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의 법칙을 넘어서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쾌락의 법칙을 넘어서
Freud 1921 Jenseits des Lustprinzips.djvu
작가지그문트 프로이트
원제목젠시츠 데 루스프린집스
나라독일.
언어독일어
발행일자
1920

쾌락원리(독일어:Jenseits des Lustprinzips)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1920년 작 에세이로서 그의 이론적 접근에 주요한 전환점을 맞이한다. 이전에 프로이트는 대부분의 인간의 행동을 성적 본능(에로스 또는 리비도) 탓으로 돌렸다. 이 에세이로 프로이트는 죽음추진력, 토데스트리브[e]의 추가와 함께 그의 추진력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단순한 쾌락 원리를 "이상으로" 나아갔다. (타나토스는 그리스어로 죽음을 의인화한 것이며, 프로이트의 추종자들 중 일부는 이 이름으로 죽음의 추진력을 언급하고 있다.[1]

중요도

이 에세이는 인간을 두 가지 반대 운동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창조성, 조화성, 성적 연결성, 재생성, 자기보존성을 만들어내는 에로스와 파괴, 반복성, 공격성, 강박성, 자멸을 가져오는 '죽음의 추진력'(일부에서는 '타나토스'라고 부르는 것)이 그것이다.

4절과 5절에서 프로이트는 살아있는 세포를 만드는 과정이 에너지를 결합시키고 불균형을 만든다고 주장한다. 세포에게 삶의 질을 주는 원상태로 돌아가라는 것은 물질의 압력이다. 이 과정은 배터리의 생성과 소진과 유사하다. 분자 확산에 대한 이 압력을 "죽음-위시"라고 할 수 있다. 세포에서 물질의 확산, 무생물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강박은 살아있는 유기체 전체에까지 확장된다. 그러므로 심리적 죽음-위기는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육체적 강박의 발현이다.

프로이트는 또한 본 대로 자신의 접근법과 칼 융의 접근법 사이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기술하고, 출판된 연구를 기본 드라이브(섹션 VI)로 요약했다.

시놉시스

"즐거움 원리를 넘어서면 어려운 글이다."[2] 프로이트의 가장 가까운 동료 중 한 사람이자 그의 내부 반지의 일원인 어니스트 존스가 말했듯이, "생각의 열차는 결코 따라 하기 쉽지 않다... 그리고 그 주제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는 종종 상당히 잘못 해석되어 왔다."[3]

제3절과 제4절 사이의 Beyond the Function Principle의 " 개의 뚜렷한 프레스코 또는 캔티"[4]라고 불려온 것. 오토 피니켈이 말한 것처럼 프로이트의 새로운 [인스턴트] 분류는 "두 가지 근거, 하나의 추측, 하나의 임상적"[5]을 가지고 있다면, 지금까지 임상학으로 볼 수 있다. 프로이트의 자신의 말에서, 두 번째 절은 "투기, 종종 터무니없는 추측이며, 독자는 자신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고려하거나 무시한다"[6] — "즐거움 원리 너머에서, 프로이트는 "규정"이라는 단어를 한 번 이상 사용했다"[7]는 점에 주목했다.

임상 증거(제1절-)III)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흔한 일: '정신적 사건의 경로는 자동적으로 쾌락 원리에 의해 규제된다… 쾌락 원리에 대한 강한 경향'"[8]으로 시작한다. 마음의 삶에서 어쩔 수 없는 불쾌한 경험의 존재를 고려한 후, 그는 이 책의 제1절에서 그러한 불쾌한 경험의 존재는 "즐거움 원리의 지배와 모순되지 않는 것"이라는 취지의 결론을 내린다.[9]

쾌락원칙에 대한 예외

프로이트는 계속해서 "그동안 의심받지 않았던 세력들이 쾌락 원리를 '이외'하는 존재에 대한 증거"[8]를 찾는다. 그는 손자의 유명한 "포트다" 게임에서 예시된 것처럼 어린이 게임,[11] "전쟁 신경학자들의 반복되는 꿈" 등 네 가지 주요 영역에서 "즐거움 원칙이 적절하게 대처할 [10]수 없는 상황"이라는 보편적인 힘의 예외를 발견했다.; 특정인의 삶을 통해 추적될 수 있는 자기희생적 행동의 패턴['정신적 노이로제'; 정신분석학의 많은 환자들이 어린 시절의 불쾌한 경험들을 반복해서 실천하는 경향]이다.[12]

반복강박

이러한 경우로부터 프로이트는 쾌락원리를 넘어선 동기부여의 존재를 추론했다.[12] 프로이트는 이미 1919년에 "본능적 활동에 기초하고 아마도 본능의 본질에 내재된 무의식적 정신의 반복 강박의 원리 즉 쾌락 원리를 지배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원리"를 안전하게 상정할 수 있다고 느꼈다.[13] 비욘드 레슨 원칙의 전반부에서는,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초기 단계, 그들의 되돌릴 수 없는 품질로 여겨지는, 가장 다양한 반복의 발현이 드라이브의 본질에 기인한다."[14]

프로이트는 1914년 자신의 글 "재수집, 반복, 작업"을 바탕으로 "환자가 자신에게 억압된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방법"을 강조하고, ...이 대신 억압된 자료를 현대적 경험으로 반복할 의무가 있다. 그것을 과거의 무엇에 속하는 것으로 기억한다:"[15] 반복해야 할 필요성".

쾌락주의로부터의 독립

프로이트는 여전히 반복 강박과 쾌락 원리의 관계를 조사하고 싶었다.[16] 비록 충동적인 행동이 분명히 어떤 종류의 추진력을 만족시켰지만, 그것들은 직접적인 불행의 원천이었다.[16] 어찌된 일인지 "이러한 활동들이 그저 불행으로 이어진 옛 경험에서 배운 교훈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강요에 의해 반복되고 있다.[17] 또한 "악성적인 운명에 사로잡히거나 어떤 데모닉적인 힘에 사로잡혀 있는 것처럼 보이는"[17] 정상인들의 삶에서의 반복에 주목하면서, 라틴어의 모토인 인과응보, "실수는 인간이고, 계속 [실수를 저지르는] 것은 악마의 것이다"를 암시할 가능성이 있다.—Freud는 인간의 정신은 쾌락 원리와는 무관한 반복의 강박을 포함하고 있다고 결론짓는다.[18]

추측(섹션 IV–VII)

트라우마를 다시 느끼는 꿈이 반복 강박과 연결되면서 마음의 구속 기능을 발휘한다고 주장하면서 프로이트는 그러한 꿈이 소원의 성취라는 규칙의 예외라는 것을 인정한다.[19] 마음의 첫 번째 임무는 트라우마를 예방하기 위해 배설물을 묶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그러므로 쾌락원리가 속박될 때까지 정신적 활동을 지배하기 시작하지 않도록) 그는 "분석 중인 사람 ..."이라는 임상적 사실을 되풀이한다. 전이에 있어서 그의 어린 시절의 사건을 반복하려는 강박관념은 분명히 모든 면에서 쾌락원칙을 무시한다."[20]

반복강박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

프로이트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인 ..."에서 반복 강박의 유사성을 찾기 시작한다. 본능적인 삶의 특징... 우리가 동물의 크기를 낮출수록 더 정형화된 본능적인 행동이 나타난다"[21]고 말했다. 그 후 "프로이트가 '더 이른 상태의 사물을 회복시키기 위한 충동을 ...'로 동등한 입장에서 반복해야 한다는 강박을 놓았을 때 본문의 비약적 상태를 알 수 있다"[22] – 궁극적으로 원래의 무기 조건의 그것이다. "생명의 목표는 죽음"과 "생존하기 전에 존재했던 무생물들"[23]이라고 선언하면서, 프로이트는 위험을 피하려는 유기체의 추진력을 단지 죽음으로 가는 단락을 피하는 한 방법으로만 해석한다: 유기체는 그 나름대로 죽음을 추구한다. 따라서 그는 죽음의 추진에 대한 그의 유명한 개념으로 가는 길을 찾았는데, 이것은 일부 학자들이 "물리학적 생물학"[24]이라고 표명한 설명이었다.

이에 대해 "프루드는 생물학, 철학, 신화를 구제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실천 이외의 분야에서 빈번히 빌리는 모든 종류의 논쟁들을 모색하며, 심지어 철학, 신화를 구하기 위해 철학과 같은 추측성 현대 생물학의 수렁 속으로 뛰어들었다"[25]고 말했다.[26] 그는 '원생대의 연속적인 세대에 대한 그의 실험 해석에 치명적인 결함이 포함되어 있다'[27]는 사실이 아니더라도 아마도 관련성이 의심스러운 원생대에 대한 전쟁 전의 실험에 눈을 돌렸다. 가장 많이 말할 수 있는 것은 프로이트가 '본능적인 삶에 대한 그의 이원론적 개념과 모순되는 어떤 생물학적 논쟁'[28]을 발견하지 못한 동시에 "존스(1957)가 지적하는 것처럼 '모든 생물학적 원리와 모순되는 죽음의 본능의 사상을 뒷받침하는 생물학적 관찰은 발견될 수 없다"[29]는 것이다.

임상적 표현으로서의 마조히즘

그 후 프로이트는 "쇼펜하우어 철학의 항구"에 대한 언급을 이어갔지만, 임상시험의 복귀를 더듬는 과정에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매우 난처한 상황에서 탈출구를 찾으려는 것처럼 의심스럽게 보인다"[30]고 인정했다. 프로이트는 결국 "사디즘의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히토히토"라는 마조히즘 현상에서 죽음의 본능에 대한 임상적 발현을 찾을 수 있다고 결정하고, 죽음의 본능을 나타내는 1차적인 마조히즘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31] 그는 각주에서 사비나 스필레인을 인용, "이러한 추측의 상당 부분이 가치 있는 물질과 아이디어로 가득 차 있지만 불행히도 내게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은 작품에서 기대되어 왔다"고 시인했다. Die Destroktion Alsuche des Werdens, Jahrbuch für Sychoanalyse, IV, 1912). 그녀는 가학적인 요소를 '파괴'로 규정한다."[32] 그 후 잘 수 없는 것을 반복하기의 측면에서, 성적 본능을 설명하기 위해 프로이트는 플라톤에서 신화는 인간의 주문이 어느 한 때와 여자 둘 다 남자였습니다 — 여전히"징계 구별을 완전히 무시하고"개개인에 생존했다는 것을 성,;[33]그리고 다시 specul을 인정하기 때문에 가입할 번식하는데 움직인다를 삽입합니다.ati"관찰을 이론으로 직접 번역하는 것"이라는 그의 사상의 본질. 운이 좋았던 사람이 안타를 치거나 수치스러울 정도로 빗나갔을 수도 있다"[34]고 말했다.

결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비도나 에로스가 마침내 반복적 강박 방정식의 반대편에서 출발한 상황에서, 이 책의 '마음 속의 두 원소 퍼거슨 세력의 비전,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영원한 전투에 갇혀 있다'[25]는 종영하는 길은 분명했다.

구성: 프로이트의 방어력

프로이트의 딸 소피는 1920년 초에 사망했는데, 프로이트의 첫 번째(1919년) 버전과 비욘드쾌락 원리의 버전이 1920년에 재작업되어 출판되었다. 프로이트는 그 죽음이 책의 내용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1920년 7월 18일, 막스 에이팅온에게 보낸 편지에서, 프로이트는 "비욘드는 마침내 완성되었다. 소피가 살아서 번성할 때 반쯤 준비가 되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35] 그러나 그는 이미 (6월에) 페렌치에게 '유혹적인 연속'이 나타났다고 썼는데, 아마도 원생대의 잠재적인 불멸에 관한 부분일 것이다. 어니스트 존스는 에이팅온에 대한 프로이트의 주장을 "좀 의아한 부탁"이라고 생각한다. 딸을 잃은 것에 대한 우울증에 의해 죽음에 대한 그의 소설적 생각을 내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36] 다른 사람들은 또한 "죽음의 본능"을 발명하는 것이 이론화, 즉 이론화, 즉 이론화, 즉 인생 그 자체에서 "데모닉"에 대한 감정을 처리하는 하나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 궁금해했다. 프로이트의 딸의 뜻밖의 죽음으로 더욱 악화되었다"고?[37] — 그리고 "죽음의 드라이브"라는 용어는 소피 할버스타트가 죽은 지 일주일 후에 그의 서신에 들어간 것이 분명하다; 그래서 우리는 최소한 "손실은 부차적인 역할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파괴력에 대한 그의 분석적 집착"[38]이라고 말했다.

과실

그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프로이트는 그의 이론이 "현재 우리가 답을 찾을 수 없는 많은 다른 질문들을 제기한다"[39]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 추측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정당한 의구심이 있을 수 있다. 수상한 본능, 실제로, 그것의만의 유기농 home",[40]프로이트의 투기 에세이 놀라울 정도로 더 정신 분석적 연구와 theorising 부양에 풍요롭고 자신과 그의 추종자들에;그리고 우리는 프로이트의 주요 예로 그의 역할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as 문제가 탐지기의 파괴에 새로운 que을 자아낸다 —.sti"인간의 현상과 과정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켰다."[41] 예를 들어 안드레 그린은 프로이트가 '미생물의 생물학으로 전향한 것은 정신분석적 실천에 의해 제기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제안했다. 즉, '모리스 블란조트의 문장 '라 레폰스 에스트 말허'의 정신으로 질문의 결실을 맺는다. [답은 비운의 것이다.문제의 e]'[42] — 그럼에도 불구로 남아 있다.

프로이트의 후기 저술

쾌락 원리와 죽음의 추진의 구별은 프로이트가 정신의 모델을 재구성하도록 이끌었다.[43]

쾌락원리를 넘어서면서 프로이트는 인간의 폭력과 파괴력에 대한 문제도 소개했다.[43] 이러한 주제들은 문명과 그것의 불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프로이트는 문명의 주요 기능이 죽음의 본능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본능은 초자연노이로제의 형태로 지속된다.

프로이트의 지시 "트라우마티즘의 경우 '불안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 '자동불안'과 '신호로서'의 구별의 전조다.[44]

  • 자크 라칸에게 반복 강박증은 "프로이트가 기본 개념, 즉 무의식, 반복, 전이추진력으로 도입한 4개의 ... 용어" 중 하나였다.[45]
  • 에릭 베른은 "프루드는 반복 강박과 운명 강박증 ...을 노르말과 신경학자의 삶 전체 과정에 적용하기 위해 말한다"[46]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멜라니 클라인과 라칸 둘 다 자신의 이론적 구조로 죽음의 구도를 채택하기로 되어 있었다. "클레인의 죽음의 개념은 프로이트의 개념과 다르지만, 그녀의 작품에는 주어진 정신발달의 원인으로서 죽음의 운동에 대한 언급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47] 라칸은 "사망운동은 실현되지 않은 한 상징적 질서의 가면일 뿐"이라고 생각하면서 "즐거움 너머" 원칙을 겸손하게 덧붙였다. "그것은 조금도 말이 되지 않거나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로 그 감각을 가지고 있다.[48]

임계수신호

쾌락원리를 넘어서면 프로이트의 가장 논란이 많은 글이 될지도 모른다. 자크 라칸은 프로이트의 자칭으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애매모호한 프로이트의 이 비범한 텍스트는 거의 혼란스러울 정도"[49]라고 말했다. 프로이트의 가장 동정적인 전기 작가 중 한 명은 이렇게 썼다. "즐거움 원리 너머는 어려운 글이다... 프로이트의 논문 대부분이 아무리 이론적이라 하더라도 여기에서는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임상 경험에 대한 안심할 수 있는 친밀감"이라고 말했다.[2] 그는 계속해서 프로이트의 개인 주치의의 말을 인용했다: "프로이트를 불문하고 읽었다고 아무도 비난할 수 없는 맥스 슈르는 단호하게 말했다: 우리는 프로이트의 결론이 사전 구성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임시 추론의 한 예라고밖에 추측할 수 없다... '즐거움의 원칙'을 넘어"라고 말했다.[50]

어니스트 존스는 "이 책은 프로이트의 추종자들 중 유일하게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은 책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고 결론지었다.[51] 많은 프로이트의 동료들과 학생들은 죽음을 향한 추진에 대한 생각이 이상해 보였기 때문에 쾌락원리를 넘어서서 제안된 이론들을 거절했다.[52][53]

참조

  1. ^ 이 작품에서 프로이트는 단수보다 복수의 「죽음의 드라이브」(토데스트리베)를 더 자주 사용했다.
  2. ^ a b 피터 게이, 프로이트: A Life for Our Time (London 1988). 페이지 398.
  3. ^ 어니스트 존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삶과 작품 (London 1964) 페이지 510–11.
  4. ^ 라플란체, 라이프 107페이지
  5. ^ 오토 피니켈, 신경증 정신분석 이론 (런던 1946년). 페이지 58.
  6. ^ 지그문트 프로이트, On Metapsychology (Middlesex 1987). 페이지 295.
  7. ^ 게이, 프로이트 페이지 704n.
  8. ^ a b 게이, 프로이트 페이지 399.
  9. ^ 프로이트, 280 페이지 이상.
  10. ^ 장-미셸 퀴노도즈, 레딩 프로이트 (런던 2005) 페이지 187.
  11. ^ Clark, Robert (October 24, 2005). "Repetition Compulsion". The Literary Encyclopedia. Retrieved March 15, 2020.
  12. ^ a b 존스, 506페이지
  13. ^ 지그문트 프로이트, "언캐니" (1919), 파라피치학 연구 (Alix Strachey transs.) 페이지 44.
  14. ^ 장 라플란체, 정신분석학의 삶과 죽음 (런던 1976년). 107페이지.
  15. ^ 프로이트, 비욘드 페이지 288.
  16. ^ a b 프로이트, 비욘드 페이지 290.
  17. ^ a b 프로이트, 292페이지 이상.
  18. ^ 프로이트, 지그문트. 쾌락의 원칙(The Standard Edition)을 넘어서. 제임스 스트레이시 경입니다 뉴욕: 리버라이트 출판사, 1961.
  19. ^ 프로이트, 304페이지 이상.
  20. ^ 프로이트, 308페이지 이상.
  21. ^ 존스, 507페이지
  22. ^ Gunnar Karlson, New Light에서의 정신분석 (Cambridge 2010). 147페이지.
  23. ^ 프로이트, 311페이지 이상.
  24. ^ Schuster, Aaron (2016). The Trouble with Pleasure. Deleuze and Psychoanalysis.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p. 32. ISBN 978-0-262-52859-7.
  25. ^ a b 게이, 프로이트 401페이지
  26. ^ 라플란체, 라이프 페이지 110.
  27. ^ 말콤 맥밀런, 프로이트가 평가했다(MIT 1997). 페이지 400.
  28. ^ 장-미셸 퀴노도즈, 레딩 프로이트 (런던 2005) 190 페이지
  29. ^ 찰스 라이크로프트(Charles Rycroft, A Critical Dictionary of 정신분석학(London 1995)). 페이지 31.
  30. ^ 프로이트, 322쪽과 328쪽.
  31. ^ 존스, 라이프 페이지 509
  32. ^ 프로이트, 비욘드 페이지?
  33. ^ 테레사 드 로레티스, 프로이트의 드라이브 (Basingstoke 2008) 77 페이지
  34. ^ 프로이트, 333페이지 이상.
  35. ^ 게이, 프로이트 703페이지
  36. ^ 존스, 인생 504페이지
  37. ^ 마리아 토록, 니콜라스 아브라함/마리아 토록, 늑대인간 마법의 말 (Minneapolis 1986). 90페이지.
  38. ^ 게이, 프로이트 페이지 395.
  39. ^ 프로이트, 336페이지 이상.
  40.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에 관한 새로운 입문 강의 (런던 1991년). 페이지 139.
  41. ^ 하워드 가드너, 비범한 마음씨 (London 1997). 페이지 82.
  42. ^ 안드레 그린(P. B. Talamo 등, W. R. Bion(런던 2007))의 경우. 페이지 119와 페이지 122.
  43. ^ a b 안젤라 리처즈, "편집자 노트" 메타피치학 272페이지
  44. ^ 퀴노독스, 레딩 프로이트 189쪽
  45. ^ 자크 라칸, 정신분석학의 4대 기본 개념 (런던 1994). 페이지 12.
  46. ^ 에릭 베른, 안녕이라고 말하고 나서 무슨 말을 하는가? (Corgi 1975). 페이지 58.
  47. ^ L. 스톤브리지/J. 필립스, Reading Melanie Klein (London 1998). 페이지 30.
  48. ^ 라칸, 세미나 2페이지 326페이지 60페이지
  49. ^ 자크 알랭 밀러, 자크 라칸 세미나: 제2권 (Cambridge 1988). 페이지 37.
  50. ^ 게이, 페이지 398n.
  51. ^ 존스, 인생 505페이지
  52. ^ 프로이트, 지그문트. 문명과 그 불만족.
  53. ^ 보이, C. 조지 박사님 "지그문트 프로이트." 웹 스페이스. 2009. 웹. 2010년 7월 22일.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