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펠트 전투

Battle of Saalfeld
잘펠트 전투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일부
Peter Edward Stroehling (1768-c. 1826) - The Death of Prince Louis Ferdinand of Prussia (1772-1806) - RCIN 405839 - Royal Collection.jpg
프러시아의 루이 페르디난드의 죽음, 피터 에드워드 스트로링의 작품
날짜.1806년[1] 10월 10일
위치
살펠트, 독일
50°39°00°N 11°22°01°E/50.6500°N 11.3669°E/ 50.6500, 11.3669
결과프랑스의[1] 승리
교전국
France 프랑스 제국 Kingdom of Prussia 프러시아
Electorate of Saxony 작센 주
지휘관 및 리더
France 장 란
France 클로드 빅토르 페랭
France 루이 가브리엘 수셰
France 피에르 아우지로
Kingdom of Prussia 루이 페르디난트 왕세자
12,000[1]~12,800명[2]
12포[2]
8,300[2]~9,000명[1]
44포[2]
사상자 및 손실
c.200 사망 또는 부상[2][1]1,700-1[2],800명[1] 사망, 부상 또는 생포
33문 (프러시아 15문, [2]색슨 18문)
§ 현재의 전투
▶ 나폴레옹, 지휘권 없음
§ 지휘하는 나폴레옹

1806년 10월 10일 살펠트 전투원수가 지휘하는 12,800명의 프랑스군루이 페르디난트 왕자가 이끄는 8,300명의 프러시아-색슨군을 물리친 것이다.이 전투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에르네스틴 공국 튀링기아에서 일어났다. 전투는 프러시아 제4차 연합군의 두 번째 충돌이었다.

배경

프렌치 무브먼트

장 란

나폴레옹튀링겐 숲을 가로질러 프로이센-색슨 [3]군대를 공격하기 위해 대육군을 3개 종대로 편성했다.가장 서쪽에 있는 부대는 장 란느가 지휘하는 5군단지휘했고, 피에르 아우게로의 7군단이 를 따랐다.그들은 10월 11일 살펠트에 도착해야 하는 코부르크에서 그르펜탈을 거쳐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V 군단은 10월 8일에 출발하여, 10월 9일 말에는 경기병대와 함께 살펠트로 [4]가는 길에 그르펜탈에 있었다.10월 10일 오전 5시, 루이 가브리엘 수셰의 사단과 5군단 경기병대의 안느 프랑수아 샤를 트렐리야르 여단이 이끄는 란느는 프러시아-색슨 군대가 그들 앞에 있다는 것을 알고 살펠트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프러시아 색슨 운동

프로이센 왕자 루이 페르디난트

루이 페르디난트 왕세자는 10월 9일 살펠트, 슈바르차, 바트 블랑켄부르크에 파견된 루돌슈타트에 있는 왕자의 사령부이자 호엔로-잉겔핑겐의 왕자 프레데릭 루이스의 전위대를 지휘했다.황태자는 슐레이즈 [5]전투 이후 프로이센-색슨군이 보그슬라프 프리드리히 에마누엘타우엔치엔의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살레 강을 건너 진격할 것이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의 주력군이 루돌슈타트로 진격할 이라는 전갈을 받았다.10월 9일 저녁, 오베르스트 레오폴드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노르데크 주 라베나우(잘펠트에서 파견대를 지휘)는 16,000명에서 20,000명 사이의 프랑스 병력이 코부르크를 떠나 살펠트로 향했고, 30명의 후사 부대가 그렌탈과 옌트 중대에 주둔하고 있다고 루이 왕자에게 보고했다.프랑스군과 충돌한 후 [6]둘 다 안스게로이트로 후퇴했다.호엔로헤 휘하의 군대의 본대가 10월 10일 살레 강을 건너 진격할 예정이라는 것을 알고, 루이 왕자는 그의 군대가 살레 강을 건너 호엔로헤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루돌슈타트로 가는 프랑스 부대를 저지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다.브런즈윅의 [7]군대보다 먼저 도착할 겁니다10월 9일 동안 아우구스트그나이제나우가 지휘하는 푸실리에 중대가 아르네스게로이트로 보내져 프랑스군이 살펠트로 진격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프로이센군은 [8]가르덴스도르프 외곽 레르첸휘겔 철수했다.

아침 7시에 루이 왕자는 그의 군대를 살펠트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오전 9시에 그는 그의 군대를 전투를 위해 준비시켰다.군대는 살펠트 앞에서부터 크뢰스텐 벨비츠 까지 살펠트 위 언덕과 살레 계곡을 사이에 두고 숲을 향해 늘어선 일렬로 배치되었다.황태자는 카를 게르하르트 폰 펠레트 소령 부대를 블랑켄버그로 [9]떠났다.

전투 순서

전투

Saalfeld 전투

오전 9시 45분경, 제17레제르 연대와 2개의 대포로 구성된 V 군단의 전진 경비대는 살펠트를 향해 진격하여 마을을 내려다보는 높은 곳을 점령했다.프랑스 경기병 여단과 선발대는 프러시아-색슨 군대와 교전을 시작했다.프랑스 척후병의 지원을 받은 바타이용 델라이트(Bataillon d'elite)는 간스도르프에서 프로이센군을 밀어내고 그곳을 [10]점령했다.프랑스군이 진격하고 프로이센-색슨군이 그들과 싸울 준비를 할 때, 란네스 원수는 프로이센-색슨군의 우익이 완전히 드러난 것을 알아차렸고, 기병과 프랑스 선발대가 간스도르프와 살펠트 주변에서 프러시아군과 교전하는 동안, 그는 수셰의 나머지 사단을 북쪽으로 행진하도록 명령했다.숲이 프러시아와 색슨 전선을 앞지르도록 말이야이러한 움직임을 취재하기 위해 제17레제르 연대는 살펠트에서 벨비츠까지 [11]이어지는 교전선을 형성했다.

루이 왕자는 그가 더 큰 부대와 교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리고 오전 11시에 색슨 수슬리우트난트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폰 이지디는 호엔로헤 왕자의 루돌슈타트에 남아 살레 강을 건너는 공세가 포기되었다는 구두 명령을 가지고 왔다.루이 왕자는 프랑스군과 손을 떼고 루돌슈타트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그는 "머플링" 연대 2개 대대에게 다리를 지키라고 명령했고, 색슨 장군 프리드리히 요제프베빌라콰 휘하의 군대를 보내 아우 암 베르그[[12]]의 양쪽 언덕까지 그의 전열의 오른쪽을 확장시켰다.그는 또한 "프린스 사버"와 "쿠르푸르스트" 연대에 시헨트발과 케셀탈 [13]강 사이의 평원을 공격하여 공세를 취하도록 명령했다.제17레제르 연대의 교전병들은 (숲에서 벨비츠로 이동한) 제34 리그네 연대의 지원을 받아 색슨 연대를 격퇴했고, 색슨 연대는 [14]무질서하게 후퇴했다.루이 왕자는 베빌라콰 장군과 그의 부대와의 통신이 두절될 것을 우려하여 다시 공격을 명령했고, 정오에 "쿠르푸르스트" 연대가 크뢰스텐을 점령했다.그의 센터가 안전하다고 생각한 루이 왕자는 철수를 명령했다.프랑스군은 살펠트에 진입하여 프로이센군을 다시 뵐스도르프[데]로 밀어내고 있었고, 루이 왕자는 이 군대를 [15]집결시키기 위해 그곳을 향했다.

살펠트 전투 지도
오전 9시
오전 10시 30분
오전 11시 30분
오후 1시

오후 1시 직전에 랜스 원수가 [16]공세의 신호를 보냈다.제34, 제40, 제64 리그네는 아우암베르그 일대를 중심으로 색슨군을 향했고, 프랑스 기병대는 88 리그네를 뒤에 두고 크뢰스텐과 살펠트 사이를 전진했다.루이 왕자는 이것이 프랑스 기병대와 프러시아 및 색슨 기병대와 교전할 순간이라고 판단하고, 제21차세우르체발의 노출된 측면을 공격했다.하지만 프랑스 기병대의 두 번째 전열은 수적으로 열세인 왕자의 기병 전열을 포위했다.프러시아와 색슨 기병대의 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했고, 그들은 살펠트에서 후퇴하는 군대에 합류하여 도망쳤다.볼스도르프 주변의 혼란스러운 군중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프랑스 후사르들에 의해 잘렸고 일부는 살레 강을 건너 도망치려다가 익사했다.루이 왕자는 슈바르자를 향해 출구를 뚫으려고 했고, 그 동안 10 후사르 부대의 Quermaster Guindet에게 공격을 받았다.루이 왕자는 부상을 입었지만 항복하기를 거부했고 [17]살해당했다.

한편, 프러시아-색슨족의 우익에서 베빌라콰 장군은 "프린츠 클레멘스" 연대로 샌드버그를 보강하려 했지만, 볼스도르프에서 패주하는 것을 보고 베빌라콰는 스크와르자로 후퇴할 것을 명령했다."프린스 클레멘스" 연대의 첫 번째 대대가 언덕 아래로 이동했을 때, 그것은 21 샤수르 아 체발에게 반복적으로 공격을 받았고, 색슨군은 맹공을 받았다.그리고 나서 제21차수르 샤발(Chasseurs che Cheval)은 제2대대 "프린츠 클레멘스" 연대와 제1대대대 "머플링" 연대를 차례로 공격하여 격파했다.이 부대가 흩어지자 베빌라콰 장군은 생포되었다.[18]

슈바르차에서 최후의 충돌이 있었고 펠레트의 군대는 운터-비르바흐 주변에서 프랑스군과 교전했다.펠레트의 부대는 대체로 온전했지만 Stadt-Ilm으로 후퇴해야 했고, 오후 10시에 도착했다.프랑스 기병대는 프러시아와 색슨 부대의 잔해를 루돌슈타트까지 추격했지만, 프랑스 보병은 슈바르차에서 멈췄다.살레 강 동쪽에서 탈출한 프로이센군과 색슨군은 루돌슈타트로 [19]철수했다.

여파

루이 왕자의 군대는 전투 [20]병력으로 완전히 분산되어 있었다.펠레트의 파견대만이 무사했고, 그들은 호엔로헤에 합류하기 위해 먼 길을 가야 했다.

이 전투와 슐리에즈 전투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은 여전히 프러시아군의 위치를 완전히 알지 못했다.나흘간의 추가 행군 후, 프랑스는 살레 강 서쪽의 고원에 있는 예나아우에르슈테트의 쌍둥이 전투에서 프러시아와 색슨족과 교전했다.

전투 장소와 루이 페르디난드 왕세자의 죽음을 기념하는 비석이 있다.이 명패에는 "1806년 10월 10일 프로이센의 루이 페르디난트 왕자가 감사하는 조국을 위해 싸우다 쓰러졌다"고 쓰여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Müffling", "Kurfürst" 및 "Prince Clemens" 연대의 색상.

전투 지도

메모들

  1. ^ a b c d e f Bodart 1908, 371페이지
  2. ^ a b c d e f g 스미스 1998, 페이지 223
  3. ^ 챈들러 1993, 페이지 40-41
  4. ^ 페트르 1907, 페이지 86
  5. ^ 브레소넷 1909, 7-8페이지
  6.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10, 16
  7. ^ 페트르 1907, 100-101페이지.
  8. ^ 브레소넷 1909, 16-17페이지.
  9. ^ 페트르 1907, 페이지 92-93, 98.
  10. ^ 브레소넷 1909, 22~24페이지
  11.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26
  12. ^ 브레소넷 1909, 28-29페이지
  13.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30
  14.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32
  15.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33-35
  16.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38
  17.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40~42
  18. ^ 브레소넷 1909, 43~44페이지.
  19.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45-48.
  20. ^ 브레소넷 1909 페이지 48
  21. ^ 페트르 1907 페이지 102
  22. ^ 타디외 1820년

레퍼런스

  • Bodart, Gaston (1908). Militär-historisches Kriegs-Lexikon (1618-1905). Retrieved 17 June 2021.
  • Bressonnet, Pascal (1909). Études tactiques sur la campagne de 1806 (in French). Paris: Chapelot. OCLC 610334571.
  • Chandler, David G. (1993), Jena 1806 : Napoleon destroys Prussia, Osprey Campaign Series, vol. 20, London: Osprey, ISBN 9781855322851
  • Petre, F. Loraine (1907), Napoleon's conquest of Prussia - 1806, London: John Lane, hdl:2027/inu.32000013315975
  • Smith, Digby (1998), The Greenhill Napoleonic Wars Data Book, London: Greenhill Books/Lionel Leventhal, ISBN 9781853672767
  • Tardieu, Ambroise (1820). Plan Du Champ De Bataille De Saalfeld (Map).

추가 정보

  • Bichler, Karl-Horst (1998). Napoleons Krieg gegen Preussen und Sachsen 1806 : (Saalfeld, Jena und Auerstedt) (in German). Reinbek: Einhorn-Presse-Verlag. ISBN 9783887567835.
  • Höpfner, Friedrich Eduard Alexander von (1855). Krieg von 1806 und 1807 :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preussischen Armee nach den Quellen des Kriegs-Archivs (in German). Vol. 1. Berlin: Simon Schropp & Comp. pp. 265–284. hdl:2027/hvd.hw2kvy. OCLC 10489667.
  • Hourtoulle, François Guy (2005). Jena - Auerstaedt : the triumph of the eagle. Paris: Histoire & Collections. ISBN 9782915239768.

미디어

외부 링크

선행
슐레이즈 전투
나폴레옹 전쟁
Saalfeld 전투
에 의해 성공자
예나 전투아우에르슈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