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전투-아우어슈테트
Battle of Jena–예나 전투-아우어슈테트 | |||||||||
---|---|---|---|---|---|---|---|---|---|
제4차 세계 대전의 일부 | |||||||||
나폴레옹은 전설에 따르면 제나 전투 중에 "전진하라!" – "앞으로!" – 를 외친 황실 근위대의 수류탄 투척병을 꾸짖습니다. 호레이스 버넷 지음, 1836[1] | |||||||||
| |||||||||
Belligerents | |||||||||
프랑스 제국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
힘 | |||||||||
전투에 투입된 4만명 (제나)[3] 26,000 (Auerstedt)[3] 합계: 66,000 | 55,000(제나) 64,000 (Auerstedt)[4] 합계: 119,000 | ||||||||
사상자 및 손실 | |||||||||
5,000–6,000[5](Jena) 7,052–7,100[6](Auerstedt) 합계: 12,600명 사망, 부상, 실종 또는 생포 (1[7],000명 전사) | 26,000–27,000[5](Jena)[3] 13,000[6]–15,000 (Auerstedt)[3] 합계: 41,000명 사망, 부상, 실종 또는 생포 | ||||||||
제나와 아우어슈테트의 쌍둥이 전투( 독일어 발음:[ˈjeːna … ˈaʊ̯ɐ.ʃt ɛt]; 이전 철자: 오어슈테트(Auerstädt)는 1806년 10월 14일 오늘날 독일의 살레 강 서쪽 고원에서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사이에 벌어진 전투입니다. 프로이센 군대의 패배는 1813년 6차 연합군이 형성될 때까지 프로이센 왕국을 프랑스 제국에 복속시켰습니다.[8]
나중에 프로이센 군대의 개혁에 필수적인 인물들이 예나에서 참가했습니다.게르하르트 폰 블뤼허,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아우구스트 네이드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헤르만 폰 보옌 등 아우어슈테트.
배경
프로이센의 선전포고 이후 나폴레옹은 프랑코니아 숲을 통해 18만 명의 군대를 몰아 제4차 연합군에 대항하는 작전을 시작했습니다. 한편 프로이센군은 약 13만 명의 프로이센군과 2만 명의 작센군으로 구성된 병력으로 나폴레옹의 진격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9]
프로이센군은 조직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고, 프랑스군의 효율적인 정보 흐름은 물론 속도도 부족했습니다.[10]
개요
전투는 나폴레옹의 주력 부대의 요소들이 예나 근처에서 호엔로헤의 군대와 맞닥뜨리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 48,000명이었던 황제는 신중하게 계획되고 유연한 성향을 이용하여 지역 우위를 빠르게 달성했으며, 병력은 96,000명에 달했습니다.[11] 그러나 불과 4만 명의 병력이 파견되어 실제로 전투에 참가했기 때문에 절반도 되지 않는 숫자로 프로이센과 싸웠습니다.[3] 한편, 프로이센은 상황 파악이 느렸고, 여전히 반응이 느렸습니다. 바이마르에서 루헬의 군대 1만 5천 명이 도착하기도 전에, 호엔로헤의 군대는 1만 명이 죽거나 다쳤고, 1만 5천 명이 포로로 잡혔습니다.[11] 루첼은 결국 전장으로 군대를 데려왔습니다. 전투에 전념하고 호엔로헤가 군대의 개인적인 지휘를 맡기 위해 올라탄 직후, 그들은 차에 올라타 돌이킬 수 없는 패배로 후방으로 도망쳤고, 루첼은 부상을 입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나는 5천 명의 프랑스군이 죽고, 다치거나, 사로잡힌 격전이었고,[11] 나폴레옹은 자신이 프로이센군의 본진과 맞섰다고 착각했습니다.
북쪽으로는 아우어슈테트에서 다부트와 베르나도트 모두 나폴레옹을 도우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다부트는 에카르트베르가, 베르나도테, 도른부르크를 거쳐 준수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다부트의 남쪽 길은 프로이센 왕과 브런즈윅 공작, 묄렌도르프와 칼크로이트를 [4]포함한 64,000명의 프로이센 주력군에 의해 막혔습니다.[11] 야만적인 전투가 이어졌습니다. 비록 2대 1 이상으로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다부트의 훌륭한 훈련과 훈련을 받은 3군단은 반복되는 공격을 견뎌내고 결국 공세를 취해 프로이센군을 탈출시켰습니다. 베르나도트 원수는 논란의 여지없이 다부트의 도움을 받기 위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며, 그 대신 나폴레옹의 마지막 명령을 고수했습니다.[12][13][14]
예나 전투
계획
프로이센 군대는 프로이센 전역에서 끌어온 세 개의 군대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1806년 프로이센의 주요 약점은 다수의 장교가 지휘직을 맡고 있는 상급 지휘 체계였습니다. 이러한 예로는 풀 장군,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대령, 루돌프 마센바흐 대령 등 3명의 다른 장교가 맡고 있는 참모총장직이 있습니다. 혼란스러운 시스템으로 인해 전투의 최종 순서가 마련되기 전까지 한 달 이상 지연되는 지연과 복잡성이 발생했습니다. 프로이센인들이 직면한 또 다른 장애물은 통일된 전투 계획의 수립이었습니다. 논의를 위해 5가지 주요 계획이 등장했지만, 계획과 심의가 길어지면서 주도권은 프랑스로 넘어갔습니다. 따라서 프로이센의 계획은 나폴레옹의 움직임에 대한 단순한 반응이 되었습니다.
프로이센은 프랑스보다 거의 한 달 앞서 동원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은 제3차 연합군 전쟁 이후 러시아가 패배를 인정하지 않자 높은 준비태세를 유지했습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을 아우스터리츠와 같은 결정적인 전투로 몰아넣고 프로이센의 공세를 사전에 차단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나폴레옹은 현재의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에 위치한 그랑 아르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따라서 작센과 베를린으로 북동쪽으로 진격하기로 결정했습니다.[15]
예나 전투
전투는 1806년 10월 14일 아침 예나 근처의 풀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프랑스군의 첫 번째 움직임은 프로이센군의 양쪽 측면을 공격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지원군(중앙 공격을 구성하는)이 진지로 진입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습니다. 이 교전은 프로이센 좌익을 공격하고 고립시킨 프랑스 장군 생 힐레어의 돌파구를 제외하고는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때 미셀 네이 원수는 작전을 마치고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자리를 잡은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일단 자리에 앉자 네이는 아무런 명령도 받지 않고 프로이센군의 전선을 공격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거의 재앙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네이의 첫 번째 공격은 성공적이었지만, 그는 자신이 너무 확장되어 프로이센 포병의 집중 공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이센 장군은 고통스러워하는 것을 알아차리고 반격을 명령하고 네이의 군대를 포위했습니다. Ney는 그들의 모든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을 정사각형으로 만들었습니다. 나폴레옹은 네이의 상황을 알아차리고 장 라네스 원수에게 네이를 돕기 위해 공격의 중심에서 이동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 행동은 프랑스 중앙을 약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네이를 구출할 수 있을 때까지 프랑스 중앙을 지키기 위해 황실 근위대를 배치했습니다. 그 적응력은 나폴레옹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였습니다. 그는 황실 근위대를 자신의 직속으로 유지하고, 전투가 자신에게 제시하는 상황에 따라 그들에게 자리를 잡도록 명령할 수 있었습니다. 구조는 효과가 있었고, 네이의 부대는 전투에서 후퇴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프랑스군은 곤란한 상황에 처했지만, 프로이센 지휘관들은 프랑스군의 약점을 적극적으로 공략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나중에 그들의 실패로 여겨졌습니다. 프로이센 보병대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아 포병과 경보병의 사격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한 프로이센 장군은 나중에 "마을 입구 주변은 가장 끔찍한 피를 흘리고 학살하는 현장이었다"고 썼습니다.
나폴레옹이 결단을 내리기로 결심한 것은 바로 그때, 오후 1시경. 그는 자신의 측면을 강하게 밀어붙여 프로이센군의 측면을 돌파하고, 프랑스군의 중앙이 프로이센군의 중앙을 무너뜨리려 할 때 중앙군을 포위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측면에 대한 공격은 성공적인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측면이 부서지면서 프로이센군은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나폴레옹은 또 다른 전투에서 승리했습니다. 프로이센군은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1만 명을 잃었고, 15,000명의 포로와 150문의 총을 빼앗겼습니다.[16]
아우어슈테트 전투
에티엔 구딘 장군 사단은 오전 6시 30분 전에 나움부르크에서 이동 중이었습니다. 오전 7시까지 제1차 차세르는 프로이센 기병대와 포병대에 의해 포펠 외곽의 선로에서 추위에 떨지 못했습니다. 그들이 마을에 가까이 다가가자 걷힌 짙은 안개가 피어올랐습니다. 일단 프로이센군을 알게 된 다부트는 구딘에게 하센하우젠에 병력을 배치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경기장에 있던 프로이센군 사령관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칼 폰 슈메타우였습니다. 그의 사단은 실제로 쾨센 고개에서 그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다부트가 있는 바로 그 길을 따라 전진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슈메타우의 군대가 하센하우젠을 공격하기 위해 배치되는 동안, 블뤼허는 기병들과 함께 그의 왼쪽에 배치되었습니다. 그들은 함께 구딘의 군대를 공격하여 마을로 밀어냈습니다.
바르텐슬레벤은 오전 8시 30분에 브런즈윅 공작과 함께 도착했고, 그는 보병을 왼쪽 측면으로, 기병을 오른쪽으로 명령했습니다. 나머지 프랑스 기병대는 오전 9시에 도착해 구딘의 왼쪽에 배치됐습니다. 루이 프란트 장군 사단과 12파운드 포병은 오전 9시 30분에 도착해 구딘의 오른쪽에 있는 광장으로 이동했습니다. 프랑스군의 광장 진격으로 블뤼허의 기병대는 후퇴했습니다.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자 그는 기병들에게 공격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바로 그 순간 바르텐슬레벤의 두 연대가 하센하우젠을 공격했습니다.
모든 것이 실패했습니다: 프로이센 기병대 3개 연대가 격퇴되고 보병은 후퇴했습니다. 이 중요한 시점에서 공작은 과감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오전 10시 조금 전에 하센하우젠에 대한 전면 공격을 명령했습니다. 오전 10시가 되자 브런즈윅 공작은 큰 부상을 입은 슈메타우와 함께 치명상을 입고 현장에서 실려 왔습니다. 두 명의 지휘관을 모두 잃으면서 프로이센군의 지휘관은 무너졌습니다. 프로이센 군대는 붕괴의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다.
오스왈드의 보병대와 후에 네덜란드의 윌리엄 1세가 된 오렌지 왕자가 오전 10시 30분에 도착했고, 왕은 오렌지의 지휘권을 양쪽 측면으로 반씩 둘로 나누기로 결정했습니다. 프랑스 측에서는 모랑드 사단이 도착했고, 구딘의 좌익을 확보하기 위해 파견되었습니다. 다부트는 이제 프로이센군이 흔들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래서 오전 11시에 보병들에게 반격을 명령했습니다. 정오가 되자 슈메타우의 중심부가 부서져 리스바흐 강을 넘어 후퇴했고, 블뤼허의 기병대는 격추되었고, 바르텐슬레벤은 그의 군대를 재배치하려고 했습니다. 프로이센 사람들은 모든 것을 잃었다는 것을 깨달았고 왕은 철수를 명령했습니다.[17]
다부트의 군단은 7,052명의 장교와 병사를 잃었고, 프로이센군의 전사자는 13,000명이었습니다.[11]
후폭풍
나폴레옹은 처음에 다부트의 단일대가 프로이센군을 무찌른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첫 번째 보고에 대해 다부트의 시력이 좋지 않은 것을 언급하는 "당신의 원수님은 분명히 두 배를 보고 있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일이 분명해지면서 황제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다부트는 아우어슈테트의 공작이 되었습니다. Jena의 영웅 Lannes는 그렇게 영광스럽지 않았습니다.
베르나도트의 행동 부족은 쌍둥이 전투 1주일 만에 논란이 됐습니다. 베르나도트는 전투 전날 그의 1군단과 다부트의 3군단이 프로이센군의 예상 퇴각선을 따라 누워 있다는 긍정적인 서면 명령을 마지막으로 받았습니다. 그는 10월 13일 밤 업데이트된 서면 명령을 받지 못한 유일한 원수였습니다.[18] 10월 14일 이른 시간에 다부트는 베르티에로부터 "만일 폰테 코르보의 왕자가 당신과 함께 있다면, 당신들은 둘 다 함께 행진할 수 있지만, 황제는 그가 도른부르크에서 지시된 위치에 있기를 희망합니다."라고 썼습니다. 그 후 다부트는 같은 날 아침 0시에 베르나도트에게 이 주문을 전달했습니다.[14] 베르나도트는 나중에 어설프게 쓰여진 어법의 모호한 특성을 재량으로 인용했고, 다부트와 동행하는 대신 도른부르크에 있기를 바라는 나폴레옹의 바람을 준수했습니다. 게다가 다부트의 어려움에 대해서 베르나도트는 나폴레옹이 예나에 있다고 주장한 것처럼 프로이센의 주력이 제3군단 이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그는 다부트를 돕지 못하고 대신 황제의 명령에 따라 아폴다 고지의 프로이센 후방에 제1군단을 배치하는 데 성공했고, 그 결과 예나에 있던 프로이센군이 후퇴선을 점령하는 것을 보고 철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었습니다.[12]
다부트와 베르나도트는 나중에 동료 원수의 운명에 대한 베르나도트의 무관심으로 인해 앙숙이 되었습니다.[19] 나폴레옹은 나중에 세인트루이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헬레나는 베르나도트의 행동(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랐지만)은 수치스러웠고, 그러나 베르나도트의 아내인 나폴레옹의 전 약혼자 데시레 클라리와의 애착 때문에 베르나도트를 저격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13] 그러나 현대의 증거에 따르면 다부트와 그의 보좌관인 드 캄프가 베르나도트 전투의 밤에 주장한 유죄 판결과 모욕 장면과는 거리가 먼 나폴레옹은 황제가 부여한 역할을 며칠 후까지 수행했다는 점에서 아무 문제도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중에 제국 본부의 명령과 파견을 조사했지만 베르나도테가 다부트와 함께 진군하라는 명령은 결코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베르나도트를 도른베르크로 보낸 10월 14일 베르나도트의 명령을 확인했습니다.[20][21] 나폴레옹의 베르나도트에 대한 비난을 뒷받침하는 문서의 부족은 나폴레옹이 다부트와 함께 1군단을 행군할 의도가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 명령은 10월 14일 아침 베르나도트에게 잘못 전달되었습니다. 아니면 나폴레옹이 에른스트 마쉬 로이드 대령이 제안한 대로 다부트가 혼자서 전투를 벌여야 했던 것에 대한 책임을 전가할 기회를 이용한 것이라면 말입니다.[22] 나폴레옹은 이후 베르나도트에게 엄중한 질책을 보냈지만 더 이상의 조치는 취하지 않았습니다.[23]
프로이센군 측에서는 아우어슈테트에서 브런즈윅이 치명상을 입었고, 이후 며칠 동안 남은 병력들은 무라트의 무자비한 기병 추격에 심각한 저항을 하지 못했습니다. 10월 16일 에르푸르트 항복에서 프로이센군의 대규모 병력이 포로가 되었고, 총성은 거의 발사되지 않았습니다. 베르나도트는 17일 할레 전투에서 뷔르템베르크의 프로이센 예비군 공작 외젠 프리드리히 앙리를 격파하고 나폴레옹의 눈에 비친 자신을 일부 만회했습니다.[24] 나폴레옹은 아우어슈타트에서의 영광스러운 승리를 인정받아 다부트에게 베를린에 먼저 입성하는 영광을 안겼습니다. 다부트는 10월 25일 지친 제3군단을 이끌고 베를린으로 진군했습니다. 10월 28일, 프레즐라우 전투 이후 호엔로헤의 군대는 항복했고, 곧이어 파세워크 항복이 이어졌습니다. 프랑스군은 10월 30일 볼데코우, 11월 1일 앙클람, 11월 3일 볼데코우, 11월 5일 비스마르에서 소규모 프로이센 열을 몇 개 점령했습니다.
게브하르트 블뤼허의 지휘 하에 11월이 시작되자 21,000명의 프로이센 야전군이 오데르 서쪽의 넓은 지역에 남아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진격으로 인해 그의 군단은 오데르 강을 건너거나, 동프로이센으로 수륙 수송을 하기 위해 스테틴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베르나도트는 블뤼허를 끈질기게 추격하기 시작했고, 두 군대는 몇 차례의 전투를 벌였고, 이후 무라트와 솔트는 "세 명의 마셜들의 추격"에 합류했습니다. 그 후 블뤼허는 중립국인 덴마크로 건너가기 위해 서쪽으로 이동했지만, 덴마크인들은 군대를 국경에 배치하여 그곳을 건너려는 모든 군대를 공격할 의도였습니다. 그러자 프로이센군은 뤼베크라는 한자 동맹 도시의 중립을 어기고 귀국길에 그곳에 있는 스웨덴 연합군과 연합하고, 안전한 항구에 도착하기를 희망하는 지휘선들과 연합할 의도로 그곳을 강화했습니다. 그러나 11월 6일과 7일, 황제의 비난을 피해 베르나도트의 1세 군단이 요새화된 도시의 문들을 급습한 후, 뤼벡 전투에서 블뤼허와 윈의 군단은 포위되어 파괴되었습니다. 저항을 위한 성급한 시도를 깨고 거리와 광장으로 쏟아져 나왔고, 솔트의 군대가 모든 탈출로를 차단하자 블뤼허의 지휘소(그리고 그의 참모총장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를 점령했습니다. 프로이센군은 3000명의 전사자와 부상자를 잃었습니다. 11월 7일 아침, 모든 탈출의 희망이 사라지자, 블뤼허는 베르나도트에게 개인적으로 항복했고, 9,000명의 다른 프로이센 포로들과 함께 포로로 잡혔습니다.[25][26] 마그데부르크 공방전은 11월 11일 네이가 요새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습니다. 프로이센군의 고립된 저항은 여전했지만, 나폴레옹의 주적은 이제 러시아였고,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들란트 전투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마틴 판 크레벨드는 지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따라서 예나의 나폴레옹은 그날 일어난 주요 행동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했습니다. 그의 두 개의 군단에 대해 모두 잊어버렸고, 세 번째 또는 아마도 네 번째에게 명령을 내리지 않았으며, 다섯 번째 행동에 깜짝 놀랐습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제한하기 위해, 그의 주요 부하들 중 한 명이 총살형 앞에 덜 치명적인 사람을 데려왔을 그런 종류의 불복종을 보여주도록 시켰습니다. 이 모든 지휘상의 실수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은 아마도 그의 경력에서 단 한 번의 위대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27][12][13][14]
영향을 주다
이 전투는 매우 봉건적인 프로이센 국가와 군대에서 개혁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클라우제비츠와 같은 프로이센의 중요한 개혁가들이 전투에 참여했습니다. 그들의 개혁은 그 후 몇 년 동안 시행된 민간 개혁과 함께 프로이센의 근대 국가로의 전환을 시작했고, 프로이센은 프랑스를 독일에서 몰아내는 데 앞장섰고, 결국 대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습니다. 프로이센이 프랑스의 봉신으로 전락하고, 이후 국가의 명예를 회복한 반란은 독일 민족주의의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당시 예나 대학 교수였던 독일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전투가 치열한 가운데 요리사 œ브레, 즉 '영혼의 현상학'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헤겔은 이 전투를 "역사의 종말"이라고 여겼으며, 인간 사회가 "보편적인 동질[a] 상태"로 진화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나폴레옹은 파리에 다리를 건설했고, 그 다리는 그 전투의 이름을 따서 지었습니다. 그가 패배했을 때, 프로이센 점령군의 부대는 그 이름 때문에 몹시 화가 나서 다리를 파괴하고 싶어했습니다. 탈레랑은 프랑스 대군의 이름을 따서 다리의 이름을 일시적으로 바꾸었고, 이로 인해 다리의 이름은 그들이 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다리에 있는 파리 지하철의 역은 같은 이름입니다.
예나 근처에는 나폴레옹과 그의 마셜들의 이름을 딴 몇몇 하이킹 코스들이 있습니다. 코스페다 마을에는 전투에 관한 박물관이 있습니다.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 전투는 2006년 10월 14일 코스페다 마을 근처의 600m x 800m 밀폐된 지역에서 1,8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재연되었습니다. 매년 역사적인 날짜에 가까운 10월에는 '제나 1806 e. V' 협회에서 기념행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는 5년마다 더 큰 규모로 이루어집니다. 데이비드 세불라(David Cebulla)의 단편 영화 "Into the Battle"은 210회 전투를 재연하는 동안 제작되었습니다.[28][29]
참고 항목
해설주
- ^ 그 주장은 프란시스 후쿠야마의 저서 "역사의 종말과 최후의 인간"에서 심도 있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메모들
- ^ 바우어 2009, 70쪽.
- ^ Bodart 1908, pp. 372–73.
- ^ a b c d e 코넬리 2006, 페이지 101.
- ^ a b 챈들러 1966, 488쪽.
- ^ a b Bodart 1908, 페이지 372.
- ^ a b Bodart 1908, p. 373.
- ^ Clodfelter 2017, 85쪽.
- ^ Chandler 1966, pp. 479–506.
- ^ 페트르 1914년, 46쪽.
- ^ 페트르 1914, 21쪽.
- ^ a b c d e 챈들러 1966, 1119쪽.
- ^ a b c 바튼 1921, 페이지 138–46.
- ^ a b c 페트르 1914, 페이지 170–73.
- ^ a b c Gallaher 2018, pp. 134–35.
- ^ 페트르 1914, 48-71쪽.
- ^ 페트르 1914, 121~148쪽.
- ^ 페트르 1914, 149-164쪽.
- ^ 바튼 1921, 133쪽
- ^ 갤러허 2018, 페이지 215
- ^ 던-패틴슨 1909, 81쪽.
- ^ 바튼 1921, 156쪽.
- ^ 1906년 법률 227쪽
- ^ 바튼 1921, 페이지 152–58.
- ^ 바튼 1921, 148–50쪽.
- ^ Petre 1907, pp. 285–89.
- ^ 바튼 1921, 164-67쪽.
- ^ Creveld 1985, 96쪽.
- ^ "Dokumentation über 210. Jahrestag gewinnt Preis beim Fimfestival - Arbeitsgemeinschaft »Jena 1806« e.V." Retrieved 10 May 2023.
- ^ Donauwörther Zeitung. "Bewegte Bilder, bewegende Bilder" (in German). Retrieved 10 May 2023.
참고문헌
- Acton, Lord (1906).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arton, D. Plunket (1921). Bernadotte and Napoleon: 1763–1810. London: John Murray.
- Bauer, Gerhard (2009). "Die Ikonographie des Sieges. 1806 in Malerei und Grafik des 19. und 20. Jahrhunderts". In Lutz, Karl-Heinz; Salisch, Marcus von (eds.). Jena 1806. Vorgeschichte und Rezeption (in German). 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Potsdam. pp. 61–80. ISBN 978-3-941571-01-3.
- Bodart, Gaston (1908). Militär-historisches Kriegs-Lexikon (1618–1905). Retrieved 17 June 2021.
- Chandler, David G. (1979). Dictionary of the Napoleonic Wars. London: Arms and Armour Press. ISBN 0853683530. Retrieved 8 July 2022.
- Chandler, D. (1966). The Campaigns of Napoleon. New York: Scribner. ISBN 978-0-02523-660-8.
- Clodfelter, M. (2017).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4th ed.).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ISBN 978-0-7864-7470-7.
- Connelly, Owen (2006). Blundering to Glory: Napoleon's Military Campaigns (3rd ed.). Lanham,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ISBN 978-0-7425-5317-0.
- Creveld, van Martin (1985). Command in War.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14440-6.
- Dunn-Pattinson, R.P. (1909). Napoleon's Marshals. London: Methuen & Co.
- Gallaher, John (2018). The Iron Marshal: A Biography of Louis N. Davout (3rd ed.). Barnsley, England: Frontline. ISBN 978-1-52673-832-5.
- Petre, F. Loraine (1914). Napoleon's Conquest of Prussia 1806. John Lane company. Retrieved 17 June 2021.
- Petre, F. Loraine (1907). Napoleon's Conquest of Prussia 1806. London: Lionel Leventhal Ltd. ISBN 1-85367-145-2.
더보기
- Barton, D. Plunket (1921). Bernadotte and Napoleon: 1763–1810. London: John Murray. Retrieved 17 June 2021.
- Heyman, Neil M. (1966). "France against Prussia: The Jena Campaign of 1806". Military Affairs. 30 (4): 186–98. doi:10.2307/1985399. JSTOR 1985399.
- Maude, F. N. (2007). The Jena Campaign: 1806 – The Twin Battles of Jena & Auerstadt Between Napoleon's French and the Prussian Army.
- Vache, Colonel (2009). Napoleon and the Campaign of 1806: The Napoleonic Method of Organisation and Command to the Battles of Jena & Auerstadt.
외부 링크
- 나폴레옹 가이드
- 데이비드 세불라의 단편 영화 전투 속으로
- 예나 전투에 관한 학생 다큐멘터리-아우어슈테트(40분)
-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1905. .
- Encyclopedia Americana. 1920. .
-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관련 미디어
앞에 살펠트 전투 | 나폴레옹 전쟁 예나 전투-아우어슈테트 | 성공자 에르푸르트 항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