닝위안 전투

Battle of Ningyuan
닝위안 전투
청나라의 명나라 정복의 일부
Battle of Ningyuan.png
닝위안 전투
날짜.1626년 2월 2일 ~ 10일
위치
싱청
결과명승
교전국
나중의 진 명나라
지휘관 및 리더
누르하치()WIA
워니지
위안충환
만귀
주다수
주메이
주오푸
허커강
양치
진관 »
진시린 »
야오푸민 »
야오위셴 »
손원화
마오원룽
60,000 ~ 130,000[1] 닝위안: 20,000[2]
주화섬: 7,000[3]
사상자 및 손실
2,750+
Nurhaci는 부상을 입고 나중에 죽는다.
주화도 : 16,000 (민간인 [4]포함)
닝위안 전투 중 성벽을 공격한 여진

닝위안 전투(간체 중국어: 寧元 (, 번체 중국어: 寧元 pin, 병음:닝원존(寧園 was)은 1626년 명나라후진 왕조 사이의 전투이다.후진은 수년간 명나라와 전쟁을 벌여왔고, 그들의 지도자 누르하치는 닝위안이 명나라의 망명자 리영팡의 조언에 따라 그의 공격에 적합한 목표물이라고 여겼다.이후 진은 도시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고 누르하치는 그 공격으로 부상을 입었고 8개월 후 사망했다.명나라가 승리하여 8년 동안 계속된 [5]패배 후에 명나라 군대가 일시적으로 부활하였다.

배경

명나라는 1626년 이전에 여진족에게 일련의 패배를 겪었고 1621년 핵심 도시 선양과 1625년 항구 도시 뤼순을 잃었다.

명군의 새로운 방어 전략의 일부는 닝위안을 군사 거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었다.원종환(元宗an)은 손청종의 지원을 받아 여진의 공격을 예상해 닝위안의 방어를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임무를 맡았다.그러나 위중현의 명나라 동림운동분자 숙청으로 손청종이 새 사령관으로 교체되면서 방어태세에 차질을 빚었다.동린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관료들은 제거되었고, 어떤 경우에는 체포, 고문, 사형에 직면했다.손정종은 1625년 말에 새로운 지휘관 가오디로 교체되었다.가오디는 만리장성 밖에 있는 명나라 군인들에게 퇴각하고 산해고개 밖에 있는 땅을 버리라고 명령했습니다.원은 강하게 반대했고 따라서 닝위안을 지키는 유일한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원나라의 [6]휘하에 남아 있는 병사는 2만 명뿐이었다.

1626년 누르하치는 명나라의 퇴각 소식을 듣고 중국 망명자 리융팡의 조언으로 닝위안으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그는 개인적으로 10만-1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1]닝위안을 점령했다.처음에 누르하치는 닝위안의 방어자들에게 항복하라고 설득하려 했고, 그가 20만 명의 군대를 가지고 있다고 자랑하는 편지를 보냈지만, 위안스카이는 그를 믿지 않았고, 13만 명 정도 가지고 있다고 반박했다.게다가 원은 그와 그의 지휘관만귀, 주유, 그리고 허커강이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다고 선언했다.그는 '삶을 추구하는 자는 죽지만 죽음을 환영하는 자는 [7]산다'는 옛 격언을 인용했다고 한다.

위안스카이는 여진족에게 아무 쓸모도 없게 하기 위해 집들을 포함한 닝위안 외곽의 모든 것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성곽을 따라 무거운 대포가 설치되었고 푸젠에서 온 포병들이 그들에게 배치되었다.벽의 밑부분에는 석고를 막기 위해 질산염이 줄지어 있었다.전투가 벌어지기 전날 위안스카이는 직접 성벽을 따라 걸어다니며 그들의 방어를 시찰하고 남은 병사들과 혈맹을 맺어 공개적으로 후진에 대한 반항을 선언문은 그의 피로 쓰여져 있었다.그리고 나서 원은 산해고개에 그들이 발견한 [2]탈영병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보내 산해고개의 사기를 크게 북돋웠다.[2]

전장

진군이 도착하여 성 주위에 진을 쳤으나 명나라 대포의 사거리를 잘못 판단하여 후퇴할 [2]수밖에 없었다.

이 전투는 누르하치가 가장 취약한 도시 남서쪽 구석에서 직접 공격을 지휘하면서 시작됐다.명나라의 대포는 사격을 개시하여 금나라 [2]기병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궁수들이 방어병들을 끌어내고 그들의 "철기병"이 측면으로 향할 수 있기를 바라며 엄호 사격을 하는 동안 진군은 보강된 포위 수레를 사용하여 도시를 공격했다.하지만, 일반 대포 사격과 더불어, 방어군은 유독한 폭탄을 발사하여 금군의 진격을 막았고, 그들의 포위 수레는 산산조각이 났다.일부는 간신히 성벽에 도달했지만, 명나라가 이전에 설치한 질산염 라인에 불이 붙으면서 도시 주변에 방어벽을 만들었다.그 뒤를 이어 위안(元)은 나머지 포위 수레를 끝낸 "비용 지출자"들을 파견했다.한편, 진은 도시의 다른 한 모퉁이를 공격하고 있었지만, 기름을 태우는 것과 소이탄 공격으로 격퇴되었다.화약과 기름으로 덮인 침대 시트가 그 위에 떨어졌다.진군은 그날 [8]밤 퇴각했다.

공성전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을 보고, 누르하치는 여진 장군 우나게가 이끄는 몽골 기병대를 파견하여 닝위안의 주요 곡창지대 역할을 하는 주화섬을 공격하도록 하였다.주화( at華)의 방어가 허술했던 것은 진(金)족이 배가 없고 선원이 빈약해 섬을 침범할 수 없다는 믿음 때문이었다.그러나 그해 주화 주변의 물이 얼어붙어 금군은 기병과 함께 강을 건널 수 있었다.그 공격으로 수천 명이 죽고 많은 곡물 저장고가 파괴되었지만,[9] 섬 자체는 당분간 유지되었다.

며칠간의 공격 실패 후에도 닝위안은 여전히 함락되지 않았고 대신 금나라 군대에 큰 손실을 입혔다.누르하치 자신도 대포에 맞아 부상을 입고 묵든으로 [5]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여파

269개의 머리가 원종환의 군대에 의해 빼앗겨 베이징으로 보내졌다.위안스카이는 [9]우파 검열총장으로 승진했다.위안스카이는 잃어버린 땅을 되찾기 위해 주요 도시를 요새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닝위안 북쪽의 진저우에 방어를 건설하기 시작했다.톈치(天') 황제는 위안(元)의 건설 [10]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4만 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누르하치는 그의 상처에 굴복했고 8개월 후 묵든에서 사망했다.그의 여덟 번째 아들인 번째 베일은 후진의 대칸이라는 칭호를 얻었다.홍태지는 그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1년 후 닝진 전투에서 패배했다.닝위안을 점령하는 데 실패하여 여진족의 진격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동안, 후진은 보하이만과 조선 [11]왕국에서 압력을 증가시켰다.

여진족은 대체로 원종환 사후에도 영원 수비대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그러나 1644년 명나라 황제는 리자성의 반란군에 맞서기 위해 닝위안 수비대를 베이징으로 철수시키라고 명령했다.닝위안 수비대는 함락되기 전에 베이징에 도착할 수 없었고 명나라 황제는 자살했다.그 후 만주족은 반란군을 물리치고 베이징을 점령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Swope 2014, 페이지 57
  2. ^ a b c d e Swope 2014, 페이지
  3. ^ Swope 2014, 페이지
  4. ^ Swope 2014, 페이지
  5. ^ a b 웨이크맨 1977, 78쪽 78
  6. ^ 스와프 2014, 페이지 56
  7. ^ 스와프 2014, 페이지 57-58
  8. ^ 스와프 2014, 페이지 58-59.
  9. ^ a b Swope 2014, 59페이지
  10. ^ Swope 2014, 페이지 62
  11. ^ 스와프 2014, 페이지 64

참고 문헌

  • Swope, Kenneth (2014), The Military Collapse of China's Ming Dynasty, Routledge
  • Wakeman, Frederic (1977). Fall of Imperial China. Simon and Schuster. ISBN 978-0-02-933680-9.
  • Wakeman, Frederic (1985),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vol. 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