 니케네 크리드는 미사에서 아이들을 위한 미사를 제외하고는 미사에서 사용하도록 허락된 유일한 신앙이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사도 크리드의 사용이 허용되었습니다.

표준 시간

사도의 신조는 성공회 예배에서 마틴스저녁 기도(심지어는 노래)에 사용됩니다. 그것은 칸티클레스가 암송하거나 노래를 부른 후에 발동되며, 만약 그들이 대저택에 가로로 앉아 있다면, 전통적으로 신도들이 제단을 향하도록 도는 유일한 예배의 부분입니다.

미국 성공회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에서 사도 신조를 사용합니다.[37]

1955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로마 경서루브릭이 간소화되기 전에 사도의 강령마틴과 프라임의 시작 부분에서, 컴필레이션의 끝 부분에서, 그리고 몇몇 전례들(후에 일련의 성경들과 응답들)에서 암송되었습니다("주님," 주님께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와 주님의 아버지는 강림과 사순절에 특정한 날에, 주님과 율법을[38] 지키십시오.

면죄부

부분 면죄부를 얻기 위해서는 사도신조나 니케네 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의 암송이 필요합니다.[39]

전례 영어 번역본

에큐메니컬(간명) 버전

15세기 플랑드르 태피스트리는 크리드의 첫 4개 조항을 보여줍니다.

국제영어문구상담회

국제 영어 텍스트 협의회(ICET)는 영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텍스트를 작성하는 작업을 수행한 최초의 교회간 에큐메니컬 그룹인 Prays We Have in Common을 출판했습니다(포트리스 프레스, 1970, 1971, 1975). 사도 신조의 버전은 몇몇 교회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40][41]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믿습니다.
천지창조자
나는 그의 외아들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는 성령의 능력에 의해 잉태되었습니다.
그리고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통받았지만,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혔습니다
그는 죽음으로 내려왔습니다.
셋째 날 그는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는 하늘로 올라갔고,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았습니다.
그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기 위해 다시 올 것입니다.
저는 성령을 믿습니다.
거룩한 카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육체의 부활,
영원한 생명. 아멘.

영어 전례 상담

국제 영어 텍스트 협의회 (ICET)의 후속 기관인 영어 전례 협의회 (ELC)는 1988년에 사도 신조의 수정된 번역본을 출판했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의"라는 말을 피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유일한 아들"이라고 말했습니다. 네 번째 줄에서, 그것은 개인 대명사 "he"를 친척 "ho"로 대체했고, 더 이상 크리드를 일련의 분리된 문장으로 제시하지 않기 위해 구두점을 바꿨습니다. 같은 라인에서 "의 힘"이라는 단어를 제거했습니다. 1988년 출판된 '함께 기도하기'에서 이러한 변화와 다른 논란의 여지가 있는 표현들을 보존하기 위한 근거를 설명하였으며, 새로운 버전을 선보였습니다.[42]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믿습니다.
천지창조자
나는 하나님의 외아들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성령께서 잉태하신 분입니다.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으며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생했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고,
그는 죽음으로 내려왔습니다.
사흘째 되던 날에 그는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는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십니다.
저는 성령을 믿습니다.
거룩한 카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육체의 부활,
영원한 생명. 아멘.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로마 미사의 초기 (1970) 영어 공식 번역본은 가톨릭 교회의 교리문답과 같은 교리문답본과 마찬가지로 ICET 버전을 채택했습니다.[40][41]

2008년, 가톨릭 교회는 2011년 말에 시행된 로마 전례 미사의 본문을 영어로 새롭게 번역하여 출판하였습니다. 여기에는 사도의 신조를 다음과 같이 번역한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43][44]

저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전능하신 아버지,
하늘과 땅의 창조주,
그리고 그의 외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주님,
성령께서 잉태하신 분입니다.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으며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생했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고,
그는 지옥으로 내려갔습니다.
사흘째 되는 날에, 그는 죽은 자에게서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는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그는 거기에서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올 것입니다.
저는 성령을 믿습니다.
거룩한 카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육체의 부활,
영원한 생명.
아멘.

영국 국교회

영국 교회에는 현재 공통 기도서(1662)와 공통 예배서(2000)의 두 가지 승인된 형태의 신조가 있습니다.

루터 교회

루터는 루터 교회의 상징적인 문서들을 담고 있는 콩코드의 일부를 구성하는 그의 '작은 교리서'의 서문에서 데칼로그 주님의 기억 기도와 함께 크리드를 약속할 것을 제안합니다.[52]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

아우크스부르크 요새에서 발행하는 출판물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는 미국에서 가장 큰 루터교 교파인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캐나다 복음주의 루터교의 주요 예배 자료입니다. 그것은 공식적인 ELCA 버전을 제시하고, "그는 죽은 자에게 내려왔다"는 문구를 발로 달아 "또는 '지옥으로 내려왔다', 즉 널리 사용되는 이 텍스트의 또 다른 번역"을 나타냅니다. 가톨릭이라는 기독교 단체가 있기 때문에 가톨릭 대신에 "기독교 교회"를 읽는 것도 대안입니다.

본문은 다음과 같습니다.[53]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믿습니다.
천지창조자

나는 하나님의 외아들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성령께서 잉태하신 분입니다.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으며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생했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고,
그는 죽은 자에게 내려왔습니다.*
사흘째 되던 날에 그는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는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십니다.

저는 성령을 믿습니다.
거룩한 가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육체의 부활,
영원한 생명. 아멘.


덴마크 교회

덴마크 교회는 아직도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는 말 앞에 "우리는 악마와 그의 모든 행위와 그의 모든 존재를 포기한다"는 문구를 이 신조의 시작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 덴마크 목사 그룬트비그의 영향 때문입니다. Den Apostolske trosbekendelse [da] 참조.

연합감리교회

미국의 방법론자들은 일반적으로 사도 신조를 예배에 포함시킵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버전은 가장 인기 있는 찬송가 중 하나이자 방법론의 창시자인 John Wesley와 Charles Wesley 형제의 유산이 있는 United Methodist Hymnal의 881번에 있습니다.[54][55] "그가 지옥으로 내려왔다"는 대사를 생략한 것은 눈에 띄지만, 그 외에는 보통 기도서 버전과 매우 유사합니다. 1989년의 찬송가는 전통적인 버전과 1988년의 에큐메니컬 버전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56] 여기에는 "그는 죽은 자에게 내려왔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39년 감리교 찬송가에서 발견된 사도의 강령 역시 "그가 내려왔다"[57]는 구절을 생략하고 있습니다. 1966년 감리교 찬송가에도 같은 버전의 강령이 있지만, 페이지 하단에 "이 강령의 전통적인 사용에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이 포함됩니다: 그는 지옥으로 내려갔습니다"[58]라고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1784년 미국에서 감리교 성공회가 조직되었을 때, 존 웨슬리는 새 미국 교회에 주일 예배를 보냈는데, 그는 사도들의 신조의 본문에 "지옥으로 내려왔습니다"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59] 웨슬리는 미국 감리교 신자들이 신조를 암송할 때 이 문구를 사용하려고 의도했음이 분명합니다.

1989년 연합감리회는 또한 이 신조의 "에큐메니컬 버전"이라고 부르는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국제 영어 텍스트 위원회(1975)의 에큐메니컬 버전으로 후속 기관인 영어 전례 협의(1987)에 의해 수정된 현대 번역본입니다.[60] 이러한 형태의 사도 신조는 찬송가와 세례성사와 연합감리교예배서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인기와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톨릭이라는 단어는 보편적이고 에큐메니컬한 기독교 교회에 가톨릭이라는 단어가 적용된다는 의미에서 의도적으로 소문자로 남겨집니다.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을 믿습니다.
하늘과 땅을 만드신 분,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외아들 우리 주님,
성령께서 잉태하신 분입니다.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으며
폰티우스 빌라도 밑에서 고생했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묻히고,
그는 죽음으로 내려왔습니다.
사흘째 되던 날에 그는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는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다시 올 것입니다.

저는 성령을 믿습니다.
성스러운 가톨릭 교회,
성도들의 성찬,
죄의 용서,
육체의 부활
영원한 생명. 아멘.[61]

음악 설정

심벌럼 아포스톨로룸을 모테트로 하는 음악적 설정은 드문 일입니다. 영국 작곡가 Robert Wylkynson (1515년경)은 Creed의 본문을 특징으로 하는 Eton Chirorbook에 포함된 13개의 목소리로 된 캐논인 Jesus autem transiens를 작곡했습니다. 프랑스 작곡가 르 브룽은 1540년에 라틴어 설정 하나를 출판했고, 스페인 작곡가 페르난도라스 인판타스는 1578년에 두 개를 출판했습니다.

마틴 루터는 1524년에 사도 신조의 한 구절로 찬송가 "위르 글라우벤 all ainen Gott" (영어로 번역하면 "우리 모두는 하나의 하나님을 믿습니다")를 썼습니다.

1957년 윌리엄 P. 라담은 소년과 남성의 목소리에 적합한 SATB 편곡으로 "Credo(사도 신조의 메트로컬 버전)"를 썼습니다.

1979년에는 프란치스코회 제3대 교단인 존 마이클 탤벗이 그의 앨범인 '주님의 만찬'에 'Creed'를 작곡하고 녹음했습니다.[62]

1986년 그레이엄 켄드릭은 사도의 신조를 밀접하게 기반으로 한 대중적인 "우리는 아버지 신을 믿습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페트라의 1990년 앨범 Beyond Believe에 수록된 곡 "Creed"는 사도의 신조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63]

GIA 출판사는 1991년에 사도들의 신조를 직접 바탕으로 한 "나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습니다"라는 찬송가 본문을 출판했습니다. 이 곡은 웨일스, 네덜란드, 아일랜드의 곡조를 찬송하기 위해 불려졌습니다.[64]

리치 멀린스비커는 1993년 멀린스의 앨범 A Liturgy, a Legacy, and a Ragamuffin Band에서 발매된 "Creed"라는 제목의 음악적 배경도 작곡했습니다.[65] 특히 멀린스의 버전은 "하나의 신성한 가톨릭 교회"를 "하나의 신성한 교회"로 대체합니다.

호산나청렴음악! 1993년 라이브 예배 어쿠스틱 앨범을 제작한 음악 시리즈인 Be Magnified는 랜디 로스웰이 예배 지도자로 등장한 "[66]사도의 신조"라는 경쾌한 열광적인 찬송가를 랜디 로스웰 버뱅크가 작곡했습니다.

뉴스보이즈는 2013년 앨범 "Restart"에서 "We Believe"를 발매했습니다. 이 곡은 최고의 크리스찬 송으로 빌보드 뮤직 어워드 후보에 올랐습니다.

2014년, 힐송은 그들의 앨범 No Other Name에 "This I Believe (The Creed)"라는 제목으로 사도들의 신조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Keith & Kristyn Getty는 그들의 2016년 앨범 "Facing a Task Unfined"에서 "We Believe (Apostle's Creed)"라는 제목으로 사도들의 신조에 대한 표현을 발표했습니다.

참고 항목

해설주

  1. ^
    1923년 개정에서 이 선은 "신성한 유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48] 스코틀랜드의 공동기도서(1637)에는 "거룩한 유령을 잉태한 것"이 있습니다.[49] 이것은 1559년 "신성한 유령을 잉태한" 공통 기도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50]

참고문헌

  1. ^ Bayes, Jonathan F. (September 9, 2010). The Apostles' Creed: Truth with Pass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ISBN 978-1-60899-539-4.
  2. ^ Rogers, Jack (1985), Presbyterian Creed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p. 62–63, ISBN 978-0-66425496-4.
  3. ^ Orr, James. "The Apostles' Creed".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Reform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2, 2011. Retrieved May 19, 2011.
  4. ^ : Thurston, Herbert. The Apostles' Creed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editions of 1907.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7, 2018. {{cite book}}무시했습니다 website=(도움말).
  5. ^ Ambrose of Milan. "Letter 42:5". Tertullian.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5, 2011. Retrieved May 19, 2011.
  6. ^ a b c d e "Apostles' Cree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 90, ISBN 978-0192802903.
  7. ^ Denzinger, Henry (1957). The Sources of Catholic Dogma (30th ed.). B. Herder Book Co. p. 4.
  8. ^ Day, Gardiner Mumford (1963), The Apostles' Creed: an interpretation for today, Scribner, p. 33.
  9. ^ McGiffert, Arthur Cushman (2008), The Apostles' Creed: Its Origin, Its Purpose, and Its Historical Interpretation, BiblioBazaar, p. 42, ISBN 978-0559851995.
  10. ^ Bettenson, Henry, ed. (1963), 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 (2nd ed.), London, p. 23.
  11. ^ Lynch, Joseph (1992), The Medieval Church, London and New York: Longman, p. 7.
  12. ^ Denzinger, Henry (1957). The Sources of Catholic Dogma (30th ed.). B. Herder Book Co. p. 3.
  13. ^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 II. The History of Creeds,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July 13, 2005, retrieved May 19, 2011
  14. ^ Kelly, JND (1972), Early Christian Creeds (third ed.), London: Longman, Green & Co, pp. 398–434.
  15. ^ Bettenson, Henry; Maunder, Chris (1999), 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 (3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26.
  16. ^ "Origin of the Creed", Catholic Encyclopedia, New advent.
  17. ^ 클레멘스 블루메, 다스 아포스트로이슈 글라우벤스켄트니 ß (1893), 186f.
  18. ^ Ephesians 4:9
  19. ^ Trillhaas, Wolfgang, "Creeds, Lutheran Attitude Toward", in Bodensieck, Julius (ed.), The Encyclopedia of the Lutheran Church, vol. A–E, Minneapolis: Augsburg, p. 629.
  20. ^ Grudem, Wayne A (2004),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Leicester, England; Grand Rapids, Michigan: Inter-Varsity Press; Zondervan, p. 586Grudem, Wayne A (2004),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Leicester, England; Grand Rapids, Michigan: Inter-Varsity Press; Zondervan, p. 586씨에프.
  21. ^ 도로테아 새틀러. "글라우벤스베켄트니스에 대한 아포스티치. I. 도그멘과 신학자 지슈티". 인: 월터 캐스퍼(Ed.). 렉시콘 퓌르 신학과 키르체. 3rd ed., vol. 1, Herder, 프라이부르크 임 브레이스가우 1993, c. 878f.
  22. ^ 가톨릭교회의 사도강령 교리문답, 성좌를 인용한 교리문답. 앰브로즈, 엑스플. 심벌의 7: PL 17, 1196.
  23. ^ "English translation of the Apostles' Creed".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oly See. March 25, 1997. Retrieved April 26, 2013.
  24. ^ "Part I, Section II". English translation of the Apostles' Creed. Holy Se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4, 2011. Retrieved May 19, 2011.
  25. ^ "Symbolum Fidei" [Faith symbol].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in Latin). Vatican. June 25, 1992. Retrieved August 5, 2014.
  26. ^
  27. ^ 세르모네스 포메리 드 산티스 2세 파스 에스티발리스. Sermo XXVII.: 분할 항목은 아포솔로룸 페스토입니다. Hagenau 1499.
  28. ^ "Apostles' Creed".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January 15, 2022.
  29. ^ "Why use the Apostles' Creed in a baptism?". Knox Church Dunedin. September 29,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3, 2019. Retrieved January 15, 2022.
  30. ^ Holy Baptism (revised 2007 ed.). The Episcopal Church. 1979. Retrieved April 22, 2018. {{cite book}}: work= 무시됨(도움말)
  31. ^ 공동기도문 (1979). 뉴욕: 교회 출판. 292-293쪽.
  32. ^ "Baptism and Confirmation". The Church of England. Retrieved January 15, 2022.
  33. ^ 공동기도문: "영유아에 대한 공개침례성사"; "숙성년의 사람들에 대한 세례성사"
  34. ^ The Commission on Worship of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06). Lutheran Service Book.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pp. 268–271. ISBN 978-0-7586-1217-5.
  35. ^ "Baptismal Covenant I", The United Methodist Hymnal, p. 35.
  36. ^ Roman Missal, Liturgy Training Publications, 2011, ISBN 9781568549910, retrieved February 2, 2019.
  37. ^ 공동기도문 (1979). 뉴욕: 교회 출판. 66쪽 (저녁 기도, 전례 I, 전통적), 120쪽 (저녁 기도, 전례 II, ICET).
  38. ^ "Compendium of the Reforms of the Roman Breviary, 1568 - 1961: Part 9.1 - The Simplified Rubrics of 1955".
  39. ^ 엔치리디온 인크루젠타룸, 컨세션즈, 제28호 §3, 리브리아 에디트리스 바티카나, 제4판, 2004. ISBN 88-209-2785-3.
  40. ^ a b "The Apostles' Creed" (PDF). Cardinal Newman Catechist Consultants. 200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22. Retrieved June 2, 2019.
  41. ^ a b Vanden Bosch, James (December 1989). "Revised But Not Standard". Reformed Worship (14). Retrieved June 2, 2019.
  42. ^ "Praying Together" (PDF). English Language Liturgical Consultation. 1988. p. 2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22. Retrieved June 2, 2019.
  43. ^ Order of Mass (PDF), International Committee on English in the Liturgy, Inc., 2010, p. 1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22, retrieved June 16, 2019
  44. ^ New English translations of Ordo Missae to be set to music (PDF), Catholic Church in Australia, April 13, 2010, p. 5, retrieved June 16, 2019.
  45. ^ "The Book of Common Prayer (original text)" (PDF). Vulcan hamm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6, 2011. Retrieved May 19, 2011.
  46. ^ "The Order for Morning Prayer". Angl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09. Retrieved May 19, 2011.
  47. ^ "The Order for Evening Prayer". Anglican. Retrieved May 19, 2011.
  48. ^ A Suggested Prayer Book, Being the text of the English Rite altered and enlarged in accordance with the Prayer Book Revision proposals made by the English Church Union (PDF). 1923. p. 1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4, 2015.
  49. ^ "The Order of Confirmation". The Book of Common Prayer for Scotland. 16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1, 2015.
  50. ^ "Confirmacion". The Book of Common Prayer. 15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6, 2015.
  51. ^ "Creeds and Authorized Affirmations of Faith". Church of England. Retrieved August 16, 2021.
  52. ^ "Luther's Preface to the Small Catechism". bookofconcord.org. Retrieved June 21, 2023.
  53. ^ "The Apostles' Creed"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22.
  54. ^ "Contemporary Evangelical Perspectives". Catalyst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8, 2011. Retrieved May 19, 2011.
  55. ^ "Contemporary Evangelical Perspectives". Catalyst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8, 2011. Retrieved May 19, 2011.
  56. ^ "Apostle's Creed Traditional and Ecumenical Versions". The United Methodist Church. Retrieved July 15, 2015.
  57. ^ 감리교 성가 (1939). 내슈빌: 감리교 출판사 512쪽.
  58. ^ 미국 감리교 협회 (1966). 내슈빌: 감리교 출판사. #738.
  59. ^ 웨슬리, 존 (1784). "북미의 방법론자들의 주일 예배와 기타 수시 예배", 12쪽.
  60. ^ Hickman, Hoyt, ed. (1989), "The Worship Resources", United Methodist Hymnal, p. 200.
  61. ^ 연합 감리교 예배의 연합 감리교 성가집. [연합뉴스 자료사진] 감리교출판사, 1989
  62. ^ Smith, Michael G. (February 1, 1985), "Troubador of the Kingdom", Christianity Today, p. 88.
  63. ^ Powell, Mark Allan (2002),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Hendrickson, p. 696, ISBN 1565636791
  64. ^ "I believe in God almighty", Hymnary.
  65. ^ Powell, Mark Allan (2002),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Hendrickson, p. 615, ISBN 1565636791
  66. ^ Rothwell, Randy. (1993), Be magnified : featuring Randy Rothwell, Hosanna! Music, OCLC 271477619

더보기

외부 링크

영어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