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리아니 전투
Battle of Smoliani스몰리아니 전투 | |||||||
---|---|---|---|---|---|---|---|
프랑스의 러시아 침공 | |||||||
![]() 러시아 퇴각 중 나폴레옹 군대의 야간 부대. | |||||||
| |||||||
교전국 | |||||||
![]() | ![]() | ||||||
지휘관 및 리더 | |||||||
![]() | ![]() ![]() | ||||||
힘 | |||||||
삼만 명 | 약 25,000명의 병력을 이용할 수 있다; 첫날 6,000명; 이틀째 5,000명 | ||||||
사상자 및 손실 | |||||||
3,000 | 3,000 |
스몰리아니 전투 (1812년 11월 13일-14일)에서, 피터 비트겐슈타인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군은 클로드 빅토르 원수와 니콜라스 우디노 원수의 프랑스군을 물리쳤다.이 전투는 드비나 선으로 알려진 러시아 북부 측면을 재건하기 위한 프랑스군의 마지막 노력이었다.이전에 프랑스는 제2차 폴로츠크 전투(1812년 10월 18일-20일)와 차즈니키 전투(1812년 10월 31일)에서 이 부문에서 패배했었다.
배경
빅토르가 차스니키 전투에서 패배했다는 소식을 접한 나폴레옹은 폴로츠크에서의 프랑스 패배로 북부 정세에 이미 괴로워하고 있었다. 나폴레옹은 빅토르에게 즉시 공세를 취하여 비트겐슈타인을 [1]몰아내라고 명령했다.
스몰리아니와의 조우 당시 나폴레옹은 급속히 붕괴된 대육군을 민스크와 같은 서쪽의 안전한 장소로 이끌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대육군의 계획된 퇴각로를 확보해야 했다.차스니키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진지는 나폴레옹이 민스크에 도달하기 위해 베레지나 강을 건너야 하는 마을인 보리소프에서 북쪽으로 31마일(50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빅토르는 자신의 9군단의 행동을 6군단 [2]및 우디노 원수가 지휘하는 2군단과 조율하는 것이었다.나폴레옹이 명령하고 빅터가 승인한 프랑스의 초기 계획은 비트겐슈타인을 정면으로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한 군단이 러시아군의 측면을 공격하는 반면 다른 군단은 정면으로 [3]공격하는 것이었다.그러나 이 계획은 비트겐슈타인을 [3]정면으로 공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한 우디노트의 주장으로 무산되었다.
러시아와 프랑스 본사의 대조적인 분위기
스몰리아니에서 작전을 시작하면서 프랑스 지휘관들은 실패를 자처하는 지도자들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잘못된 계획, 우유부단함, 그리고 이전의 복귀로 인한 비관론이다.
역사학자들은 우디노와 빅터가 비트겐슈타인에 맞서 측면 작전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비판해 왔다.빅터는 특히 스몰리아니 [4]공격의 계획과 실행에 있어 우유부단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이전에 체즈니키에서 빅터는 사소한 역전에 직면하여 퇴각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전투 전날 러시아 지도자들의 분위기는 프랑스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당시 비트겐슈타인의 사령부에는 "자신감과 자랑스러운 성취감"이 존재했는데, 이는 이전 [5]전투에서 프랑스에 대한 거듭된 승리로 인해 합쳐진 결과였다.1812년의 한 주목할 만한 작품은 이 시점에서 비트겐슈타인과 그의 참모들 사이의 아우라를 "도덕적으로 동등하고 종종 [6]적보다 우월하다"는 감각으로 묘사한다.아마도 빅토르가 나폴레옹이 부여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 주저한 것은 당연하다.
프랑스군의 심각한 소모
스몰리아니에서의 프랑스의 명분 또한 그들의 계급 내에서 증가하는 소모로 인해 약화되었다.
크자스니키에서의 작전 이후 2주 동안 빅터의 군대는 서리와 질병에 노출되어 큰 고통을 겪었다.11월 10일까지 25,000명만이 빅토르의 지휘 하에 남아 있었고, 이 발전으로 비트겐슈타인은 이 분야에서 프랑스보다 우위에 서게 되었다.프랑스의 적들보다 더 잘 보급되고, 더 잘 배치되고, 더 지능적으로 비바람으로부터 보호되었기 때문에, 비트겐슈타인의 군대는 궁핍과 [7]날씨로 인한 피해를 덜 입었다.
배틀

스몰리아니 전투는 11월 13일 인근 악센지 마을에서 시작되었고, 처음에는 프랑스군이 성공을 거두었다.여기서 루이 파르투노 장군의 6,000명의 군대가 알렉시예프 [8]장군이 이끄는 6,000명의 비트겐슈타인의 선발대를 공격했다.이 전투에서 양측은 약 500명의 병력을 잃었고, 증원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은 스몰리아니로 [3]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다음날인 11월 14일, 빅터의 군대 5,000명이 스몰리아니를 공격하고 점령하면서 전투가 격화되었다.그러나 이후 프랑스군은 러시아 우익에 격퇴되고 비트겐슈타인의 [9]반격에 스몰리아니를 빼앗기는 등 역전을 겪었다.이 행동이 진행되는 동안, 러시아의 소규모 분견대는 포차비지 마을에서 우디노트의 우세한 군대를 견제했고, 이로 인해 이들 부대가 [3]빅토르를 돕는 것을 막았다.
비록 작전은 양측이 원래 위치에 있고, 양측이 입은 손실은 동일했지만, 3,000명이 죽고, 다치고, 포로로 잡혔지만,[10] 프랑스군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다음날인 11월 15일 빅터는 남쪽으로 20마일 떨어진 체레자로 [11]후퇴했다.
결과들
비트겐슈타인은 패배한 적을 즉시 추격하지는 않았지만, 이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크자스니키 근처 자신의 위치에서 남쪽으로 40마일(64km) 떨어진 보브르를 통과할 때 대육군을 공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유지하였다.빅터와 우디노가 대육군에 대한 이 큰 위협 앞에서 후퇴한 것은 나폴레옹에게 [citation needed]또 다른 큰 타격이었다.스몰리아니 전투는 또한 프랑스군이 북부 드비나 [citation needed]선을 재건할 수 있는 희망을 영원히 종식시켰다.
메모들
- ^ 렌, 페이지 361~62북부 정세의 긴박함은 나폴레옹이 빅터에게 "군의 안전이 달려있다. 매일의 지연은 재앙이다.앞으로!
- ^ 케이트, 페이지 356
- ^ a b c d 렌, 페이지 362
- ^ Victor(362~64페이지)와 Kate(365~66페이지)에 대한 Rihn의 코멘트를 참조한다.
- ^ 리엔, 페이지 363 참조. 리엔은 클로스비츠의 개인적인 관찰을 묘사하기 위해 정확히 사용하는 단어이다.
- ^ 렌, 페이지 363이 인용된 단어들은 리엔의 것이다. 그는 비트겐슈타인과 그의 참모들에 대한 Clausewitz의 관찰을 묘사하고 있다.
- ^ 렌, 페이지 361
- ^ Smith, 1998, 400-01페이지
- ^ 렌, 362페이지의 행동을 매우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 ^ 스미스(2004)는 빅터를 "참혹하게 맞았다"고 묘사한다.
- ^ Smith (2004), 페이지 181
레퍼런스
- 러시아의 나폴레옹: 1812년, 2004년의 간결한 역사, Digby Smith, 펜&소드 밀리터리, ISBN1-84415-089-5
- 두 황제의 전쟁, 커티스 케이트, 뉴욕 랜덤하우스 ISBN 0-394-53670-3
- The Greenhill Napoleonic Wars Data Source, 1998, Digby Smith, Greenhill Books, ISBN 1-85367-276-9
- 1812 나폴레옹의 러시아 전역 리처드 K.Riehn, John Wiley & Sons, Inc., ISBN 0-471-54302-0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스몰리아니 전투 관련 매체
선행 뱌즈마 전투 | 나폴레옹 전쟁 스몰리아니 전투 | 에 의해 성공자 크라스노이 전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