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익 르사브르
Buick LeSabre뷰익 르사브르 | |
---|---|
![]() 2000 - 2005년 뷰익 르사브르 | |
개요 | |
제조사 | 뷰익 (General Motors) |
연식 | 1959–2005 |
조립 | 미시간주 플린트 뷰익시티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풀사이즈카 |
배치 | |
연대기 | |
전임자 | 뷰익 스페셜 |
후계자 | 뷰익 루체른 |
뷰익 르사브르(Buick LeSabre)는 제너럴모터스(GM)의 디비전 뷰익(Division Buick)이 1959년부터 2005년까지 만든 풀사이즈 자동차다.1959년 이전에는 이 위치가 풀사이즈 뷰익 스페셜 모델(1936-58)에 의해 유지되었다.프랑스어로 '사브르'를 뜻하는 '르사브르'는 뷰익의 스페셜 위 중형 풀사이즈 세단이었지만 1960년대 엘렉트라 아래는 엘렉트라가 파크 애비뉴로 교체되면서 시장 지위를 유지했다.르사브르는 생산 기간 내내 2도어 컨버터블, 세단 또는 하드톱, 4도어 세단 또는 하드톱 및 스테이션 왜건으로 제공되었다.null
모델의 역사
르사브르 명패는 1951년 르사브르 쇼 카에 처음으로 등장했는데,[1] 이 자동차는 세계에 랩어라운드 윈드실드와 꼬리 지느러미와 같은 항공기 영감을 받은 디자인 요소들을 소개했다.1959년에 LeSabre는 이전에 뷰익 스페셜로 알려져 있던 것의 새로운 모니커가 되었다.뷰익 르사브르는 1965년부터 1969년 사이에 스테이션 왜건 변종이 뷰익의 풀사이즈 상품에서 떨어졌을 때를 제외하고 전신 스타일로 제공되었다.1977년 르사브르는 다른 GM의 풀사이즈 모델들과 함께 사이즈가 축소되었고, 필러드 쿠페, 세단, 왜건 차체 스타일로만 출시되었다.null
르사브르는 뷰익의 보급형 차량일 뿐 아니라 꾸준히 뷰익의 가장 잘 팔리는 풀사이즈 차량이었다.1959년에 도입된 네 개의 명판(LeSabre, Invicta, Electra, Electra 225) 중 르사브르 명판이 가장 오래 지속되었다.null
1959년부터 1961년까지 르사브르는 364세제곱인치 V8에 의해 구동되었는데, 이는 보다 비싼 인빅타와 엘렉트라 모델에 사용된 401세제곱인치 V8보다 작았다.앞서 1957년과 1958년 모든 뷰익스에서 사용됐던 364는 1960~61년 '무비용' 옵션으로 제공되는 '경제' 235마력(175kW) 버전으로 표준형 250마력(190kW)의 정격을 받았고, 300마력(220kW)의 4바렐 카뷰레터와 이중배기가 장착된 선택형 파워팩 버전도 장착됐다.1962-63년, LeSabre는 280마력(210kW)의 정격인 401 V8의 2배럴 카뷰레터 버전 또는 260마력(190kW)의 무비용 "경제적" 저압축 버전을 표준으로 출시했다.1964년부터 Estate Wagane을 제외한 모든 LeSabre 모델은 300(1964–65), 340(1966–67), 350(1968–76년)의 큐빅 교체로 향후 몇 년 동안 최소 표준 장비로 이러한 모델의 소형 교체 V8로 전환하여 중간 규모 Buick 모델과 드라이브트레인을 공유했다.455세제곱인치 V8이 옵션으로 도입되어 1976년까지 제공될 때까지 대규모 대체물이 LeSabre에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1977년 축소된 모델을 시작으로 1986년, 1992년, 2000년에 도입된 3세대 전방 구동 르사브르를 거쳐 후속 세대를 거쳐, Buick의 3.8L(231입방인치) V6는 대부분의 르사브르 모델의 표준 엔진이 될 것이며, 마지막 리어 구동 르사브르 세단 이후 V8 엔진은 (정류장 마차 제외) 떨어지게 되었다.1985년에 쿠페가 사라졌어null
1959년부터 1971년까지 대부분의 기간 동안 3단 수동 변속기는 모든 LeSabres에 표준 장비였지만 거의 주문되지 않았다.훨씬 더 인기 있는 것은 파워 스티어링 및 파워 브레이크와 함께 터빈 구동 자동 변속기(이전에는 Dynaflow라고 알려져 있다)이다.1961년과 1962년에 자동 변속기는 르사브르와 다른 모든 풀사이즈 뷰익스에서 표준으로 사용되었으나 1963년에 르사브르 옵션 목록으로 다시 이동되었다.1964년, Dynaflow 기반의 터빈 드라이브는 2단 슈퍼 터빈 300과 3단 슈퍼 터빈 400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자동 변속기로 대체되었다.1963년부터 1965년까지 4단 수동 변속기가 르사브르 옵션으로 제공되었지만 그렇게 많은 수의 자동차만이 장착되었다.자동변속기는 1971년 중반 다시 한번 LeSabres에 표준 장비로 등장하여 2005년 이후 모델 라인이 소멸할 때까지 그러한 형태로 계속된다.null
LeSabres는 1959년부터 1985년까지(스테이션 왜건에서 1990년까지) 6인승 차량으로, 종방향으로 장착된 전면 엔진과 함께 별도의 차체 온프레임 구조를 특징으로 했다.1977년 도입된 1세대 다운사이즈 르사브르(LeSabres)는 후륜구동 및 차체 온프레임 구조를 유지했고, 1986년 도입된 후기 모델들은 전륜구동, 차체구축, 횡방향 장착 엔진으로 전환했다.컨버터블은 매년 1975년까지 제공되었고, 1976년 이후 두 개의 문과 네 개의 문으로 된 하드톱은 떨어졌으며 1977년부터 2005년까지 다듬어진 차체 스타일만 제공되었다.스테이션 왜건은 1964년까지 제공되었다가 1970년에 다시 소개될 때까지 몇 년 동안 제공되었다가 1990년까지 계속되었고 그 후 부활한 로드마스터 시리즈로 옮겨졌다.LeSabres는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된다.사용자 지정 및 제한됨.null
1세대(1959–1960)
1세대 | |
---|---|
![]() 1959년 뷰익 르사브르 4도어 하드톱 | |
개요 | |
연식 | 1959–1960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컨버터블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 4도어 하드톱 투 도어 하드톱 4도어 스테이션 왜건 |
배치 | FR 배치도 |
플랫폼 | B-body |
관련 | 폰티악 카탈리나 쉐보레 임팔라 뷰익인빅타 쉐보레 비스케이네 쉐보레 벨에어 올즈모빌 슈퍼 88 올즈모빌레 다이나믹88 폰티액 본네빌 폰티액 파리엔느(캐나다만 해당) 폰티액 스타 치프 폰티액 스트라토 촌장(캐나다만 해당) 폰티액 벤투라 |
파워트레인 | |
엔진 | (6.0 L) 250 hp(190 kW) V8에 364 cu |
전송 | 3단 매뉴얼 2단 Dynaflow 자동 |
LeSabre and all other 1959 Buicks not only got new names, but all-new styling as well, adopting the new GM B- and C-body used on all of the corporation's full-sized cars (the larger C-body used in the Electra as well as the Oldsmobile 98 and all Cadillacs was basically a stretched out B-body rather than a distinct body and chassis for 1959–60).휠베이스는 모든 모델에서 1인치 증가했다.새로운 스타일링은 앞쪽에 비스듬한 헤드라이트와 함께 1958년식 뷰익과 약간 비슷한 크롬색 사각 그릴, 그리고 둥근 미등과 함께 "델타 윙" 지느러미를 포함했다.이 외형은 다른 두 명의 뷰익 모델인 중간급 인빅타와 최상위 모델 엘렉트라와 공유되었다.null
인빅타와 일렉트라/225 모델은 뷰익의 새로운 401 큐빅 인치 V8에 의해 구동되었지만, 르사브르는 1957년과 1958년에 모든 뷰익스에서 이전에 사용된 364 큐빅 인치 V8로 계속 작동했다.표준형식으로 엔진은 2배럴 카뷰레터와 10.25 대 1 압축비(다이나플로우 변속기의 경우, 수동 변속기 자동차의 경우 8.5 대 1 압축비가 낮았지만 마력은 여전히 250으로 정격되어 있었다)로 250 마력을 전달하였다.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3백 마력의 정격 364의 4배럴 버전이었다.르사브르에서는 3단 수동 변속기가 표준이었으나 대부분의 자동차는 인빅타와 엘렉트라/225의 표준 장비인 2단 다이나플로 자동 변속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작되었다.3단계의 "트리플 터빈" 다이나플로 변종도 이용할 수 있었다.파워 스티어링과 파워 브레이크는 선택 사항이었으며 1959년형 모든 뷰익스는 1957년 로드마스터에서 처음 도입된 제동력 향상을 위해 12인치 핀 알루미늄 브레이크 드럼을 사용했다.null
1960년식 르사브르는 1959년식 모델과 지붕과 트렁크 뚜껑만을 공유하는 새로운 차체 디자인을 채택했다.새로운 뷰익사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뷰익의 당시 새로운 "트리 실드" 로고를 중심으로 오목한 그릴과 수평 헤드라이트를 자랑했다.1960년 일렉트라스와 다른 뷰익스에 다시 소개된 크롬 "벤티포트" 포스톨은 1940년에 처음 소개되었고 1957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르사브르와 인빅타 모델은 포트홀이 3개, 엘렉트라스와 엘렉트라 225는 '4홀러'가 나왔다.내부에는 "미러매틱(Mirromatic)"이 적용되어, 대시보드 내부의 조절 가능한 틸트 미러에서 속도계, 주행 기록계 및 경고등이 반사되어 불필요한 눈부심과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편안한 시야를 제공한다.호른 바가 달린 2스포크 스티어링 휠이 새로 도입되어, 그 당시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흔히 볼 수 있던 호른 링을 대체했다.1959년부터 250마력, 300마력 364큐빅 인치 V8이 계속되었지만 새로운 무비용 옵션은 다른 모든 뷰익 엔진에 필요한 프리미엄 연료 대신 일반 등급 가솔린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압축비가 낮은 235마력 저압축 2배럴 버전이었다.null
2세대(1961–1964)
2세대 | |
---|---|
![]() | |
개요 | |
연식 | 1961–1964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세단 투 도어 하드톱 2도어 컨버터블 4도어 세단 4도어 하드톱 4도어 스테이션 왜건 |
배치 | FR 배치도 |
플랫폼 | B-body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르사브르와 다른 모든 풀사이즈 뷰익스(올해 컴팩트 스페셜에 합류)는 핀이 없는 후면 끝단, 보다 절제된 크롬 사용, 박스 시트를 특징으로 하는 1961년 완전 리서밍되었다.휠베이스는 123인치(3,100mm)에 머물렀지만 신차는 길이와 너비 모두 약간 축소되었고, 수십 년 된 토크 튜브 설계를 대체하는 기존의 리어 액슬과 구동축이 포함된 새로운 X-프레임 섀시를 탔다.내부에는 "미라토마틱" 속도계와 새로운 장식용 트림을 고정하는 수정된 계기판이 있었다.스테이션 왜건은 표준으로 올비닐 인테리어를 받았으며, 일반 천/비닐 조합 인테리어를 옵션으로 이용할 수 있다.[2]엔진은 표준 250마력 364-쿠빅 인치 V8, 무비용 일반 연료 235-마력 364 또는 추가 비용에 사용할 수 있는 동일한 엔진의 4배럴 300마력 옵션 등 예년과 변동이 없었다.2단 터빈 구동 다이너플로 자동변속기는 올해 르사브르와 다른 모든 풀사이즈 뷰익스의 표준 장비였지만, 수동변속기도 가능했다.[2]Ventiports는 뷰익의 제공된 제품 계층 구조에서 엔트리 레벨 지위를 나타내는 전방 펜더의 측면으로 돌아왔다.null
1962년식 뷰익 르사브르는 새로운 그릴과 선라이트와 함께 더 긴 외관을 갖기 위해 몇 인치를 더 떠맡으면서 예년에 비해 적당히 변화되었을 뿐이다.두 개의 문으로 된 하드톱 쿠페는 시뮬레이션 활로 완성된 새로운 컨버터블 형태의 지붕 선을 받았다.후드 아래에서 364세제곱인치 V8은 인빅타스와 엘렉트라 225s에 사용된 더 큰 401세제곱인치 V8로 대체되었다.LeSabres는 280마력으로 정격된 2바렐 고압(10.25~1) 버전과 265마력으로 정격된 동일한 엔진의 저압축 일반 연료 버전을 표준으로 제공했다.추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옵션으로는 인빅타, 일렉트라 225 및 중간 연도 인빅타 기반의 와일드캣 쿠페에 표준 장착되었던 4바렐 325마력 401이 있었다.내부에는 기존의 수평 스위프 유닛으로 교체된 "미라토마틱" 속도계로 내부를 약간 수정했다.null
1963년형 르사브르는 1961-62년형 모델과 4도어 하드톱 세단의 지붕선을 개정한 모델보다 한층 풍성한 차체 윤곽을 가진 대대적인 얼굴 주름제거술을 받았다.내부에는 다른 대형 뷰익스와 공유된 둥근 악기가 달린 새로운 계기판과 개인 명품 리비에라 쿠페가 있었다.올해 새로운 옵션에는 7개 위치의 틸트 스티어링 휠/칼럼, AM/FM 라디오 및 전기-크루즈 컨트롤이 포함되었다.1962년부터 동일한 종류의 401-큐빅 인치 V8을 사용했지만, 3단 수동 변속기가 표준 장비로 돌아왔고, 2단 터빈 구동 장치가 자동으로 옵션 목록으로 되돌아갔다.올해 주문량이 드물고 새로 나온 옵션은 바닥 장착형 4단 수동 변속기였다.null
1963년의 수직 단위를 대체하는 새로운 그릴과 수평 선광으로 경미한 페이스리프팅이 1964년 르사브르를 강조하였다.다소 더 잘 장착된 "Custom" 버전도 올해 라인업에 합류했는데, 브러시드 메탈 인서트로 전체 길이 크롬 측면 몰딩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일반 르사브르에는 몸 뒤쪽의 3분의 1에 좁은 트림 조각이 있었다.[3]후드 아래에서, 401 큐빅 인치 V8은 르사브르 세단과 쿠페로 교체되었고, 그 차량들의 알루미늄 V8을 대체하는 고급 특수/스카이락 중간재를 위해 고안된 300 큐빅 인치 V8에 의해 쿠페로 교체되었다.표준형식으로 300은 2배럴 카뷰레터로 210마력, 일반 연료 사용 시 압축비 9 대 1로 정격했다.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은 250마력 버전으로, 4-바렐 카뷰레터가 있고 압축비가 11 대 1로 높으면 프리미엄 연료를 사용해야 했다.LeSabre Estate Wagner는 와일드캣과 일렉트라 225 모델의 325마력 401 V8을 표준 장착했다.기존의 Dynaflow 기반의 2단 자동 변속기를 대체한 것은 두 개의 새로운 슈퍼 터빈 자동 변속기였다.2단계의 슈퍼 터빈 300(중형차와 공유)은 표준형 2배럴 300 V8로, 3단계의 슈퍼 터빈 400(다른 큰 부익스, 리비에라스와 공유)은 300 4배럴로 표준형이며, 에스테이트 왜건에서는 401대로 선택형이었다.기본 300 2배럴 V8이 탑재된 표준 변속기는 3단 칼럼 시프트 매뉴얼이었고, 어느 엔진이든 4단 매뉴얼을 옵션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새로운 ST300 변속기는 1950년대 중반 이후 사용되었던 Dynaflow로부터 가변 피치 토크 컨버터를 이어받았으며, ST400의 첫 해에는 고정 피치 컨버터가 적용되었다.내부에서는 약간의 트림/장식만 수정했다.null
3세대(1965–1970)
제3세대 | |
---|---|
![]() 1965년 뷰익 르사브르 4도어 하드톱 | |
개요 | |
연식 | 1965–1970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컨버터블 투 도어 하드톱 4도어 세단 4도어 하드톱 세단 |
배치 | FR 배치도 |
플랫폼 | B-body |
관련 | 쉐보레 벨에어 쉐보레 임팔라 쉐보레 카프리스 쉐보레 비스케이네 폰티액 파리엔 폰티악 카탈리나/로렌티안 폰티액 본네빌 |
파워트레인 | |
엔진 | 300 cu in (4.9 L) 뷰익 V8 (5.6 L) 뷰익 V8에 340 cu 350 cu in (5.7 L) Buick V8 (7.5 L) 뷰익 V8 455 cu |
전송 | 2단 ST-300 자동 3단 ST-400 자동 3단 TH-350 자동 |
르사브르와 다른 풀사이즈 뷰익스는 1965년식 연식 동안 완전히 다시 꾸몄는데, 두 개의 문으로 된 하드톱 쿠페에 세미 패스트백 루프가 달린 더 둥근 바디라인과 코카콜라 보틀 프로필이 특징이다.휠베이스는 123인치(3,100mm)에 머물렀지만, 1961년 이후 사용된 "X" 프레임을 다른 GM B 차체와 공유한 새로운 둘레 프레임이 대체되었다.올즈모빌 비스타 크루저와 비슷하게 뒷좌석 위로 솟아오른 리어 지붕과 유리 스카이라이트를 특징으로 늘어뜨린 중급 특수 기반 뷰익 스포츠 왜건에 유리하게 떨어진 스테이션 왜건을 제외하면 차체 스타일은 1964년과 변함이 없었다.1965년부터 르사브르를 베이스 르사브르와 르사브르 커스텀의 두 가지 트림 레벨로 사용할 수 있었는데, 이 트림은 더욱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트림을 특징으로 했으며, 베이스 르사브르 라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컨버터블 바디 스타일을 포함하기도 했다.null
내부도 1965년 새로워진 난방/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속도계를 위한 리비에라 및 1963-64 모델과 거의 동일한 두 개의 원형 다이얼을 특징으로 하는 개정된 계기판이 있었다.210마력 2바렐 카뷰레터 300큐빅 인치 V8은 표준 3단 수동 변속기 또는 옵션인 4단 수동 또는 2단 슈퍼 터빈 300 자동이 장착된 모든 모델의 표준 발전소로 1964년부터는 구동 트랙터가 변경되지 않았다.새로운 LeSabre "400" 패키지와 함께 추가 비용에 구입할 수 있는 것은 일반 연료를 사용하는 표준 2배럴 엔진에 비해 프리미엄 연료가 필요한 250마력 300큐빅 인치 V8과 10.25:1 압축이었다.400 패키지에는 뷰익의 고가 와일드캣, 일렉트라 225, 리비에라 모델에서도 볼 수 있는 보다 바람직한 슈퍼 터빈 '400' 3단 자동변속기도 포함됐다.뷰익의 엔진-변속기 관행은 당시 GM의 쉐보레 사업부와 유사했는데, 이 사업부에서는 대부분의 엔진 오퍼링을 풀사이즈 차량에 탑재한 2단 파워글라이드 오토매틱을 제공했을 뿐이어서 비슷한 3단 터보-유드라마틱(기본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동일한 변속기)을 선호하는 구매자는 주문을 해야 했다.대형 V8 엔진 중 하나폰티악과 올드스모빌은 모든 엔진 오퍼링으로 모든 풀사이즈 차량에 터보 하이드라 매틱을 제공했고, 각각 토크플래이트와 크루즈-O-매틱 변속기를 제공하는 크라이슬러 뉴포트, 머큐리 몬테레이 등 GM 중저가 경쟁사의 대형차에도 3단 자동화가 일반적이었다.null
새로운 그릴과 4개의 분할된 미등이 페이스리프트된 1966년형 르사브르 모델을 부각시켰다.또한 원형 포드 기구와 새 내부 도어 손잡이를 대체하는 수평 스위프 속도계를 갖춘 수정된 계기 패널도 새로워졌다.베이스와 커스텀 레벨 시리즈가 모두 계속되었다.새로운 표준 안전 기능에는 패딩 처리된 계기판, 운전석 측 리어 뷰 미러 외부 및 백업 조명이 포함되었다.후드 아래에서 300 큐빅 인치 V8은 2-바렐 카뷰레터로 220마력의 정격의 340 큐빅 인치 V8로 교체되었고 표준 3단 수동 변속기 또는 옵션 2단 자동 변속기로 사용 가능했으나 4단 매뉴얼은 옵션 목록에서 삭제되었다.르사브르 400 옵션을 주문하면 구매자가 260마력의 340마력의 4배럴 카뷰레터와 10.25 대 1의 압축비로 업그레이드되고 대형 엔진 와일드캣, 일렉트라 225 및 리비에라에서 발견된 3단계의 슈퍼 터빈 400 자동도 함께 장착된다.null
다소 둥근 판재와 두 개의 문으로 된 하드톱의 급강하 루프 라인은 1967년 르사브르를 강조했지만 섀시와 내체는 드라이브트레인과 함께 변하지 않았다.베이스와 커스텀 레벨 르사브르 모두 계속되었다.1967년의 새로운 옵션에는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와 스테레오 8 트랙 테이프 플레이어가 포함되었다.표준 드럼 브레이크는 더 많은 냉각 핀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이중 마스터 실린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엔진과 변속기는 1966년부터 변함이 없었다.null
1968년 르사브르는 숨겨져 있던 윈드실드 와이퍼와 함께 새로운 그릴과 태일라이트 등 약간의 주름제거술을 받았다.내부에는 정사각형 속도계가 있는 수정된 계기판과 베이스 및 커스텀 모델 모두에 대해 약간의 트림 리비전이 있는 다른 계기판이 있었다.350 큐빅 인치의 새로운 V8이 이전의 340을 대체했다.표준형식으로 350 V8은 2바렐 카뷰레터로 230마력을 전달하고 9대1 압축비를 지원했으며 표준 3단 수동변속기 또는 옵션 2단 슈퍼터빈 300 자동을 탑재했다."LeSabre 400" 옵션 패키지에는 280마력 350 4바렐 V8과 10.25대 1 압축, 3단 슈퍼 터빈 400 자동 변속기가 포함되어 있었다.슈퍼 터빈 자동 변속기와 함께 사용되는 "스위치-피치" 토크 컨버터는 표준 토크 컨버터를 위해 단종되었다.null
1969년형 르사브르는 이전 해의 세미 패스트백을 대체하는 쿠페의 공식적인 지붕선을 포함한 1965-68년형 모델보다 더 정사각형 모양의 새로운 시트메탈을 받았다.1969년형 모델은 새 시트메탈로 광범위하게 재조립되었지만, 통풍구가 모든 모델에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4도어 필링 세단의 지붕선과 함께 기본 1965년형 섀시와 내부 차체 구조가 유지되었다.휠베이스는 123인치(3100mm)에 머물렀다.내부는 올해 처음 도입된 스티어링 휠 좌측의 난방/공기 조절 장치 이동 등 계기판에 약간의 변화를 주면서 약간 수정되었다.헤드레스트(Headrest)는 이전에 선택적이었던 것으로, 연방 안전 의무사항으로 인해 현재 표준 장비였다.1969년 르사브르와 다른 뷰익스도 변속기가 주차 위치에 있을 때 스티어링 휠을 잠그는 새로운 스티어링 칼럼 장착 점화 스위치(계기판과 함께 위치)를 받았다.점화/잠금 스티어링 칼럼은 1969년 모든 제너럴 모터스 자동차에 모든 자동차의 장착을 요구하는 연방 의무보다 1년 앞서 나타났다.또한 Buick의 Acu-Drive라는 상표에 따라 개선된 승차감과 핸들링을 위한 전면 서스펜션 기하학 수정과 함께 가변 비율의 파워 스티어링 유닛이 새로워졌다.1969년 모든 GM B-와 C-차체의 경우처럼 측면 충격 보호를 위해 강철 레일이 도어(및 쿠페와 컨버터블의 후면 쿼터 패널)에 내장되었다.파워트레인은 230마력 350 2배럴 V8 표준으로 1968년과 달라지지 않았으며 3단 수동 변속기 또는 2단 슈퍼 터빈 300 자동이 적용되었으며, 르사브르 "400" 패키지는 다시 280마력 350 4배럴 엔진과 3단 슈퍼 터빈 400 자동이 포함되었다.null
1970년 르사브르에서는 그릴과 미등변경을 포함한 사소한 세부사항만 변경되었다.올해 새로운 기능에는 윈드실드에 두 개의 와이어에 해당하는 숨겨진 무선 안테나가 포함되어 있다.휠베이스는 124인치(3100㎜)로 1인치 늘리며 올즈모빌 델타 88, 머큐리 몬테레이, 크라이슬러 뉴포트 등 직접 경쟁업체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베이스 모델과 커스텀 모델 모두 다시 제공되었다.엔진은 표준형 350 2배럴 V8이 230에서 260으로 마력이 증가하면서 개정됐다.1970년의 새로운 옵션은 285마력으로 정격된 350개의 4바렐의 저압축 일반 연료 버전이었고, 고압 프리미엄 연료 350 4바렐 V8은 10.25 대 1의 압축비로 315마력까지 증가된 마력으로 재작업되었다.라인업에는 르사브르 커스텀과 내외부 트림을 공유한 새로운 르사브르 455 라인이 추가됐으며, 4배럴 카뷰레터, 10.25대 1 압축력, 370마력의 뷰익의 새로운 455세제곱인치 V8에 의해 구동돼 프리미엄 연료도 필요했다.전송 서비스에는 기본 350 2배럴에 대한 칼럼 시프트가 포함된 표준 3단 매뉴얼 또는 옵션인 3단 터보 하이드라 매틱 350 자동이 포함되었으며, 이 매뉴얼은 두 개의 350배럴 4배럴 엔진이 장착된 표준 장비였다.이 변속기는 과거 몇 년 동안 소형 베이스 엔진과 함께 제공된 구형 2단 자동 변속기를 완전히 대체했고, 455는 터보 하이드라 매틱 400과 짝을 이루었다.뷰익사는 1964년 이후 사용된 "슈퍼 터빈" 명칭이 아닌 터보 하이드라 매틱 트레이드 이름으로 자동 변속기를 마케팅하는 데 다른 GM 부서에 합류했다.연식이 시작될 때 가변 비율 파워 스티어링과 파워 드럼 브레이크는 선택적 장비였다.이 품목들은 1970년 1월 1일부터 모든 르사브르(및 와일드캣)에 표준 장비로 제작되었다.파워 프런트 디스크 브레이크는 추가 비용 옵션으로 남아 있었다.1964년 이후 처음으로 뷰익사는 1970년식 스테이션 왜건 명판을 내걸고 대형 스테이션 왜건을 내놓았다.르사브르의 B-바디를 사용했지만 C-body Electra 225의 127인치(3200mm) 휠베이스 섀시를 탔다.에스테이트 왜건은 455 V8로 표준 장착되었으며, 실내 장식은 르사브르 커스텀 및 와일드캣과 유사했다.1965~70년형 GM B 플랫폼은 폭스바겐 비틀, 포드 모델T, 라다 리바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잘 팔리는 자동차 플랫폼이다.null
4세대(1971~1976)
4세대 | |
---|---|
개요 | |
연식 | 1971–1976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컨버터블 투 도어 하드톱 4도어 세단 4도어 하드톱 |
배치 | FR 배치도 |
플랫폼 | B-body |
관련 | 쉐보레 벨에어 쉐보레 임팔라 쉐보레 카프리스 폰티액 파리엔 폰티악 카탈리나/로렌티안 폰티액 본네빌 올즈모빌 88 뷰익 센튜리온 |
파워트레인 | |
엔진 | (3.8 L) BuickV6 인 231 cu 350 cu in (5.7 L) Buick V8 (7.5 L) BuickV8 455 cu |
전송 | 3단 자동 |
다른 GM 부서들과 마찬가지로 뷰익도 1971년 B-와 C-바디 자동차를 완전히 개조했다.대형차는 이전보다 더 크고 무거워졌다.스타일링은 1969년 크라이슬러사의 풀사이즈 자동차와 유사하지만 크라이슬러 제품보다 벨트라인이 낮은 곡선 차체와 긴 후드, 넓은 유리 확장 등이 특징이었다.세미 패스트백 루프는 2도어 하드톱 쿠페에 활용되었으며 컨버터블은 전체 너비의 뒷좌석을 허용하는 새로운 탑 디자인을 채택했다.null
350과 455세제곱인치 V8의 동일한 구획이 수행되었지만, 제너럴 모터스 기업 의무사항의 결과로 저옥탄 저유도 또는 무연 휘발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압축 비율 및 기타 변경사항이 적용되었다.가변 비율 파워 스티어링과 파워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는 1971년 연식이 시작될 때 모든 LeSabres에 표준 장비가 만들어졌다.3월에 터보 하이드라마틱 전송은 표준 장비가 되었고, 2005년에 명판이 완성될 때까지 모든 뷰익 르사브르스는 베이스 형태로 그렇게 장비를 갖추게 될 것이다.새로운 차체는 또한 롤오버 보호 개선을 위한 이중 쉘 지붕을 특징으로 했다.71년에는 다른 대형 GM 자동차와 소형 쉐보레 베가(Chevrolet Vega)와 공유된 트렁크리드에 장착된 환기구들을 활용하는 플로우 스루 환기 시스템이 새로워졌다.그것은 히터 팬을 사용하여 카울 흡입구에서 자동차 안으로 공기를 끌어들이고 트렁크 뚜껑이나 테일게이트의 환기구들을 통해 강제로 공기를 빼냈다.이론적으로, 승객들은 차가 많이 막히듯이 느리게 움직이거나 멈출 때에도 신선한 공기를 즐길 수 있었다.그러나 실제로는 효과가 없었다.그러나 1971년형 모델이 출시된 지 몇 주 만에 뷰익 등 GM 딜러들은 난방기가 따뜻해지기 전에 환기장치가 차가운 공기를 차 안으로 끌어들여 전원을 끌 수 없다고 불평하는 운전자들로부터 여러 건의 불만을 접수했다.환기 시스템은 1972년에 광범위하게 개조되었다.1971년에는 MaxTrac 전산 트랙션 제어 시스템(옵션)이 새로워졌다.내부에는 모든 제어장치와 기기를 운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배치하는 새로운 랩핑형 조종석 스타일의 계기판이 있었고, 페이스 플레이트를 제거했을 때 전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측기와 스위치로 쉽게 사용 가능했다.머리 받침대를 1969-70년에 비해 더 평평하게 만든 새로운 풀폼 디자인의 좌석.다시, 컨버터블이 커스텀 전용 오퍼링인 동안 베이스와 커스텀 모델 르사브르스는 동일한 세단과 쿠페 바디 스타일로 제공되었다.LeSabre 455 모델 라인은 1971년 동안 삭제되었으며, 현재 일반 베이스 및 커스텀 시리즈 모델에서 옵션으로 제공되는 대형 엔진이다.455 엔진 옵션을 장착한 르사브르 세관은 통상 사용되는 "Custom" 배지 대신 전면 펜더에 있는 르사브르 명판 아래에 "455" 배지를 받았다.null
1972년 스타일링 변화에는 수정된 그릴과 태일라이트 렌즈가 포함되었다.뒤쪽으로, 1971년에 작은 "BUIK" 명판이 오른쪽 선미등 위에 위치하여 선미등 사이의 아래쪽 트렁크 뚜껑에 걸쳐 "B U I C K" 철자를 쓰는 큰 블록 문자를 대체하였다.72년식 1년형 프론트 범퍼도 2시간 반밖에 안걸렸어1972년 당시 B, C, E 차체(대형)가 모두 이런 범퍼를 받았다.내부 트림은 1971년부터 약간의 수정만을 받았다.도어 잼의 환기구들을 활용하는 개정된 흐름-통과 환기 시스템은 1971년에 사용된 골치 아픈 시스템을 트렁크리드 환기구로 대체했다.350과 455 V8은 모두 1971년부터 자동차에 장착되지 않은 엔진의 동력계 정격을 기반으로 한 과거 연도의 총 마력 방식이 아니라 액세서리와 배기 제어 장치가 연결된 자동차에 장착된 엔진에 기반한 새로운 SAE 순 수치를 전환하여 운반되었다.이로써 표준 350 2배럴 V8은 1971년 230총마력 대비 160순마력, 상위 455V8은 1971년 315순마력 대비 1972년 250순마력으로 평가되었다.1972년 연방 및 캘리포니아 주 배기 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하도록 엔진도 개정되었으며, 캘리포니아 행 차량은 1973년 전국 판매를 위해 사실상 모든 자동차의 엔진에 설치될 것이다.내부에는 새로운 연방 안전규정으로 인해 계기판에 새로운 'FASTen SEAT BELTS(FASTEN SEAT BELTS)' 조명이 켜졌고, 시동을 걸 때 열쇠가 남아 있을 때 울리는 버저도 운전자와 승객에게 안전띠를 매라고 상기시켰다.null
1973년 Buick LeSabre는 연방에서 의무화한 더 큰 "5mph" 전면 범퍼와 새로운 수직 바 그릴이 전면 하단 전체와 전조등 아래를 가로지르며 범퍼 아래 방향 지시등을 켰다.수정된 미등이 더 큰 후방 범퍼에 설치되었다.350대 및 455대의 V8은 모두 연방 및 캘리포니아 배출구 장착 자동차에 사용되는 EGR 밸브로 수정되었다.르사브르 커스텀 컨버터블은 1972년 모델 연도 이후 중간형 스카이라크(1973년 세기로 교체)가 래그탑을 완전히 잃으면서 그해 단명 센츄리온을 뷰익의 유일한 래그탑으로 남겨두고 올해 탈락했다.엔진 옵션은 대체로 변동이 없었다.null
1974년형 뷰익 르사브르는 보다 세밀한 세로 막대기 그릴과 개별 베젤이 제공되었고, 방향 지시등이 전면 범퍼 내부에 설정되었으며, 새로운 5mph의 가로 방향 조명이 후면 범퍼 위로 확장되었다.네 개의 도어를 다듬은 세단과 하드톱 세단은 1973년과 동일한 지붕선을 유지했지만, 두 개의 도어를 사용한 하드톱 쿠페는 측면 후면 오페라 창문이 있는 새로운 지붕선을 특징으로 했다(작은 롤다운 후면 창과 함께.내부에서는 계기판을 대폭 수정했지만, 마무리 테마는 그대로 유지했다.새로운 옵션(그리고 거의 주문하지 않은)은 독특한 4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함께 운전석 및 조수석 측면 에어백을 포함하는 "에어 쿠션 에어백 시스템"이었다.또한 일렉트라 225s와 리비에라스뿐만 아니라 풀사이즈 올즈모빌레와 캐딜락에서도 이용 가능한 이 옵션은 그다지 인기가 없었으며 1976년 모델 연도 이후에 삭제되었다.올해 새로운 통합형 시트와 어깨 벨트가 도입되었는데, 이 시스템은 운전자와 우측 앞좌석 승객이 시동을 걸기 위해 안전벨트를 버클해야 하는 연방 의무 인터록 시스템이다.연동장치는 1975년 초기의 몇 가지 모델이 그렇게 갖춰진 후 의회가 1974년 말 연동장치의 폐지를 허용함으로써 연동장치의 소유주들이 합법적으로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허용했을 정도로 대중의 거센 항의에 부딪혔다.1973년 이후 센츄리온 라인이 단종되면서 르사브르는 이제 뷰익의 유일한 B-바디 풀사이즈 차가 되었다.베이스 LeSabre는 계속되었지만, 새로운 LeSabre Luxus 시리즈가 LeSabre Custom과 Centurion을 모두 대체했다.럭스 컨버터블도 1년 만에 레사브르 라인에 래그탑을 반납했고 뷰익의 유일한 래그탑이었다.엔진 오퍼링은 1974년에 개정되었다.이 350개의 2배럴은 엔진 옵션인 엔진 350개와 4배럴 V8 455개를 포함한 모든 모델에서 표준으로 유지되었으며, 둘 다 1973년부터 1974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도록 개정되었다.1974년의 새로운 엔진 옵션에는 455개의 2배럴과 1단계 455 "성능 패키지"가 포함되어 이중 배기 장치, 서스펜션 업그레이드 및 기타 장비가 추가되었다.1974년의 새로운 옵션에는 방사형 플라이 타이어, GM의 고에너지 점화 및 연료 탱크가 4갤런으로 내려갔을 때 켜지는 "저연료" 경고등이 포함되었다.올해는 옵션으로 MaxTrac 전자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의 마지막 해가 될 것이다.null
고급 LeSabre Luxus 명칭은 삭제되었고 LeSabre Custom 명판으로 대체되었다.1975년은 또한 촉매변환기, 그리고 1974년 9월 도입 당시 GM의 최대 주행거리 시스템의 일부였던 표준 고에너지 점화 첫해였다.1975년형 르사브르는 촉매변환기의 출현으로 무연 휘발유를 사용해야 했던 최초의 모델이다.르사브르 라인업에서는 쿠페와 세단 2개를, 르사브르 커스텀 라인업에서는 세단 2개와 뷰익 라인업에서는 유일하게 컨버터블을 제공했다. 1975년은 조립 라인업에서 5,300여개의 사례가 굴러가는 르사브르 커스텀 컨버터블의 마지막 해가 될 것이다.엔진 오퍼링은 표준 5.7리터 V8(350 CID)과 4배럴 카뷰레터 또는 4배럴의 옵션인 7.5리터 V8(455 CID)의 두 가지로 축소되었다.1975년형 뷰익 르사브르는 현재 자동차 전면 전체를 가로지르는 더 큰 십자 무늬 그릴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중 헤드라이트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다시 한 번 나란히 설치되었다.방향 지시등은 프론트 범퍼 내부에 위치했다.커스텀 시리즈에서는 뷰익 트라이 실드 후드 장식이 표준이고 베이스 시리즈에서는 선택 사항이었다.3홀짜리 '벤티포트'는 후드에서 앞쪽 펜더로 옮겨졌다.조금 더 크지만 좁은 선미등이 차량 뒷부분을 번호판으로 깨진 가운데에 위치한 후진등으로 장식했다.4도어 필로폰 세단은 GM 중개인들의 6도어 '콜론나이드' 스타일링을 모방할 수 있는 새로운 작은 세 번째 창문을 받았고, 4도어 하드톱 세단은 새로운 오페라 창을 갖게 되었다.내부에는 엘렉트라와 리비에라와 공유된 새로운 평면 계기판이 예년의 랩톱 대시를 대체했으며, 이전 해의 120mph와 비교했을 때 100mph에 불과한 수평 스위프 속도계를 특징으로 했으며, 킬로미터 판독값도 포함했다.그렇지 않으면 내부 트림에서 약간의 수정만 받았다.르사브르 커스텀과 센츄리온 컨버터블의 컨버터블 생산은 1971년부터 1975년까지 그리 풍부하지 않았다.당시 가장 드문 생산량은 1,800대를 조금 넘는 1971년 르사브르 커스텀이었고, 가장 많이 생산된 것은 1973년 5700대를 약간 넘는 센츄리온이었다.이 매우 낮은 생산량과 풀사이즈 컨버터블 시대가 끝났기 때문에, 이는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에 따라 이 일련의 래그톱 LeSabre Custom 및 Centurion Convertibles를 상당히 수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사용된 컨버터블 메커니즘은 곧은 뒤가 아니라 스스로 안쪽으로 접히는 '가위톱'이라고 불렸다.이것은 1971년부터 1976년까지 모든 GM 풀사이즈 컨버터블에 적용되었다.null
사소한 스타일 변화만이 1976년 뷰익 르사브르를 부각시켰는데, 1971년식 차체에 대한 최종 해, 인기 없고 드물게 주문된 운전석 및 조수석 측면 에어백 옵션, 455 V8 및 하드톱 차체 스타일을 강조하였다.변화에는 직사각형의 쿼드 헤드라이트를 바로 아래 방향 지시등과 함께 유닛에 배치하는 것이 포함되었으며, 중심에는 더 이상 헤드라이트와 통합되지 않는 새로운 고전적인 달걀 크레이트 그릴이 있었다.1976년형 르사브르는 표준형 V6 엔진을 탑재한 유일한 미국형 풀사이즈 자동차로, 뷰익의 신형 3.8리터(231CID) V6 엔진이었다.V6는 베이스 레벨 LeSabre에서만 제공되었고 V6 엔진이 라인에 막판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1975년 9월에 발행된 1976년 초기의 뷰익 문헌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350큐빅 인치 V8은 르사브르 커스텀의 기본 엔진이었고 455큐빅 인치 V8은 선택 사항이었다.두 V8은 모두 베이스 LeSabre에서 선택 사항이었다.풀사이즈 쉐보레를 비롯한 경쟁사의 빅쿠데와는 달리, 뷰익의 풀사이즈 르사브르 쿠페는 작은 리어 쿼터 윈도우가 굴러 내려가는 진정한 하드톱이었다(고정된 더 큰 제3의 리어 사이드 '오페라 윈도우'에 더해).폰티액과 올드모빌레는 또한 하드톱 쿠페를 낮은 가격의 라인으로 제공했다. 1976년은 GM의 기둥 없는 모든 차체 스타일의 마지막 해였다.null
5세대(1977–1985)
제5세대 | |
---|---|
![]() 1982년 뷰익 르사브르 리미티드 디젤 세단 | |
개요 | |
연식 | 1977–1985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4도어 스테이션 왜건 |
배치 | FR 배치도 |
플랫폼 | B-body |
관련 | 쉐보레 카프리스 쉐보레 임팔라 폰티액 본네빌 폰티악 카탈리나/로렌티안 폰티액 파리엔 폰티액 사파리 올즈모빌 커스텀 크루저 올즈모빌 88 뷰익 에스테이트 |
파워트레인 | |
엔진 | (3.8 L) BuickV6 인 231 cu (4.1 L) 뷰익 V6 252 cu 301 cu in (4.9 L) 폰티악 V8 307 cu in (5.0 L) Oldsmobile V8 350 cu in (5.7 L) Buick V8 350 cu in (5.7 L) Oldsmobile Diesel V8 (6.6 L) 올즈모빌 V8에 403 cu |
전송 | 3단 터보 유압(THM-350 또는 THM-400) 자동 4단 THM200-4R 자동 |
1977년형 뷰익 르사브르와 기타 GM B 차체 풀사이즈 자동차는 700800파운드의 중량을 줄이고 전체 길이는 10~15인치(380mm)인 곡에 비해 외형이 상당히 작고 가벼웠다.이 풀사이즈 자동차는 1973-74년 에너지 위기 이후 연비 등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 차원의" 차량 축소의 시작이었고, 1979년 개인용 럭셔리 자동차 그리고 1980년 이후 몇 년 동안 각 차량 라인의 후속 다운사이즈로 인해 완성되었다.1977년식 뷰익 르사브르는 바깥쪽이 상당히 작았지만, 훨씬 더 큰 1976년식 모델에 비해 머리 공간, 뒷좌석 다리 공간 및 트렁크 공간이 늘어났다.엔진 라인업은 표준 231세제곱인치 뷰익 빌드 V6를 포함한 엔진 종류와 폰티악 빌드 301세제곱인치 V8, 뷰익과 올즈모빌이 제작한 350세제곱인치 V8, 올즈모빌 403세제곱인치 V8 등 다양한 옵션 파워플레인으로 구성됐다.V6는 베이직과 커스텀 쿠페, 신형 르사브르 스포츠 쿠페의 301 V8과 에스테이트 왜건의 350 V8이 표준이었다.기둥 없는 하드톱 차체 스타일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null
대폭적인 축소와 재설계 이후 1978년 뷰익 르사브르는 새로운 그릴워크를 포함한 작은 변화만을 받았다.대부분의 모델에서 1977년부터 엔진 제공은 변경되지 않았지만, LeSabre Sport Coupe는 현재 4배럴 카뷰레터가 4,000RPM에서 165 BHP(SAE Net)를 생산하고 285lb-ft에서 다소 유용한 285lb-ft의 터보차지 231입방인치 V6에 의해 구동되었다.null
새로운 그릴과 후면 차양 패턴을 포함한 사소한 변화만이 1979년 LeSabre Custom의 최고 레벨인 LeSabre Limited로 이름이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LSabre가 강조되었다.르사브르 스포츠 쿠페는 터보차지 V6를 표준 장비로 계속 사용했으며, 이 모델에 대한 새로운 옵션은 센터 콘솔이 장착된 스트라토 버킷 시트뿐이었다.올해는 옵션 목록에 있는 폰티액 301과 올즈모빌 403 V8s의 마지막 해가 될 것이다.null
새로운 스윕 백 그릴/헤드라이트, 새로운 미등 및 수정된 쿠페 지붕 라인으로 강조된 새로운 판금류는 뷰익의 전통적인 포트홀이 완전히 사라진 것 외에 1980년 뷰익 르사브르에 대한 변화들 중 하나였다(C-body Electra는 그것들을 1984년까지 보관할 것이다).1980년형 모델은 1977-79년형 모델보다 약간 더 커 보이지만 전체 차원은 거의 변하지 않는 공기역학적 금속과 함께 연비 개선을 위해 무게도 약간 가벼웠다.엔진 오퍼링은 1980년에 표준형 뷰익 231 V6와 옵션형 350 V8로 약간 변경되었으며, 뷰익 350은 올해 마지막 모습을 나타냈다.새로운 옵션으로는 대형 Buick-Built 252 V6, Oldsmobile-Built 307 V8 및 Oldsmobile에 의해 제조된 350 디젤 V8이 포함되었다.LeSabre Sport Coupe는 4-barrel 터보차지 231 V6를 표준으로 계속 사용하였으며, 오직 사용 가능한 동력장치만 사용하였다.스포츠 쿠페는 판매 부진으로 1980년 이후 터보 V6 엔진과 함께 라인에서 떨어졌지만, 리갈과 리비에라에서는 터보 V6가 계속됐다.올해에 이어 뷰익 350 V8이 해체되면서 뷰익사는 여러 부서에서 만든 엔진의 종류를 회사 라인업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서에 의해 만들어진 엔진의 종류를 지시하는 GM의 신흥 기업 엔진 정책의 결과였다.이 계획에 따르면, 뷰익사는 V6 엔진을, 폰티악은 4기통 동력 플랜트를, 쉐보레는 4기통, V6 및 V8 엔진을, V8은 Oldsmobile과 Cadillac에서 조달할 것이다.이것은 1981년부터 V8로 구동되는 뷰익스(Buicks)가 가솔린과 디젤 엔진 모두 올즈모빌 엔진을 탑재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null
단지 사소한 그릴과 트림 변경만이 베이스 및 리미티드 모델에서 여전히 제공되는 1981년식 LeSabre를 강조하였다.개조된 그릴은 이제 다섯 줄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었다.[4]엔진 제품에는 231세제곱인치 보통 흡인되는 뷰익 V6(세단과 쿠페의 경우 표준) 또는 옵션인 올즈 307세제곱인치 V8(마차 표준, 세단과 쿠페의 경우 옵션), 350세제곱인치 올즈모빌 디젤 V8(모든 모델의 경우 옵션)이 포함되었다.모든 가솔린 엔진은 GM의 "컴퓨터 명령 제어" 시스템을 통해 연료 혼합물, 스파크 진각, 배기 가스 제어 등을 제어했다.3단 Turbo Hydra-Matic 변속기는 V6와 디젤 V8이 장착된 표준 장비였다.올해 새롭게 등장한 것은 고속도로 연비 개선을 위해 가솔린 V8 엔진과 페어링된 터보 하이드라-매틱 200 4-R 4단 자동 오버드라이브 변속기가었습니다.1981년 르사브르와 다른 GM 자동차들은 구르는 저항성과 연비 개선을 위해 35PSI 레이디얼 타이어를 새로 받았다.null
1982년부터 83년까지 부익 르사브르에 대해 수정된 그릴과 트림 품목 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기본형 르사브르 세단과 쿠페 모델은 1983년 르사브르 커스텀이 보급형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쿠페와 세단 모두에서 고급 르사브르 리미티드 모델과 짝을 이루었다.이 2년 동안의 엔진 제품에는 표준 Buick 231 V6 또는 옵션 252 V6 또는 Oldsmobile 307(가솔린) 또는 350(디젤) V8s가 포함되었다.
엘렉트라와 크게 닮은 새로운 전면 클립과 더 넓고 낮은 선미등이 Custom and Limited 모델에서 여전히 제공되는 1984년식 뷰익 르사브르의 외관 변화 중에 있었다.252 V6는 옵션 목록에서 삭제되었지만 231 V6(쿠페 및 세단 표준) 또는 옵션인 Oldsmobile 307 가솔린 V8(마차 표준, 세단과 쿠페 옵션), Oldsmobile 350 디젤 V8(옵션 모든 모델)을 포함하여 다른 모든 엔진이 반환되었다.null
1985년은 1986년 전륜 구동으로 다시 축소 및 전환하기 전의 리어 구동 르사브르의 마지막 해가 될 것이다(시대와 쿠페만 해당, 리어 구동 르사브르 에스테이트 왜건은 몇 년 더 변경되지 않고 군인이 될 것이다).또한 차체 온프레임 구조, V8 전원 및 뷰익의 전통적인 올코일 서스펜션(Roadmaster 세단도 유사하게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 마지막 르사브르 세단과 쿠페였다.최고 라인인 르사브르 리미티드사는 리어 드라이브 세단과 쿠페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르사브르 리미티드 컬렉터 에디션으로 등극했다.엔진 제품에는 표준 231 V6(스단 및 쿠페) 또는 옵션인 Olds 307 V8(마차에서 표준으로 제공됨)과 Oldsmobile 350 디젤 V8(모든 모델에서 사용 가능)이 포함되었다.1985년 307s는 마찰 감소로 롤러 리프터를 받았다.한편, 에스테이트 왜건은 1990년까지 대체로 르사브르 또는 엘렉트라로 계속되었다.null
1974년과 1984년 Buick LeSabre 세단의 크기 비교
1974년 뷰익 르사브르 | 1984년 뷰익 르사브르 | |
---|---|---|
휠베이스 | 124.0인치(3,150 mm) | 116.0인치(2,946mm) |
전체 길이 | 226.8인치(5,761 mm) | 218.4인치(5,547 mm) |
폭 | 79.9인치(2,029 mm) | 78.0인치(1,981 mm) |
높이 | 54.0인치(1,372 mm) | 56.7인치(1,105mm) |
무게 | 4486lbs(2035kg) | 3637파운드(1650kg) |
프런트 헤드룸 | 38.9인치(988mm) | 39.5인치(1,003 mm) |
앞다리방 | 42.3인치(1,074 mm) | 42.2인치(1,072 mm) |
프런트 힙룸 | 62.0인치(1,575 mm) | 55.0인치(1,397 mm) |
프론트 숄더룸 | 64.3인치(1,633 mm) | 60.6인치(1,539 mm) |
후면 헤드룸 | 38.0인치(965 mm) | 38.2인치(970 mm) |
리어 레그룸-인 | 38.8인치(986 mm) | 38.9인치(988mm) |
후면 힙룸 | 61.9인치(1,572 mm) | 55.7인치(1,415 mm) |
리어 숄더룸 | 63.5인치(1,613 mm) | 60.5인치(1,537 mm) |
수하물 용량 | 19.7 cu ft (558 L) | 20.8 cu ft(589 L) |
6세대(1986~1991)
6세대 | |
---|---|
![]() 1986년 르사브르 세단 | |
개요 | |
연식 | 1986–1991 |
조립 | 미국 미시간 주 플린트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
배치 | 횡방향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플랫폼 | H-body |
관련 | 올즈모빌 88 폰티액 본네빌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4단 4T60 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110.8인치(2,814 mm) |
길이 | 196.5인치(4,991 mm) 197.2인치(5,009 mm)(제한) |
폭 | 72.0인치(1,829 mm) |
높이 | 55.4인치(1,407 mm) |
1986년식 LeSabre는 GM B 플랫폼의 후륜 구동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전면 휠 구동 H 플랫폼에 도입되었다.H-바디로 르사브르에 합류한 것에는 올즈모빌 델타 88과 G 플랫폼에서 중형급으로 단기 주행한 뒤 풀사이즈로 복귀한 1987년 폰티악 보네빌이 포함됐다.LeSabre 버전의 H-body의 특징 중 하나는 역조개껍질 후드 - 뚜껑과 앞유리 근처의 뒷면이 아니라 (그 시대의 뷰익 일렉트라와 쉐보레 코르벳과 같은 방식으로) 전면에 경첩되어 있는 후드였다.전면 휠의 모든 새로운 스타일링과 구현은 LeSabre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었고, 이는 플러시 공기역학 설계의 한 형태였다.가장 급진적인 변화는 뷰익의 오래 서 있던 벤티포트를 앞쪽 펜더에서 제거한 것이었을 것이다.null
이 세대의 대부분의 뷰익 르사브르 모델은 뷰익의 3.8리터(231입방인치) V6 엔진으로 구동됐다.처음에는 150hp(112kW)로 출발했다.밸런스축을 추가해 165hp(123kW)로 1988년 유명한 '3800' V6가 됐다.이 엔진은 1991년 튜닝 포트 주입이 추가되면서 170hp(127kW)로 증가했다.그러나 1986년 모델은 3.0리터(181입방인치) V6를 표준으로 내세웠다.매년 조금씩 다른 설계 변화를 가져왔다. 1986년도는 밀폐형 빔 헤드라이트로, 1987년 보다 현대적인 헤드라이트를 교환 가능한 전구로 교체한 것뿐만 아니라 도어 장착식 안전벨트의 도입으로도 유명하다.1988년에 3.8엔진을 3800(vin code C) 모터로 교체한 반면 1989년에는 엔진 베이 액세서리(배터리, 워셔액 탱크 및 냉각수 오버플로 탱크의 위치)의 레이아웃이 약간 변경되었다.1990년대의 경우, 전면 범퍼/그릴 조립체의 설계와 다른 테일 램프 설계에 변화가 있었던 반면, 1991년대는 약간의 전력 증가는 차치하더라도 1990년대의 모델 자동차와 거의 동일했다.null
1986년, NASCAR 대회의 쿠페 바디 스타일의 자격을 얻기 위해 LeSabre Grand National 모델이 만들어졌다.르사브르 그랜드 내셔널은 120대 미만의 생산량으로 지금까지 뷰익스가 만든 가장 희귀한 제품 중 하나이다.회색 인테리어가 있는 검정색으로만 구할 수 있었다.[5]그랜드 내셔널의 생산이 종료된 후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제공되는 르사브르 T형식의 새로운 스포츠 르사브르가 등장했다.LeSabre T-Type은 Regal Grand National과 Regal T-T-Type 모델 이후에 스타일링된 독특한 옵션이 많았다.[6]이러한 옵션으로는 블랙아웃 트림, 그레이온 블랙 시트(1987년만 해당), 그레이온 블랙 도어 패널, 그레이 대시 및 트림, T-Type별 프론트 및 리어 스포일러가 포함되었다.1990년, T-Type 트림 패키지는 판매 부진, 뷰익의 GM 계층 구조 내에서 스포티한/성능 모델이 아닌 "프리미엄 아메리칸 모터카"의 메이커로의 재배치로 인해 떨어졌다.null
1989년에 시작해서 몇 년 동안 계속된 뷰익 르사브르는 J.D.로부터 찬사를 받았다.품질과 신뢰성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고객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자동차로서의 파워.이 세대는 후방 채프먼 스트럿츠를 가압하여 전체적인 지상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였던 다이나라이드를 장착했다.장착된 모든 차량의 조향기둥 왼쪽 계기판에 배지가 설치됐다.그란투어링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null
7세대(1992~1999)
제7세대 | |
---|---|
![]() | |
개요 | |
생산 | 1991-99년 6일 |
연식 | 1992–1999 |
조립 | 미국 미시간 주 플린트 |
디자이너 | 빌 포터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
배치 | 횡방향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플랫폼 | H-body |
관련 | Oldsmobile 88/지역/LSS 폰티액 본네빌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4단 4T60-E 자동 4단 4T65-이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110.8인치(2,814 mm) |
길이 | 200.0 in (5,080 mm) (1998–96) 200.8 in (5,100 mm) (1998–99) |
폭 | 74.9인치(1902mm) (1902–99) 74.9인치(1902mm) (1902–96) |
높이 | 55.7인치 (1,415 mm) (1995–96) 55.6인치 (1,412 mm) (1998–99) 55.9인치(1,105mm) (1955–99) |
이 LeSabre는 1992년 모델 연도를 위해 1991년에 도입되었으며, 전년도 파크 애비뉴와 같은 노선을 따라 재설계되었다.두 개의 문이 달린 쿠페는 떨어졌고, 이 지점에서 앞으로 4개의 문이 달린 세단만 남았다.헤드라이트는 분리된 황색 방향 지시등 스트립이 전면 하단 페시아를 감싸면서 유선형으로 되어 있었다.후면 페시아는 트렁크 입구가 넓고 높이보다 낮게 들어올려 짐 싣는 것을 용이하게 했으며, 전면은 단순화된 크롬 몰딩과 부페렛이 없는 상태로 매끄럽게 처리했다.르사브르는 또 전면 펜더에 기존 강철을 대체하는 고스트레스 플라스틱을 탑재해 GM의 플라스틱 차체 기술을 선보였다.그 후드는 이제 전대의 앞고개 디자인을 버리고 후방에서 관례적으로 경첩이 달려 있었다.null
The LeSabre's engine from 1992 to 1995 was the 3800 V6 (L27), which produced 170 hp (127 kW) and 225 lb·ft (305 N·m) The 3513 lb (1593 kg) car got 18 mpg (13.1 L/100 km) in the city and 28 mpg (8.4 L/100 km) on the highway, which was slightly better than the 1991 model.이 자동차는 8.9초 만에 시속 97km로 가속했고 시속 129km로 시속 80mph로 4분의 1마일을 16.9초 만에 주파할 수 있었다.최고 속도는 전자적으로 173km/h(108mph)로 제한되었다.null
이 세대는 Gran Touring Suspension을 장착했는데, 여기에는 후방 채프먼 스트럿츠를 가압하여 전체 지상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 압축기와 더불어 약간 낮은 최종 주행 비율(2.93 대 3.08)이 포함되어 있었다.[vague]장착된 모든 차량의 조향기둥 왼쪽 계기판에 배지가 설치됐다.다이나라이드가 장착된 차량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다.null
LeSabre는 두 가지 트림 수준으로 제공되었다.사용자 정의 트림 수준은 기본 수준이었습니다.리미티드(Limited)는 알로이 휠, 프론트 후드 장식, 뒷좌석의 액세스 패널을 접어 트렁크에 접근할 수 있는 프리미엄 트림 레벨이었다.이 차량에는 18갤런의 연료 탱크와 ABS(안티 브레이크), 그리고 뒷좌석 조수석 측 쿼터 패널에 파워 라디오 안테나가 장착돼 있었다.계측에는 가스 게이지, 속도계, 기어 표시등이 포함되었다.옵션 계측기에는 타코미터와 온도, 오일 압력, 충전 전압 게이지가 포함되었다.null
1993년에는 뷰익의 9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판 르사브레가 판매되었다.이 모델에는 커스텀 트림 레벨 표준 장비 외에도 '90주년' 배지, 카세트 플레이어, 크루즈 컨트롤, 리어 윈도우 디포거, 파워 드라이버 시트, 카펫 바닥 매트, 외부 핀 스트라이프, 와이어 또는 알루미늄 휠 커버 선택 등이 포함됐다.null
1996년, LeSabre는 3800 Series II 발전소를 받았으며, 35 hp(26 kW)의 이득이 있었다.엔진은 이전 모델인 MPG 도시 19개와 미국 환경보호청(MPG) 고속도로 30개에 비해 연비 등급을 높였다.null
LeSabre는 1997년 동안 전면 개폐되어 방향 지시등을 전조등 조립체 대신 전면 범퍼로 이동시켰다.타코미터가 달린 새로운 게이지 클러스터가 나타났다.프론트 펜더가 복합 재료에서 기존의 아연도금강 기질로 전환되었다.다른 그릴, 다른 후방 백업등 및 다른 트림을 포함하여 다른 사소한 변경사항도 적용되었다.이러한 변화의 전체적인 효과는 1997-99년형 모델들이 이전 모델들보다 약간 더 날씬해 보인다는 것이다.외관의 재설계에도 불구하고 1996-97년 경의 한 자동차 잡지 기사는 인테리어가 "1970년대"라고 말했는데, 이는 1990년대 중반의 자동차치고는 다소 구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citation needed]null
1999년 폰티악 본네빌뿐 아니라 르사브르를 건설한 미시간주 플린트 뷰익시티 조립공장은 폐쇄되고 르사브르 생산은 햄트램크로 이전했다.지난 1999년 르사브르는 1999년 6월 뷰익시티가 건설한 마지막 차량으로 뷰익시티의 최종 라인을 떠났다.[citation needed]null
8세대(2000-2005)
8세대 | |
---|---|
![]() | |
개요 | |
생산 | 1999년 3월-2005년 8월 |
연식 | 2000–2005 |
조립 | 미국 미시간 오리온 호수 미국 미시건 주 햄트램크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
배치 | 횡방향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플랫폼 | G플랫폼[7] |
관련 | 폰티액 본네빌 올즈모빌 오로라 뷰익 리비에라 캐딜락 세빌 |
파워트레인 | |
엔진 | 3.8 L 시리즈 II Buick 3800 V6 |
전송 | 4단 4T65-E 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112.2인치(2,192mm) |
길이 | 200인치(5,080 mm) |
폭 | 73.5인치(1,867 mm) |
높이 | 57인치(1,448 mm) |
2000 LeSabre는 1999년 3월에 도입되었다.그것은 현재 GM의 G 플랫폼에 구축되었다. 그러나 GM은 그것을 H 플랫폼이라고 계속 언급하는 것을 선택했다.[7]르사브르는 미시간주 햄트램크에 있는 GM의 디트로이트/햄트램크 조립공장과 미시간주 오리온 호수에 있는 오리온 조립공장에서 제조됐다.null
재설계 시 변경된 부분에는 후드와 함께 열리지 않는 새로운 그릴과 약간 더 작은 외부 치수가 포함되었다.다소 작은 외관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이전 모델과 비슷한 내부 공간과 트렁크 공간을 제공했다.에어컨 필터는 이 세대와 함께 설치되었고, 방화벽을 배경으로 조수석 측 엔진실 내부에서 접근되었다.커스텀 및 리미티드 트림 레벨은 계속해서 제공되었다.null
2003년에는 뷰익의 100주년을 기념하여 축하 에디션 패키지가 추가되었다.축하 에디션에는 진주빛 화이트 다이아몬드 또는 크림슨 펄 트리코트 도장, 블랙아웃 그릴, 16인치 크롬 휠, 특수 배지를 선택할 수 있는 리미티드사의 모든 표준 장비가 선보였다.LeSabre의 기타 옵션 또는 표준 사양으로는 스태빌라이트락, 온스타, 아이큐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천후 트랙션 제어, 자동 부하 레벨링, 사이드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열선내장 시트, 듀얼 존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레인센스 자동 윈드실드 와이퍼 등이 있다.2003년 뷰익의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2004년과 2005년 이 패키지는 여전히 유효했다.null
LeSabre에서 제공되는 다른 패키지들 중에는 2004년 세관에서의 Platinum Edition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null
8세대 LeSabre의 표준 엔진은 오직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3.8 L Series II Buick 3800 V6이었다.
중단
르사브르는 2005년 연말에 단종되었을 때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풀사이즈 자동차였다.2006년 뷰익의 새롭게 디자인된 플래그십인 루체른으로 대체되었다.2004년 6월 18일 미시간주 오리온 호수에서 마지막 르사브르(LeSabre)가 굴렀고(Pontiac G6를 짓기 위해 공장을 다시 짓는 것), 2005년 8월 중순에 마지막 햄트램크(Michigan LeSabre)가 조립 라인에서 굴렀다.null
참조
- ^ 플로리, J. "켈리" 주니어American Cars 1946-1959 (Jefferson, NC: McFarland & Coy, 2008), 페이지 1021.
- ^ a b John Gunnell (2004). Standard Catalog of Buick, 1903-2004 (3rd ed.). Iola, WI: Krause Publications, Inc. pp. 106–107. ISBN 0-87349-760-0.
- ^ 건넬, 페이지 113
- ^ 건넬, 199-200페이지
- ^ "1986 LeSabre Grand National P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11. Retrieved 2012-01-08.
- ^ "The Buick Lesabre T-type". Lesabre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30. Retrieved 2011-07-22.
- ^ a b Frame, Phil (16 January 1995). "GM H CARS MOVE TO G PLATFORM". Automotiv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 Patrick Bedard. "Buick LeSabre". Car and Driver (March 1992): 128–129.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뷰익 르사브르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