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르노보 전투
Battle of Czarnowo차르노보 전투 | |||||||
---|---|---|---|---|---|---|---|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일부 | |||||||
러시아군은 Wkra 강의 방어선을 지켰다. | |||||||
| |||||||
교전국 | |||||||
![]() | ![]() ![]() | ||||||
지휘관 및 리더 | |||||||
![]() ![]() ![]() ![]() ![]() | ![]() ![]() ![]() ![]() ![]() | ||||||
힘 | |||||||
8,000 ~ 23,200[1] 20포 | 5,000 ~ 5,500[1] 48포 | ||||||
사상자 및 손실 | |||||||
차르노우: 846~1,400 Biuu: : 라이트 Kowozbb: 518 솔다우: 221 | 차르노우: 853–1,401 Bińu(비유): 500, 5포 Kowozbb: 불명, 6발의 총 솔다우: 800, 2포 |
1806년 12월 23~24일 밤 차르노보 전투에서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 제1제국의 군대는 러시아 제국군을 방어하는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오스트르만 톨스토이 중장에 대한 저녁 공격을 개시했다.루이 니콜라 다부 원수의 3군단의 일부인 공격자들은 브크라 강을 하구에서 건너는 데 성공하여 동쪽으로 차르노우 마을로 진격했다.밤새 투쟁 끝에 러시아 사령관은 군대를 동쪽으로 철수시켜 제4차 연합군의 행동을 종식시켰다.차르노보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북북서쪽으로 33km(21마일) 떨어진 나레프 강 북안에 위치해 있다.
같은 주에 몇 가지 다른 액션이 발생했습니다.23일 장밥티스트 베시에르 원수는 비에우에서 프로이센군의 조사를 격파했다.12월 24일, 코우제브와 소초킨에서 피에르 아우게로 원수의 7군단이 Wkra 강을 건너려 한 행동이 일어났다.프랑스는 동부 강둑에서 발판을 확보하는데 성공했고, 마이클 안드레아스 바클레이 드 톨리 소장의 러시아 수비대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크리스마스 날, 미셸 네이 원수의 6군단의 일부가 프러시아군을 솔다우에서 몰아냈고, 프러시아군은 쾨니히스베르크를 향해 북쪽으로 후퇴하도록 강요했다.그러나 러시아군은 전투로 가득 차 있었고 12월 26일 두 차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배경
1806년 10월 14일 예나-외르슈테트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주요 프러시아 군대에 참패를 가했다.어느 날, 프랑스는 25,000명의 프러시아 군인과 200개의 총, 그리고 60개의 [2]색채를 생포했다.이후의 작전에서 프랑스는 에르푸르트, 할레,[3][4] 프렌즐라우, 파세워크, [5]슈틴,[6] 뤼벡,[7] 마그데부르크,[8] 하멜린에서 적들에게 치명적인 패배를 안겨주었다.
11월 초, 다부는 오데르 강 동쪽을 정찰하기 위해 사단장 마르크 앙투안 드 보몽의 2,500명의 드래군들을 보냈다.나폴레옹은 그의 형제 제롬 보나파르트 사단장에게 프러시아가 장악한 실레지아의 글로가우(Gwogouf)에 맞서서 남쪽 측면을 지키라고 명령했다.다가오는 러시아군에 바르샤바를 빼앗기고 싶었던 나폴레옹은 겨울 날씨가 유세철을 [9]멈추기 전에 비스툴라 강 동쪽 둑에 진지를 확보하기로 결정했다.
12월, 프러시아군은 단치히(그단스크)와 그루덴츠(그루지엔츠)의 수비대와 함께, 6,000명만을 투입할 수 있었다.미하일 카멘스키 원수는 레빈 아우구스트 장군, 폰 베니그센 백작,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북쇼베덴(북셰브덴)[10]이 이끄는 두 날개에 약 9만 명의 병력을 거느린 폴란드에서 러시아군을 이끌었다.지금쯤 카멘스키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11]지휘할 수 없는 분명한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
Buxhöwden은 Bennigsen보다 계급이 높았고, Nikolay Tuchkov 중장이 지휘하는 제5사단, Dmitry Dokhturov 중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 Peter Kirillovich Essen 중장이 지휘하는 제8사단, 그리고 폰 하인리히 중장이 지휘하는 제14사단을 이끌었다.벅쇼우덴의 사단은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참전 용사들로 병력을 보강했다.따라서 그의 날개는 총 29,000명의 보병, 7,000명의 기병, 1,200명의 포병, 216개의 [12]포병을 보유하고 있었다.
베니그센은 오스트르만톨스토이 2사단, 파비안 고틀립 폰 오스텐사켄 중장이 이끄는 3사단, 드미트리 골리친 중장이 이끄는 4사단, 알렉산더 카를로비치 중장이 이끄는 6사단을 지휘했다.베니겐의 명목상 병력은 보병 49,000명, 정규 기병 11,000명, 코사크 4,000명, 포병 2,700명, 개척자 900명, 총 276문이었다.이 중 5만5천에서 6만대의 모바일 [12]운영이 가능했다.
러시아군은 1806년에 18개 사단으로 구성된 군대를 배치했다.각 사단은 6개의 3연대의 보병 연대, 10개 중대의 중기병, 10개 중대의 경기병, 2개 중기병, 3개 경기병, 1개 기마포 포대로 구성되었다.14발의 발포와 12발의 말포대를 갖춘 러시아 각 사단은 이론적으로 82개의 필드 피스를 통제했다.무거운 포대는 일반적으로 8개의 12파운드 대포, 4개의 무거운 포, 그리고 2개의 가벼운 포로 구성되었다.가벼운 포대는 비슷하게 집결되었지만 12파운드 대포 대신 6파운드를 사용했다.말 배터리는 오로지 6파운드짜리 [13]대포로만 만들어졌다.요한 미켈손 장군이 이끄는 5개 사단은 몰다비아에서 오스만 투르크와 맞닥뜨렸다.러시아 대공 콘스탄틴 파블로비치의 제1제국경비사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주둔했고, 내륙에는 [14]4개 사단이 예비군을 구성했다.
나폴레옹은 다부, 아우지로, 장 란 원수의 5군단, 그리고 요아힘 뮈라 원수의 기병예비대와 함께 전진했다.프랑스군이 진격하자 베니그센은 비스툴라 강에서 군대를 철수시켰다.무라트는 11월 28일 바르샤바를 점령했고 나폴레옹은 바르샤바를 작전 [15]중심지로 만들기 시작했다.Buxhöwden의 날개는 여전히 후방으로 몇 번 진군하고 있었고, Bennigsen은 프랑스군의 [16]전 병력을 직면하기 전에 그의 동료와 합류하기를 원했다.12월 초 프랑스군이 비스툴라 강을 건넜을 때, 베니그센은 마음을 바꿔 동쪽 강둑에서 그의 예전 지위를 되찾으려고 노력했다.이때쯤, 나폴레옹의 두 번째 군단이 도착하고 있었고, 몇 번의 충돌 후에 베니그센은 결국 [17]브크라 강 뒤로 물러나기로 결정했다.
오데르 강 서쪽에서 회오리바람이 몰아치는 동안 정점을 찍은 후, 프랑스군의 사기는 폴란드에서 새로운 저점을 찍었다.악천후와 다가오는 겨울로 인해 나폴레옹의 군대는 이 작전을 계속하는 것을 매우 꺼리게 되었다.날씨가 추워지면서 폴란드 도로는 깊은 진흙탕에서 얼어붙은 자국으로 변했다.황제는 병사들에게 보너스를 지급하고 여분의 셔츠와 신발을 지급해야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군기는 [18]악화되었다.이 시기에, 나폴레옹은 [15]그의 군대를 묘사하기 위해 레즈 그로그나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나폴레옹은 공세를 취하기로 결심했다.무라의 기병대가 이끄는 다바우, 아우게로, 란느는 바르샤바에서 북쪽으로 차를 몰았다.토르뉴에서 네이, 장밥티스트 베르나도트 원수의 1군단, 베시에르는 동쪽으로 진격하여 러시아군의 우익을 돌리고 유트넌트 안톤 빌헬름 폰 레스토크 장군의 프루시안들을 동맹군으로부터 분리시켰다.니콜라스 소울트 원수와 4군단은 두 군대 [19]사이의 연결을 제공할 것이다.
두 개의 주요 기병 편대가 존재했다.뮈라의 1 기병 군단은 보몽의 3 드래군 사단, 에티엔 마리 앙투안 디비전 챔피언 드 난수티의 1 퀴라시에 사단, 루이 클라인의 1 드래군 사단, 니콜라 레오나르 디비전 드라기 5 디비전 장군이 있었다.페트레는 [20]5 드래군 사단이 사바리와 함께 있었다는 걸 알아냈어요베커의 부대가 [21]될 거야베시에르의 단명 2 기병단은 엠마뉴엘 그루시 사단장 휘하의 제2 드래군 사단, 루이 미셸 앙투안 사후크 사단 휘하의 제4 드래군 사단, 장 조제프 앙주 다우치 사단 휘하의 제2 퀴라시에 사단, 라이트푸울 사단으로 구성되었다.프랑수아 들라이스트르 드 틸리.제2기병단은 12월 16일에 창설되어 1807년 [22]1월 12일에 해산되었다.챈들러는 프랑스 기병 사단 [23]번호를 열거했다.
전투
12월 23일 아침, 나폴레옹은 브크라가 북나루강으로 빠져나간 지점 근처의 러시아 진지를 직접 관찰했다.그 입구에서, Wkra 강은 두 갈래로 갈라져 낮고 늪에 잠긴 섬을 형성했다.다부트의 군대는 12월 [24]20일 밤부터 섬을 점령했다.다부에는 샤를 앙투안 모랑, 루이 프리앙, 샤를-에티엔 구댕 드 라 사블롱니에르의 휘하에 3개의 보병 사단이 있었다.나폴레옹은 야습을 결심하고 매우 상세한 명령 초안을 작성했다.다부트의 장군들과 장교들의 높은 자질 때문에, 황제의 명령은 신중하게 [25]수행되었다.
프랑스군의 반대편인 오스테르만 톨스토이는 9개 대대, 2개 대대, 코작 1개 연대, 14개의 포,[25] 6개의 광선포로 Wkra의 동쪽 둑을 지켰다.러시아 2사단은 3개의 보병 여단을 포함했다.니콜라이 마조프스키 소장은 파블로프스키 수류탄 투척 연대와 로스토프 수킨 소장은 페테르부르크 수류탄 투척 연대와 젤레츠키 수류탄 투척 연대를, 이반 안드레이예비치 리벤 소장은 제1 및 제20 야거 연대를 지휘했다.48개의 총은 12파운드짜리 두 개의 포대와 6파운드짜리 말 두 개의 포대로 구성되었다.스미스는 완전한 18배터리온 전력을 제공하지만 [26]기병부대는 나열하지 않는다.피터 페트로비치 팔렌 소장은 소러시아 퀴라시에, 쿠를란 드라군, 솜 후사르 연대, 말라코프, 시소예프 코사크 등을 포함한 기병 여단을 이끌었다.이 출처는 기병 조직과 보병 여단장의 [27]전체 이름을 알려준다.
Morand의 사단은 섬에 집결했고, Friant의 부대는 북쪽으로 조금 더 떨어진 Pomiechowo 마을에 있었고, Gudin의 병사들은 Modlin 근처의 서쪽으로 교두보를 지켰다.오후 7시에 Morand는 그의 군대를 각각 1개 대대로 지휘하는 3개 종대로 배치했다.포도를 쏘는 포탄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 볼티게르 중대는 배를 타고 Wkra 강을 건넜다.기술자들이 재빨리 세 개의 다리를 건설하는 동안 볼티지어들은 동쪽 둑을 엄호했다.다리가 완성되자, 모랜드의 군대가 떼지어 건너갔다.17 경기병 연대와 3개 기병 중대가 건너편 1개 부대에 속했다.Claude Petit 여단장은 구딘 사단의 기동대를 이끌고 Bug-Narew에서 가장 가까운 다리를 건너 Wkra의 동쪽 [25]둑으로 이동했다.Morand의 공격은 성공적이었고 러시아인들은 재빨리 동쪽 [28]둑의 진지에서 밀려났다.
제17등대가 돌진하여 러시아군을 차르노보에서 몰아냈다.하지만, 그들의 적들은 곧 재집결하여 프랑스로부터 마을을 탈환했다.모랜드가 증원군을 투입하면서 작전은 잠시 중단되었다.그는 30라인 보병 연대를 전진시켰고, 1개 대대는 북나루 강둑을 따라 오른쪽으로, 2개 대대는 정면으로 공격했고, 3개 대대는 왼쪽으로 소나무 숲을 지나 이동했다.Ostermann-Tolstoy의 군대도 이 공격을 격퇴했다.중포를 잃어버릴까 봐 러시아군 사령관은 중포를 후방으로 보냈다.프랑스군은 공격을 계속하여 결국 차르노보를 점령하고 마을 [28]동쪽에 배치하였다.
한편, Wkra 서쪽 강둑에 있는 6문의 포의 도움으로, 쁘띠의 400명의 병력은 포미초우 반대편 러시아군 보루를 통과했다.그들은 처음에 러시아 기병대에 의해 돌격되었고, 그들은 그들을 몰아냈다.다부트는 구딘의 일부 부대를 지원하도록 보냈고 프티는 러시아 보병의 공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보루를 고수했다.새벽 4시에 오스테르만 톨스토이는 쁘띠에 대한 공격을 유지하면서 퇴각 명령을 내렸다.늦게 도착한 3개 러시아 대대와 4개 중대의 도움으로, [29]러시아군은 질서정연하게 동쪽으로 철수했다.
프리앙트의 군대는 오전 4시에 전진 명령을 받았다.얼마 지나지 않아 전장에 도착한 그들은 모랜드의 지친 병사들의 추적을 이어받았다.야콥 프랑수아 마루라즈 여단장 휘하의 다부 경기병대와 드래군 연대와 함께, 프리앙트의 병사들은 러시아군의 퇴로를 맴돌았다.프랑스군은 나시엘스크에서 적군 포 3문을 노획하고 근처 숲으로 적을 몰아넣었다.러시아군은 그날 다부트의 [30]군대가 나시엘스크보다 더 멀리 진격하는 것을 막으며 강하게 반격했다.
오스터만 톨스토이는 500명을 잃었다고 인정했지만 알렉산더 미하일로프스키 다니레프스키의 작품에는 3명의 장성을 포함해 853명의 러시아인이 사망하고 부상했다고 [31]적혀 있다.다부트는 807명의 사상자를 냈다고 보고했다.프랑스군은 [32]장교들에게 특히 큰 손실을 입었다.역사학자 데이비드 G. 챈들러는 [19]양측이 모두 1,400명의 손실을 입었다고 추정했다.디그비 스미스는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16명의 장교와 830명이며, 러시아군은 41명의 장교와 1,360명의 사상자와 5문의 총기를 빼앗았다고 주장했다.스미스의 총수는 500명의 [26]죄수를 포함했다.
Bińu,, Kowozbb 및 Soldau 액션
12월 19일, 그라우치의 기병으로 구성된 베시에르 선발대가 비에우를 점령했다.마을을 다시 장악하고 싶은 L'Estocq는 마을을 탈환하기 위해 2개의 보병 연대, 1개의 드래군 연대, 2개의 후사르 연대, 그리고 기마 포대를 보냈다.이 부대는 23일 비외에 도착하여, 그루시가 베시에르의 2 기병 군단과 보병과 포병 부대로 인해 대폭 증원되었다는 것을 알았다.그의 사단을 이끌고, 그루치는 프러시아군을 공격하여 솔다우 [33]쪽으로 그들을 몰아냈다.제2드래군사단은 제3, 제4, 제10, 제11, 제13, 제22드래군연대와 기마포 [23]3정을 포함했다.칼 안톤 스테판 드 라 로체-아이몬 소령은 토워시스 울란 연대, 슐라이펜 수류탄 투척 대대, 기마포 포대의 절반인 프러시아 부대를 지휘했다.늪지대 숲에 갇힌 프러시아 보병 500명과 대포 5문이 생포되었다.프랑스군의 손실은 경미한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프러시아군의 사망과 부상자 수는 [34]보고되지 않았다.
12월 24일 새벽에 차르노보에서의 주요 행동이 사라지자, 아우게로는 [35]북서쪽으로 Wkra의 통과를 강요하려고 시도했다.Kowozbb는 Plonsk에서 북동쪽으로 약 10km(6.2mi), Sochocin은 Kowozbb에서 [a]북서쪽으로 약 5km(3.1mi) 떨어져 있습니다.7군단 사령관은 2개의 보병 사단과 2개의 기병 여단을 수중에 두고 있었다.아우그로는 자크 데자르댕의 제1보병사단과 밀하우의 기병대에 코우제브에 있는 건널목을 점령하라고 명령했고, 에티엔 우들레 드 비에르의 제2사단과 피에르 와티에 여단의 기병대는 소초팽을 [35]점령하라고 명령했다.
러시아 사령관 바클레이 드 톨리는 소초친에 3개 대대와 3개 중대를, 코우제브에 3개 대대와 2개 중대를, 그리고 두 마을 사이에 숲이 우거진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 3개 대대를 배치했다.두 곳의 다리는 불에 탔고 코우제브 건널목은 12문의 [35]포탄으로 방어되었다.휴들렛의 공격은 그의 병사들이 강한 포화를 받고 다리를 재건하지 못하면서 실패했다.첫 번째 시도가 실패하자 당황한 그는 두 번째 공격을 명령했고,[36] 그 결과 더 많은 손실을 입었습니다.
데자르댕의 공격은 더 큰 행운을 누렸다.그는 코우제브 맞은편 서안을 따라 제16경보병연대를 배치했다.16일 엄호사격에 따라 14라인 보병연대 2대대의 수류탄 부대는 완전히 파괴되지 않은 다리를 건너 동쪽 둑으로 발판을 잡았다.러시아 보병과 후사르들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그레나디어는 증원될 때까지 버텼다.프랑스군은 적군을 물리치고 6문의 대포를 탈취했다.한편 피에르 벨롱 라피스 여단장은 3km 하류(1.9mi)에 있는 기동대를 이끌고 프루스코워의 교량 경비대를 기습해 성공적으로 [35]건넜다.이 성공 이후, 아우게로는 호이델레트의 사단을 코우제브 건널목으로 진군시켰다.밀하우드는 공격적으로 러시아군을 추격해 2사단의 수하물 열차를 탈취했다.아우게로는 66명의 사망자와 45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그의 두 사단으로 거의 똑같이 분배되었다.러시아군의 손실은 [36]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24일, 네이는 구르즈노에서 오버스트뢰트난트 프리드리히 빌헬름 프레이헤르 폰 뮐로우(Friedrich Wilhelm Freiherr von Bülow) 휘하의 프러시아 후위병과 충돌하여 밀쳤다.Bülow는 La Roche-Aymon의 분견대에 합류했고 둘은 계속해서 후퇴했다.네이는 장 가브리엘 마르샹의 사단을 고르즈노에서 다른 사단을 이끌고 솔다우와 무와로[33] 전진시켰다.12월 25일, 마르샹드는 2개 연대와 함께 솔다우에서 1개 프로이센 대대를 공격하여 오후 2시에 마을 밖으로 몰아냈다.무와를 통해 우회한 나머지 부대는 곧 도착했다.L'Estocq는 오후 5시경에 솔다우를 공격했지만, 육탄전에도 불구하고 마을에 침입할 수 없었다.그는 러시아군과의 [37]접촉을 끊고 Neidenberg(Nidzica)로 북쪽으로 후퇴했다.
마르찬드는 27, 39, 69, 76라인 보병 연대, 8개 대대, 12개의 포병을 2개의 보병 포대로 지휘했다.총 6,000명의 병력 중 프랑스군은 프랑수아 피에르 펠릭스 본더와이트 여단장 등 220명의 사상자를 냈다.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오토 디에리케 소장의 여단에 속한 레스토크 부대는 4개 대대 3,000명과 12파운드 포 8문을 포함했다.관련된 부대는 제2루첼 보병 연대와 제11회 셰닝 보병 연대였다.프러시아군의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네이는 적들에게 800명의 사상자를 냈고, 두 개의 총과 한 개의 색상을 탈취했다고 주장했다.스미스는 폰더바이트가 죽었다고 말했다.[38]이 출처는 폰더바이트가 1810년에 [39]사망했다고 주장한다.
프랑스군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12월 26일 두 가지 주요 전투에서 러시아군과 마주쳤다.푸투스크 전투에서 베니겐은 40,600명의 군대와 함께 란느 원수의 지휘하에 26,000명의 프랑스군과 싸웠다.골리친과 9,000명의 러시아인들은 고위민 [40]전투에서 아우게로의 16,000명의 프랑스인들과 싸웠다.
설명 메모
- ^ 구글 어스는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메모들
- ^ a b c d Bodart 1908, 377페이지
- ^ 챈들러 1966, 페이지 497
- ^ Smith 1998, 226–227페이지.
- ^ Smith 1998, 227–228페이지.
- ^ 스미스 1998, 페이지 228
- ^ 스미스 1998, 페이지 231
- ^ 스미스 1998, 232페이지
- ^ 스미스 1998, 233쪽
- ^ 챈들러 1966 페이지 513
- ^ 페트르 1976, 39페이지
- ^ 페트르 1976, 페이지 70-71
- ^ a b 페트르 1976, 페이지 38-39
- ^ 페터 1976, 페이지 37
- ^ 챈들러 1966, 페이지 519
- ^ a b 챈들러 1966, 페이지 515
- ^ 페터 1976, 페이지 70
- ^ 페트르 1976, 페이지 73
- ^ 챈들러 1966, 페이지 517-518.
- ^ a b 챈들러 1966, 페이지 521
- ^ 페터 1976, 페이지 64
- ^ 페터 1976, 페이지 177
- ^ 페터 1976, 페이지 86
- ^ a b 챈들러 2005, 페이지 37
- ^ 페터 1976, 페이지 79
- ^ a b c 페터 1976, 페이지 80
- ^ a b 스미스 1998, 페이지 234
- ^ Millar 2004, 좌파.
- ^ a b 페트르 1976, 페이지 81
- ^ 페트르 1976, 페이지 81-82
- ^ 페터 1976, 페이지 83
- ^ 미하일로프스키 다니레프스키 1846, 페이지 88
- ^ 페트르 1976, 페이지 82
- ^ a b 페트르 1976, 페이지 87
- ^ Smith 1998, 234–235페이지.
- ^ a b c d 페트르 1976 페이지 84
- ^ a b 페터 1976, 페이지 85
- ^ 페트르 1976, 87-88페이지.
- ^ 2020년, 본더바이트.
- ^ 스미스 1998, 235쪽
- ^ Smith 1998, 235–236페이지.
레퍼런스
- Bodart, Gaston (1908). Militär-historisches Kriegs-Lexikon (1618-1905) (in German). Retrieved 22 June 2021.
- Broughton, Tony (2020). "Generals Who Served in the French Army during the Period 1789-1814: Vabre to Voul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21.
- Chandler, David (2005). Jena 1806: Napoleon destroys Prussia. Westport, Conn.: Praeger Publishers. ISBN 0-275-98612-8.
- Chandler, David (1966). The Campaigns of Napoleon. New York: Macmillan.
- Millar, Stephen (2004). "Russian-Prussian Order-of-Battle at Eylau: 8 February 1807: The Left W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04.
- Petre, F. Loraine (1976) [1907]. Napoleon's Campaign in Poland 1806-1807. London: Lionel Leventhal Ltd.
- Smith, Digby (1998). The Napoleonic Wars Data Book. London: Greenhill. ISBN 1-85367-276-9.
- Mikhailovsky-Danilevsky, Alexander (1846). The History of the Second War of Emperor Alexander against Napoleon in the years 1806 and 1807 (in Russian).
외부 링크
선행 하멜린 공방전 | 나폴레옹 전쟁 차르노보 전투 | 에 의해 성공자 골리민 전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