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떡
Bindae-tteok![]() 광장시장에서 튀겨지고 있는 빈대떡 | |
대체 이름 | 녹두전, 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녹두지짐 |
---|---|
유형 | 부침개 |
원산지 | 한국 |
연합국 요리 | 한식 요리 |
주성분 | 녹두 |
35kcal(147kJ)[1] | |
다른 정보 | |
한국이름 | |
한글 | 빈대떡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붕대를 감다 |
매쿠네-라이샤워 | 핀대떡 |
IPA | [pin.dɛ̝.t͈kk̚] |
빈대떡은 평안도에서 유래된 부침개의 일종이다.[2][3] 물에 젖은 녹두를 갈아서 야채와 고기를 넣고 둥글고 평평한 모양으로 팬프라이를 해서 만든다.[4]
어원과 역사
빈대떡은 장계향의 1670년 요리책 《수제식음료 가이드북》에 빈자( (子)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5] 이 단어는 한자어 餠𩜼의 한글 중문자인 빙자(빙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첫 글자는 bngng로 발음되고 "둥글둥글하고 납작한 팬케이크 같은 음식"이라는 뜻이다.[6][7] 두 번째 글자의 발음과 뜻은 알 수 없다.[8] 떡(떡)은 찌거나, 삶거나, 판에 튀긴 케이크를 의미한다. 보통 떡은 떡이지만, 이 경우에는 팬케이크를 의미한다.
조선 시대(1392–1897)에는 부유한 가정들이 어려운 시기에 서울 남대문 밖에 모인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곤 했다.[9]
빈대떡은 황해도 서북부와 평안도에서 자주 먹혔다.[10]
준비
빈대떡은 고사리, 돼지고기, 녹두나물, 배추김치(나파 배추김치)로 속을 채운 녹두 반죽으로 만든다.[1]
빈대떡의 속을 만들기 위해 물에 젖은 고사리 등을 짧게 썰어 돼지고기를 갈아 넣고 간장과 다진 파, 다진 마늘, 후춧가루, 참기름으로 양념한다.[1] 녹두나물은 씻어서 데친 후 짧게 썰고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한다.[1] 김치는 무마하여 짜서 속과 과즙을 제거한 다음 잘게 썬다.[1] 그런 다음 재료들을 섞는다.[1]
씻은 녹두는 물에 갈아서 소금으로 간하여 반죽을 만든다.[1]
녹두 반죽은 식용유를 두른 뜨거운 프라이팬에 국자로 채운 후 속을 채운 후, 그 위에 또 한 겹의 반죽이 채워진 윗부분 위로 쏟아진다. 마지막으로 빈대떡은 대각선으로 썬 풋고추와 홍고추 조각으로 덮는다.[1] 팬케이크는 양면으로 팬프라이를 하고 간장, 식초, 물, 잣가루로 구성된 찍어 먹는 소스와 함께 나온다.[1]
갤러리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빈대떡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a b c d e f g h i "bindae-tteok" 빈대떡. Korean Food Foundation (in Korean). Retrieved 25 May 2017.
-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30 July 2014).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PDF) (in Korean). Retrieved 19 February 2017. Lay summary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 Gentile, Dan (28 February 2014). "Korean food: The 12 essential dishes you need to know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Thrillist. Retrieved 19 May 2017.
- ^ "bindaetteok" 빈대떡.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trieved 8 December 2016.
- ^ Jang, Gyehyang (1670). Eumsik dimibang 음식디미방 [Guidebook of Homemade Food and Drinks] (in Korean). Joseon Kore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1-12. Retrieved 2017-05-25.
빈쟈법
녹두 뉘 업시 거피여 되게 라 기 므디 아니케 부어 히고 젹게 노코 거피 에 라 소 녀코 그 우희 녹도 니로 더퍼 빗치 유지빗 치 지져사 죠니라 - ^ "bindae-tteok" 빈대떡.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trieved 25 May 2017.
- ^ Unknown (1682). Yeogeo yuhae 역어유해(譯語類解) [Categorical Analysis of the Chinese Language Translation] (in Korean). Joseon Korea: Sayeogwon. Lay summary – Korean Food Foundation.
- ^ Sturgeon, Donald. "𩜼 U+2973C". Chinese Text Project. Retrieved 25 May 2017.
- ^ 정, 순자. "bindae-tteok" 빈대떡.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in Korean). Academy of Korean Studies. Retrieved 25 May 2017.
- ^ "빈대떡". term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1-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