닝진 전투

Battle of Ning-Jin
닝진 전투
청나라 명나라 정복의 일부
Ningjin battle.png
날짜1627년 봄
위치
결과밍 승리
호전성
후진 왕조 명 왕조
지휘관과 지도자
홍태지
지르갈랑()WIA
아지게
후지
다이샨
망굴타이
아민
자오슈아이자오
만귀()WIA
유실루
주다쇼우
원총환
주오후
주메이
유시웨이
지용
40,000[1] 진저우: 3만[1]
만귀: 3만[1]
사상자 및 손실
몇 천알 수 없는

닝진 전투(중국어: 닝진 전투)는 후진(後進)과 명(明) 왕조 사이의 군사적 충돌이었다.1627년 봄 후진칸 홍태지는 후진땅에 불법 건축을 빙자하여 랴오닝의 명나라 영토를 침공하였다.

배경

후일진 창업자 누르하치는 전년에 닝위안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그의 후계자 홍태지아민에게 조선 왕국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그 자신도 4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명성 진저우를 공격했다.[1]

항로

후진(後進)은 랴오닝성 명(明)에 불법 공사를 핑계로 침입했다.명궁은 즉시 3만 명의 구호군을 파견했다.[1]

홍태지는 4만 대군을 이끌고 진저우로 가서 명나라와 교섭을 시작했다.밍이 대응을 거부하자 도시를 습격했다.전투가 임박하여 어느 순간 서쪽 경비탑이 무너질 것 같았으나, 지휘관 자오슈아이자오는 그 지역에서 수비수들을 규합하여 진군을 격퇴했다.반나절이나 싸운 후 홍태지는 퇴로를 울리며 명대포의 사정거리에서 물러났다.[2]

며칠 동안 진저우의 반항에 성공한 후, 홍태지는 닝위안(寧元)에서 운수를 시험해 보기로 했다.홍태지가 닝위안 쪽으로 다가오자 만귀, 유실루, 주다쇼우 등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의 가로채기를 당했다.양군은 전투를 벌였으나, 원총환이 닝위안으로부터 방어망을 확충하고, 명나라 증원군은 방어 요새에서 공격으로 뛰쳐나오면서 진군이 크게 불리하다는 것이 곧 명백해졌다.한편 원앙은 닝위안 성의 성벽 위에서 식인족들을 지휘하여 적들을 폭격하여 지상군을 도왔다.진군은 수천 명을 잃고 물러가 진저우로 후퇴했는데, 홍태지는 다시 한 번 성을 함락시키려 했다.[2]

명대포가 진군을 향해 포문을 열자 명 기병 부대가 후방에서 적들을 교전하여 아직 더 많은 사상자를 내며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홍태지는 군대를 집결시킨 후 진저우에 대한 공격을 다시 시도했고, 이번에는 다른 삼방의 교대 공격을 가장하며 남쪽에서 공격했다.이 헛된 노력은 나쁘게 끝났고 진군은 2, 3천 명의 사상자를 낸 뒤 후퇴했다.[2]

여파

홍태지는 포병의 가치를 배웠고, 군대를 위해 더 많은 화기 부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그러나 그 직후에 그는 진 왕국에서 기근과 도적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구호물자를 분배하게 되었다.

원총환은 명나라가 전투에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권위가 없어 탄핵당했고, 평화회담에서 진나라와 교전하고, 조선의 침략을 허용하여 그를 면직시켰다.그는 1627년 10월 2일 재위한 톈치 황제가 죽고 총전 황제가 그의 뒤를 이은 후 결국 다시 복권되었다.1628년 여름, 위안(元)[2]은 법원이 그의 계획을 따르면 5년 만에 랴오둥을 모두 되찾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에게 불행히도, 이때까지 명나라의 국고들은 거의 도태되었고 타이창 금고는 7백만 개의 타엘만 남겨져 있었다.[3]명나라 역시 산시성, 산시성, 허난성 등지의 자연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1627년 산시에 널리 퍼진 가뭄은 추수가 실패하고 사람들이 식인 풍습으로 변하면서 대량 아사 사태를 초래했다.산시의 자연재해는 예사롭지 않았고, 명나라 마지막 60년 동안 산시가 자연재해를 겪지 않은 해는 단 한 해도 없었다.전 지역이 자연재해 지역이었다.산시성 역시 폭풍, 지진, 기근에 시달렸다.남쪽에서도 허난이 굶주림을 겪으며 "쌀의 송이가 진주처럼 귀해졌다"[4]고 한다.총전의 자질구레하고 변덕스러운 방식은 대서기들을 끊임없이 교체함으로써 상황을 악화시켰고, 이는 정부의 일관성 있는 대응이 통합되는 것을 막았다.총전의 통치 기간에만 약 50명의 서기관들이 그 자리에 임명되었는데, 이는 명나라 전체에 걸쳐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서기관들의 3분의 2를 상징한다.[5]

황실 재정이 더 이상 고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총전은 황하 지역 주변의 중북부 지방 출신의 많은 남성들이 대량 실직하는 것을 목격한 명우회에 대한 자금 지원을 삭감했다.이는 결국 명나라 말년에 풍토화된 정부의 통제가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도적단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다.1628년 봄 왕지아인은 6천여 명의 팔로워를 거느리고 산시(山西)에서 반란을 일으켰는데, 그 중 한 사람은 장셴중으로, 장차 쓰촨(四川)을 축출할 것이었다.반란은 명군에게 아무런 위협이 되지 않았지만 산시의 험준한 산악지형 때문에 1만7000명의 명나라 평화군은 반군을 효과적으로 뿌리 뽑지 못했다.[6]

또 다른 도적의 우두머리 가오잉샹이 반란을 일으켜 곧 왕지인과 합류했다.1629년 초, 노련한 반신반의 지도자 양헤를 군인으로 불러들여 삼국지구의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그가 발견한 것은 상황이 보기보다 훨씬 더 끔찍하다는 것이었다.산시(山市)의 군인들의 봉급은 밀린 지 3년이 되었고, 그들의 군인들은 반란군에 합류하기 위해 탈영하고 있었다.양용은은 1630년까지 여러 개의 고립된 요새를 점령한 왕지아인의 반란군을 진압할 수 없었다.양씨의 항복한 농민에 대한 사면 정책은 대체로 실효성이 없었다.일단 항복하면 농민들은 집으로 돌아가 다른 반란군에 가담하곤 했다.명나라가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농민 반란들은 명 왕조의 나머지 기간 동안 주요 문제로 남을 것이다.양허는 결국 탄핵되어 효력이 없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그는 후에 청나라망명할 홍청초와 교체되었다.[7]

그 결과 원총환에게는 요청했던 자금의 40%만 할당되었다.[5]

참조

  1. ^ a b c d e 2014년 6월호
  2. ^ a b c d 2014년, 페이지 68.
  3. ^ 2014년, 페이지 71.
  4. ^ 스워프 2014, 페이지 76.
  5. ^ a b 2014년, 페이지 72.
  6. ^ 2014년, 76-77페이지.
  7. ^ 2014년, 77-79페이지.

참고 문헌 목록

  • Swope, Kenneth (2014), The Military Collapse of China's Ming Dynasty, Routledge
  • Wakeman, Frederic (1985),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vol. 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